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잔존단층 및 절리가 존재하는 절토사면의 붕괴대책

        김상백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asons of slope collapseare very various. Although those facts which contribute to slope collapse cannot be asserted that the facts happenfrom one reason, those facts are related to each other. Occurrences of slope collapse are due to natural facts such as rainfall, topography, geological facts, soil condition and artificial facts such as national development plans come with creation of slope soils. In the research, slope sliding happened in cutting slope area which has residual fault and joint. Exterior inspection, geological site investigation, analysis of collapse causes and the stability analysis in cut slide are executed. In addition to reinforcement method has been devised in the research. Accordingly, the research is based o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and design to prepare for slope collapse in cut slide which has residual fault and joint to minimize losses of lives and financial damage.

      • 재배지 고도에 따른 배의 생육 및 품질특성

        김상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배적지 선정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기상재해를 예측하기 위하여 재배지대별 기상변화와 배의 생육기 및 품질변화를 구명하였다. 재배지대는 해발고도가 100m이하이고 해안지역 인접지(해안), 해안고도가 100m이하이며 내륙 평야지(내륙평야), 해발고도가 100m∼300m인 내륙중간지(내륙중간), 해발고도가 300m 이상인 산간지(산간)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개화기는 해안과 내륙평야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내륙에서는 해발고도가 100m 높아질수록 1∼2일 정도 늦어졌다. 재배지대별 생육량과 신초생육정지기는 재배지대 보다는 관리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확기 과실특성을 보면 과형지수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커졌으며, 색차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경도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단단해졌고, 당도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산도는 높아질수록 높아졌다. 개화기간 동안의 화총 내 화서별 저온피해는 개화가 빠른 5번화 이내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화서가 빠를수록 피해정도가 심하였다. 지대별 저온피해는 중간부가 46.5∼47.8%로 가장 높았으며 산간부는 5.9∼12.0%, 내륙평야부는 0.4∼3.3%로 나타났다. 중간부의 저온피해가 높았던 이유는 개화기간 동안의 일교차가 중간부는 10.7∼11.6℃으로 산간부의 9.4∼10.2℃와 평야부의 8.7℃보다 크기 때문에 개화에 필요한 고온요구도가 충족된 상태에서 야간의 저온이 경화되었기 때문에 산간부는 개화기가 늦어져 저온피해가 조금 나타났고, 내륙평야와 해안은 야간 저온이 경과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그래핀/탄소나노튜브 첨가에 따른 음극활물질 Li4Ti5O12의 전기화학적 특성

        김상백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attractive technologies to be applied on a large scale in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because of its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service life. However, there still exist some problems to be solved on this particular aspect. For instance, graphite can react with electrolytes (∼1 V vs. Li/Li+) to form a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film (SEI) on its surface, which causes electrolyte loss and low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It is therefore of great significance to find an anode material which can be used to achieve a high rate capability, long cycle life, and high safety. Spinel Li4Ti5O12 (LTO) is considered to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graphite as anode material in lithium ion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The spinel structure of LTO leads to the reversible lithium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mechanism (zero-strain) and shows an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Titanium oxide with Ti4+/Ti3+ redox couple works at approximately 1.5V (vs. Li), which is far above the reduction potential of most organic electrolytes. The formation of solid-electrolyte interface (SEI) on the electrode can be mitigated and the lithium dendrites can also be avoided. In the meantime, the chemical diffusion coefficient of Li+ in LTO is higher than that of graphite and so LTO anode can charge and discharge faster. However, the low electronic conductivity of LTO limits its high rate performance and so hinders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lithium ion batteries. In this work, LTO is improved by adding a conductive additive, graphene plate and carbon nano-tubes(CNTs), because it shows high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uniform surface coating around the entire LTO particle. CNTs acts as a conductor to provide a conductive network through LTO particles. Graphene/CNTs added LTO anode material shows higher charge capacity at high C-rate, and it is due to the conductivity increase of anode. LTO/graphene/CNTs compound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high temperature solid state reaction in a Li : Ti molar ratio of 4.2 : 5. Excess Li was provided to compensate for lithia volatilization during the high temperature of synthesis. The mixed reactant mixture was heated in a muffle furnace at 800℃ for 6h in Ar, followed by natural cooling to room temperature. The synthesized samples were ground before powder characterization and electrode preparation. The New LTO/graphene/CNT presents the best discharge capacity among all the samples( at 1C-rate, 2C-rate, 5C-rate ; 138mAh/g, 127mAh/g, 100mAh/g ) and shows better reversibility and higher cyclic stability compared with pristine Li4Ti5O12.

      • Sr-Ferrite 자성체를 이용한 티타늄 파이프 내면의 자기연마

        김상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lectric and chemical polishing methods have been used for making precisely polished pipes with high definition and quick speed reprocess capabilities. However, they have problems of high cost and difficulties for waste processes. Therefore, the magnetic polishing method has gained the engineering interest as a candidate to substitute them with being cost effective, easy to proces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magnetic polishing is performed by polishing the surface of pipe by attracting magnetic abrasives with magnetic fields. This can be widely applied for finishing machinery fabrications such as various pipes and for other safety processes. In this study, the mixture of Sr-ferrite as a magnetic material and GC as an artificial polishing abrasive was used for internal face polishing of titanium pipe in heat exchanger. The polishing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as depending on polising speed, magnetic flux density, feedrate, abrasive grain size. The roughness of polished surface was reduced by proper polishing speed, strong magnetic flux density, reducing feed rate, and increasing grain size of abrasives. 생산된 파이프에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산업추세에 따라서 전해연마, 화학연마의 방법을 파이프에 적용하여 사용해왔다. 그러나 높은 비용과 폐전해액의 처리에 문제가 있어서 이를 대체하면서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가공법인 자기연마법이 대두되고 있다. 자기연마법은 자기연마재를 자기력을 이용하여 끌어당겨서 가공물을 연마하는 가공법이다. 이 방법은 각종 파이프 및 안전가공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r-Ferrite를 자성재료로 하고, 인조 연삭입자인 GC연마재를 혼합하여 합성제조된 자기연마재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에 사용되고 있는 티타늄 파이프 내면에 자기연마를 시도하였다. 또한 파이프 내면의 연마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연마재의 입도, 연마속도, 자속밀도, 이송량의 변화를 주어 실험조건에서 가장 효율적인 가공조건을 찾았다. 실험을 통해서 파이프 내면의 표면거칠기는 적정한 연마속도, 강한 자속밀도, 적은 이송량, 연마재 입자의 크기가 큰것에서 좋은 값이 나왔다.

      • 소셜미디어(Social media)에서 기업의 관계형성에 대한 연구 : 국내ㆍ외 기업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중심으로

        김상백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로 개념화된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이 기업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해 기업은 어떤 대응을 해야할 것인가를 고민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기업과 이해관계자간의 관계형성 변화를 확인하고 도출하기 위하여 우선 소셜미디어의 정확한 개념과 등장배경을 알아보고,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발전할 것인지를 서술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확산에 따라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기업의 대응에 있어 효율성과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소셜미디어 확산의 배경설명과 대응방안을 알아본 후, 실질적으로 기업에서 소셜미디어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올바른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해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특정기업을 통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소셜미디어에서 기업의 관계형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기업의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결론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이끌어낸 결론에서 나타나는 시사점을 짚어 보고, 본 연구가 좀 더 발전하기 위해 어떤 부분에 대해 보완해야 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A) comprehensive 3D assessment of the scanning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in different edentulous area

        김상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초점 방식과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광삼각법 방식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ISO 20896-1:2019’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여러가지 치과 임상의 상황을 재현한 덴티폼 모델을 제작 및 스캔하고 각 구강스캐너의 정확도를 모델스캐너와 비교하여 측정하여 각 구강스캐너의 정확도와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덴티폼 모델에서 치아를 점진적으로 제거하여 치과 임상에서 무치악 부위가 넓어지는 임상 상황을 재현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상악 덴티폼 모델을 ‘ISO 20896-1:2019’에서 제시한 기준에 근거하여 디자인하고 상악 완전 유치악을 그룹 1, 양쪽 제1 소구치 2개 치아 발치 상황을 그룹 2, 양쪽 제 2소구치까지 4개 치아 발치 상황을 그룹 3, 양쪽 제1대구치까지 6개 치아 발치 상황을 그룹 4, 양쪽 제2대구치까지 8개 치아 발치 상황을 그룹 5로 설정하였다. 각 그룹의 모델을 3D 프린팅한 후 모델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여 각 그룹의 기준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3가지 종류의 구강스캐너 (i700, Trios 3, VivaScan)를 사용하여 각 그룹의 덴티폼 모델을 스캔하였으며, ‘ISO 20896-1:2019’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모델에서 각 구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덴티폼 모델의 4개의 구중 a, b, c, 3개의 구를 이용해 평면을 설정한 뒤 d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h값을 측정하였다. 기준 데이터와 각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캔 데이터를 Best-fi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중첩시킨 후 같은 평면에서 잘라낸 후 전방부 (#13, 21, 11, 21, 22, 23 치아)와 후방부 (#14, 15, 16, 17 치아)에서의 데이터 간의 전체적인 편차 (제곱평균제곱근, RMS)를 측정하였다. 그룹 5에서는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스캔 전략 이외에 다른 전략 (Zig zag)으로도 스캔을 시행하여 스캔 전략에 따른 오차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 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Tukey test를 시행하였다. 그룹 5에서 2가지 스캔 전략을 비교시에는 t-test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ISO 20896-1:2019’의 측정 방법에 의거한 거리 측정의 결과로 치아가 없는 무치악 부위의 스캔은 스캔 데이터의 정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i700은 그룹 1과 그룹 2에서 그룹 3과 그룹 4에 비해 통계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P < 0.05). 하지만 Trios 3와 VivaScan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RMS 값의 측정의 결과에서 그룹 1에서 각 구강스캐너의 결과의 차이가 있었지만 수치가 0.05 mm 에서 0.08 mm 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룹 2에서 그룹 4로 무치악 부위가 증가할수록 i700에서 RMS 값이 0.1 mm 까지 증가하였지만 전체적인 RMS 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MS 값은 무치악 부위에서 더 정확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룹 5에서 무치악 부위를 zig zag 방식의 스캔을 시행한 결과로 zig zag 방식의 스캔 전략은 스캔 데이터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 > 0.05). 결론 : ‘ISO 20896-1:2019’기준에 근거하여 각 구간의 거리 수치의 오차를 측정한 값을 비교하였을 때 치아가 모두 존재하는 그룹 1에서 ab와 cd를 합친 오차와 수직 오차인 h값이 가장 작았고 무치악 부위의 존재는 수평, 수직 오차를 증가시키지만 무치악 부위의 길이에 비례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최후방부에 치아가 없는 그룹 5에서 최후방부에 치아가 잔존하는 경우 보다 오차가 작았다. 데이터 간의 전체적인 편차를 측정한 RMS 값을 확인 시 i700 구강스캐너에서는 무치악 부위가 증가할수록 오차와 편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Trios 3와 VivaScan 구강스캐너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무치악 부위를 스캔 시 치조정을 직선 방향으로 스캔하는 전략과 지그재그로 협설로 이동하며 스캔하는 전략은 스캔의 정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사업장 위험성 평가 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김상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의 제정과 시행 이후 정부와 기업이 함께 지속적으로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산업재해 율은 꾸준히 감소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7년 이후 부터는 산업재해율이 정체됨에 따라 2009년 위험성평가를 제도적으로 도 입하게 되었는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위험성평가의 시범운영을 거쳐 2013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위험성평가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기 위 해 법을 개정하였다. 본 논문은 위험성평가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으로 산업재해가 줄어들었 지만, 아직도 심각한 사망사고 산업재해가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먼저 직시하였다. 그런 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관련정책의 현황을 다각도 로 분석하여 위험성평가제도가 도입의 취지대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 도록 위험성평가제도에 관한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 였다. 오늘날 위험성평가는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활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험성평가제도에 대한 산업안전 보건법상의 체계적 논리적 정합성과 그 내용 및 법리 그리고 산업현장에서 의 실효성을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행 위험성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에 첫째 정부에 의한 지도 및 감독조항의 부재, 둘째 위험성평가의 불 명확한 실시단위, 셋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대한 비강제성, 넷째 도급작 업 시 위험성평가 공동실시의무의 부재, 다섯째 근로자 참여의무 규정의 비체계성 등의 문제점에 대한 법적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그 방법으로 위험성평가제도 전반에 걸친 입법론적 개선과 산업 안전보건법 체계의 재구축 및 반영 그리고 위험성평가제도의 비교법적 분 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분석한 위험성평가제도는 그와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 상호간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수립과 개선방안을 논함에 있어서 는 특정 부분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물론 포괄적 관점에서 정책을 분석 하고 대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 컴퓨터 홀로그램의 구현 및 광 패턴 인식에 관한 연구

        김상백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sult together computer generated hologram(CGH) which have no limitation for physical object that must exist physically, can be realized by digital computer for application of optical pattern recognition using hologram and computing using correlation structure by awareness between hologram reconstruction image and reference image that get into standard and verification system from these hologram calculated numerical value and compared with experiment result. Pattern recognition method of holograms is correlation method such as matched spatial filter(MSF), phase only filter(POF) , binary phase only filter(BPOF), binary amplitude filter(BAF). and achieved pre-processing digital image process as guassian filter , hybrid median filter about noises that is

      •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부적 정서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원효 무애춤을 중심으로

        김상백 동방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시설청소년들의 부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원효 ‘무애춤’을 중심으로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처치 하여,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은 시설청소년들의 우울과 스트레스 및 대인관계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치료매체 선호별로는 호흡명상과 동작명상이 다 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처치 한 달 후 추후검사 시 친구들과 서로 토론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 종합평가서와 보조자 2명의 종합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이 부적 정서(우울, 불안) 완화와 스트레스 해소 및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아동복지시설 K, S, H에 거주하면서, 현재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1~13세의 남녀 학생 청소년으로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총 39명이다. 본 연구자는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집단선정은 실험집단 20명과 대조집단 19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종속변인 측정도구로는 Beck의 우울척도(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lkman과 Lazarus의 스트레스 대처방식(The Ways of Coping Check list) 및 Schlein과 Guerney의 대인관계 변화척도(RCS: 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7월 4일부터 9월 7일까지 연구대상 선정, 프로그램개발, 보조자 훈련, 사전검사,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추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사지의 각 하위척도의 내적 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양적인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측정시점을 반복측정치로 하여 반복측정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은 시설청소년의 부적 정서 중 우울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은 시설청소년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호흡과 동작매체를 사용한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에서 호흡과 동작매체의 선호와 무관하게 부적 정서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호흡과 동작매체를 사용한 동작명상치료프로그램에서 호흡과 동작매체의 선호와 무관하게 대인관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주관적인 평가에 의하면 유연하고, 반복적인 무애동작표현과 명상호흡 등을 통해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대인관계 증진에 현저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시설청소년들이 서로 토론한 결과와 보조자의 평가는 프로그램 중 부적 정서와 스트레스요소(친구, 부모, 이웃 등)를 찾아내어 즉각적으로 해소하는 방법과 장애체험을 통해 어려운 이웃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학습이 유익하였고, 부모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친구의 귀중함과 타인을 수용하는 방법을 알게 해주었다는 점이 프로그램의 효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