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주택연금제도 개선방안 연구 : 2차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김상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ECD 통계연보 2010년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인구는 2020년 49,326천 명에서 2050년 42,343천 명으로 줄어들 것이고,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2050년 전체인구의 38.2%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대한민국의 전체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2050년에 초고령사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2010년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전체 인구 중 72.9%를 정점으로 점차 줄어, 2060년에는 49.7%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고, 2060년에는 인구 10명 중 생산가능인구가 5명, 고령자가 4명, 유소년이 1명으로, 생산가능인구 한명이 비 생산가능인구 한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한정된 예산 안에서 복지에 대한 지출이 많아질수록 미래의 국가 경쟁력을 위한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고 이는 거시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개인에게 있어서도 이러한 상황은 재정적인 부담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저해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1차 베이비붐 세대와 가지는 공통점은 자산 중 대부분이 부동산 자산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이후 현재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을 유동화 시켜 재정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공적보증을 하고 종신도록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제도가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주택연금제도가 장기간 재정적으로 안전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주택연금의 담보물건이 되는 주택의 가치가 당초 예상했던 만큼 상승해야 하고, 연금액으로 지출하는 금액과 상응하는 가치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시장에 나온 주택 매물의 시세가 반영되어 현실적인 가격으로 담보주택의 가치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죽전택지개발지구내의 아파트 중 면적이 큰 주택의 경우는 한국감정원의 시세가 시장에 나온 주택의 가격보다 많게는 5천만 원 이상 높게 측정 되어있었다. 그만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연금액 지출이 요구되며, 그만큼 재정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한국감정원의 시세가 실제 시장에 나와 있는 주택 매물의 가격보다 높게 측정되는 이유는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는 주택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지 못함으로써, 실제 거래가 발생하지 않아 한국 감정원의 시세가 과거의 수치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택연금제도의 장기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시세반영이 요구되며 주택연금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만큼 더 많은 가입자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고, 주택연금가입자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재정적인 방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의 주택연금제도는 오피스텔을 담보주택으로 취급하지 않는데,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되며 동일한 준주택의 범위 안에 있는 노인복지주택은 담보주택의 대상이 되어 주택연금제도에 가입할 수 있다. 법령에 따라서는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세법상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1주택 소유자가 오피스텔을 소유한 경우 오피스텔도 주택으로 간주하여 매도 시에 양도세를 내야 한다. 이러한 법령상 시각 차이를 일원화 하여 오피스텔도 담보물건으로 가입시켜 주택연금제도의 가입자 유도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욱이 현재 1인가구가 늘어가는 추세와 1인가구가 선호하는 주택의 형태 중 하나인 오피스텔이 주택연금제도의 담보주택으로 설정 가능해 지면 더 많은 가입자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고, 그 만큼 가입자들의 노후는 안정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담보주택의 가격범위를 확대시켜 주택연금제도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홍콩은 공적 역모기지를 도입한 세 번째 국가이다. 홍콩은 공적 역모기지를 시행한지 1년도 되지 않아 기존의 가입 가능 연령을 60세에서 55세로 낮추었고, 가입할 수 있는 주택의 가격범위도 기존 상한선인 HK$8,000,000에서 HK$15,000,000으로 확대하였다. 이는 홍콩 주택시장의 현실적인 주택의 시세를 반영하고, 고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지만 낮은 인정가격으로 가입을 주저했던 잠재고객들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우리나라도 홍콩의 경우처럼 담보주택의 범위를 확대시켜 고가의 주택도 담보물건의 대상이 되게 함으로써 주택연금제도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을 대중에게 인식시켜 주택연금제도가 노후안정을 위한 효과적인 제도임을 시사해야 한다. 이 연구는 2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이후 고정적이 소득이 없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주택연금제도에 가입하여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택연금제도는 2차 베이비붐 세대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특징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편중을 고려했을 때 그들이 노후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rovements of a reverse mortgage system for the second baby-boomers in Korea. They are the people who were born between 1968 to 1974, a total of 5.96 million. According to the 2010 OECD Fact Book, by 2050, Korea’s population will decrease to 42 million and senior citizens (over 65 years of age) will take 38.2% of the total. Also,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from the year 2016, productive population will decrease, and after 50 years, the supported population will overwhelm the productive population. The productive population will be ranked at the top as 72.9% in 2016, and will slightly decrease as time goes. Then, it will be dropped to 49.7% by 2060. At this time, out of 10 (representing the total population), the productive population will be 5 with 4 seniors and 1 child. This means that one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should support one of the supported. Furthermore, when the second baby-boomers become senior citizens, the reverse mortgage system could be the most practical alternative for this issue. There are several ways to utilize of the housing for the 2nd baby-boomers. One way is that he or she can sell the house and use that money for elderly life. Second, he or she could rent his/her house out. Lastly, a government offering of public assurance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which does not require selling or moving, while you get continuous income as whole life annuity from Korean Housing-Finance Corporation. However, Korean Housing-Finance Corporation’s reverse mortgage system has several problems. First of all, the price of a collateral house is limited to 900 million won, which does not give an equal opportunity to all of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standard market price of the house being more than 900 million won, many people would not even be able to join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which brings complaints to the government policy. Second, there’s the problem of limitation of collateral. For example, an officetel (a portmanteau word of 'office' and 'hotel'), which is a multi-purpose building wi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units, is classified as a ‘working facility’ rather than a living place. Therefore, those people can not join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as the place does not count as collateral. Third, there is a risk that the collateral’s value may decrease from when it was counted. The valuation price to use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is following Korea Appraisal Board’s price by internet, KB bank’s price, and officially appraised price from Korea Appraisal Board, sequentially. The Korean Appraisal Board’s price by internet reflects the real selling price from market, in order to adjust its value more accurately. If the collateral’s selling price was set higher than the real market price, this creates a pension price gap and adversely affects finances. This could be a benefit for some people; however, it’s a risky factor for the Korean Housing-Finance Corporation, which threatens its finance as it decreases the pension fund or sets the limitation of enrollment. To identify these kinds of problems regarding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this study researched 17 complex’s market price and the Korean Appraisal Board’s price of Juk-jeon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pension amount gap between market price and Korean Appraisal Board’s price. The pension amount is higher than when the Korean Appraisal Board’s price was set, as the collateral unit is bigger and bigger. Solving this problem needs a reflection of real market price using, like the term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hich is doing research every 5 years. So, as if the value of the collateral unit is higher than before, the user of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should take the pension more. Contrary to this, if the value of the collateral unit is lower than before, the user of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should take the low pension amount. Lastly, a house over 900 million won and an officetel, should considered as collateral, in order for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to operate fairly.

      • 폴리이온 콤플렉스막을 이용한 MTBE/메탄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분리

        김상균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TBE/메탄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분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투과 성능이 보다 우수한 고분자 막을 개발하기 위해 음이온성 고분자인 알긴산 나트륨과 양이온성 고분자인 키토산으로부터 폴리이온 콤플렉스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이온 콤플렉스 막의 특성을 x-선 회절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몰폴로지 분석과 DSC와 TGA등에 의한 열 분석, 그리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한 화학적인 구조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제막 조건을 변화시켜 얻은 여러 폴리이온 콤플렉스 복합막들을 MTBE/메탄올 혼합물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 막으로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알긴산 나트륨의 카르복실기와 키토산의 아민기 사이의 이온 가교결합에 의한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은 쉽게 진행되었으며, SA와 키토산간의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막이 투과증발에 필요한 물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키토산을 약산인 초산 수용액 보다 강산인 염산 수용액에 녹여서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을 진행시켜야 되었다.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제조된 알긴산 나트륨 균일 치밀막의 몰폴로지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알긴산 나트륨 균일 치밀막과 키토산 용액과의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에 의해 폴리이온 콤플렉스 막을 제조시 알긴산 나트륨 균일 치밀막들의 반응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이온 콤플렉스 막을 제조시 사용된 키토산 용액 농도가 높을수록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속도가 증가되어, 생성된 폴리이온 콤플렉스 막의 단면 조직이 보다 더 치밀해졌다. 폴리설폰 막 표면에 알긴산 나트륨를 도포하여 알긴산 나트륨 복합막을 만들고, 알긴산 나트륨 복합막에 키토산 용액을 처리하여 폴리이온 콤플렉스 복합(PIC-C)막을 제조시 알긴산 나트륨 도포용액 농도에 비례하여 도포층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며 도포층내 상하부간의 몰폴로지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도포층내에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이 균일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폴리이온 콤플렉스막을 이용한 MTBE/메탄올 혼합물에 대한 투과 특성은 다음과 같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먼저, 75/25(w.t%/wt.%) MTBE/메탄올 혼합물에 대한 40℃ 투과증발 실험에서 PIC-C(05/20)>PIC-C(10/20)>PIC-C(15/20)>PIC (20/20)막 순으로 투과도가 999g/㎡hr에서 245g/㎡hr 로 감소하였으나, MTBE의 투과조성은 2.2 wt.%에서 0 wt.%로 감소되었다. 메탄올에 대한 투과선택도는 PIC-C(0.5/20)막에서 133정도였지만, PIC-C(15/20)과 PIC-C(20/020) 막의 경우는 무한대의 매우 높은 선택도를 나타냈다. 폴리이온 콤플렉스 복합막 제조시 침지 용액인 키토산의 함량을 변화시켜 제조한 PIC-C(20/05), PIC-C(20/10), PIC-C(20/15) 및 PIC-C(20/20)막의 경우, PIC-C(20/05)에서 PIC-C(20/20)으로 키토산 용액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331g/㎡hr에서 245g/㎡hr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PIC-C(20/10)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메탄올에 대한 선택도는 245, 313, 372, 그리고 무한대 값을 각각 나타냈다. 그리고 투과증발의 조작온도를 증가시키면 PIC-C 막들 각각은 총 투과도와 메탄올 투과도는 증가하였고, MTBE의 투과도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특이한 거동을 보였다. 이때 나타내는 각 막들의 투과 활성화 에너지는 PIC-C막 제조시 SA 제막 농도와 키토산 용액농도가 각각 증가함에 따라 각각 감소하였으며, 12.2kcal/mol에서 5.3 kcal/mol사이 값으로 비교적 작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투과 거동은 이온 가교 결합에 해당하는 폴리이온 콤플렉스 반응에 의해 폴리사카라이드 분자들의 conformation과 충전상태가 달라지고, 고분자 사슬의 열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자유부피의 크기가 한정되어져, 온도가 증가할 경우 작은 투과성분 분자는 쉽게 통과하지만 큰 분자는 여전히 통과하지 못한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Mochizuki 등이 여러 폴리사카라이드들에 대한 물/에탄올 투과증발 실험에서 기술한 현상과 일치하고 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e membranes having a highly excellent separation performance able to the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 in the pervaporation processing, the polyion complex membranes have been prepared by using pair-bonding of ionic group between chitosan and sodium alginat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abricated by polyion complexation were measured, and the morphologies were analyzed with X-ray diffractometer and SEM, thermal properties with DSC and TGA, and the chemical structure with FT-IR. And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 of polyion complex membranes prepared with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 a the concentrations of chitosan and sodium alginate, polyion complexation time, the acidity of chitosan etc. ) were investigated. Polyion complex reaction taken place facile by the ionic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carboxylic group of sodium alginate and the amine group of chitosan, and then in the case of using higher Ka value of acidic aqueous solution used in the preparation of chitosan solution, polyion complex membranes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were prepared. That is, polyion complex membranes were made of the hydrogel in weak acid solution such as acetic acid, whereas membranes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able to pervaporation process were prepared in the strong acid solution such as hydrochloric aci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exation reaction itself occurred regardless of acidity. As the morphologies difference on the variety of sodium alginate concentration as counter ion of chitosan, contributed on the polyion complexation reaction. Therefore, the kinetics of polyion complex reaction was fast with increasing SA concentration in membrane, relatively, and the morphology of PIC membranes varied more in dense structure than in pure sodium alginate. Also, the effect of the variety of chitosan concentration in means of counter ion of SA on polyion complexation reaction showed the similar morphology change to the variation of SA concent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mbranes mentioned above. From the results, polyion complexation in the membrane as a counter ion of SA depended highly on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The pure sodium alginate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using dip-coating one at the surface of polysulfone membranes, and when polyion complex composite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immersing in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oating layer thickness which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variables of each counter ion solution in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was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SA before reaction, and chitosan after complexation. The latter step gave much thicker membranes than the initial one. The polyion complex membranes consisted of SA/chitosan revealed homogeneous morphologies. Pervaporation performance for the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the prepared PIC membranes exhibited highly efficient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75/25(wt./wt.) MTBE,/methanol mixtures at 40℃, the flux was decreased in order of PIC-C(15/20), PIC-C(10/20), PIC-C(15/20) and PIC-C(20/20) from 999g/m²hr to 245g /m²hr, but MTBE concentration in permeate were reduced from 2.2wt.% to Owt.%. The permselectivity of MTBE through PIC(0.5/20) was about 133, but the membranes showed infinite selectivity at PIC-C(15/20) and PIC-C(20/20). At the preparation of PIC composite membranes, in the case of PIC-C(20/05), PIC-C(20/10), PIC-C(20/15), and PIC-C(20/20) membrane prepared with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chitosan solution as an immersing solution, according to increase chitosan solution's concentration, i. e. going from PIC-C (20/05) to PIC-C (20/20), the permeation rate wa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from 331 g/m²h to 254 g/m²h, and the selectivity over methanol was presented 245, 313, 372, and infinite value, respectively. Also, when an experimental temperature of pervaporation process was increased, each PIC-C membrane was increased in total permeation rate and methanol component's one, whereas the permeation rate of MTBE was decreased. The permeation activation energy of each membrane presented showed lower values from 12.2 kcal/mol on PIC-C (05/20) membrane to 5.3 kcal/mol on PIC-C (20/20) membrane. When PIC-C membrane was manufactured, as chitosan solution'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activation energy was decreased. This permeation behaviors resulted from the specific properties, seemed to the conformation and packing nature of polymer chain and molecular by a strong ionic bond between sodium alginate and chitosan in membrane, Especially, in spite of increasing operating temperature, the permeation rate and permselectivity, it seem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reduction of free volume by the motion of polymer chain because the rigid properties of polyion complex membrane. That is, the permeation rate of MTBE, because of its larger molecular size than methanol, decreased, whereas methanol permeated fast through membranes. This permeation behaviors were in accord with Mochizuki's work for the separation behaviors of water/ethanol mixture using polysaccharide membranes.

      • 잡음에 강인한 음성신호처리를 위한 음성 검출기 연구

        김상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강인한 음성신호처리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음성 검출기를 분석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음성 검출기 알고리즘의 성능은 음성과 잡음의 확률 밀도 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의 모델, 가중치 (weight), 결정함수 (decision function) 그리고 문턱값 (threshold)에 영향을 받는다.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일반화된 정규-라플라스 분포 (generalized normal-Laplace distribution, GNLD)를 이용한 음성 검출기, 우도비 가중치 (likelihood ratio weight, LRW)로 적용한 음성 검출기, deep belief networks (DBN)을 이용한 음성 검출기 그리고 조건 사후 최대 확률과 스펙트럼 변이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spectral gradient, CMAP-SG) 기반의 적응형 문턱값을 이용한 음성 검출기이다. 음성과 잡음 신호의 pdf 모델을 일반화된 GNLD를 따른다고 가정을 하여 이로부터 음성 검출기에 필요한 특징벡터를 유도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잡음 섞인 음성 신호의 pdf를 일반화된 정규-라플라스 분포로 나타내고 사전 신호 대 잡음비 (a priori signal-to-noise ratio, a priori SNR)과 사후 신호대 잡음비 (a posteriori SNR)을 구하는데 필요한 음성과 잡음의 분산을 고차 모멘트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음성과 잡음 신호의 pdf 모델을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는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성능 비교를 하였다. 정상 잡음인 white 잡음에서는 SNR 별로 전체 오분류 확률이 [3.1∼4.1]의 성능 향상을 보여 전반적으로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비정상 잡음인 babble과 office 잡음에서는 전체 오분류 확률이 [1.9∼5.6]의 성능 향상 폭을 보였으며 높은 SNR 잡음 환경에서 높은 성능 개선을 보였다. 가중치를 이용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적응 밴드 분할 (adaptive band partitioning) 기반의 음성 검출기에 우도비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음성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음성 검출기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에너지 총 합과 주파수별 에너지 최소값의 비를 사용하여 음성검출에 사용할 유용한 밴드의 수를 결정한다. 결정된 밴드만을 사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은 잡음일 때 입력 신호에 대한 pdf와 음성일 때 입력신호에 대한 pdf의 비율을 나타내는 LRW를 엔트로피 (entropy)에 부과하여 음성을 검출한다. 우도비를 가중치로 사용한 음성 검출기의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분산을 가중치로 적용한 음성 검출기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든 잡음 환경에서 전체 오분류 확률이 [1.3∼5.7]의 성능향상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비정상 잡음에서 성능 향상 폭이 컸다. 신경망 알고리즘의 하나인 DBN을 이용한 음성 검출기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각 주파수 밴드별 우도비를 계산하여 입력층으로 사용한다.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는 우도비의 기하 평균 (geometric average)을 결정함수로 사용한다. 제안된 DBN 기반의 알고리즘은 결정함수를 DBN 이용하여 오검출 확률을 최소화 하도록 학습을 한다. DBN 기반의 음성검출 알고리즘은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우도비를 이용한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오분류 확률을 비교한다. 다양한 잡음 환경과 SNR 조건하에서 실험한 결과 기존의 SVM 기반의 음성 검출 방법보다 전체적으로 오분류 확률이 [0.7∼2.7]의 성능 향상 폭을 보였다. 적응형 문턱값을 이용한 음성 검출기 제안된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CMAP-SG 기반의 음성 검출기이다. CMAP은 음성의 활동이 프레임들 간에 강한 상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 프레임에서 음성이 존재할 확률을 구할 때 직전 프레임에서의 음성 존재와 부재에 대한 확률을 사용한다. 여기에 추가로 전체적인 경향을 보여주는 SG의 상태 값을 반영함으로써 직전 프레임에서 오분류를 보정해 준다.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비교한 결과 정상 잡음인 car와 white에서는 전체 오분류 확률이 0.06∼0.26의 성능향상을 보였고 비정상 잡음인 street, office 그리고 babble에서는 전체 오분류 확률이 [0.13∼0.43]의 성능을 보였다. CMAP과 스펙트럼 변이 조건을 적용한 음성 검출기는 SNR이 낮을수록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높은 성능 개선을 보인다.

      • 가교화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막에 의한 물-에탄올 혼합액의 투과증발

        김상균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1,4-Butandiol에 의해 가교화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막을 제조하고, 이 막에 대한 물-에탄올 대한 투과증발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물에 대한 선택투과성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교화된 PSMAn막의 표면을 1,6-hexamethylenediamine, N,N,N,-trimethylethylenediamine과 같은 diamine으로 표면을 개질시켰으며 이에 대한 투과특성을 에탄올 수용액에서 조사하였다. l,6-Hexamethylenediamine에 의해 표면개질된 PSMAn막의 경우 단순가교 PSMAn막의 투과량과 선택투과도 보다 2배 그리고 20배이상의 투과량과 선택투과도를 나타냈다. 특히, l,6-hexamethylenediamine에 의해 표면처리된 개질막 M3의 경우에는 선택도가 740이었고, 단순 가교 막보다 80∼90배 이상의 선택투과특성을 보였다. 이렇게 표면 개질 방법으로 선택도와 투과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또한 이 방법에 의해 높은 선택도와 투과량을 갖는 막을 얻을 수가 있었다. Pervapo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s through crossl inked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membranes with 1,4-Butandiol was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the permselectivity of water, the Surface of crosslinked PSMAn membrane was hydrophilically modified by reacting diamines. such as 1,6-Hexamethylenediamine, and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pervaporat ion were examined using the aquouse alcohol solution. The PSMAn membrane modified by 1,6-Hexamethylenediamine exhibited that the flux and permselectivity increace more than two and twenty times. compared to those of the simply crosslinked PSMAn membrane. Particularly, M3 membrane was a selectivity of 740. which is 80∼90 times heigher than the simply crosslinked PSMAn membrane. Thus. the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has been employed to enhance both selectivity and flux. From the results cited above. the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is a very means to obtain highly selective and permeable membrane.

      • 暴力犯罪에 관한 心理學的 硏究 : 歸因 및 憤怒特性을 中心으로

        김상균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a psychological study on the attribution and anger style of violent criminals. The ultimat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sychological basis to predict and prevent violent crimes. For this, many theories about attribution and anger and many past studies on the relation of attribution and anger style to violent crimes are presented as theoretical frameworks. In this empirical research, five hypotheses are made as follows. Hypothesis 1)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the styles of attribution and anger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Hypothesis 2) Compared with a non-violent criminal, a violent criminal is expected to show difference in anger out Hypothesis 3) Compared with a non-violent criminal, a violent criminal is expected to show difference in attribution style. Hypothesis 4) According to the criminal career, anger and attribution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Hypothesis 5) In violent crimes, attribution and anger are expected to have an interactional effect. The subjects, who are violent criminals in prison, are sampled and research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By using a quota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from 8 sorrectional system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riminal types, criminal career, sex, and age, and are survey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violent criminal's attribution and anger styl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violent criminals, the anger o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according to the sex, the difference in external attribu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compared with non-violent criminals, violent criminal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er out. Third, compared with non-violent criminals, violent criminal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bution traits. In many attributional dimen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nality' and 'globality',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bility'. Fourth, according to the criminal career, anger o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bution style. Fifth, we can find the interactional effect on violent behaviors of attribution and anger. In detail, anger out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al effect on the internality and globality. The anger and attribution style of violent criminals, shown in this research, makes a contribution to this field as follows: First, the anger and attribution style play an important role as predict ion variables for predicting violent crimes. In fact, criminal career, age, sex, race, socioeconomic status, unstable employment, and medicinal poisoning have been regarded as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s. However, in order to predict violent crimes more correctly,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individuals'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situational factors, mentioned above. Especially, individuals' psychological traits cannot be excluded because violent crimes are likely to be committed by a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Second, this result suggests correctional intervention to prevent violent crimes. According to many studies and official statistics of crimes, it is claimed that punishment-centered criminal justice policy is less effective. Therefore, the individual and group treatment for correcting criminals must be given together with punishment in order to control violent crimes. Like th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gives many suggestions to predict and prevent violent crimes, whereas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ample is not representative of all kinds of the violent and non-violent crimina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mainly the violent and non-violent criminals in prison. However, the violent criminals released from prison or, not arrested by police, in fact, are not included in the sample. Seco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not become generalized because of the first limitation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result can not apply to other violent criminals equally. Third, the compared group in this research is confined to only the non violent criminals, so it is impossible to know how different the attribution and anger traits of violent and non violent criminals is from that of the general person. Fourth, the time for a survey of violent criminals is not appropriate. The best time to survey criminals is the moment they commit a violent crime, since additional variables can be kept from intervening and the psychological traits at that time can be predicted more correctly. Based on the proposals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 hints on further studies can be give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this study to other criminal types such as murder, robbery, and rape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attribution and anger style according to the criminal types. Second, the concrete differences in attribution style must be verified. Although this study focuses on three attributional dimensions such as internality, globality, and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attributional dimensions including the other dimensions like regulability and intention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correction intervention using a cognitive and emotional treatment for violent criminals must be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study since we can derive a more effective correctional intervention program from this verification procedure Last, violent crimes must be accounted for in terms of an integrated theory because it is committed by various factors. Since violent crimes happens in the process of complicated interaction, further studies must be carried out in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including sociological theories, biological theor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so that violent crimes can be predicted and prevented and more effective prevention program can be devise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traits of violent criminals. The psychological study on the cause of violent crimes must be made continuously, and we will have to take an positive measure to devise a effective treatment program. I hope that the various researches will be made to predict and control violent crimes.

      • 마우스에서 히알우론산 나트륨이 항염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상균 한림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valuate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of inter1eukin-1β(IL-1β), Cyc1ooxygenase2(Cox-2) and Prostaglandin E2(PGE2) by RT-PCR analysis but to observe pattern of edema by light microscopic and electron microscope after topical apply of hyaluronic acid in inflammation-guided mouse Material and methods : Mice of this study were devided into 4 groups :Contro1 group( no inflammation guided), Positive control(inflammation guided + vaselin apply ) , Protopic group(inflammation guided +protopic apply), Hyaluronic group(inflammation guided + hyaluronic acid apply) Results : Hyaluronic group showed less expressions of IL-1β, Cox-2, PGE2 than those of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 Hyaluronic group revealed a decreased inflammation than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in Light Microscope. Hyaluronic group appeared decreased edema of ear compare to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in Elecron Microscope. conclusion : It was considered that Hyaluronic acid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for intercepting the gene expression of cytokines related to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