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스터빈 압축기의 on-line 세정효과에 관한 연구

        김봉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발전설비 중 가스터빈 설비는 총 72기(816만㎾)가 운전중 (‘02.1 현재)에 있으며 이들 가스터빈의 열효율은 약 30~34% 정도이고 고가의 천연가스(LNG)를 주연료로 하여 년간 450만㎘(약 1조 6천억원)의 연료를 소비하고 있다. 국내 가스터빈은 대부분 도시근교, 해안 및 공단 등지에 설치되어 있어 염분 및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압축기 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며 이로 인한 손실은 대략 3~5%의 가스터빈 효율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압축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정(Water Washing)을 실시하게 되며 세정방법으로는 정지중에 실시하는 Off-Line 세정과 운전중에 실시하는 On-Line 세정이 있다. Off-Line 세정은 대부분의 발전소에서 활용하고 있으나 On-Line 세정은 세정효과에 대한 인식부족 및 운전중 세정에 따른 부품열화 등을 우려하여 그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n-Line 세정의 실증시험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이를 통해 상기의 On-Line 세정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므로써 On-Line 세정의 활용을 촉진시켜 가스터빈 운영효율 및 열효율 향상 기여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가스터빈 압축기 세정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물분사 세정시험과 압축기 세정용 세제를 물과 혼합분사하는 세제 혼합분사 세정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런 세정의 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미세정시의 가스터빈 효율저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스터빈 압축기 오염에 의한 가스터빈 효율저하율은 일일 0.013% 정도임을 확인하였고, 주기적(1주)인 On-Line 세정시 가스터빈 효율저하율은 일일 0.006~0.007% 로 측정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가스터빈 압축기는 대기의 오염물질 및 주변에서 유입된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압축기가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기의 압축효율이 저하되며 가스터빈 효율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고 이렇게 오염된 압축기는 On-Line 세정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On-Line 세정은 가스터빈 효율저하율을 미세정시 보다 약 50%정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가스터빈 효율유지에 매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 세제 혼합분사 세정시 가스터빈 효율저하 억제효과는 물분사 세정시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는 바 물분사 세정만으로도 세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스터빈의 On-Line 세정은 가스터빈 운전중에 실시할 수 있어서 Off-Line 세정시 처럼 가스터빈을 정지할 필요 없어 설비운영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매 세정시 및 주기적인 세정시 효율저하율을 억제 시켜 효율저하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발전원가 저감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72 units of gas turbines take charge of 30∼34% of electric power plants in Korea. They generate 8.16million kw of electricity and consume 4.5million ㎘ of fuel gas ( LNG worthy of 1,600billions won) a year. Most of gas turbines are located near urban, off shore, and industrial complex. The air borne contaminants (dust, aerosols) from the surrounding atmosphere deposit on the blade of the compressor, reduce the air mass and decrease the efficiency. To make the fouled compressor clean, water washing is performed on the compressor. Off-line cleaning is done while the gas turbine shut down and on-lin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gas turbine is running. Off-line water washing is done at many power plants. But on-line water washing is not so well because it is assumed to cause troubles and its effectiveness is not sure.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ompressor washing through actual tests, to remove the negative assumption of on-line washing. Tests were performed by water washing with water only and water washing with detergents. The efficiency degradation of gas turbine was checked at each case. As results of tests, efficiency degradation caused by compressor fouling was 0.013% without cleaning but the efficiency degradation after weekly on-line washing was 0.006∼0.007%. These results show that on-line compressor cleaning can recover compressor performance decrease by 5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ater washing with detergents and water only. It means that the cleaning effects have nothing to do with detergents. Consequently the tests proved that on-line compressor cleaning can recover the power degradation effectively and improve plant efficiency. On-line cleaning method will help gas turbine operator to gain more benefits.

      • AHP 기법을 활용한 부산경남지역 물류창고의 효율성 재고방안-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김봉빈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은 국회는 2020년 3월 물류창고 시설법에 개정안의 통과를 이루었다. 개정안 도입을 통해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실효성 있는 물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를 예고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의 물류창고업은 수도권을 위주로 산업의 대형화 및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부산・경상남도 지역은 부산항이라는 대한민국 제 1의 컨테이너 항만 배후단지가 위치한 공간으로 매해 엄청난 물동량을 담당하고 있다. 물류창고는 고객・시장중심적 물류생태계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반 산업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기존 보관・하역 등 일차원적 기능에서 대량 화물에 대한 효율적 보관・하역은 물론 콜드체인 등 고부가가치 물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부산・경상남도 지역은 물동량에 비해 물류창고의 규모는 양・질적 규모는 미세한 수준에 그쳐있다.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은 2017년 기준 한 해 2억 8,500만 톤의 물동량을 담당하는 물류의 중심지이다. 하지만 부산광역시 내의 물류창고 수는 전국 대비 1.6%로 매우 적은 수준이고, 경상남도 지역을 합하여 보아도 약 14.5%에 불과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물류창고의 규모적 측면에 있어서도 10,000m2 이상의 규모를 가지는 대형 물류창고가 약 15% 수준으로 미비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물류의 선도화를 위한 지원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존 정책의 실효성을 더하기 위하여 개정안을 도입하였다. 이에 물류창고업의 효율성 재고를 위한 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교통, 비용, 인구, 지리, 기술, 정책적 요소에 대한 계층화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물류창고업 관계자들의 요구사항 및 현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선순위에서는 비용, 지리, 기술, 교통, 정책, 인구적 측면의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세부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물류창고의 자동화 정도, 지대 비용, 물류창고 집약정도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의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순위의 평가요소에서 1순위로 선정되었던 비용적 측면이 아닌 기술적 측면의 세요소인 물류창고의 자동화 정도가 세부요인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부산・경상남도 지역 물류창고업 효율성 재고를 위한 우선순위가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물류업의 발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하여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제’의 도입,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세제적 지원 등 정부의 역할이 가장 주요한 것이 물류창고의 효율성 재고방안을 위한 대한민국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물류창고, 효율성, 우선순위, 물류창고 자동화 정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