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문고 獨奏曲 樂道吟의 분석考察

        김복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황병기의 작품 <樂道吟>의 음악적 구조를 분석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樂道吟>의 형식과 선율구조, 음계, 리듬과 박자 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樂道吟>은 전체 4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악장은 모두 2 부분 형식으로 구성되고 음계는 林(B ♭)을 중심으로 하는 黃(E ♭),太(F),仲(A ♭), 林(B ♭),南(C)의 5음음계이다. 또한 각 악장의 시작음과 종지음이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즉, 으뜸음인 太(F)와 4도 위의 음인 林(B ♭)이 곡의 중심이 되면서 I -Ⅳ의 불완전 종지구조를 보여준다. 4악장을 제외하면 길이는 20-40마디 정도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장단은 느리게 시작하였다가 악장을 거듭하면서 점차 빨라져 극적으로 진행되며 전체적으로 부점과 당김음 리듬이 빈번히 나타난다. 각 악장만의 특징을 살펴보면 제 1 악장의 박자는 점4분음표를 기본박으로 하여 8박, 6박, 또는 4박으로 다채롭게 변화되며 리듬은 점4분음표와 점4분음표를 세분화시킨 형태로서 진행된다. 제 2 악장은 3도 도약 음정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중중모리의 장단이 제시되어 있다. 이 곡의 박자는 점4분음표의 기본박이 4 번 나타나는 12/8박자의 구조로 나타나며 박자의 특징에 걸맞는 리듬, 즉, 점4분음표에 관련되는 리듬이 전체에 분포되어 제 1 악장과 리듬적인 통일성을 보여준다. 제 3 악장은 선율선에 姑(G) 음과 應(D) 음이 포함되어 선율의 색채에 변화를 주고 있는데 특히 姑(G) 음은 전조된 선율의 으뜸음이기도 하다. 이 곡에서는 자진 중모리의 장단이 제시되어 제 2 악장보다 흥겹고 빠르게 전개된다. 제 3 악장은 유일하게 4분 음표 리듬을 기본박으로 하고 있는 6/4박자의 구조로서 리듬은 3/4박자의 리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제 4 악장은 종(終)악장으로서 자진모리, 휘모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부분은 박자와 빠르기가 변형되어 변화를 준다. 자진모리 부분은 제 2 악장과 동일한 박자로 구성되며 휘모리 부분은 4/4박자를 가지고 있어 리듬이 변화된다. 이처럼 <樂道吟>은 3옥타브 5도의 폭넓은 음역과 문현과 개방현의 조화로운 연주기법을 통한 풍부한 음량을 토대로 거기에 산조와 정악을 융합시킨 전통적인 가락을 바탕으로 하여 쓰여진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Gochoom>, a work by Lee Hae-sik, by analysing i t s musical structure. The results of studying scale, melody, rhythm in <Gochoom> are as follows: Section A is composed of phrase 1 to 32 and which has ♪=160 tempo of 6/8 beat. this section has the most repeating part <Gochoom> in Ron-do form. Also this section introduces the main melody that effect to the entire melody. Musical scale of this section is Tae-Ju Pyung Jo. ; Tae(F), Go(G), Lim(Bb), Nam(C), Eung(D). Section B is composed of phrase 33 to 84 and which has ♪=l60 tempo of 6/8 beat. Musical scale of this section is Lim-Jong Gyemyun Jo. ; Lim(Bb), Moo(Db), Hwang(Eb), Tae(F), Jung(Ab). Section C is composed of phrase 85 to 135 which has ♪=138 tempo of 5/8 beat. Musical scale of this section is Hwang-Jong Gyemyun Jo. ; Hwang(Eb), I-Iyub(Gb), Jung(Ab), Lim(Bb), Moo(Db). This section has very clear quality of a tone which was expressed by using 'Ja-chul' technique. Section D is composed of phrase 136 to 161 and which has ♪=138 tempo of 5/8 beat. It is the same as section C. The Musical scale of this section is Tae-Ju Pyung Jo which same as section A. This section plays a decisive role of moving to next section. Section E is composed of phrase 162 to 237 and which has ♪=152 tempo of 4/8 beat. The Musical scale of phrase 162 to 184 is Jung-Ryu Gyemyun Jo. ; Jung(Ab), Lim(Bb), Moo(Db), Hwang(Eb), Tae(F). The Musical scale of phrase 185 to 237 is Tae-Ju Gyemyun Jo. ; Tae(F), Jung(Ab), Lim(Bb), Nam(C), Hwang(Eb). The interval of music tone has been widen, 'Gae-bang Hyun' is role of base and by making good use of melody to express the lingering sound which makes this section different atmosphere to other sections. Section F is composed of phrase 238 to 267 and which has ♪=152 tempo of 4/8 beat. This section has the same tempo and beat with section E. The Musical scale of phrase 238 to 255 is Jung-Ryu Gyemyun Jo. ; Jung(Ab), Lim(Bb), Moo(Db), Hwang(Eb), Tae(F). The Musical scale of phrase 256 to 267 is Tae-Ju Gyemyun Jo. ; Tae(F), Jung(Ab), Lim(Bb), Nam(C), Hwang(Eb). Section G is composed of phrase 268 to 298 and which has ♪=126 tempo of 9/8 beat. The Musical scale of phrase 268 to 281 is Tae-Ju Gyemyun Jo and from the 282 phrase is Lim-Jong Gyemyun Jo. Section H is composed of phrase 299 to 324 and which has ♪=160 tempo of 6/8 beat. This section uses Tae-Ju Pyung jo which is same as section A. This section comes under part A part in Ron-do form. Also this section compresses and produces the main melody.

      • (The) association between autoantibody types and salivary gland hypofunc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김복음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일차성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자가 항체 종류와 타액선 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21년 5월 31일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일차성 쇼그렌증후군으로 진단된 총 191명 (여성: 190명, 남성: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쇼그렌증후군 진단 기준으로는 2002년 미국-유럽 공동 제안 분류를 사용하였다. 191명의 환자 중 50명은 항SSA, 항SSB가 모두 양성이었고, 97명은 항SSA는 양성, 항SSB는 음성이었다. 44명의 환자는 항SSA, 항SSB가 모두 음성이었고, 소타액선 생검을 통하여 쇼그렌증후군으로 확진하였다. 항SSA가 양성인 환자 군은 항SSA가 음성인 환자 군들에 비해 높은 류마토이드 인자(RF) 수치를 보였다. 항SSB가 양성인 환자 군은 항SSB가 음성인 환자 군들에 비해 비자극성, 자극성 타액 분비율이 낮았고, 적혈구 침강 속도(ESR)와 류마토이드 인자(RF)는 높게 나타났다. 항SSA, 항SSB가 모두 양성인 환자 군은 항SSA만 양성인 환자 군에 비해 낮은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기 환자 군에서 필로카핀 복용 후 비자극성, 자극성 타액 분비율, C-반응성 단백질(CRP)은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차성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항SSB가 양성인 환자 군에서 음성인 환자 군에 비해 비자극성, 자극성 타액 분비율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즉, 일차성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항SSB가 항SSA보다 타액선 기능 저하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쇼그렌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항SSB를 포함한 자가 항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타액선 기능과 관련된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autoantibody types and salivary gland hypofunc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pS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1, 2010 to May 31, 2021, and who were diagnosed with pSS. Out of 191 patients who fulfilled the 2002 American European Consensus Group classification criteria, 50 were positive for both anti-Ro/SSA and antiLa/SSB, whereas 97 had anti-Ro/SSA but not anti-La/SSB antibodies. Forty-four patients for whom neither anti-Ro/SSA nor anti-La/SSB antibodies were found were diagnosed with SS by minor salivary gland biopsy. The anti-Ro/SSA antibody-positive group showed higher rheumatoid factor (RF) levels than the anti-Ro/SSA negative group. The antiLa/SSB antibody-positive group showed lower unstimulated whole saliva (UWS), stimulated whole saliva (SWS), highe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RF than the antiLa/SSB-negative group. In addition, the group with both anti-Ro/SSA and anti-La/SSB antibodies showed lower UWS than the group who were positive only for anti-Ro/SSA antibod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after taking pilocarpine, stimulated whole saliva after taking pilocarpine, and C-reactive protein. UWS and SWS were lower when anti-La/SSB was positive showing that antiLa/SSB is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alivary gland hypofunction than anti-Ro/SSA in patients with pSS. Therefore, performing laboratory tests, including anti-La/SSB, is helpful in predicting the prognosis related to salivary gl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p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