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큐멘터리사진을 통한 제주 해녀 이미지와 인식에 관한 연구 : 사진가 양종훈 사진집 『제주해녀』를 중심으로

        김병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ages of Jeju female divers through documentary photography.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captures the lives of humans and the people and emphasizes recordability and realism, plays a role in educating and persuading people while conveying messages. It touches on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of human life. As for the content of the exploration,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flash image of the punctum (sting) among the ‘studium’ and ‘punctum’ that Roland Barthes claimed in his photography notes ‘Camera Lucida’ and ‘Bright Room’. For the study, 10 of the 90 photos included in documentary photographer Yang Jong-hoon's photo book 『Jeju Haenyeo』 were finally selected. Nine people, mainly ordinary people, not photography exper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data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procedure involved having each participant look at one photo for a short period of time, about 10 seconds, and then write down what impressed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articipants had considerable preconceptions about Jeju divers, but on the other h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lives and culture of divers was very low. Participants also had an extremely negative image of Jeju haenyeo as ‘rugged, stern, and rough’, ‘strong and hard-working women with a hard life’, and ‘women of poor fortune’. In the case of flash imag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nctum, the participants initially focused on the material tool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female divers, such as tewak and netsari, but later tended to move to the overall parts, such as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hope’, and ‘happiness’. Meanwhile, the overall image gradually changed from negative images such as ‘suffering’ and ‘weight of life’ to positive images such as ‘strength’ and ‘activity’. Key words: Jeju haenyeo, documentary photography, punctum, qualitative research, Yang Jong-hoon, strength 다큐멘터리사진을 통한 제주 해녀 이미지와 인식에 관한 연구 -사진가 양종훈 사진집 『제주해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사진을 대상으로 제주 해녀의 이미지를 탐색하고 자 한 것이다. 인간과 민중의 삶을 담고 기록성과 현장성을 중시하는 다 큐멘터리사진은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사람들을 교화하고 설득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의 삶 중에서는 사회적, 역사적인 측면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해녀가 지니는 이미지를 파악하고 올바르게 형성함으로써 관찰자들을 교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데서 출발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는 이미지와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 탐색의 내용으로는 롤랑 바르트가 사진에 관한 노트 『카메라 루시다』 와 『밝은 방』에서 공존하는 것으로 주장했던 ‘스투디움’과 ‘푼크툼’ 가운 데 푼크툼(찌름)의 섬광이미지에 국한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푼크툼적 섬 광이미지는 푼크툼의 공간적 특징 6가지 중 하나로 관찰자들이 섬광처럼 번뜩이는, 혹은 화살처럼 날아와 뇌리에 박히는 순간적인 이미지를 의미 한다. 이는 박상원과 이붕우가 박사학위 논문에서 다큐멘터리사진을 보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것으로 실증한 바 있다. 참여자들은 바로 이런 현상에 따라 제주 해녀에 대한 이미지를 간직하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큐멘터리 사진가 양종훈의 사진집 『제주해녀』에 실린 90여 장의 사진 중 10장을 최종 선정하였다. 양종훈 사진가는 20여 년간 제주 해녀와 밀착 생활하면서 친밀도를 쌓은 결과 배타적인 의식을 갖고 있는 해녀들의 마음을 열고 그들의 물질 현장을 깊이 있게 기록할 수 있 었다. 제주 해녀들은 ‘천한 일’을 한다는 자의식과 ‘등에 관을 지고 물질을 한다’라고 할 만큼 생사를 넘나드는 위험한 환경, ‘사진을 찍으면 영혼이 빠져나간다’라는 의식이 내재 되어 있어 사진 촬영을 극도로 기피하는 경 향을 보여왔다. 이와같이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출간한 양종훈의 사진 집 『제주해녀』는 2020년 세종도서에 선정될 만큼 해당 분야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연구대상으로는 사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9명을 선정하 였는데 이 중에는 방송기자, 프로듀서, 금융인, 고미술판매업자, 엔지니어, 방송작가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참여자와 일대일 심층 인터 뷰를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참여자들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현실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방법은 다큐멘터리사진이 나 예술사진 연구에 적합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실험 절차로는 각 참여자가 해당 사진 1장을 10초 정도 짧은 시간 동안 본 뒤 인상적인 부분을 구술하면서 기록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탐색의 정 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었다. 동시에 생각나는 단어 두 가지와 제목을 붙이도록 하였다. 이후에는 1분 이상 길게 본 후 처음 봤을 때와 달라진 느낌을 물었다. 그 과정이 끝나고 제주 해녀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들 즉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등재 인지 여부, 사전에 만나본 경험, 전반적인 이미 지 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10회 반복하였고 전 과정 을 녹음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제주 해녀에 대해 상당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 는데 그에 반해 해녀들의 삶이나 문화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매우 낮은 것 으로 탐색 되었다. 참여자들은 또 제주 해녀는 ‘투박하고 억척스러우며 거 칠다’, ‘드세고 고단한 여성 생활인’, ‘박복한 여성들’이라는 지극히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푼크툼 특징 중 섬광이미지의 경우 참여자들은 처 음엔 주로 해녀들의 테왁, 망사리 등 물질 도구나 표정에 주목하다가 나 중엔 삶의 애환과 고단함, ‘희망’, ‘행복감’ 등 전체적인 부분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런가 하면 전체적인 이미지 또한 ‘고난’, ‘삶의 무게’ 등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점차 ‘강인함’, ‘활동력’ 등 긍정적인 이미지로 전환 되었다. 인터뷰가 진행되면서 참여자들은 선정 사진에 등장하는 해녀들에 대해 인상적인 측면에서 매우 우호적으로 변해갔으며, 더불어 그들의 이 미지는 개선되고 관심은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주요어: 제주해녀, 다큐멘터리사진, 푼크툼(섬광이미지), 질적연구, 강인함

      • 시뮬링크 기반 다수의 무인비행체 제어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 연구

        김병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무인항공기는 원격 조작에 의하여 조종되는 무인 항공기를 말한다. 조종사는 원격으로 항공기를 운용하기 때문에 조종사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있으며, 유인 항공기가 하지 못했던 위험하고 힘든 임무를 대신하여 수행 할 수 있는 근미래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무인항공기는 조종사의 원격 조종 뿐만 아니라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독립적 운용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효율적인 임무수행 요구 및 특정 임무의 특수성을 들어 다수의 무인항공기 편대를 운용하는 방안이 현재 활발히 연구 진행 중이다. 무인항공기의 다수화 및 편대 운용을 이루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의 설계 방법으로 모델 기반 설계 기법을 제공하는 MATLAB/Simulink로 알고리즘을 작성 할 수 있다. MATLAB/Simulink는 블록 단위로 모델을 작성하고 시험해 볼 수 있는 도구로서 선박, 자동차, 항공 등 여러 분야에서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작성된 모델은 Real-Time Workshop 도구를 이용하여 C, C++ 코드로 변환이 가능, 여러 플랫폼에서 구동 되도록 할 수 있다. MATLAB/Simulink로 설계된 다수 무인비행체 제어 알고리즘 모델에 실시간성을 제공하기 위해 RTAI를 활용 할 수 있다. 실시간(Realtime)이란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서 필요한 계산 처리를 즉시 수행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가 발생한 곳 또는 데이터가 필요한 곳에 되돌려 보내는 방식을 말하며 RTAI는 리눅스 기반의 실시간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이다. 작성된 설계모델의 시험을 위해 MATLAB/Simulink가 제공하는 Simulation Tool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Simulator를 연동하여 시험 해 볼 수 있다. Simulation은 Hardware-in-the-loop Simulation과 Software-in-the-loop Simulation으로 나뉠 수 있다. Software-in-the-loop Simulation은 실제와 흡사한 비행 상황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항공기 조종 훈련, 탑승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장비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인 Flight Simulator를 활용하여 실험하는 것을 말하며 Hardware-in-the-loop Simulation은 개발된 시스템을 비행체에 탑재하여 운용하기 전 단계에 장비를 실험하는 hardware 기반의 Simulation을 말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된 무인항공기의 다수화 및 편대 비행 알고리즘을 Simulation하는데 있어 기존의 방법들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MATLAB/Simulink가 제공하는 Simulation Tool은 모델의 복잡도 및 구동되는 PC의 성능에 영향을 받아 Simulation 결과가 다를 수 있으며 Hardware in-the-loop Simulation을 운용하려면 물리적, 가격적 부담이 발생하며, Flight Simulator는 다수의 비행체를 생성하지 못하면, 편대 운용을 보이기 위해 부득이하게 Simulator를 구동하는 PC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 만큼 늘리고 이를 네트워크로 연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MATLAB/Simulink로 작성된 알고리즘 모델에 UDP 통신 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블록 S-Function을 작성하여 추가 한 뒤 이를 RTAI용으로 코드를 생성, 생성된 코드를 컴파일 하여 별도로 마련한 PC에서 실행되는 Flight Simulator와 연동한다. 연동되는 Flight Simulator는 다수의 비행체를 생성하여 그 비행을 볼 수 있는 단일 Flight Simulator를 활용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이 되는 무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의 제어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도구인 MATLAB/Simulink, 작성된 제어 알고리즘 모델의 실시간성을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인 RTAI용 자동 코드 생성과 RTAI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Simulation Tool들을 소개하며 기존의 연구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들을 바탕으로 한 현재까지의 한계점에 대해 연구동기에서 서술한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며 Ⅳ장에서는 구현 내용을 소개한다. Ⅴ장은 실험을 통해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 및 구현이 효과적인지 그 성능을 평가, 분석하며 Ⅵ장에서는 결론 및 향후 연구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 논문을 끝맺는다.

      • 비닐술폰계 반응성염료와 공단량체의 LED-UV 조사 광그라프트에 의한 섬유염색 : Textile Coloration by LED-UV induced Photografting of Vinylsulfone Reactive Dyes and Comonomers

        김병진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Photograft staining using a composition solution of a vinyl sulfonic dye containing a comonomer is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dyeing method because it does not use a salt or an alkali catalyst at room temperature. In this study, dyes containing Vinyl Sulfone groups were used as grafting monomers. Reactive Black 5, which is a photoreactive dye, has a bulky structure, so that it can obtain higher K/S and G% by copolymerization by adding a comonomer, thereby reducing steric hindrance compared to using only a dye. When compared with other comonomers, vinylsulfonic acid gave the highest grafting yield (G%) and K/S when dyeing cotton, wool and PET because VSA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reactive group of dye. It is advantageous for copolymerization. I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a continuous LED-UV lamp and UV-A having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 at 395 nm in the UV-A region, and a mercury lamp having an emission wavelength in the entire region were used. While for cotton fabric, under UV irradiation, the photoinitiator is displaced from the surface of the cotton fabric by hydrogen to form free radicals, so that photo-graft polymerization of the dye and the comonomer can be initiated. Irgacure 2959 was used as a photoinitiator in this study.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photoinitiator when grafting a photoreactive dye to a wool fabric under ultraviolet irradiation, since it can easily disintegrate disulfide bonds in the wool cystine and initiate graft polymerization by photolysis. However, in case of UV-LED lamps, unlike multi-wavelength UV lamps, photo-degradation of disulfide bonds does not occur. Before using UV-LED, wool need pre-treatment by photo-oxidation with ozone or multi-wavelength ultraviolet rays. because of generating thiyl radicals. In addition, when photoreactive dyes are grafted onto PET fabrics under ultraviolet irradiation, they are grafted through a multi-wavelength UV lamp using DMAPMA as a monomer, and then photografted using UV-LED to perform pre-treatment It is more effective than not. Polymerization of dyes and comonomers by UV irradiation can be confirmed by 1H NMR, UV-vis spectroscopy, and so on. In addition, G% and K/S values are influenced by UV irradiation energy, photoinitiator concentration, pH, dye and comonomer concentration. For cotton fabrics, the optimum K/S of the photografted cotton fabric using UV-LED lamps is 17.7 and the value of 13.6 when using multi-wavelength UV lamps. Optimum conditions for UV grafting were UV energy 25J/cm², VSA of 0.04 mole, 10, and Irgacure 2959, which is a comonomer, relative to the dye molar ratio, and the dye concentration was 3.2% of the total solution. In the case of wool, the optimum K/S value of the photografted wool fabrics irradiated with a multi-wavelength UV lamp was 19.7, and when photografted by irradiation with a UV-LED lamp had a value of 9.9, and after UV/Ozone photografted 25.2 and after multi-wavelength UV pretreatment 13.6. Optimum conditions for UV grafting were UV energy 25J/ cm², VSA as a comonomer, 0.04 mol, and pH 2.5, and 3.2% of total solution, respectively. In case of UV-LED, Irgacure 2959, which is a photo-initiator, is 7% based on the weight of dye. The UV energy of UV /Ozone is 10.6J/cm² and the UV energy of multi-wavelength UV is 25 J/cm². In the case of PET fabrics,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etreatment photografting are 25J/cm² of UV energy, 25% of DMAPMA monomer, distilled water as solvent, 2% of benzophenone as a photoinitiator, and pH 7. After pretreatment, UV energy was 25 J/cm2 for UV photografting, 1.2 mole of VSA as a comonomer and 2% of Irgacure 2959 as a photoinitiator 3.2% of the weight of distilled water as a solvent . Finally, the fabric that is grafted under UV irradiation has the same or better wash, friction and light fastness than conventional wet dyeing because the low molecular weight dye is polymerized and crosslinked by the graft polymerization of the dye to form a polymer dye network. Unlike conventional wet dyeing, UV graft dyeing can save energy consumption because it can be dy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and i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yeing process because it does not use a neutral salt or an alkali catalyst.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비닐설폰계 염료의 조성액을 이용한 광그라프트 염색은 상온에서 염이나 알칼리 촉매를 쓰지 않아 새로운 친환경적 염색방법이다. 본 연구는 Vinyl Sulfone기를 함유하는 염료를 그라프트용 단량체로 사용하였다. 광반응성 염료인 Reactive Black 5는 색소구조가 크기 때문에, 공단량체를 첨가하여 공중합함으로써 염료만 사용할 때보다 입체장애를 줄여줌으로써 더 높은 K/S와 G%를 얻을 수 있었다. 다른 종류의 공단량체와 비교하였을 경우 vinylsulfonic acid가 면직물, 양모와 PET를 염색할 때 가장 높은 grafting yield(G%)와 K/S를 얻었으며 그 이유는 VSA가 염료의 반응성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중합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자외선 조사처리는 UV-A 영역 중에서 395nm에서 최대 발광파장을 갖는 연속식 LED-UV 램프와 UV-A, 전체영역에서 발광파장을 갖는 유전극 중압식 수은램프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 상태에서 광개시제가 면직물 표면으로부터 수소가 치환되어 자유라디칼이 형성되어 염료와 공단량체의 광그라프트중합이 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개시제로 Irgacure 2959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 상태에서 광반응성 염료를 양모 직물에 그라프트하는 경우 광개시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양모 cystine 중 disulfide결합을 쉽게 광분해할 수 있으며 광분해를 통해 생기는 thiyl기가 그라프트 중합반응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UV-LED 램프인 경우 다파장 UV 램프와는 달리 disulfide결합의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오존이나 다파장 자외선으로 광산화 전처리를 하여 thiyl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광그라프트 염색하는 것이 전처리 광그라프트를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또 한, 자외선 조사상태에서 광반응성 염료를 PET 직물에 그라프트하는 경우 단량체로서 DMAPMA를 사용하여 다파장 UV 램프를 통해 그라프팅 시킨 후, UV-LED를 사용하여 광그라프트 염색한 것이 전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UV 조사에 의한 염료와 공단량체의 중합은 MALDI-TOF mass, 1H NMR, 원소분석, UV-vis spectroscopy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G%와 K/S 수치는 UV 조사에너지, 광개시제 농도, pH, 염료 및 공단량체 농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면직물의 경우, UV-LED 램프를 사용하여 광그라프트된 면직물의 최적 K/S는 17.7이고 다파장 UV 램프를 사용한 경우 13.6의 값을 갖는다. UV 그라프팅 염색의 최적 조건은 UV energy 25J/cm², 공단량체인 VSA를 염료 몰비 대비 0.04몰, pH 10, 광개시제인 Irgacure 2959를 염료 중량 대비 7%, 염료 농도는 전체 용액 대비 3.2%이었다. 양모의 경우, 다파장 UV 램프로 조사하여 광그라프트된 양모의 최적 K/S는 19.7이고, UV-LED 램프로 조사하여 광그라프트된 경우 9.9의 값을 갖으며, UV/Ozone 광산화 전처리 후 UV-LED 램프로 광그라프트 염색한 경우 25.2, 다파장 UV로 광산화 전처리 후 UV-LED 램프로 광그라프트 염색한 경우 17.2의 값을 갖는다. UV 그라프팅 염색의 최적 조건은 UV energy 25J/cm², 공단량체인 VSA를 염료 몰비 대비 0.04몰이고, pH 2.5, 염료는 전체 용액 대비 3.2%이었다. UV-LED인 경우 광개시제인 Irgacure 2959를 염료 중량 대비 7%이며, 광산화 전처리를 할 경우 UV/Ozone의 UV energy는 10.6J/cm², 다파장 UV의 UV energy는 25J/cm²이다. PET 직물의 경우, 전처리 광그라프팅의 최적화된 조건은 UV energy 25J/cm², 단량체인 DMAPMA를 용매인 증류수 중량 대비 25%이며, 광개시제인 Benzophenone을 염료 중량 대비 2%이며, pH 7이다. 전처리 후, UV 광그라프팅 염색의 경우 UV energy 25J/cm², 공단량체인 VSA를 염료 몰비 대비 1.2몰과 광개시제인 Irgacure 2959를 염료 중량 대비 2%이며, 염료는 용매인 증류수의 중량 대비 3.2%이었다. 마지막으로 UV 조사하에 그라프팅된 직물은 일반적인 습식 염색보다 세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가 같거나 우수하였으며, 이는 염료의 그라프트 중합으로 저분자 염료가 중합되고 가교되어 고분자 염료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UV 그라프트 염색은 일반적인 습식 염색과 달리 소량의 용수만으로도 염색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중성염이나 알칼리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염색 공정이라 할 수 있다.

      • 축구클럽 참여에 따른 유소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김병진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youth’s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from football club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6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targeting 4th, 5th 6th grade boys who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youth football club in D Gwangyeok-shi as well as fellows in the same year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ny sports club for one year for comparison. Using the SPSS 19.0K, an independent sampling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mily related stress, a factor of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friend support, a factor of social support. It did not have an impact during the participation period. Furthermore, i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of all the factors of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the group with 3 times a week was less susceptible, and in the friend support, a factor of social support, the group with three times a week was highly susceptible. The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football club participants showe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friend support from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scussed the differences of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from football club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f youth football club participants. Conclusively, as one of the factors of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youth participating in football clubs was les susceptible to parent related stress. From the social support factors, youth participating in the football club had high regard for friend support. Future research should be able to measure the variou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stress factors that young boys feel, thereby reviewing the stress than young boys experience in more detail.

      •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김병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가R&D포트폴리오 구축을 전산업분야별로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산업분야별 동시다발적인 실행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산업분야별 혁신의 대표성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기술연구 조합의 기능과 역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강구가 시급하다.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이 정하는 산업기술연구조합의 사업범위 키워드를 살펴보면 ‘기술개발’, ‘기술지도’, ‘연구교육’, ‘선진기술 일괄도입’, ‘선진기술 연구개발’ 등이 있지만 기업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지원이 없이는 수행하기 불가능한 사업이다. 이러한 정부지원책에 대하여 제도적으로 어느 정도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도가 현장에서는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여 미흡한 사항에 선행연구 검토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조합 의 육성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① 연구조합 지원정책의 실효성 측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조합이 자금 및 조세 우선지원, 우선구매 및 국가R&D사업에 우선참여 할 수 있도록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법에 잘 규정되어 있으나 ㉠ 자금 우선 지원(법 제12조)의 경우 우대규정만 있을 뿐 자금 지원 공고시 실행에 대한 가점이 없어 사실상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 조세지원(법 제13조)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상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개별소비세?관세는 경감대상이며 실제 연구조합에 세재지원을 해주고 있다. 따라서 연구조합에 대한 지원제도는 비교적 잘 마련되어 있으나 연구조합의 영세성, 타 규정 및 제도와의 불합치성 및 비연계성으로 연구조합 지원제도의 실효성에는 상당한 의문점이 남는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조합의 사업실적이 전무하거나 극히 영세적이다. 이러한 열악한 수익구조가 조합원의 이익을 대변하여야 할 조합이 정부의견에 따라 갈 수 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있다. 대부분의 연구조합이 영세하며 16개 연구조합은 유관협회 부설조직 형태이고, 독립적인 법인은 30개이며, 전반적으로 제규정이 미흡하고 부실하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조합이 회계관리, 일계처리, 회계직 재정보증, 계약규정 등 전반적으로 회계시스템이 부실하다. ㉢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선 참여(법 제14조)의 경우 연구조합이 세부 국가연구개발사업에는 참여할 수 있도록 규정은 하고 있지만 가점이 부여되고 있지 않아 실효성은 거의 없다. ㉣ 우선구매(법 제15조)의 경우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 다목에 조합원의 90% 이상이 중소기업자일 경우 산업기술연구조합이 동법 적용 중소기업자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법적 장치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제 연구조합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제 우선구매 되고 있는 사례는 거의 없다. 또한 ② 기관운영적 측면 : 16개 연구조합은 유관협회 부설조직 형태이고, 독립적인 법인은 30개이며, 전반적으로 제규정 미흡하고 ③ 회계관리시스템적 측면 : 대부분의 연구조합이 회계관리, 일계처리, 회계직 재정보증, 계약규정 등이 부실하며 ④ 사업실적 측면 : 35개 연구조합은 사업성과가 부진하고, 11개는 법 제16조에 의한 사업실적 및 결산서 미제출하고 있었다. 설문조사 및 선행연구의 이론적 검토에 기반한 연구조합의 육성 방안을 위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조합 실효적 지원책 강구이다. 즉 R&D기획, R&D수행관리, R&D사업화, R&D인력양성 등의 사업수행에 산업기술연구조합이 차별적 위치를 갖도록 규정 정비 필요하며 현재의 법적기능에 표준화, 인증 등의 기능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운영비용 및 조사분석 활동 등 기본적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구조합의 건전한 발전유도책 마련이다. 산업기술연구조합의 인가, 유지조건(출범 3년 이내는 예비인가, 3년 이후는 정식인가)을 정립하고 주기적인 Audit(격년단위 Audit)를 실시하여 건전한 발전을 유도하고 산업기술연구조합연합회의 설립을 통해 Audit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기술료 사용 등 재정적 지원책 강구이다. 연구조합이 총괄주관하는 과제인 경우 세부주관이 납부하는 기술료 10% 범위내에서 기술개발 재투자 및 기술장려?촉진, 참여연구원 성과금, 기관운영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계법령을 구체적으로 개정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Open Innovation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조합 자체적 수행역량 제고이다. 산업기술연구조합연합회의 설립과 이를 통한 연구조합간 오픈포럼 개최 등의 창의적 융합R&D의 활성화 및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유중건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화 연구

        김병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하수처리장의 증설과 함께 가정이나 산업시설 등에서 다량으로 배출되는 하수슬러지를 유중 증발 건조기술을 이용하여 혼합 화석 연료로서 재이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기 위해 하수슬러지의 처리 전·후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 온도와 같은 반응 조건에 따른 특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선택하였다. 1975년 런던 협약을 기점으로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하수슬러지를 육상 처리하는 것이 필연적 과제가 되었다. 또한 세계적으로 2015년 파리 협정으로 각국의 화석연료사용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장려 정책이 추진되면서 하수슬러지를 부존에너지로서 활용하여 연료화 시키려는 노력이 이어져왔다. 기존의 하수슬러지 처리방식인 열풍건조와 직접소각방식의 에너지소모, 시간, 호화로 인한 결함, 용지면적의 과도한 소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대체한 하수슬러지 고형건조 기술이 필요했다. 최적의 건조조건을 찾기 위해 기초선행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하수슬러지 건조 함수율10%를 충족하기 위하여 160℃의 식물성 기름, 교반속도 200rpm 조건에서 슬러지와 기름 비율 1:15 조건으로 건조하는 방법이 최적의 건조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최적 공정 조건을 적용하여 Scale up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펠렛타이저 장비를 이용하여 성형화 하였으며 고형연료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열량측정, 성분 분석, TGA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수슬러지는 유중건조 후 5000kcal/kg 이상 열량을 보여 고형연료기준치를 상회하는 열량을 나타내었으며 PXRF 성분분석 실험 결과 슬러지 특성상 취수 할 때마다 성분의 차이가 있었지만 8대 중금속 및 주요성분은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건조한 슬러지의 펠렛화 및 성능 평가, 가정용 목재펠렛 보일러에 대한 현장 적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 다중 센서를 이용한 신호처리 기반 해상 풍력 발전 고장 검출 시스템

        김병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풍력 발전 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고장 중 블레이드에 대한 고장 진단 방법으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각속도 측정을 통해 고장 진단용 모니터링 시스템과 영상 처리를 기반하는 움직임 벡터 측정과 이에 대한 SVM 분류기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블레이드 표면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모니터링 방법이다. 정상 상태의 블레이드 표면과 균열이 발생한 블레이드 표면에서 corner와 edge수를 측정한다.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기를 제작한다. 실험 결과 F_1score의 값이 0.9785로 측정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블레이드 회전에 대한 각속도 dataset을 구성한다. 다음 손상이 발생한 블레이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이에 대해 측정된 각속도를 정상 상태에 대한 각속도 dataset과 비교한다. 최종적으로 블레이드의 손상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각속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블레이드의 고장 진단에 대해 판단 한다. 실험 결과 정상 상태의 블레이드는 초당 1회 이상의 속도로 회전을 진행하며, 손상 상태의 블레이드는 초당 1회 미만의 속도로 회전함을 알 수 있다. 다음,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풍력 터빈의 균열 결함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먼저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에 대하여 정상 상태와 손상 상태로 분류한다. 다음, 풍력 발전기 회전 영상을 촬영하여 frame 단위로 분할 한다. 해당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측정하고, 블레이드 상태에 따라 움직임 벡터값의 변화 추이를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SVM 분류기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상태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 분류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F_1score의 값이 0.9790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각속도 측정 결과와 움직임 벡터 결과를 융합한 형태의 고장 진단 방법이다. 움직임 벡터값을 기반하는 분류기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해당 분류기에서 출력 된 결과를 각속도를 기반하는 분류기를 통해 다시 한번 출력한다. 이상의 과정을 추가하여 분류기의 신뢰도를 99% 수준으로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