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말토덱스트린 처리에 의한 당근의 건조

        김민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품의 건조는 각 식품의 수분을 제거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식품 가공 공정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방법이며, 수분함량이 높은 채소류의 경우, 미생물학적 변패 및 화학적 변화의 최소화와 더불어 부피와 중량의 감소로 인한 건조 상품의 저장, 수송의 편의성 등 장점이 있다. 최근 즉석 식품의 판매가 증가됨에 따라 건조채소의 상품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건조 방법 중 열풍건조는 처리공정이 간단하고 경제 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에 건조 중 높은 온도에 의해 색, 영양 성분, 맛 등이 손실되고 조직의 급격한 수축으로 인한 낮은 복원성을 갖는 단점이 있다(1). 이러한 열풍 건조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결건조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의 처리 조건으로 의해 맛, 향기 성분, 기능성 성분 등의 손실이 적고 조직이 크게 파괴되지 않아 높은 복원 특성을 갖고 있으나(2,3), 건조시간이 길고 에너지 소비 및 비용이 높기에 일반적인 채소류에는 적합 하지 않아 버섯과 같은 채소류 건조 등에만 제한되게 사용되고 있다.(4) 그리고 탈수제인 고농도의 당류나 소금을 녹인 용액에 시료를 침지시켜, 삼투압을 이용하여 탈수시키는 삼투압건조 방법(5)은 시료의 향과 맛의 손실 및 조직의 파괴와 갈변 등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6), 삼투압건조에 사용되는 용질의 크기가 처리 시료의 세공보다 작기에, 용질이 시료 내부에 침투하여 원형질막 분리 현상이 일어나 탈수 효율을 낮추고 시료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7,8). 따라서 삼투압건조의 문제점인 용질 침투 현상을 보완하는 연구가 보고되었는데, 시료의 세공 크기보다 큰 용질을 탈수제로 사용하여 원형질막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세포벽을 경계로 농도 차에 의해 생긴 압력에 의해 세포 조직이 탈수되는 현상(cytorrhysis)을 이용하는 분자압축탈수 방법이 본 연구진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9). 당근은 영양분이 풍부한 채소로 다른 채소에 비해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B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활성 산소 등의 작용을 저해하여 노화 및 성인병 등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10), 다양한 가공식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건조된 당근 절편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cytorrhysis를 이용한 건조 방법으로 탈수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말토덱스트린을 당근 절편에 처리하여 각 탈수제 처리 농도에 따른 건조 특성 및 건조 후 당근 품질을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처리 당근 절편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딥러닝을 활용한 Chest Radiograph 이상 탐지 시스템

        김민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딥러닝을 사용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이다. 그중 의료계에서는, 다양한 의료 데이터 셋이 구축됨에 따라 그에 따른 질병 예측 및 진단 보조를 하는 소프트웨어들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의료 데이터 셋 가운데, Chest Radiograph는 의료계에서 질병 진단을 위해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이다. Chest Radiograph는 각종 병원에서 촬영되며 영상 내에는 폐, 심장, 갈비뼈, 척추 등 다양한 기관들이 존재해 기관의 모양 및 기관에 존재하는 질병의 유무를 판독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Chest Radiograph Screening 기술은 입력 Chest Radiograph로부터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빠르게 분류해 전문의가 비정상인 환자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하지만, Chest Radiograph 내에서 확인 가능한 기관들이 많고 그에 따라 발생 가능한 질병들이 많은 만큼 비정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수는 무궁무진하다. 이에 따라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 셋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Chest Radiograph 내에서의 이상치를 탐지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데이터만으로 학습한 딥러닝 기반 Chest Radiograph 이상치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사용한 Chest Radiograph는 주로 큰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정확한 판독을 위해서는 원본 그대로의 입력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판독에 유리하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한계, 특징 추출의 어려움, 학습 시간 등의 문제로 원본 영상을 딥러닝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큰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영상을 여러 해상도의 크기로 잘라 이를 활용해 딥러닝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기존의 이상치 탐지 방식에서 사용한 재생성 손실 함수 기반 딥러닝 네트워크가 아닌 최근 대조 손실 함수 기반의 강력한 특징 추출 네트워크인 SimCLR을 활용해 학습 데이터 셋의 특징들 간의 유사성 판단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가 있다. Recently, technologies using deep learning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in the medical field, as various medical data sets are constructed, software that assists in predicting and diagnosing diseases is being developed and used. Among the various medical data sets, Chest Radiograph is commonly used data for disease diagnosis in the medical field. Chest Radiograph is commonly filmed in various hospitals, and various organs such as lungs, heart, ribs, and spine exist in the image, so it is used to read the shape of the organs and the presence of diseases in the organs. In particular, Chest Radiograph Screening technology can quickly classify whether it is normal or abnormal from the input Chest Radiograph so that specialists can focus on abnormal patients. However, the number of abnormal data is endless as there are many institutions that can be identified within the Chest Radiograph and many diseases that can occur accordingly.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search to detect outliers within the Chest Radiograph by effectively utilizing public datasets.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deep learning-based Chest radiograph outlier detection system that is trained only with normal data. Chest Radiograph used in the study mainly has a large resolution, and for accurate reading,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original input imag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using the original image as an input of a deep learning network due to problems such as hardware limitations, difficulty in feature extraction, and learning time. To solve this problem, an image with a large resolution is cut into multiple resolution sizes and used as an input for a deep learning network. It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uses simCLR, a strong feature extraction network based on a recent contrastive loss function, rather than a deep learning network based on a reconstruction loss function used in the existing outlier detection method.

      •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김민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Except for public records, the records and archives studies has extended to various social fields and the culture art is no exception. Museum is the center of records and archives studies' interests on culture and art. Establishing archives in a museum and applying records management have been continuously done and it is attempted in the reality. It will contribute to qualitative growth of museum and to raise satisfaction of audiences of museum. Needs of establishment of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are also increasing. Natural history museum maintains biodiversity and show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in natural history forms. World-famous natural history museum in the western worlds have kept their intellectual traditions since the modern time and run their own archives.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have lacked reasons to establish archives due to various scattered problems. Therefore there have been no studies about establishment of archives in natural history museum.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how to establish and run archives in natural history museum.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has effects to strengthen museum's functions and to raise work efficiency. It is very attractive because it can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and exhibition services to audiences of museum. Futhermore, it plays a role to conserve biodiversity and contribution of natural science knowledge, the goals pursued by natural history museum. For the study, the notion of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is defined and the related theoretical perspective is explained. Then, through UK's NHM and US Smithsonian Archives case studies, how to establish and run archives are reviewed. The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are figured and pointed out. With case studies and status research, the deduced sources area analyzed and the directions of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are suggested. By explaining regulations of objects to be collected and managed by archives, establishment of collecting process for them, classifications and arrangement on the collected objects to be managed, designs of model related to usage of archives and forming networks,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archives in natural history museum are suggested. In addition, directions of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are explained. With regard to natural history museum,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tudies were not well-done before. Also, problems of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lack of analysis of collection of huge archives are also limitations for this study, and the relat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However, with suggestion needs and functions of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this study has a meaning to start discussions about natural history museum. Keyword Natural History Museum, 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 Manuscripts, Archive Collections, Natural History Record, Archives Network 공공기록 분야 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부분으로 그 지평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국내 기록학계는 문화예술영역으로도 그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박물관이 있다. 박물관에 아카이브를 설치하고 기록관리를 적용하는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로도 시도되고 있다. 이는 박물관의 질적인 상향과, 박물관 관람객의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한편 자연사박물관 역시 아카이브가 설립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사박물관은 생물다양성을 지키고 인간과 자연 사이의 공존의 방식을 박물형태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서구의 세계적인 자연사박물관은 근대부터 이어져 온 지적전통을 유지하며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자연사박물관들은 여러 혼재된 문제로 인해 아카이브를 설립할 여유가 부족했고, 그에 따라 자연사박물관에 아카이브를 설립하고자 하는 연구 역시 제시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에 아카이브를 어떻게 설립하고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Natural History Museum Archives)는 박물관의 기능을 강화하면서 업무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박물관을 이용하는 관람객에게 높은 질의 교육 및 전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자연사박물관이 추구하는 목표인 생물다양성의 보존과 자연과학 지식의 보급을 실행하는 역할을 가진다. 연구를 위해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의내리고 그와 관련된 이론적 측면을 설명하였다. 그 후 영국의 NHM과 미국의 스미소니언 아카이브 사례연구를 통해 아카이브가 어떤 방식으로 설립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사례연구와 현황조사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분석하여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카이브에서 수집하고 관리해야 하는 관리객체의 규정, 관리객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프로세스의 수립, 수집된 관리객체의 분류와 정리, 아카이브의 이용과 관련된 모형의 설계와 네트워크 형성 등을 설명하여 자연사박물관이 아카이브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부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가 지향해야 하는 방향성을 설명하였다. 자연사박물관과 관련하여 기록관리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문제점, 방대한 아카이브의 컬렉션 분석이 부족했던 점으로 연구의 한계가 나타났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향후 더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에 대한 필요성 및 기능을 제시하여, 자연사박물관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자연사박물관,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 매뉴스크립트, 아카이브 컬렉션, 자연사 기록, 아카이브 네트워크

      • 학교기록물 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민기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의 학교기록물 관리에 대한 제반현황을 조사하여 나타난 문제를 분석하고 학교기록물관리의 문제해결을 위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기록물에 대한 문헌고찰과 학교 교사,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 교육청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학교기록물 관리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다. 학교기록물 관리에 대한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관점에서 학교기록물 관리 현황이다. 학교 교사의 72.9%가 기록물관리가 학교업무에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행정업무를 많이 처리하는 부장교사가 일반교사 보다 긍정적이었다. 또한 학교기록물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학교 행정의 책임성 51.2%, 업무의 효율성 27.3%로 행정적 측면의 중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어려운 기록물 관리 분야는 일반문서 외(시험기록물, 시청각기록물, 회의록 등) 기록물 관리가 32.2%로 가장 높았으며 기록물 관리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기록물 업무 자체 복잡성(28.5%)과 기록물관리 매뉴얼 부재(27.9%)를 주된 원인으로 보았다. 둘째,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 관점에서 학교기록물 관리 현황이다. 학교에서 기록물관리 업무는 하위 직급이 맡아 처리하며 기록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이 짧았다. 또한 대다수의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는 최근 1년간 기록물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나 1회로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보존기간이 30년 이상인 기록물이 많았으며 학교기록물을 보관하는 문서고는 여유 공간이 부족하고 보존시설(장비)이 대체로 열악하였다. 셋째, 시·도교육청 기록연구사 관점에서 학교기록물 관리 현황이다. 학교기록물 관리 실태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이 41.6%로 나타나 학교 교사와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 비해 높게 나왔으며, 특히 교육지원청에 기록연구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교육청 기록연구사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더 높았다. 학교 담당자와 기록관담당자간의 협의체 구성 전력에 대해 75.0%가 없다고 하였다. 기록물 관리 담당자가 교육(지원)청에 지원을 바라는 분야는 학교기록물 관리에 대한 컨설팅과 교직원 교육에 대한 비율이 높았으나 교육(지원)청에서 학교에 지원하고 있는 분야는 대부분 기록물 폐기(이관)와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 교육이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학교기록물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한다. 첫째, 학교 교사의 학교기록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한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별 맞춤형 기록관리 교육, 매뉴얼 개발, 교육 내용에 실습 추가, 적극적 기록물 서비스를 제공 한다. 둘째, 학교 문서고의 보존환경을 개선한다. 학교기록물 문서고의 공간 부족과 보존환경 유지설비를 위해 중요기록물을 선별하여 관할교육(지원청) 내 기록관으로 이관 받아 학교의 부담을 덜어주고, 장기적으로 교육청기록물과 학교기록물의 영구관리를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건립한다. 셋째,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의 전문성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안정적인 기록물관리 교육 체계를 구축하여 기록물관리 교육 정례화,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 간 멘티와 멘토를 설정하여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는 학교기록물관리 멘토링 제도 등을 제공한다. 넷째,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와 관할 교육(지원)청 기록연구사의 소통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학교 기록물 관리 담당자와 기록연구사의 협의체(T/F) 정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록연구사가 미 배치 되어있는 교육지원청에 우선적으로 기록연구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 이차측 정류회로가 개선된 고효율·고전력 풀브리지 DC-DC 컨버터

        김민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이차측 정류회로가 개선된 고효율·고전력 풀브리지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최근 산업 발달에 따라 전기전자기기들의 종류가 다양화되면서 이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다. 특히나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전기전자기기들의 용량 또한 증가하게 되어 이에 따라 전력공급장치 또한 고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고효율 및 고전력에 이점이 있는 풀브리지 DC-DC 컨버터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제안한 컨버터는 위상천이(PS; Phase Shift)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스위칭 시 공진회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증가시켰다. 특히 제안한 컨버터는 변압기 이차측 권선을 중간탭 형식으로 권선하여 이차측 정류회로를 간략화하였고 동기정류기를 이차측 정류회로에 적용하여 다이오드 정류회로에서의 전압 강하에 의한 손실을 온저항이 낮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간단한 회로의 추가로 고효율를 달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기정류기를 통하여 기존 다이오드 정류회로 손실을 낮춤으로써 발열현상 또한 감소시키게 되어 방열장치를 소형화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풀브리지 DC-DC 컨버터에 적용된 이론 및 기법들을 설명하고 동작원리와 각 동작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 컨버터를 제작하고 실험하여 이를 통해 제안한 컨버터가 정상 동작함을 확인하고 성능을 입증하였다.

      • 통합적 음악 감상을 위한 종묘제례악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 연구

        김민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ek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comprehensive appreciation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by addressing its teaching and learning aspects.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i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asset of Korea that was selected by the UNESCO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n May 18, 2001. Middle school music subject textbooks structuralize th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curriculum in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Music textbooks, however, present no specific guidance in this regard, and previous studies are not applicable to school settings since they focus o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methodologies. This study endeavors to put forth guidance that facilitat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within the context of comprehensive music appreciation classes that requir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based on the standards for achievement of music appreciation in school music class settings. The proposed guidance for teaching/learning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for comprehensive music appreciation was designed to analyze musical elements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music, singing, and dance—in each unit of the class and to experience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comprehensively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as actual performance of music. Such music appreciation activity helps students' cultivate capabilities intended by the music subject as they actively listen and respond to music. In addi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ymbolic system and inherent meaning of musical elements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music, singing, and dance—, thereby internalizing Korean traditional music.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bears the significant universal values that need to be preserv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plans based on the curricula and textbooks of the music subject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broad range of values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roposed by this study is efficiently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 in school settings and contributes to students' deep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standing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음악 감상을 위한 종묘제례악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종묘제례악은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된 국가무형문화재이다. 중등학교 음악 교과서는 종묘제례악의 문화사적 가치 및 의의를 배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였다. 그러나 음악 교과서에서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선행연구는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점에서 교수⋅학습이 설계되어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에 적합하도록 감상 영역 성취기준에 준거하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통합적 음악 감상 수업으로 종묘제례악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통합적 음악 감상을 위한 종묘제례악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은 차시별 수업에서 종묘제례악 악⋅가⋅무의 음악 요소를 분석하고, 역사적⋅문화적 맥락에서의 이해와 실제적인 음악적 행위를 통해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악 감상 활동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음악을 듣고 적극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음악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으며 종묘제례악 악⋅가⋅무의 상징적 체계와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여 국악을 내면화할 수 있다. 종묘제례악은 인류가 보호해야 할 보편적 가치의 음악 문화유산이다. 이를 계승하고 보존하기 위해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에 따라 지도 방안을 고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 방안이 학교 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되어 학생들의 이해도가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 북방수염하늘소의 잣나무와 소나무에 대한 섭식 및 산란 유인반응

        김민기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ttraction responses to the odors involving in feeding and ovipositing behavior of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and to develop the attractant agent to stimulate of feeding and oviposition behavior.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ontrol of pine sawyer beet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mmature adults (0-3 days after emerged) were preferred the fresh twig of Korean white pine log, and mature adult (20-30 days after emerged) were preferred the infested twig by male and female adults of M. saltuarius. In the pine tree, Monochamus saltuarius shows the same result as Korean pine tree. 2. With the fresh pine, fresh Korean white pine log, infested pine and infested Korean pine logs by male and female of M. saltuarius over 3 days, the odor was absorbed from the logs in the desiccator using porapak-Q. Odors absorbed in porapak-Q were dissolved by diethyl ether and then analyzed using GC and GC-MS. Result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monoterpene compounds from fresh logs and oxygenated monoterpene from infested logs. Major monoterpene compounds were analyzed as: α-pinene from Korean white pine proportioned as 31.3% and it was higher as 11 % than that of pine log, β-phellandrene was detected lower contents in Korean white pine log than pine tree. In addition, δ-3-carene was detected from Korean white pine log but did not in pine log. 3. In an olfactometer test, analyzed terpene compounds are bioassayed the response whether to induce to the oxygenated monoterpenes that infested by matured beetles or not. However, the difference from Korean white pine tree and pine tree, it did not understand why pine sawyer beetle can induce to the Korean white pine tree. 4. In the application of crystal gel for the semi-field test, pine sawyer beetle were attracted to the trap containing feeding and oviposition attraction formulation as the passage of time. However, pine sawyer did not catch to the control. Therefore,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ontrol agent as a formulation against pine sawyer beetle compare to the control, although the lower attraction with the ratio of total number of insect scattered.

      • 교회 안의 위기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 설계 : 원당교회 고등부를 중심으로

        김민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성도의 삶의 내면의 위기와 문제의 해결보다는 성도 수의 부흥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리고 이것은 교육부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교육부서 또한 학생들의 삶의 문제와 위기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더 많은 학생들을 불러 모으는 일회성 이벤트에 더 많은 재정을 사용해 왔고, 위기로 인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관심을 받고자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들보다는 가정이 평탄하고 말 잘 듣고 순종적인 학생들에게 관심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많은 교회안의 위기청소년들은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교회를 떠나 방황하게 되었다. 이제는 교회 안의 위기청소년의 문제에 모든 교회가 그리고 부서들과 교역자들이 집중해야 할 때이다. 가정에서의 위기와 학교, 사회에서의 위기로 인해 위기청소년의 숫자는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모범생들 위주로 부서를 이끌어가는 운영은 더 이상 한국교회와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줄 수 없다. 그렇기에 먼저 연구자는 지금 사역하고 있는 원당교회 고등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3월 24일부터 6월 2일까지 10주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해 있었던 피드백인 설교시간의 길이와 간식의 질 향상과 중등부 학생들과 초등학교 6학년의 참가에 대해 보충하여 9월 15일부터 시작하여 11월 17일을 마지막으로 마쳤다. 총 20주의 프로그램을 교회에서 실행해본 결과 교회 안의 위기청소년들은 적절한 지원과 관심, 사랑과 기도가 있으면 신앙의 위기에서 벗어나 신앙정체성을 회복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더해 학업지원과 교사를 통한 상담을 통해 교사와의 관계개선의 효과가 있었고 이는 주일학교 정착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좋아짐으로 인해 부모들의 반응 또한 호의적이었고, 무엇보다 아이들이 자존감을 되찾을 수 있었다. 교회 안의 위기청소년을 주님께서는 너무나 사랑하신다. 그리고 그들을 잃어버리는 것을 아파하신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마태복음 18:6절에 “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작은 자 중 하나를 실족하게 하면 차라리 연자 맷돌이 그 목에 달려서 깊은 바다에 빠뜨려지는 것이 나으니라”라고 말씀하신 것을 기억하고 교회 안에 있는 위기청소년들을 방치할 것이 아니라 그들을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돕고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위기들을 이겨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촉매로서 폐건전지의 재활용

        김민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reviewed the use of spent batteries as a catalyst to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Primary batteries among waste batteries are disposable batteries that cannot be recharged after use, and a large amount of waste is generated every year. Accordingly, a catalyst usable for catalytic oxidation was prepared by acid-treating the black mass of the spent battery. Black mass catalysts were respectively tested(treated) in different types of aqueous solutions, such as sulfuric acid, nitric acid, hydrochloric acid, and phosphoric acid. Among them, A transition metal was added to the black mass catalyst, which showed the best results, and its role as a support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it was compared with an alumina-based catalyst universally used as a support.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experiments, benzene, toluene, and xylene were adop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 were investigated by analysis such as ICP/OES, BET, XRD, SEM and TP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cid treatment had a great effect on catalyst activity, and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treated with sulfuric acid was the best. The excellent activity of the acid treatment catalyst was related to the manganese and iron content and the BET surface area, and the lattice oxygen was easily transported to increase the catalytic activ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tivities of the black mass-based catalyst and the alumina-based catalyst, where both transition metal was added, the activity of the sulfuric acid-treated black mass catalyst was the best. After the transition metal was supported,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de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e as a catalyst for black mass in spent batteries, the sulfuric acid-treated black mass catalyst itself had excellent activity, so it could be used as a catalyst. Therefore, the sulfuric acid-treated black mass catalyst is expected to be an economical and eco-friendly catalyst in the oxi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로서 폐건전지의 재활용을 검토하였다. 폐건전지 중 1차 전지는 사용 후 다시 충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일회용 전지로 해마다 많은 양의 폐기물이 발생 되고 있다. 이에 폐건전지의 블랙매스를 산처리하여 촉매산화에 사용할 수 있는 촉매를 제조하였다. 황산, 질산, 염산 그리고 인산 수용액으로 산처리한 블랙매스 촉매 중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블랙매스 촉매에 전이금속을 첨가하여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기존에 지지체로 활용되는 알루미나 기반 촉매와 비교·검토하였다. 실험용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을 채택하였으며 촉매의 특성은 ICP/OES, BET, XRD, SEM 및 TPR 등의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산처리가 촉매활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황산 처리한 촉매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산처리 촉매의 우수한 활성은 망간과 철의 함량과 BET 표면적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쉽게 움직일 수 있는 격자 산소가 증가하여 촉매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전이금속을 첨가한 블랙매스 기반 촉매와 알루미나 기반 촉매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황산처리한 블랙매스 촉매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전이금속을 담지한 촉매의 활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폐건전지내 블랙매스의 촉매로서 활용을 검토한 결과 황산처리한 블랙매스 촉매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산화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촉매로서 활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황산처리한 블랙매스 촉매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산화에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촉매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