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살모넬라에 존재하는 NADP+ 결합 단백질

        김미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ate)와 NA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는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세포내 주요 조효소(coenzyme)이다. NADP+와 NAD+는 세포내에서 전자들을 운반하는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NADPH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환원적 생합성에 사용되고, NADH는 주로 ATP의 생성에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살모넬라에 존재하는 NAD+와 NADP+ 결합단백질을 모으고, 이차원 정기영동으로 이 단백질들을 분리한 후에 질량분석기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NAD+에 결합하는 단백질은 83개가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산화환원효소는 6개, nucleotide와 관련된 단백질은 36개, 가상적인 단백질은 5개, 나머지 단백질이 36개였다. NADP+에 결합하는 단백질은 106개가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산화환원효소는 7개, nucleotide와 관련된 단백질은 44개, 가상적인 단백질은 12개, 나머지 단백질이 43개로 동정되었다. 이 중 32개의 단백질은 NAD+와 NADP+ 모두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NAD+와 NADP+결합 단백질을 LC/MS/MS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NAD+에 결합하는 단백질 82개가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산화환원효소는 8개, nucleotide와 관련된 단백질은 46개, 가상적인 단백질은 5개, 나머지 단백질이 23개로 동정되었다. NADP+에 결합하는 단백질은 83개가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산화환원효소는 10개, nucleotide와 관련된 단백질은 37개, 가상적인 단백질은 15개, 나머지 단백질이 21개로 동정되었다. 이 중 37개의 단백질은 NAD+와 NADP+ 모두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NAD+에서는 24개의 단백질, NADP+에서는 20개의 단백질이 MALDI-TOF에서 동정된 단백질과 같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 의해 동정된 가상적 단백질들은 기능이 한 번도 연구된 적이 없는 기능을 알지 못하는 단백질들로서 NAD+, NADP+를 기질로 사용하는 효소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NAD+, NADP+에 결합하는 새로운 단백질들을 발굴함으로서 세포 내 새로운 반응 경로의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예상치 않게 NAD+, NADP+에 결합하는 것으로 조사된 단백질의 경우 그 단백질의 새로운 결합자리 존재여부와 그 기능에 대한 후속연구가 중요할 것이다. NADP+ is used in anabolic reactions, such as fatty acid and nucleic acid synthesis, which require NADPH as a reducing agent. NAD+ is a major electron carrier in the oxidation of fuel molecules. In this study, NAD+_ and NADP+-binding proteins from Salmonella typhimurium were obtained by affinity chromatographies using immobilized NAD+ or NADP+, and further separated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Those separated proteins spots were identified by MALDI-TOF MS after trypsin digestion. Eighty three proteins which bound to NAD+ were identified. Among them, 6 were oxidoreductases utilizing NAD+, 36 were nucleotide-related enzymes, 17 were hypothetical proteins, and 36 were proteins which did not expected to bind to NAD+. One hundred and six proteins which bound to NADP+ were identified. Among them, 7 were oxidoreductases utilizing NADP+, 44 were nucleotide-related enzymes, 12 were hypothetical proteins, and 43 were proteins which did not expected to bind to NADP+. Thirty three proteins bound to both NAD+ and NADP+. NAD+-and NADP+-binding proteins were also analyzed by trypsin digestion and subsequent LC/MS/MS. Eighty two proteins which bound to NAD+ were identified. Among them, 8 were oxidoreductases utilizing NAD+, 46 were nucleotide-related enzymes, 5 were hypothetical proteins, and 23 were proteins which did not expected to bind to NAD+. Eighty three proteins which bound to NADP+ were identified. Among them, 10 were oxidoreductases utilizing NAD+, 37 were nucleotide-related enzymes, 15 were hypothetical proteins, and 21 were proteins which did not expected to bind to NADP+. Among them, 37 proteins bound to both NAD+ and NADP+. The hypothetical proteins screened in this study may use NAD+ or NADP+ as their substrate.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new enzymes and their functions.

      • 서비스 교육훈련이 고객응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희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influence a service education exercise factor has on the customer reception orientation. According to results, it became clear that service education contents was not influence on the complain reception and telephone reception. In addition, the nature of lecturers ha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narration orientation. And the trainee attitude toward service education ha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personnel orientation, expression orientation, narration orientation, reception orientation and telephone reception orientation. Also, serv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facility had positively influence on personnel orientation and the expression orientation. Finally,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education service exercise between male respondents and female respondents, as for male respondents, education contents are important to customer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s, as for female respondents, trainee attitude are important to customer orientation.

      • 다다이즘에 나타난 꼴라쥬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꼴라쥬(Collage)란 이물질(異物質)을 평면의 화면에 도입하여 표현하는 회화 기법을 가리킨다. 이 꼴라쥬는 전통적인 회화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물질이 현실을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 거리감을 극복하고 다양한 조형효과를 양식으로 보여준 것이다. 꼴라쥬는 회화의 개념을 전환하고 확신시키는 하나의 계기를 마련했다. 피카소(Picasso)와 브라크(Braque)에 의해 시작된 이 기법은 입체주의 화가들에 의해 순수히 도입된 것은 아니다. 이미 수세기에 걸쳐 종교적이고 장식적인 의미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미술사적 의미로 보았을 때 간과 할 수 없는 것이며, 조형적 의미로 보았을 때 입체주의 화가들에 의한 빠삐에·꼴레(Papier-Colle)의 등장은 최초로 시작된 꼴라쥬의 한 형태인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빠삐에·꼴레의 혁명은 미래주의(Futurism)운동을 거쳐 다다이즘(Dadaism) 화가들에 의해 발전되고 초현실주의(Surreasism)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회화의 혁명 기초가 되는 꼴라쥬 기법은 오늘날까지 새로운 사조와 방법으로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꼴라쥬는 일상의 물체, 폐품 등이 예술의 영역 끝에 올려 졌으며, 이로써 예술과 생활은 동일시되며, 그만큼 예술의 영역이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물체는 물체인 동시에 예술품의 양의성을 갖게 되며,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관람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일상적인 물체들의 등장은 새로운 충격으로 우리 앞에 꼴라쥬란 이름으로 던저져 있으며, 이들은 또한 단순히 작품의 소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작품이라는 의미의 구조를 변모시켰다. 따라서 19세기 이전의 화화와 조각의 개념은 송두리째 부숴지고 꼴라쥬의 확산에 의해 회화는 현실의 재현이나 묘사가 아닌, 새로운 개념으로 확장되면서 인간의 행위 자체에 까지도 예술작품화한 “해프닝”“이벤트”로까지 전개된다. 이러한 꼴라쥬가 현대미술에 있어서 기여한 점은 예술과 환경이 평균점을 이루었다는 점일 것이다. It has been inovitable for whom are interested in Contemporary Art to groping on collage as the way of several informative reflecting. Collage suggested transition and expasion of Fine Art concept. As you know the iechnique of collage has been related with roligional and ornamental purpose for few conturios. And also with view of art history it reminds us of cubsts' papier-colle, the famer pattern of collage in formative art. Collage appeared with Picasso and Braque especially collage for cubists has been used to compose esthelic and formative image inother words it has took a role to considered roal things as a new media. Collage with futurists suggested the modern thoughts of art and represented prpgressive estheties. It can be considered as formative mothod to connect traditional concept with the mechanical eivilization with activity, vilality and speed. Finally in the ages of dadaism its concern moved to vitality of pasted things from more formative com-position. collagewith Dadaism has developed around America, swiss, germany and France with various artistic skill. It's basic bechinque depends on accident formation is create new image which reminds us of compounded reaality. Collage with Surrealisists more on figurative, associate and symblism to produce formative effect. Inthis ages collage developed to connect technology and mass media to be close with common people. We can reach a conelnsionthat formative meaning of collage show us another face in art with a certain expressibe way to reveal new truth on canvas. This particular putpose caused illusion on canvas to have its transitional point with some retrospection. With virtual image collage trios to searchpresent real truth by pure formative way. There is another formative meaning in collage. It expanded the media for artistic expression and reacknowleged us to see the worth of existence of things in human life. and also it encouraged us to use more positive thingking and method of space with suggestion of possibility of visual art. In the 20th century collage offered us new esthetie way to accomplish reality with personal experience in art. Furthermore it created new art are to fill artists. Therefore we can never ignore artistic contribution of collage with various expressive ways.

      • 부분 가교결합된 키토산 비드를 이용한 Cu 이온 제거

        김미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tin, which is existed in nature, is one of the most abundant organic materials. Chitosan derived from chitin is applicated in many areas, and especially new adsorbent at recovering heavy metal ions from waste water. The adsorbent used is spherical chitosan beads, which were made by sol-gel method. Chitosan has an intrinsically high affinity and selectivity for transition-metal ions, but it is soluble in low acidic range. Therefore, we needed the stable chitosan beads 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to remove heavy metals from acidic solution. These cross-linked chitosan beads were insoluble in low pH range and increased of resistance about chemical and biological dissolution. Adsorption capacity of cross-linked chitosan beads compared with uncross-linked ones was shown low value and decreased with the reaction time with glutaraldehyde. This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the free amine group on chitosan chain decreased because the potential adsorption sites reacted with aldehyde group(-CHO). Also, as low as pH value is, adsorption capacity was decreased. This is considered with the competitive reaction with hydronium ions and metal ions on the available amine sites. Isotherms for Cu^(2+) on chitosan bead fit well into three single component isotherms. Among them, Sips isotherm was the best agreement. Intraparticle diffusion was able to be explained by pore diffusion mechanisms. Adsorption behavior in fixed-bed was observed in terms of flow rate and feed concentration of Cu^(2+). Chitin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고분자로, 그 양이 풍부하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chitosan은 chitin을 탈아세틸화한 유도체로서 반응성이 좋으며 그 효용가치가 높은 고부가 자원이다. 특히 폐수로부터 중금속이온을 제거하는데 있어 새로운 흡착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chitosan을 졸-겔 법에 의해 구형의 비드 형태로 제조하여 이를 흡착제로 사용하였다. Chitosan은 전이금속이온에 대한 높은 친화력과 선택성을 가지고 있지만 낮은 pH 영역에서 쉽게 용해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낮은 pH의 산성용액에서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안정된 chitosan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 이중 기능기 시약인 glutaraldehyde와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을 시켰다. 이 가교된 chitosan 비드는 낮은 pH 영역에서 불용성을 나타내며, 화학적 생물학적 분해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가교결합된 chitosan 비드의 흡착용량은 비가교결합된 chitosan 비드에 비해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가교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또한 감소하였다. 이는 chitosan 사슬의 아민기(-NH₂)와 glutaraldehyde의 aldehyde(-CHO)기 사이에 반응이 일어나, 활성 흡착 사이트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낮은 pH 일수록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chitosan에 존재하는 아민기에 대한 옥소늄 이온과 금속 이온의 경쟁적 결합 때문이라 추정된다. Chitosan 비드에 대한 Cu(II)의 흡착 평형은 3종류의 흡착 등온식에 적용하여 본 결과 Sips 식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입자 내부에서의 확산공정은 세공 확산 메카니즘으로 설명하였다. 고정층에서 흡착거동은 유입 용액의 유속과 Cu(II)의 초기 농도 그리고 glutaraldehyde와의 가교 시간에 따라 관찰하였다.

      •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이 남·여중학생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

        김미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on the anger of boys' and girls' in middle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in a systematic and empirical, this method formulated a hypothesi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anger of boys' and girls' in middle school. The anger-control training reduces the level of girls' anger, it has no effects on the boys' in middle school.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anger-control training needs to have more effective materials and more precise experiments, and that also presents the need clearly to make a program for the control of anger in middle school students.

      • 높이와 형태에 변화를 준 인솔이 족저 압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희 東義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높이와 형태가 다른 키 높이 인솔을 제작 후 사용함으로써, 보행 시 발의 족저부에 나타나는 압력이 인솔의 높이와 형태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은 발의 바닥 전체 부위에 해당하는 모형과 중족부에서 후족부까지에 해당하는 모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와 함께 형태마다 3가지의 높이(1cm, 2cm, 3cm)로 구분하고, 성인 남성 7명을 대상으로 신발 안에 인솔을 삽입 후 보행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실험이 종료된 후 피험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주관적 설문조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설문을 통해 인솔의 높이와 형태에 따라 피험자들이 느끼는 착화감과 기능성,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압력 측정 실험 결과 족저 부위별 접촉 면적(cm²)과 접촉 압력(kPa), 수직 힘(N)이 인솔의 높이와 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솔의 형태에 따라 발가락 부위의 압력(kPa)과 수직 힘(N)에서 차이가 나타나며(p<0.01), 중족부 부위에서 형태에 따른 수직 힘(N)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p<0.01).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방법을 통하여 생체역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가 추후 필요하며, 신발 산업에서 인솔의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lantar foot of a foot is affected by the height and shape of the insole. The experiment was made in two types, the model corresponding to the entire foot bottom and the model corresponding from the middle to the rear foot. In addition, each type was divided into three heights (1cm, 2cm, and 3cm), and seven adult males were walked after inserting insoles into their shoes. In addition,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to conduct a subjective questionnair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firmed b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eeling of wearing, func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shape of the insole. As a result of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contact area(cm²), contact pressure(kPa), and vertical force(N) of each plantar part differe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shape of the inso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ole, there was a difference in pressure(kPa) and vertical force(N) at the toe area(p<0.01), and the difference in vertical force(N) according to the shape at the mid foot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Biomechanical is needed in the future through the methods identified through the research,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nsole development in the footwear industry.

      • 한국 교육콘텐츠산업의 해외진출에관한 연구 : 개선방안과 법적 쟁점 중심으로

        김미희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산업은 고부가가치 및 고성장 산업으로서 다른 산업에 비해 파급효과가 크며, 국가 이미지 제고, 지역균형발전 등에 크게 기여하는 거대한 잠재시장이라 할 수 있다. 고부가가치를 위한 서비스산업 활성화는 세계 각국의 경제가 갖고 있는 과제라 볼 수 있다. 특히 미국과 같은 선진국들은 이미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사업을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인식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 산업은 영세한 자본, 투자유인 부족, 투명성 결여, 투자재원 및 평가시스템 미비 등으로 투자기반이 미흡한 편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서비스산업과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를 결합시킨 차세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힘을 기우리고 있다. 최근 IT 산업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서비스산업을 더욱 활성화시켰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핵심동력으로 개별서비스산업 간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해외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학습을 위한 해외 on-line 인터넷학습시장이다. 인터넷학습은 사회 인적 자원관리의 핵심적인 요소로 산업ㆍ교육ㆍ복지 등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이버대학교 및 일반대학교에서도 on-line 대학 강의가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학습은 오로지 학교 및 기업에서의 보조교육수단이 아닌 온 국민의 평생학습에 적합한 교육수단의 도구로 탈바꿈을 하고 있다. 한국의 국내 학생 및 일반인 역시 on-line에서 해외 인터넷학습을 수강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학습은 이미 글로벌화가 되어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착안점을 두고 디지털화시대에 맞는 인터넷학습 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개선방안 및 지적재산권법적 쟁점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가 해외 디지털 교육콘텐츠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은 인터넷학습 사업자가 현지에서 교육콘텐츠를 제작ㆍ유통하거나 또는 직접 한국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교육콘텐츠를 유통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가 아닌 다운로드 방식으로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를 해외 디지털 교육콘텐츠시장에 유통시킬 시, 법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는가는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 디지털콘텐츠 강국인 미국의 경우 WTO(World Trade Organization)에 반영한 합의보다 우회적인 FTA를 통한 합의로 자국의 해외 교육콘텐츠시장영역을 넓히고 있다. 한-미 FTA체결로 인하여 한국도 과거보다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를 포함한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향후 한국이 FTA를 체결할 국가 간에 최대한 반영시켜야 할 주요한 과제이다. 미국이 WTO/TRIPs 협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FTA를 통해 체결하는 까닭은 WTO에서 국제조약 개정 및 제정을 하는 데에 있어 지적재산권법적 보호수준의 수위를 자국이 원하는 대로 높이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FTA를 통한 국제조약상의 지적재산권법적 보호수준 수위를 높이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의 지적재산권은 다른 콘텐츠와는 달리 대부분 교육기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어, TRIPs 조약상 지적재산권 보호에 관한 제한을 받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진출을 위한 한국의 기업들은 TRIPs 조약에 관한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의 지적재산권법적 보호 및 제한 균형의 형평성과 공정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많은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기업들이 해외 디지털 교육콘텐츠시장 진출 시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 프로그램 구성 개선방안과 Digital Convergence, Ubiquitous 등의 지속적인 교육콘텐츠산업 발전에 대한 기업 및 정부지원 정책 구축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아울러 TRIPs 조약상 보호 및 제한에 관한 쟁점과 사례를 통해 지적재산권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 인터넷학습 교육콘텐츠산업의 해외 교육콘텐츠시장의 파이(pi, π)를 키우기 위해서는 기업 및 정부 등의 개선방안 정책적인 목표가 뚜렷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니체에서의 생성과 긍정의 정신 :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 중심으로

        김미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니체에서의 인간과 세계를 생성하는 존재로서 이를 인정하는 긍정의 정신을 나타내고자 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그가 전통적인 세계를 거부하는 이유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그는 지금까지 최고 가치였던 초자연적인 신,이념, 이상 등의 세계는 무가치한 허무주의로서 배격되고 대신에 인간의 적나라한 대지의 삶을 중요시하는 가치로 전환하도록 주장하였다. 니체는 현실 세계의 삶을 그 자체로 긍정함으로써 인간 자신이 삶의 비약을 통한 스스로의 구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기술하려 한다. 즉, 종래의 피안의 세계에 가치를 두고 현실의 삶을 거부하려는 철학이 가고, 현실의 삶 그 자체에 모든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철학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제 니체는 인간 존재의 장소와 목표를, 낡은 형이상학과 도덕적 답변이 아니라, 삶을 긍정하는 새로운 답변에 의거해 설정하고자 한다. 니체에게 있어 삶의 긍정을 나타내는 파토스는 영원회귀와 힘에의 의지, 생성, 초인 등의 여러 사유의 상호 의존관계를 통해, 니체의 핵심 사유들을 역동적인 다양성 속의 통일성을 이루는 새로운 해석으로 탄생하게 된다. 힘에의 의지를 통해 생성론과 영원회귀가 보증되고 정당화되며, 이런 방식에 의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 급진적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인간은 형이상학적 실체가 아니며 고정할 수 없는 생성되는 주체로서, 해석하고 평가하는 주체로서 이해된다. 이와 함께 니체는 이러한 영원회귀 사상을 그의 운명애 사상으로 생성과 파괴의 영원한 운동 그 자체에 영원한 존재의 성격을 부여함으로서 적극적으로 삶 자체를 긍정하고 수용한다. 현실 세계에서의 삶에의 의지를 부정하고서는 결코 인간의 이상이 실현될 수 없다고 본다. 결국 니체는 삶 자체를 긍정하는 것만이 좀더 발전된 자신과, 세계, 삶을 이뤄갈 수 있다고 말한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spirit of positivism in Nietzsche, which acknowledges an existence, which generates humans and the world. Nietzsche's theory is clearly revealed in the reasons for rejecting a traditional world. To put it another way, he objected to the world of supernatural gods, ideology and utopia which was the most highly regarded up until then, considering it to be worthless nihilism; instead, he advocated considering the value of the present life on earth. In doing so, Nietzsche tried to describe the point that men are able to save themselv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ife by positively admitting life itself in reality. This means that philosophy, which put a value on Nirvana in rejecting the present life has run out and, instead, it needs to have philosophy that puts all kinds of values and significance on present life itself. Therefore, Nietzsche tries to set up the status and objectives of humans based on positivism rather than old-fashioned metaphysics or ethics. Pathos, the representation of positivism in Nietzsche, was generated through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eternal recurrence, desire for power, generation and a superhuman and, thus, his key thoughts were newly interpreted as a unity with a dynamic variety. Through desire for power, theory of generation and eternal recurrence is ensured and justified; in this process, rapid progress of understanding of humans and the world is enabled. According to this theory, humans are understood as a flexible generating subjectivity, which enables understanding and judgment, instead of a metaphysical entity. Along with this, Nietzsche's theory of eternal recurrence, which is regarded as his theory of destiny, has positive attitudes towards life and thus embraces it by attributing the nature of eternal existence to an eternal activity of generation and destruction per se.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ideal of human beings when they deny a will of life in a real world. Eventually, Nietzsche addresses the positivism of life, which leads to the improvement of self, the world, and life.

      • 청각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통합교육 단원 구성 방안 연구

        김미희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uggests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measures for reading and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2007 amendment Korean language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of reading and writing. It is aimed at making a integrating unit organization plan for reading and writing on the spot. It describes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fter the goal of this study and ahead of the study.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 are not much studies of the integrating language educ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ahead of the study for the integrated teaching and measure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 and write capabilities are critical to communications and these features are used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go divided. Looking for activities for promoting creativity of creativity train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main relevant of integrated language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I suggest to study how to integrate educational elements of learning to read and write. The feature areas of language: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have respectively in terms of fine-grained functional differences but they are the higher mental function developing at same time mutually in a general point of view. Therefore, making use of these basic properties with th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made at same time without separating use of language. An integrative language education is a learner-centered language education and it attempts to integrat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f a language learning. considering that a language is used without being separated practically. Furthermore, it seeks to integrate a situation context with a language learning and even an informal situation of home and society will become the basis for communication of interacting confidently with others in society.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in time and space are associated mutually one another and collected significantly and they seek valuable change of human-being's personality as a whole of learning. So when we teach language, we need to integrate every sections. I will focus on functional area of reading and writing must be composed independently and on the integrating teaching needs. I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inking action,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and relationship of meaning parts. Also I look after the problem of hearing-impaired in the use of the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dure in reading and writing. As described above, integrated language training is the thinking method and the view of education tied for learners and teachers perspectives and the language, not just learning theory perspective by the opinion of any individual that can easily be qualified. It should be encouraged in a dimension of hearing-impaired's lifelong education. Reading and writing are achieved through a process of thinking of analysis and synthesis. They are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at the material needed for reading is just a product of writing, and in that the information and material for writing are obtained through reading. Also the cognitive strategies used by reader and writer have a close relation with reading and writing processing. Therefore they have a connection between action and reaction. In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they should be performed so that hearing-impaired students can play roles of reader and writer at same time. Noticing this point, I tried to teach an integrative reading and writing to hearing-impaired stud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training plan was shaping by utilizing integrating language training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o read and write. Though it was not actually applied to the steps that hearing-impaired students go through the designed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it will be actively research part prior to applying on-site. This research shows the language education of th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s actually applied to the education of hearing-impaired students. I really hope this effort inspires more discussions and is eventually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 of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읽기 쓰기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읽기 쓰기의 통합적 교육 단원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법 및 통합교육 단원 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한다.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과 교육에서 통합언어교육의 내용으로 한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으며, 특히 통합지도 및 통합교육 단원 구성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렇지만 읽기 쓰기 기능 간의 상호작용이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한 것임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 기능들은 나뉘어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언어 교육과 읽기와 쓰기의 주요 관련성과 읽기와 쓰기 영역을 위한 여러 활동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의 학습 요소를 통합한 단원 구성과 그 지도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언어의 사용 기능 영역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는 각각 세분화된 기능 면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언어는 총체적인 입장에서 상호보완적으로 동시에 발달하는 고등정신의 기능이다. 그러므로 언어가 가진 이러한 기본 속성을 살려 언어사용 기능 영역을 분리시키지 않고 동시에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언어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언어교육운동으로 언어가 실제 생활에서 분리되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 학습과 상황 맥락(context)과의 통합을 추구하며, 가정과 개인의 비형식적인 상황들을 자신 있게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고자 한다. 그리하여 시간적ㆍ공간적으로 각각 다른 학습 경험들이 상호 관련지어지고 의미 있게 모아져서, 전체로서의 학습이 이루어지고 가치 있게 인간의 성향 변화를 지향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언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각 영역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읽기와 쓰기의 기능별 영역은 분명히 독립적으로 구성하되, 통합적인 지도의 효과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을 ‘사고 행위의 관련성’,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의미구성과정 관련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현행 청각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합언어교육은 어떤 개인의 견해에 의해서 쉽게 규정될 수 있는 단순한 학습 이론이 아닌 학습자에 대한 관점, 교사에 대한 관점, 언어에 대한 관점을 묶어서 하나의 전제로 생각하게 하는 사고방식인 동시에 교육관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청각장애학생의 평생교육의 차원에서도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읽기와 쓰기는 분석과 종합의 사고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읽기에 필요한 자료는 바로 쓰기의 소산물이며, 쓰기를 위한 자료와 정보는 읽기를 통해서 얻어진다는 점에서 서로 상보적이다. 또한 독자와 필자가 사용하는 인지적 책략들과 읽기와 쓰기의 과정 역시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학습자는 읽기를 하면서 글 속에 표현되어 있는 연결 관계를 판별하여 필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마찬가지로 독자의 의식을 고려하여 자신이 전달하려는 바를 내용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을 동시에 발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읽기와 쓰기는 서로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로서, 읽기와 쓰기의 지도는 청각장애학생들이 독자와 필자의 역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통합 단원을 구성하여 지도하자고 한다. 그리고 통합언어교육을 활용한 청각장애학생의 읽기 쓰기의 통합적 교육 단원 구성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구안된 읽기 쓰기의 통합적 교육 단원을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하는 단계를 거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우나, 현장 적용에 앞서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부분이다. 이 연구는 읽기 쓰기를 통합교육 함으로써 언어교육이 실제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생활과 유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가 더 더욱 많이 이루어지고 검토되어 청각장학생의 언어생활과 유리되지 않는 읽기 쓰기의 통합교육이 현장에 적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