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aracterization of an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from Tobacco

        김미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식물 바이러스 복제 저해 단백질로 알려진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IVR)의 특성을 밝혀내기 위해 IVR 유사 단백질 (IVR-like protein) 내에서의 CMV, TMV, PVX, PVY 접종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IVR silenced 형질전환 식물체(siIVR)과 IVR 과발현 형질전환 식물체(ovxIVR)에 CMV, TMV, PVX, PVY, PepMoV-GFP를 접종하여 바이러스 복제량을 분석하였다. 총 3종류의 siIVR 형질전환체들은 두 종류의potyvirus(PVY, PepMoV-GFP)와 PVX에 대조구인 비형질전환식물체보다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나 IVR이 potyvirus와 PVY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였다. TMV와 CMV는 병의 진행속도가 저해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농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ERF5와 IVR의 결합부위를 밝혀내기 위해 yeast-two-hybrid 분석을 수행한 결과 ERF5 단백질 amino acid 255에서부터 555의 부위가 IVR와의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an inhibitor of virus replication (IVR), IVR-like protein was examined for its activity on CMV, TMV, PVX and PVY in the same plant species, tobacco. IVR-expressing transgenic plants were infected with CMV, TMV, PVX or PVY. Transgenic plants silenced for induction of IVR (siIVR) were assessed for effects on virus infection. Plant lines siIVR 2-28, 6, 6-1-3 were all susceptible to two potyviruses (PVY and PepMoV-GFP) and PVX, IVR inhibits potyviruses and transgenic plants overexpressing IVR (ovxIVR) were surely protected against PVY and PVX. Applied IVR inhibits potyviruses. Accumulation of TMV and CMV were reduced in ovxIVR tobaccos. To identify the interaction sites of IVR and ERF5, the two proteins, IVR and ERF5 were tested using the yeast-two-hybrid assay. The ERF5 protein from amino acid 255 to 555 ha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IVR protein.

      • 간호사의 유머감각과 업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김미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간호사의 유머감각과 업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 J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64명이었다. 자료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9월 3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총 26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유머감각 정도는 Svebak(1996)이 개발한 SHQ-6와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지각하는 유머감각 점수는 평균 3.29점이었으며, 하위요인별 점수는 유머에 대한 선호도, 메타메시지 유머 감수성, 정서의 표현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혼인 경우가 기혼인 경우보다 유머감각 정도가 높게 지각되었다(p<.05). 2)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4.20점으로 업무 중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스트레스 요인은 밤 근무, 업무량 과중,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 업무외의 책임, 의사와의 업무상 갈등 순이었다. 결혼상태, 근무경력, 근무부서에 따라서 업무스트레스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유머감각 상위집단이 유머감각 하위집단보다 업무스트레스를 적게 받았다. 요인별로는 유머감각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업무량 과중, 전문직으로서의 역할 갈등,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대인관계상의 문제, 의사와의 대인관계상 갈등, 부적절한 대우, 상사와의 불만스런 관계, 부적절한 보상, 부하직원과의 불만스런 관계, 업무외의 책임, 익숙치 않은 상황 등에서 업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간호사의 유머감각은 업무스트레스에 대해 9.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유머감각을 통해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처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관리 시 이들 요인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사가 효과적인 유머감각을 구사할 수 있도록 유머사용의 능력 개발을 위한 방안이나 전략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sense of humor and job stress of nurses. Study participants were 264 nurses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ake part in the survey,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C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0, 2008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ense of humor of nurses was measured with SHQ-6 developed by Svebak(1996) and job stress from work was assessed with the tool developed by Gu and Kim(198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sense of humor of the nurses was 3.29. The subscale scores were,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3.71(liking of humor), 3.11 (metamessage sensitivity), and 3.06(expressiveness of emotions). Singles had higher sense of humor than married nurses(p<.05). 2)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4.20,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literature.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were night shift, overwork,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doctors, work which was not related with their job, and conflict with doctors in work. The level of job stress was related with nurses' marital status, job experience, and place of work(p<.05). 3) Nurses with more sense of humor had less job stress from overwork, nonprofessionalism, insufficiency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troubles in relationships,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doctors, inappropriate treatment, unsatisfied relationship with their boss, inadequate compensation, unsatisfied relationship with their staff, work which was not related with their job, and situations which they were not familiar with(p<.05). 4) The result shows that the sense of humor of nurses has 9.8% explanatory power on their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urses had respectively high stress from their job which could be relieved by sense of humor.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o utilize sense of humor in interventions to reduce job stress of nurse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sense of humor efficiently.

      •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건강, 안전분위기, 간호근무환경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라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safety climat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operating room nurs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176 staff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were collected from one advanced general hospital and fiv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10 to August 25, 201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the organizational health scale, PSCHO(Patient Safety Climate in Healthcare Organization) scale, PES-NWI(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scale, and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Fin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health perceived by operating nurses was 2.85 points(range: 1~5), that of safety climate was 2.96 points(range: 1~5), that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2.39 points(range: 1~4), and tha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18 points(range: 1~5). 2. Organization health of operating room nurses in the asp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work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on safety climate in the asp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relying on positions and number of safety education. Nursing practices environment from an asp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worked experience, number of safety education, hospital size, and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3. In correlational analysis, Organizational health and Safety climat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4.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 organizational health,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work experience, and hospital size,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17%. Consequ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nd impact of operating room nurses on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access to organizational levels beyond individual levels. It is also meaningful to promote hospital-level interest in nursing activities. The factors that the greatest impa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s have identified as organizational health. Therefore, Hospitals should make efforts to construct healthy organizations to improv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s,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by actively delegating authority, and prepare to maintain their work experience. In addition, repeated studies of the nursing practices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s are required, and support is provided to meet the size and needs of the hospital.

      • 새로운 농정체성 확립의 여정 :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농교사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미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농교사인 연구참여자들이 농인으로서 교사의 길을 선택한 동기와 농교사로서의 경험을 탐색하여 새로운 농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해석하는 것이다. 농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를 방법론적 틀로 하여,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자료는 대안학교 농교사 4명을 각각 심층 면담하였고, 면담은 농인의 언어인 수어로 진행되었다. 그들의 이야기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심층면담 외에 참여관찰 및 문서수집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내러티브 자료는 Lieblich(1998)의 생애사 분석방법 가운데 범주적 내용분석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농인의 삶 속에서 찾은 교육적 희망, 대안학교 농교사의 삶과 인식, 새로운 농정체성 추구로 범주화하여 세부적인 내용과 해석을 기술했다. 첫째, 농인의 삶 속에서 찾은 교육적 희망 부분에서는 ① 농교사들이 청소년 시기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농교육에 실망감을 느꼈고, ② 교육 당사자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은 채 오래 전부터 답습되어 온 농교육의 답답함과 ③ 농인 공부방을 만나며 발견한 교육적 희망에 대해 서술했다. 연구참여자 가운데 3명은 농인 공부방에서 경험했던 농정체성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공유했고, 1명은 대안학교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농정체성과 농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이들의 가치에 공감하여 농인 교육공동체를 함께 시작했다. 농교사들은 대안학교의 전신인 농인 공부방에 서 온전히 수어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게 되었고, 완벽하게 이해되는 수업내용에 처음으로 시원함을 맛보았다. 농교사들은 그동안 농교육 체계 안에서 자신이 느꼈던 답답함의 원인이 농학생의 인지수준이나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깨달았다. 그들은 내용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는 수어 수업에서 희망을 보았다. 농교사들은 이전까지 받은 농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게 되면서, 후배 농학생들에게도 자신들이 경험한 시원함과 공부의 맛을 알려주고 싶었다. 그들은 새로운 농교육을 시도하기 위해 농인 청소년 대안학교 소보사(소리를 보여주는 사람들)를 설립하였다. 공교육에서 청소년기를 거친 농교사들이 주축이 된 소보사는 농문화와 농정체성을 바탕으로 모든 교육 과정을 수어로 진행하기로 했다. 둘째, 대안학교 농교사의 삶과 인식부분에서는 농교사들이 농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농정체성 정립을 대안학교의 가치로 두고, 농학생들이 농정체성을 바르게 가질 수 있도록 함께 하는 삶을 택했던 과정을 보여주었다. 농인 공부방부터 함께 한 농교사들은 농학교 학생으로 느끼던 답답함을 소보사 공부방을 만나서 해소하였고, 이러한 경험을 후배 농인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동기를 품고 대학 진학을 준비했다. 농교사들이 재수를 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싸늘한 시선에 직면했지만, 그들의 학업에 대한 열정을 꺾을 수는 없었다. 농교사들은 교육실습생으로 모교에 실습을 가기도 하고, 대안학교 농교사로서 예전 자신의 교사였던 농학교 교사들을 다시 만나게 되었다. 농교사들은 자신의 지위가 바뀜에 따라 예전 교사들이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음을 느꼈다. 농교사들은 교사로서 농학생의 입장을 같은 농인의 마음으로 느꼈고, 그들에게 적합한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농교사들은 농학생의 가능성을 믿고, 꿈을 지지해주는 교사가 되고자 했다. 하지만 농사회에서 농교사를 존중의 시선으로 보지 않는 현실에 직면하였고, 이를 개선하려고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자신있게 상대를 이해시킬 수 있도록 단호한 대처 능력을 갖추고자 했다. 셋째, 새로운 농정체성 확립부분에서는 농교사들이 농학생들의 농정체성이 바르게 발달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농인이 농인답게’를 외치며, 농문화와 청인 문화를 모두 존중하고 인정하는 이중문화 정체성의 실천을 위해 노력했음을 서술했다. 농교사들은 농정체성의 실천과 추구를 위한 관심을 대안학교 내부에만 국한하지 않고, 대안학교 외부에서도 농정체성을 알리고 실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농사회의 농인들 가운데 농정체성을 주장하는 이들이 많지만, 삶 속에서 실천하지 않는 예가 많았다. 이러한 농인들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어려움이 생겼을 때 대안학교의 농교사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이들을 보며 농교사들은 실천하는 농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생각이 더욱 견고해졌다. 여전히 구화가 익숙하다는 지인을 그대로 인정해주고, 대안학교 외부의 농인 청소년에게 농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열어줄 수 있는 방학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의 실천적 활동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제도적 관점에서 ① 대안교육에서 적용하고 있는 여러 교육적 시도를 농교육에서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 ② 농교사들이 농정체성을 실현하는 삶의 모습을 보며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져야 한다는 점, 그리고 ③ 대안학교가 농공동체로서 가지는 역할과 가치를 제시하였다. 학문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농인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연구의 필요성과 수어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인지했다. 농교사들의 삶의 가치와 농정체성을 기반으로 농교사의 삶을 깊이있게 이해하는 연구로서, 보다 다양한 환경의 농교사의 삶과 농정체성 실현이 우리 사회에 주는 가치, 그리고 농교육의 변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매우 소수의 농인이 속한 대안학교에서의 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농교사들이 농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 새로운 농정체성의 의미를 다지고 농사회와 지역사회로의 확산을 통해 이들이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시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비인가형 대안학교인 소보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지원이 절심함을 인식했다. 이에 대안학교 농교사에 대한 연구에 이어 농학생의 발달과 관련한 연구나 대안학교의 농공동체로서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journey of establishing a new deaf identity by exploring the motiv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choosing a teacher's life and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deaf teachers at a deaf youth alternative school. The deaf teachers were frustrated in the deaf education while they were in schools as deaf students. They established an alternative school for the deaf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and decided to be deaf teachers themselves for the deaf. To analyze the stories and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 narrative research is adopted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deaf teachers at an alternative school in Korean sign language,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ocument research. The collected narrative data was analyzed with categorical-content analysis among life story analysis methods of Lieblich's(199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to sub-categories of : (1) educational hope found in the life of the deaf, (2) deaf teachers' life and perceptions in alternative schools and (3) pursuit of new deaf identity. First, this study found a new educational hope in the life of the deaf. The deaf teachers were disappointed and frustrated with the deaf education that had been practice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without genuine considerations of expectations and needs of deaf students. They came to attend the deaf study community, where lessons were taught in Korean sign language. They learned what is taught by fully understanding all that they were taught and realized the problems with the previous way of the deaf education. The problems were not in the lack of abilities of deaf students but in the teaching environment. With this realization, deaf teachers decided to establish an alternative school for deaf youths (SOBOSA, the name of alternative school) and to become teachers themselves. Second, fac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of the deaf education,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new deaf identity. Teachers made the establishment of deaf identity as an ultimate value to be pursued at the alternative deaf school (SOBOSA) in order to ensure that their deaf students would strive to shape positive images of themselves. The teachers needed to be accredited to meet deaf students at SOBOSA. When they decided to go to college, they encountered cold gaze from their surroundings: teachers at their old school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so on. When one of the deaf teachers came back to school as an intern, she met her former teacher again. She felt that the former teacher met her as a peer. Since they decided to be deaf teachers, they have been striving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skills to deaf students. Their teaching started with their belief in the abilities of deaf students in learning. They fully supported the possibilities and the dreams of their student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in order to establish new deaf identity, it is necessary for the deaf community to practice bicultural identity, which respects and honors not only the deaf world but also the hearing world. They made efforts to establish deaf identity of ‘living as a deaf’. The teachers tried to widen their attentions to go out of the boundaries of SOBOS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stablishing new deaf dentity is not only 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at the school but also to inform what they have done about new deaf identity in the general. They launched education programs for general deaf students to understand the deaf identity. This study suggests that on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for the deaf school to adopt various SOBOSA’s educational attempts practiced in the alternative school for general students. In an academic a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sign languages in narrative researches are an effective tool with deaf participants. Although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is study to alternative deaf education, it could serve as a base for bringing changes in deaf education and a base for the future studies.

      •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한 금속제 테이블웨어 연구

        김미라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not only the basic function of tableware as a tool but the role that provides an artistic image in a space called 'Kitchen' were suggested to satisfy the sense and taste of people today. For the display of design, the minimalism that is the theoretic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n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carefully examined to suggest a tableware with simple but laconical beauty. Thus, decorative element was reduced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metal were emphasized to drag a differentiate image such as repeated use of a circle or changing the usage or size of materials from the existing designs with mere laconical elements. Before initiating the actual work, the modeling process was done with plaster to see various images of a circle with multi-dimension. This process was interesting because it enabled to create an art piece that was almost identical to a real one, and eventually it became an important motif for the design development. Depending on designs,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for producing and basically, the hammering work was preceded ahead of the actual designing. Also, lathe, spinning, laser cutting were used. Such designs and the producing techniques wer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n the further production in reality. The materials used were 92.5% of silver, brass, copper, stainless steel, and duralumin), and some wood and ceramic were adopted as additional materials. For usage, bowls, trays, vessels, spoons, and a tea set were produced as tableware and some of them were produced by utilizing the heat conductivity, thus, they maximized their efficiency to enjoy cold drinks. Because tableware is mainly used in kitchen, every product was designed to be cleaned easily. In conclusion, this study designs living utensils based on the basic formative concept of minimalism and suggests new tableware that is small-sized and multi-items oriented production through a close communication with a manufacturing agent.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웨어가 도구로서 지니는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주방이라는 공간에 세련되고 미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현대인의 감성과 여유를 충족시킬 수 있는 테이블웨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미니멀리즘을 이해하고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여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미를 지닌 테이블웨어를 구상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장식적 요소를 줄이고 금속 자체가 지닌 재료의 특성은 그대로 살려 정원(正圓)의 반복적인 사용이나 크기의 변화 등 간결한 요소만으로도 기존의 디자인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실질적인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입체로써의 정원(正圓)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접해보기 위해 석고를 이용하여 모델링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은 실제 작품과 거의 흡사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웠으며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제작기법에 있어서는 디자인에 따라 기본적으로 망치성형 작업이 선행되었으며 그 밖에 선반가공, 스피닝, 레이저 컷팅 등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디자인과 제작기법은 향후의 생산성을 고려한 것이며 실생활에서도 쓰일 수 있어야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료에 있어서는 은(92.5% Silver), 황동(Brass), 적동(Copper),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듀랄루민(Duralumin)을 사용하였고 나무와 도자(Ceramic)를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쓰임에 있어서는 보울, 쟁반, 기(器), 스푼, 다기(茶器) 등의 테이블웨어를 제작하였고 이 중 몇 가지는 금속의 열전도성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차가운 음료를 즐기는데 있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방이라는 공간에서 활용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려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의 근본 조형 개념을 바탕으로 한 생활용기를 디자인하고 산업 현장과의 제작상의 긴밀한 교류를 통하여 향후 다품종 소량생산에 입각한 테이블웨어 시제품을 연구제작해 보고자 한다.

      • 생활체육 지도자의 코칭 효능감 구성요인 탐색

        김미라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효능감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아, 성인 및 노인 지도자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개방형 설문을 제작하고 생활체육가맹협회에 등록되어 활동 중인 유아체육 지도자 30명, 성인체육 지도자 30명, 노인체육지도자 30명 총 90명을 표집하여 코칭 효능감의 구성요소를 수집하였다. 확보된 자료는 3인 합의검증을 통하여 내용 분석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효능감 구성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활체육 지도자들의 코칭효능감 구성요인을 살펴본 결과 최종적으로 수업능력, 기술시범, 운동효과제공, 운동프로그램선정, 수업준비 및 태도, 학습자이해 및 배려, 동기유발, 안전사고예방 및 인성교육의 아홉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생활체육 지도자 코칭효능감의 구성요인은 기술지도, 수업준비 및 태도, 동기유발, 안전사고 예방 및 인성교육의 다섯 가지 위계적 개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용분석을 기준으로 지도유형별 코칭효능감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유아, 성인, 노인지도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체육 현장에서 코칭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코칭 개선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RBC와 포기조 복합구성에 따른 식품폐수 처리에 관한 연구

        김미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organic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for the high strength of dairy wastewater. Pilot plants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quantitative removal efficiencies for both attached and suspended processes as well as to find out the predominant role with Bacillus sp. The dual-phase processes us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is dicided into two different system. One of processes, system A is composed of a single RBC and three tapered aeration tanks. Another process, system B is composed of dual RBC, with three tapered aeration tanks. The surface area of string type media for RBC is 2.65 m²,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1.38 m²/m. The hydraulic loading is 0.87m³/m²·day and the surface area loding of BOD is designed as 0.12kgBOD/m²·day. The operation conditions of DO in the tapered aeration tank were 0.2~2.0mg/L. Lab-sca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room temperature. The internal recycle rate was from 0.4 Q to 0.5 Q and returned sludge rate was from 0.6 Q to 0.5 Q. The average influent concentrations of BOD, CODCr, T-N and T-P were 1,330 mg/L, 1,937 mg/L, 153 mg/L and 8.6 mg/L respectively. After being treated, the removal efficiency for the influent BOD was removed more than 97% and the average effluent BOD concentration of system A was 200mg/L. The effluent BOD for system B was 30mg/L. Removal efficiency of system B was 99% as maximum. Removal variation of COD were 71% for system A, 97% for system B.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N, T-P for system A were 82%, 75%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N, T-P for system B were obtained 95%, 80%, respectively. It was verified that the system composed of RBC and three tapered aeration tanks with Bacillus sp. was highly effective to remove the high strength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for the dairy wastewater from this research. 식품폐수는 유기물의 성상이 다양하고 고농도의 생분해성이며 대부분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처리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농도 식품폐수의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N, P의 성분을 반응조 설계에 따른 향상된 처리효율을 위하여 실험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류수 수질기준이 2008년 1월 1일부터 T-N 40mg/L, T-P 4mg/L로 기준을 설정하고 있지만 2013년 1월 1일부터에는 T-N 20mg/L, T-P 2mg/L로 규제가 강화될 예정에 있다. 최근에는 Bacillus sp.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공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 뿐만 아니라 질소, 인의 제거를 위해 Bacillus sp.를 선택 배양하고 우점화 한 후, 이를 포자화시켜 질소 및 인 성분을 직접 섭취하는 공정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끈상 미생물 접촉재에 Bacillus sp.를 부착한 회전원판(RBC)반응조를 이용하고 점감포기조를 적용하여 식품폐수의 유기물, 질소, 인의 제거기법 제시와 처리공정에 따른 처리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대상시료는 고농도 식품폐수와 유사한 농도의 인공폐수로서, 울산시시 여천하수처리장에서 Bacillus sp.의 우점화가 확인된 생물반응조의 반송슬러지를 채취하여 인공폐수에 적용하였다. 반응조는 저류조, RBC, 점감포기조 1,2,3단, 침전지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RBC 반응조는 단일반응조(A)와 RBC 연속반응조(B)로 운전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제원은 다음과 같다. 회전원판의 총 면적은 2.65m²이며 총 유효 표면적은 1.38m²으로 나타났으며, 수리학적 면적부하는 0.87m³/m²·day, RBC의 BOD 면적부하는 0.12kg·BOD/m²·day로 나타났다. 또한, F/M비는 1.2 kgBOD/KgMLSS·day, C/N비는 2.08로 운전하였다. 점감포기조의 DO는 0.2~2.0mg/L, MLSS는 2,300~3,900mg/L로 운전하였다. 안정화기간의 내부반송량은 0.4Q, 슬러지반송량을 0.6Q로 하였으며 정상화기간에는 내부반송량을 0.5Q, 슬러지반송량을 0.5Q로 운전하였다. 유입수 조건은 BOD 1,330mg/L, CODcr 1,937mg/L, T-N 153mg/L, T-P 8.6mg/L로 나타났다. RBC단일 반응공정(A)과 RBC연속 반응공정(B)에 대하여 (A)공정에서는 유출 BOD는 200mg/L로 최대 97%가 제거되었으며 (B)조건에 대해서는 30mg/L로 유출되어 최대 99% 제거되었다. COD 변화는 각각 71%, 97%가 제거되었으며, 안정화기간을 제외한 RBC반응조에서의 제거율은 80%이상으로 대부분의 COD는 RBC에서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T-N의 유입수에 대한 유출수의 제거율 분석결과 RBC단일 반응공정(A)과 RBC연속 반응공정(B)에 대하여 82%, 95%가제거 되었고 (A)공정에서는 2013년의 배출허용기준인 20mg/L보다 높은 29mg/L로 유출되었고 (B)공정에서는 충분히 만족하였다. T-P에 대해서는 RBC단일 반응공정(A)과 RBC연속 반응공정(B)를 비교하여 볼 때 (A)공정에서는 RBC반응조에서 27%, 포기조 3단에서 61%가 제거되어 총 75%의 제거율을 보였다. 포기조에서의 점감포기로 인해 포기조 3단에서 거의 무산소 조건이 되기 때문에 인이 방출되어 RBC반응조보다 높은 제거율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한다. (B)반응공정에서는 RBC1, 2단에서 각39%, 26%가 제거되었으며 RBC반응조 보다 높은 52%의 제거율을 보여 최종적으로 80%가 제거 되었다. T-P의 경우 포기조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가 많으며, (B)반응 조건인 RBC 연속반응 공정에서 본 연구의 목표인 T-P기준 2mg/L에 충분히 만족한 결과를 획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