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명애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현재 의료관광은 각 국가에서 국익증대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쟁적으로 의료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의 관광수요증대와 함께 의료관련 매출액이 급증하면서 의료산업에 대한 관심도는 점차 고조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정부도 이를 반영하여 의료관광을 국가 동력 산업으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외국환자 유치 활성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의료관광은 선진국인 태국, 싱가포르 등에 비해 상당히 뒤져있는 것이 사실이기에 성공적인 의료관광을 위해서 외국 및 한국의 의료관광 성공사례에 대한 문헌연구 및 국내 의료관광 기관의 실제 사례를 연구하고 의료관광의 성공요인에는 어떠한 요소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본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고 효율적인 성과를 위해 문헌연구를 이용하였다. 먼저 의료관광의 개념정리와 외국의 의료관광, 국내 의료관광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선행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문헌 고찰을 통해 의료관광 성공요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연구의 기본 틀을 확립했다. 또한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문헌연구의 결과를 보충하고 더욱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와 기존의 문헌연구에서 얻어낸 의료관광 성공사례연구를 통해 성공요인들의 공통점을 정리하였다. 정리 된 컨텐츠를 분석하기 위해 두 명의 분류자(coder)에게 컨텐츠에서 의료관광의 성공요인을 유추해 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의료관광을 위해서는 각국의 특화된 의료관광상품의 개발과 구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JCI인증 등 신뢰를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의료서비스의 제공으로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것과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모든 성공요인들이 알맞게 정착되고 확장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극적인 협조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정신지체장애아동의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용형태에 대한 부모 만족도
김명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한글초록:정신지체장애아동의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용형태에 따른 부모 만족도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김 명 애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장애동의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용형태에 따른 부모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을 위하여 2004년 현재,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장애인 시설, 장애인 단체, 복지관, 사설교육기관, 일반스포츠센터 등의 체육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정신지체 장애인 30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하였으며, 불성실한 자료 37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는 263명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 만족도는 Larsen, Attkisson, Hargreaves, & Nguyen(1979)이 개발한 만족도 조사 설문지를 김경숙(2003)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α=.911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α=.873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χ²검증(Chi-square),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정신지체장애아동들의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용 형태에는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는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셋째,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용 형태에 따른 부모 만족도에는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주요어 : 정신지체, 부모만족도
전통놀이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수행능력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명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실내전통놀이와 실외전통놀이로 구분하여 유아들에게 실험처치를 실시한 후 유아의 사회적 수행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통놀이 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 비협조성, 과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전통놀이 유형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 동구와 남구에 있는 사회 경제적 배경이 유사한 2곳의 어린이집 만4∼5세 유아반을 실외전통놀이집단과 실내전통놀이집단으로 각각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만 4∼5세 유아는 총 80명으로 실외전통놀이집단집단 40명, 실내전통놀이집단 4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외전통놀이집단과 실내전통놀이집단 간의 연령 및 사회적 수행능력과 창의성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측정 도구 중 사회적 수행능력 평가도구는 Pease, Clark 및 Crase(1979)의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 [아이오와 사회적 수행능력척도[P] ] (ISCS[P]) 로 양외점(1994)이 어머니용 질문지로 번역, 수정하여 교사용으로 만든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창의성의 측정도구는 조성연(1985)이 번역하여 사용한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중 도형검사 A형을 사용하였다. 실외전통놀이집단과 실내전통놀이집단에게 각각 전통놀이를 주5회씩 8주 동안 40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검사후 수집된 자료는 SAS System으로 전산처리하여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수행능력과 관련해서 사회적 수행능력 총점에서는 실외전통놀이와 실내전통놀이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에서는 실외전통놀이집단이 실내전통놀이집단 보다 비협조성을 제외한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 과민성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즉 비협조성은 실내전통놀이집단과 실외전통놀이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과 관련해서 실외전통놀이집단이 실내전통놀이집단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성 하위요인에서도 실외전통놀이집단이 실내전통놀이집단 보다 융통성을 제외한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즉, 융통성에서는 실내전통놀이집단과 실외전통놀이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통놀이 중 실외전통놀이활동이 실내전통놀이보다 유아의 사회적 수행능력 중 4가지 하위요인(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 과민성)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ditional children's play activities up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reativity. The traditional children's play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indoor activities and outdoor activities for the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ociality of exposure to traditional play activities. The questions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ocial activity, stability, cooperation, nervousness, etc)? 2. How do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ngenuity, etc)? For this study, two kindergarten classes with similar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were selected. One class was located in the district of Dong-gu and the other was in Nam-gu, Kwangju.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indoor traditional play group and an outdoor traditional play group.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between four and five.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80 in total; 40 for the outdoor play group and 40 for the indoor play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e-survey which is designed to check the children's social performance ability and creativity. Other factors considered in the pre-survey was the children's age. As the survey tools of 'social competence', 'the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 of Pease, Clark and Crase (1979), was used. The teachers'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urvey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Oe-jum (1994) from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The diagram test A of Torrance's tests for creative thinking translated by Cho Seong-yeon (1985)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traditional play group and the indoor traditional play group in the total score of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owever, significant influ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sub-categorized items of sociality such as social activity, stability, cooperation, and nervousness. Second, the outdoor play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creativity. Significant influence was also observed in the sub-categorized item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originality, and ingenuit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lexibility.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의 효과 :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김명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본 연구는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을 구성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와 과학수업계획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구성을 위하여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10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별로 각각 1개씩 총 10개의 과학활동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와 과학수업계획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2개의 2년제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학생 7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개 대학은 실험집단, 1개 대학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먼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와 과학수업계획능력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에게는 10주 동안 10개의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들은 실험집단과 같은 주제로 10주 동안 10개 활동으로 이루어진 모의수업 중심의 과학교육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10주 동안 매주 과학교육이 끝난 후에 저널 쓰기를 하였다. 실험처치가 끝난 직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토대로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증과 χ²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저널 쓰기는 각 내용을 분석하여 범주화하는 방법으로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는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의의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이 모의수업 방법으로 교육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는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의의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이 모의수업 방법으로 교육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계획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는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의의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이 모의수업 방법으로 교육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수업계획능력을 긍정적으로 증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th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lanning 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nstruct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theories, literatures, and researches about science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including 10 subj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test the effects of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lanning abilities, 8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ampled in two colleges, and they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10 subj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to develop th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lanning abilities were treated to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test', ‘Attitudes toward the science education test', and ‘Design the instructional plan’ were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pretest and post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r χ²-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pretest and posttest scor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scores of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otal attitudes toward science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improve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2.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lso that the posttest scores of general attitude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instructional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total attitudes toward science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increase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3. The results revealed that increased number of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teacher's interactive activities,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increases the instructional planning 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onents of 3-regular primitive matrices : 3차 정규 원시행렬의 지수
김명애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이론을 이용하여 3차 정규인 원시행렬의 지수의 상계와 하계를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r차 정규인 원시행렬 경우의 연구로 일반화 시켰다. 특히, 하계에 관한 결과는 모두 본 논문연구를 통하여 얻은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가 3차 정규인 n×n 원시행렬일 때 그의 지수 exp(A)는 의 상계와 하계는 아래와 같다 1) n=3 ⇒ exp(A)=1; 2) n=4,5 ⇒ exp(A)=2; 3) 6≤n≤9 ⇒ 2≤exp(A)≤1/3(n^(2)+2n-9); 4) n≥10 ⇒ exp(A)≥3. 위에 결과 4)를 r차 정규인 n×n 원시행렬로 일반화시켜서 n≥r^(k)+1 ⇒ exp(A)≥k+1 을 얻었다. 둘째, A가 r차 정규인 n×n 원시토너먼트행렬이면 그의 계수는 n=2r+1이고 그의 지수는 3임을 보였다. 셋째, A가 r차 정규인 n×n 대칭원시행렬이면 exp(A)≤2(n-r) 임을 보였다. A strongly connected digraph G of order n is said to be primitive provided the greatest common divisor of its directed cycle lengths equals to 1. For such a digraph there is the minimum integer t, called the exponent of G, such that given any ordered pair of vertices x and y there is a directed walk of length t from x to y. A digraph G is said to be r-regular if each vertex in G has exactly r outdegree and indegree. In this dissentation, we mainly determined the bounds on the exponent of 3-regular primitive matices and give the general results on r-regular primitive matrices. In section 3, we gave the lower bounds and upper bounds on exponents of 3-regular primitive matrices. We generalized it to exponents or r-regular primitive matrices. For an r-regular primitive matrut A of order n≥r^(k)+1, we gave the lower bound on exponent of f as following exp(G)≥k+1 In section 4, we proved that the order of r-regular primitive tournament T is exactly 2r+1 and hence the exponent of r-regular primitive tournament is just 3. For an r-regular primitive symmetric matrix A of order n, we proved that exponents of A satisfy exp(A)≤2(n-r).
쿠레레(Currere)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탈식민주의적 의식 변화 연구
김명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현재의 한국 사회는 세계화로 인하여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타문화에 주체성 없이 흔들리는 모습은 비일비재하며 타문화에 대한 선호도도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다문화 되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에 심각한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더구나 자의로, 타의로 식민화 되어가고 있는 대상이 초등학생이라면 그 문제는 더욱 커질 것이다. 문화 식민화와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은 심화되어 가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대안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탈식민적 시각으로 교과서를 분석하는 시도는 여럿 있었지만 초등학교 교육과정 프로그램은 전무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필요한 때인 것이다. 이에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다방면으로 식민화 되어가며 다른 문화에 대해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키워주고 타문화에 대한 중립적인 시각을 갖게 하고자 연구자는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글쓰기를 하는 쿠레레(currere)의 방법을 중심으로 구안한 탈식민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하여 보고 아동들의 의식이 어떻게 탈식민화 되어 가는지 연구를 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탈식민주의적 의식 고양을 위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또는 교육프로그램의 한 형식은 어떤 것인가, 둘째,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아동들의 탈식민주의 의식은 쿠레레의 과정 속에서 어떻게 발달하는가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탈식민주의적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과정의 한 형식은 아동들의 경험으로부터 문제를 이끌어내고 경험의 변화가 내면의 변화로 이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진 쿠레레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주제에 적합한 영상자료와 조별활동, 그리고 쿠레레의 방법인 자서전적 글쓰기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은 탈식민할 수 있는 충분한 동기를 갖게 하였고 은연중 식민화되어있던 아동들 자신을 반성하고 실천의지를 갖게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쿠레레 방법에 의한 아동들의 탈식민주의적 의식은 단계에 따라 변화되었다. 먼저 회귀단계에서는 과거에 주제인 음식문화나 언어, 인종과 관련한 경험을 떠올리며 식민화에 대한 의식이 없었고 전진단계에서는 과거의 경험이 그대로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상상을 하게 되었다. 이후 분석단계에서는 여러 자료를 통하여 현재의 우리 사회를 이성적인 시각으로 판단하고 식민화되어 있었던 자신들의 편견과 선입견을 파악하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종합단계에서는 과거의 경험으로 인하여 현재와 미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이해하고 탈식민할 수 있는 활동에 스스로 동참하여 고양된 탈식민주의적 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다문화된 사회에 걸맞은 학교교육이 되기 위하여 교과서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교육과정 또는 교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둘째, 교사들이 탈식민주의적 의식에 대하여 확실히 이해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사전에 이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가정이나 외국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을 심어주는데 있어 학교교육의 한계가 있으므로 탈식민과 관련한 학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가진 본 연구는 실제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하여 그 결과를 질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다문화 사회에서 학교교육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ing in line with globalization. As a result, lack of identity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towards other cultures has become a stumbling block in Korea's pursuit for multiculturalism. In particular, those problems become more serious if elementary students are target to be colonized irrespective of willingness. Prejudice towards other cultures and cultural colonialism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while appropriate educational alternatives are very insufficient. Even if attempts to analyze textbooks from a postcolonial point of view were made, there has been no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appropriate actions against this problem are desperately needed.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Korean elementary students change their postcolonial consciousness using currere method in which a researcher writes his or her experienc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be colonized without consciousness and have prejudice towards other cultures, improve their proud on Korea's unique culture and develop a neutral point of view towards other cultures. To this en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ly, what i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postcolonial consciousness? Secondly, how does the program affect students' postcolonial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currere? From the program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obtained: Firstly, a type of educational process to improve postcolonial consciousness draws problems from students' experience. The program uses currere which can lead experience change to internal change. Secondly, the program which consist of videos and group activities suitable to a specific subject as well as autobiographical writing motivate students to be post-colonized, giving colonized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mselves. Thirdly, students' postcolonial consciousness changes gradually from regressive step to synthesis step through currere method when this program is applied. In regressive, students called back experience related to previous subjects such as food culture, language and race with no consciousness towards colonialism. In progressive, students imagined that previous experience affect the future. In analysis, students could estimate current society rationally and realize their prejudice towards other cultures. In synthesis, students could understand current and future changes based on previous experience,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post-colonialism activities. This research gives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policy: Firstly, new analysis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r textbooks as well as appropriate development of textbooks are necessary to provide enhanced education in line with multiculturalism. Secondly, teachers have to fully understand postcolonial consciousness and provide advanced education focusing on postcolonial consciousness for students. To this end, appropriate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provided to teachers in advance. Thirdly, since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 in making students have a right consciousness towards multi-cultural family and overseas culture, education about postcolonial consciousness must be provide to parents. In summary, this research was based on actual elementary schools and research was analyzed systematically so that it can give appropriate suggestions for improving schoo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브랜드의 國際化에 관한 硏究 : 브랜드 네임과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김명애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Human society over the millenniums has evolved from villages to city-states to empires to nation-states. In this century, everything become global. Now not only are politics issues global, so are economic and even cultural ones. People everywhere produce and consume in a single networked economy, and increasingly the global village has plunged into an age of Brand Marketing beyond time and space. In such a society, people in par-flung places share the same interesting and reap the same technological benefits of sharing information, making decisions and acting to achieve a common goal without the restraints of time or place. As consumer's desires are diversified and individualized with the increase of income and the opening of the domestic market to the foreigners and the standardization and uniformity of productive technology and products make the differentiation of quality and price of the product difficult, brand prcorporate imag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the product or service itself in determining the purchase of a particular product.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 as follows ;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study as an introduction. Chapter 2. discusses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rnationalization brand, brand naming and visual design. Chapter 3. a case study, deal with internationalization of brand name and a visual characteristic. Chapter 4. closes this study as a concluding part. As they develop into multi-national corporation, Korean companies must recognize the need for effective brand naming strategy an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improv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rand name. If it is effective,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ir overseas business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