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르바르트 교육론에 비추어 본 초등교사의 역할

        김명수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헤르바르트의 교육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교육이론이 학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의 개선 방향과그에 따른 초등교사의 역할을 모색하여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헤르바르트의 교육이론을 탐구한 결과 헤르바르트는 인간을 감각적이며 동시에 이성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교육을 통해 감각을 억제하고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교육목적을 달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수업이며, 수업의 목적은 심화와 숙고의 사고 과정을 거쳐 사고권을 형성하고 다면적 흥미를 일깨우는 것이다. 헤르바르트는 다면적 흥미를 소유한 사람은 도덕성을 함양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교육의 목적이 수업의 목적과 같음을 주장하며 ‘교육’과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교육적 수업”을 강조했다. 헤르바르트의 교육적 수업이 현대 학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권 형성을 위해서는 교과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새로운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선정하기 위해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다면적 흥미는 강제적으로 주입할 수 없는 성질이기에 교육적 수업은 수업 주체가 교사가 아닌 학습자여야 하며, 이에 따라 학교 수업이 학습자 스스로가 지식을 구성해가는 수업이 돼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교육의 본질적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헤르바르트는 학교가 국가기능화 되는 것을 반대했다. 학교가 효율성과 보편성만 강조하여 우수한 학생을 기르기 위해 경쟁과 선별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기관으로 전락한다면 학생 고유의 특성을 존중하고 다면적으로 도야된 인간을 키우는 교육의본연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고 말했다. 이는 오늘날 우리에게 교육의 본질적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초등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교사는 학생이 풍부한 사고권과 다면적 흥미를 소유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는 학생의 다면적 흥미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초등교사는 교육학적 박자 능력을 소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실제 교육 현장은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론과 실제 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이 괴리감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학적 박자가 필요한 것이다. 교육학적 박자란 교육 현장에서 맞이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교사들의 현명하고 교육적인 판단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능력은 교육 경험이 쌓인다고 자동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며, 이론적 밑바탕 위에 축적된 교육 경험을 쌓으며 깊은 반성과 숙고가 있을 때 비로소 교육학적 박자 능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교사는 스스로를 도야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교사는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성과 높은 수준의 책무성을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닦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학생들에게만 배움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교사 역시 ‘가르치면서 동시에 부족함을 깨닫고 배우는 자’임을 잊지 않고 학생과 함께 성장하고자 노력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 비선형 강건 입력성형제어기 및 터치형 입력성형장치의 개발

        김명수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thesis, Input shaping commands are developed to reduce the transient and residual deflection of flexible systems and remote input shaping devices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system. Input Shaping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various flexible systems. However,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t the actual site, theoretical input shaping techniques have low performance. So, input shaping techniques must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nonlinear dynamics that occu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complex field is worker safety. However, to date, the operator performs dangerous tasks by touching various equipment. Therefore, new interfaces are needed that improve worker safety and task efficiency. We discuss two examples in the field of nonlinear mechanics that take into account the limits of acceleration and the case of first-order. The response from each case was approximat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Phasor vector and the vector diagram approach was used. In addition, remote input shaping devices to increase worker safety and task efficiency are based on Android. It also includes input shaping technology as well as display images of cameras and control cranes. The new input shapers are evaluated with Pendulum systems to analyze residual deflection, robustness of system modeling. the remote input shaping device is evaluated to reduce experiment time and number of collisions. new input shapers and remote input shaping device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and verified with a mini-Bridge crane.

      • 국내 조난 야생동물의 감염병 보균자로서의 잠재성 조사

        김명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야생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감염병이 공중보건학적으로 주된 위협이 되고 있다. 야생동물들이 감염병의 보균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지나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법 혹은 체계는 만들어져 있지 않다. 감시가 필요한 감염병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들 각각을 모두 검사하는 데는 높은 비용, 많은 시간 그리고 대용량의 샘플이 필요하다. 대용량 고효율 pPCR 플랫폼은 많은 수의 감염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 연구는 대용량 고효율 플랫폼을 적용하여 야생동물 구조센터로 구조된 야생동물이 가지고 있는 감염병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전북야생동물구조센터에 2018년부터 2019년에 구조된 야생동물 중 혈액 및 기관, 폐, 대장(분변), 비장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총 121 마리의 환자에 대한 시료가 채취되었으면 그 중 조류는 55마리, 포유류는 66마리였다. 각 환자의 sample은 하나로 합친 후 DNA와 RNA를 동시에 추출하였다. 진단에 사용한 플랫폼은 19 종류의 병원체를 2번씩 검사하도록 제작되었고 한번에 48개의 샘플을 검사할 수 있게 하였다. 병원체가 검출된 검체에 대해서는 각각의 혈액과 기관에 대해 singleplex qPCR을 진행하여 어떤 혈액 혹은 기관에서 병원체가 검출된 것인지 확인하였다. 대용량 고효율 qPCR 플랫폼을 이용한 결과에서 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Mycoplasma spp., Plasmodium spp. 총 4가지 병원체에서 양성이 나왔다. 각각 병원체의 유병률은Campylobacter jejuni (10/121, 8.3%), Campylobacter coli (1/121, 0.8%). Mycoplasma spp. (78/121, 64.5%) and Plasmodium spp. (15/121, 12.4 %)이었다. Singleplex qPCR을 통해서는 대부분 병원체는 대장(분변)에서 많이 검출되었음을 보였으며 특히 Campylobacter spp. 인경우엔 양성인 개체 모두 대장에서 병원체가 검출되었다. 이 연구는 구조 야생동물이 감염병 보균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확인하였다. Infectious disease derived from wild animals i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While the risk of the role of wildlife as a reservoir of infectious disease is increasing,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s for monitoring for infectious disease have not been developed yet in Korea. The surveillance of wildlife-mediated infectious diseases is challenging because of high cost, long turnaround time and large sample volume. High-throughput real-time PCR (qPCR) platform can be a simple alternative for detecting pathogens in large numbers of samples. This is a pilot study to survey on the potential of rescued wild animals as reservoirs of infectious disease based on the high-throughput qPCR platform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2018 to 2019, blood and tissue samples (trachea, lung, large intestine [including stool] and spleen) collected from wildlife rescued by the Jeonbuk wildlife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total of 121 patients consisting of 55 birds and 66 mammals were included. The high-throughput qPCR platform was designed to diagnose 19 pathogens in duplicate against 48 samples simultaneously. Each tissue or blood was grinded and mixed one and then, total nucleic acid isolated from each tissue or blood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mples were positive to Campylobacter jejuni (10/121, 8.3%), Campylobacter coli (1/121, 0.8%). Mycoplasma spp. (78/121, 64.5%) and Plasmodium spp. (15/121, 12.4 %). Singleplex qPCR confirmed that most pathogens were detected in the large intestine (including stool) and especially Campylobacter spp. was detected 100 % in the large intestine. This study suggested that wild animals have potential as infectious disease reservoirs. In a further study, phylogenetic analysis of each pathogen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wild animals and others.

      • 다양한 계면활성제로 분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및 특성연구

        김명수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ITO (indium tin oxide) 필름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는 ITO 필름이 높은 가시광 투과율(transmittance)과 낮은 면 저항(sheet resistance)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ITO 필름은 자원의 고갈에 따른 수급의 불안정성, 외부에서 힘이 반복적으로 작용할 때 그 전기적 특성이 쉽게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재료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로 제작한 필름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높은 투과도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안정성 및 유연성(flexibility)도 우수하여 ITO 필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전기적 특성이 ITO 필름에 미치지 못하여 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10 mg을 증류수 100 ml에 분산시켰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최적 분산시켰다. 음이온성의 sodium dodecyl sulfate(SDS)는 0.5 wt.%, sodium dodecylbenzensulfate(SDBS)는 0.25 wt.%, sodium cholate는 0.5 wt.%, 양이온성의 cetyltrimeethyl ammonium bromide(CTAB)은 0.1 wt.%, 중성의 polyvinyl pyrrolidone(PVP)는 0.25 wt.%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최적 분산되었다. 최적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수율을 측정한 결과,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 중 SDBS가 81.6%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sodium cholate, CTAB, SDS, PVP 순으로 수율이 감소하였다. 각 계면활성제에 대해 최적 분산된 정량의 탄소나노튜브 수용액을 폴리머 기판 위에 분사하여 투명 전도성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제조하였다. 각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면 저항을 80% 투과도에서 상호 비교한 결과, SDBS가 184 Ω/sq.로 가장 낮았고, SDS, sodium cholate, CTAB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 계면활성제인 PVP가 1200 Ω/sq.의 가장 높은 면 저항을 나타내었다.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판 위에 부착된 필름을 질산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산 처리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남아있는 계면활성제가 제거되고, p-doping 됨으로써 필름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산 처리에 의해 sodium cholate가 투과도 80%에서 136 Ω/sq.의 가장 낮은 저항을 보였으며, SDBS, CTAB, SDS 순으로 면 저항이 증가하였고, PVP가 350 Ω/sq.의 가장 큰 면 저항을 보였다.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형상 및 튜브 다발 상태를 관찰한 결과, 튜브 다발의 직경이 증가하고 계면활성제가 남아 있을수록 필름의 면 저항이 증가하였다.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CF)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materials in fabricating many device applications including touch screens, flat panel displays, and sensors. A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dium tin oxide (ITO), however, suffers from a considerable drawback due to the soaring price of indium since 2001 and a weak flexibility. Despite a recent falloff, the trend of flat panel display technologies toward flexible, paper-like features is expected to increase sharply a demand of ITO. Recently, extensive studies have been made to replace ITO with new materials, in particular, carbon nanotubes (CNTs) since CNTs shows excellent properties in flexibility, electrical conductivity, optical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etc., which are prerequisite to practical application to TCFs. This study fabricated TCFs with single-walled CNTs (SWCNTs), produced by arc discharge. The SWCNTs were dispersed in water with a variety of surfactants which were anionic, cationic, and neutral. Upon evaluating their dispersibility in terms of the amount of CNTs dispersed in water, the adding amount was optimized for each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fate (SDS) at 0.5 wt.%; sodium dodecylbenzensulfate (SDBS) at 0.25 wt.%; sodium cholate at 0.5 wt.%; cetyltrimeethyl ammonium bromide (CTAB) at 0.1 wt.%; polyvinyl pyrrolidone (PVP) at 0.25 wt.%. Among many surfactants used, SDBS showed the highest dispersion yield of 81.6%, followed in order by sodium cholate, CTAB, SDS, and PVP. Using the CNT suspensions with the optimum amount of surfactants added, TCFs were manufactured by vacuum filtration. Compared at the transmittants of 80%, SDBS showed the lowest sheet resistance of 184 Ω/sq., followed in order by SDS, sodium cholate, CTAB, and PVP. The TCFs were treated in nitric acid to improve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acidic treatment lowered the sheet resistance for all surfactants, probably due to the removal of residual surfactants on the CNT surfaces or the p-doping effect by nitric acid. At the transmittance of 80%, the lowest sheet resistance of 136 Ω/sq. was achieved for sodium cholate, followed in order by SDBS, CTAB, SDS, and PVP. Upon observing the morphology of TCFs by SEM, the sheet resistance was higher as the bundle diameter increased, or the surfactants remained more on the surface.

      • 여말선초 이성계의 정치적 행보와 압록강?두만강 유역 여진족 지역사회의 동향

        김명수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이성계와, 그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압록강·두만강 유역 여진족 지역사회의 동향을 연구하여 여말선초‘경계인’으로서의 이성계에 대해 재정의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일련의 이성계에 관한 연구는 이성계의 군공과, 그를 바탕으로 한 신흥사대부 세력과의 연계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상기한 연구들은 이성계를 고려라는 테두리 안에서 바라본 시각으로, 위화도 회군에 대해 이성계를 당연히 고려인이라는 단일한 정체성을 가진 존재로서 내린 결정으로 해석하는 일국사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여진족과 동북면을 세력으로 하는 일종의 반독립 군벌 세력이었던 이성계를 단순히 고려의 장수로만 인식한다는 점에서 이성계가 처해있던 ‘경계인’적 성격을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당시 이성계는 고려뿐만 아니라 여진 세력과 나아가 동⋅서북면 지역에 영향을 미쳤고, 중개자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입장에서 고려 조정과 동일한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래 이성계의 가문은 대대로 원나라에 소속되었다가 고려에 투항했기 때문에 중앙 정계에서 변방인의 취급을 받아 왜구와 홍건적, 나하추와의 싸움에서 눈부신 무공을 세우고도 비교적 소외 되었으며, 이성계 본인은 자신의 출신 성분을 희석시키기 위하여 몽골 세력과의 전투에서 누구보다 열심히 싸워 공훈을 올렸다. 친명 정책을 표방하는 유생들이 이성계와 접촉했던 이유도 이러한 이성계의 처지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또한 당시 이성계는 동북면의 상당한 토지와 인구를 지배하는 일종의 반독립 세력이자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의 여진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성계의 위치를 단순히 고려 왕실의 신하로만 볼 수는 없었으며, 고려 왕실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추론해 볼 때 여말선초에 이르는 시기의 이성계는 고려와 원-명 사이에 위치한 복잡 미묘한 위치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성계의 배경으로 고려해 볼 때, 고려로 귀부한 이후에도 이성계의 입장은 고려 조정과는 다른, 오히려 함경도와 두만강 유역에 근거를 두고 강력한 군사, 경제, 지역적 기반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일국사적 시각에서 이성계를 바라본 것에서 벗어나 고려와 명 사이의 중간자 측면에서의 이성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고려·여진 지역사회와 그 지역에 분포했던 여진족은 이성계의 지역기반이자 친병으로서 조선 건국에 일익을 담당했고, 이는 조선 건국 이후에도 조선, 정확히는 조선 왕실과 여진의 관계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전까지의 비교적 느슨한 수직관계에서 건국 이후 왕조의 개창자라는 지위를 가진 이성계와 여진 지역사회의 관계는 수직적 위계질서로 재정의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왕자의 난과 이성계의 양위, 그리고 조사의의 난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후 태종에 의해서 다시 한 번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주제어: 이성계, 경계인, 여말선초, 여진족, 역사교육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rends of the communities of the Yalu River and the Tumen River,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Yi Sŏng`gye, and to redefine the Yi Sŏng`gye as a "borderer" in the beginning of the end of the year. These studies a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 Sŏng`gye within the scope of Koryŏ, and can be interpreted as a decision made by the group as a single person with a single identity of Koryŏ. This view does not explain the "borderly" personality of Yi Sŏng`gye in that it regards the Jurchen tribe and Yi Sŏng`gye, a type of anti-independent military force based on the Northeast as just a long-term Koryŏ Dynasty. At that time, Yi Sŏng`gye was not only influenced not only by Koryŏ but also by the aftershaves but also by the northwestern region of Dongnambu. Originally, Yi Sŏng`gye's family had been affiliated with the One Kingdom for generations but surrendered to Koryŏ, and was treated as an outsider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nd was left out despite the stellar performance in the fight against the Japanese, Hong Geon-jeok and Nahachu. Yi Sŏng`gye himself fought harder than anyone else in the battle against Mongolian forces to dilute his own origins. The reason why those living in Koryŏ who advocate reconciliation with the Ming Dynasty contacted Yi Sŏng`gye must have been due to this situation. In addition, Yi Sŏng`gye was not only a member of the Koryŏ royal family, but also a kind of anti-independence force that ruled the land and population of the northeastern region an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Jurchen Communities in Yalu and Tumen Riv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Yi Sŏng`gye Stream, which reached the end of the lunar calendar, was located in a complex location between Koryŏ and Won-Ming Dynasty. Given this background, even after returning to Koryŏ, Yi Sŏng`gye position will be related to a strong military, economic, and regional base based on the Hamgyeong-do and the Duman River basin,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Koryŏ Dynasty. In this paper, we will take note of this and look at the rational system from the middle point of view between Koryŏ and Won-Ming, instead of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al monolithic view. The Koryŏ and Jurchen communities and their families, which were both local and pro-Yi Sŏng`gye of the Yi Sŏng`gye family, were well-known in the Chosŏn Kingdom even after the Chosŏn Dynasty was founded, which was a factor of very close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the royal family of Chosŏn. Now, however, relations between Yi Sŏng`gye and Jurchen, who have been the founder of the dynasty since their foundation,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redefining vertical hierarchy. However, this relationship did not last long, and in the political turmoil that led to the prince's upheaval, the rank of Yi Sŏng`gye, and the difficulty of investigation, King Taejong later met the change again. Key Words: Yi Sŏng`gye, borderly, late Koryŏ, Jurchen, history education

      • 수치해석을 통한 저슬럼프 몰탈 그라우팅으로 보강된 복합지반의 침하량 예측을 위한 응력분담비 산정

        김명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에서 구조물의 기초보강 , 준설매립층의 연약지반개량, 항만계류시설의 건설을 위한 연약지반 보강등에 심층혼합처리공법 또는 고압분사공법등 다양한 공법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들은 교반날개와 고압수로 원지반을 절삭하고 시멘트 페이스트를 교란된 원지반과 교반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슬라임이 발생하여 주변지역의 환경오염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양식장 인근의 지방어항 또는 상수도 구역이 인접한 하천제방에서는 저슬럼프(S=5~7cm)의 몰탈을 지반의 절삭이나 교반없이 직접 지중에 강제주입하여 슬라임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배출방식의 저슬럼프 몰탈 그라우팅공법이 대안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때 보강후 침하량 산정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는 응력분담비가 기존 연구에는 제시되지 않아 설계자가 그동안 경험적 방법등에 의존하여 적용을 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슬럼프 몰탈 그라우팅공법으로 보강된 00 국제여객터미널 건설공사의 호안축조를 위한 연약지반의 침하량 파악을 위하여 연약지반의 보강심도를 5m, 10m, 15m로 변화시키고 그에 따른 그라우팅의 강도(8MPa∼12MPa)와 치환율(19.6%∼46.4%)을 달리 적용하면서 수치해석에 따른 연직변위량을 파악하고, 보강후 침하량 산정에 필요한 응력분담비를 산정하였다. 수치해석결과에 따른 응력분담비는 9.0에서 15.6까지 폭넓게 분포하였는데 대체로 보강심도가 깊은곳에 높은 응력분담비가 분포되는 반면 보강심도가 낮은곳에서는 낮은 응력분담비가 분포하였고, 고치환율보다 저치환율에서 높은 응력분담비가 분포하였는데, 이는 고치환율보다 저치환율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그라우팅의 응력부담이 증가하고, 낮은 보강심도보다 높은 보강심도에서 상부 응력에 대한 그라우팅의 응력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백서에서 Resiniferatoxin 열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명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저자는 백서에서 부신수질 절제, propranolol과 ruthenium red가 capsaicin 유사물질인 resiniferatoxin에 의한 열대사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열대사조절은 resiniferatoxin (50㎍/kg) 피하주사후에 30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결장과 피부에서 동시에 산소소비량과 온도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부신수질 제거후 1-4주된 백서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Propranolol(5mg/kg) 복강내 주사 시간은 resiniferatoxin 주사 30분전과 동시였고, ruthenium red(10m/kg)는 resiniferatoxin 주사 15분전과 45분후에 피하주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Resiniferatoxin(50㎍/kg s.c) 투여후에 산소소비량은 2봉성 반응을 보였다. 투여후 50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12.8±0.5mL/min/kg^0.75)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100분에는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300분 까지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Resiniferatoxin 주사후 결장온도는 2상성 양상을 보였는데 30분에 0.2℃씩 떨어졌으나 이후 상승하였다. 피부온도는 resiniferatoxin 투여 직후에 증가하여 50분에는 30.38±0.45℃까지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내려갔으나 300분 까지는 증가된 상태를 보였다. 2. 양측 부신수질 제거 백서에서 resiniferatoxin 대량 투여 때 2봉성의 열생산 반응 중 조기 증가 반응이 감약되었으며, 후기 증가 반응과 결장 및 피부 온도는 영향받지 않았다. 3. Resiniferatoxin에 의한 산소소비량의 증가는 300분까지 propranolol이 처치에 의하여 제거되었다. Resiniferatoxin에 의한 피부온도의 변화는 propranolol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았다. 피부온도는 40분에 30.4±0.8℃로 최고치를 보였다. 결장온도는 서서히 감소하여 50분에 36.0±0.2℃를 보였다. 4. Ruthenium red는 resiniferatoxin 투여후 각각 50분과 100분에 산소소비량을 14.7±0.8 과 14.9±0.5mL/min/kg^0.75 으로 증가시켰으나 처음 최고치 이후 산소소비량은 ruthenium red 투여에 의하여 14.3±0.6mL/min/kg^0.75 으로 감소되었다. 피부온도의 변화와 결장온도의 감소에는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결장온도의 증가는 140-160분 부터 최고치인 37.5±0.2℃로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resiniferatoxin에 의한 열대사조절이 부신수질과 말초부에 결합하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로부터 분비되는 카테콜라민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고 바닐로이드 수용체2(VN₂) 같은 열생산 억제계도 resiniferatoxin에 의하여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effects of adrenodemedullation and propranolol, ruthenium red on thermoregulation by capsaicin analogue resiniferatoxin were studied in male Wistar rats. Thermoregulation was observed by the measurements of oxygen consumption and temperature of colon and skin, simultaneously every 5 minutes for 300 minutes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resiniferatoxin(50ug/ kg). The rats were studied at one to four weeks after adrenodemedullation. Propranolol treatments were 2 times of intraperitoneal injections (5mg/kg) before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of resiniferatoxin injection. Ruthenium red(l0ug/k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before 15 minutes and after 45 minutes of resiniferatoxin inj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resiniferatoxin(50 μg/kg s.c.) administration, oxygen consumption showed double-peak response. It reached to the peak level (12.8 ± 0.5mL/min/kg ^0.75) at 50 minutes, then began to decrease. At 100 minutes, it began to increase and maintained elevated level till 300 minutes. After resiniferatoxin injection, colon temperature showed biphasic pattern ; it decreased by 0.21℃ at 30 minutes, and then increased. Skin temperature began to increase immediately after resiniferatoxin injection, reached to 30.38 ± 0.45℃ at 50 minutes. Then it decreased slowly, but maintained elevated level till 300 minutes. 2. After resiniferatoxin(50 μg/kg) administration in adrenodemedullated rats, oxygen consumption was reduced in early-increasing response of double-peak response but was not changed in late-increasing response. The temperature of colon and skin was not chaned after adrenodemedullation, too. 3. Increments of oxygen consumption by resiniferatoxin administration was abolished by the treatment of propranolol till 300 minutes. Changes of skin temperature by resiniferatoxin administration were not affected by propranolol (The peak level of skin temperature was 30.4 ± 0.8 ℃ at 40 minutes. The temperature of colon was slightly decreased to 36.0 ± 0.2 ℃ at 50 minutes). 4. Ruthenium red enhanced the increments of oxygen consumption to 14.7 ± 0.8 and 14.9 ± 0.5mL/rnin/kg^0.75 at 50 and 100 minutes after resiniferatoxin administration respectively while the decrement of oxygen consumption after the first peak was attenuated by ruthenium red treatment to 14.3 ± 0.6mL/min/ kg^0.75 at 70 minut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skin temperature and colon temperature. Elevation of colon temperature was enhanced to the peak of 37.5 ± 0.2℃ from 140 to 160 minu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mogeneses of resiniferatoxin may be caused by catecholamine secreted from the adrenal medulla and α adrenergic receptor binding in peripheral region, and inhibition system of thermogenesis such as VN₂ receptor system also may be involved by resiniferatox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