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영 충렬사의 수조도 병풍 연구

        김명삼 계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영 충렬사의 ≪수조도 병풍≫은 통제영이 있던 통영 앞바다를 배경으로 조선의 삼도수군이 대규모로 참여하여 기동항해전술인 첨자진형을 펼치는 광경을 연결된 하나의 그림으로 12폭에 그려 놓았다. 삼도 수군에서 참여한 대ㆍ소 전선의 수와 장졸, 군량미와 본영과의 거리 등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은 부두기는, 다른 종이에 따로 기록하여 그림 위에 붙여 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조도의 민화적 가치는 우리민족의 자긍심이 필요했던 시기에, 온 몸과 마음을 바쳐 나라에 충성한 이순신장군의 나라사랑하는 마음과 백성을 사랑하는 정신을 배양하고 고취할 분명한 목적과 뜻을 담고 그려진 것과, 전체 배경이 바다로 이루어진 가운데 실제의 사실에 근거한 조선 삼도 수군의 대ㆍ소전선이 모여 기동항해전술인 첨자진형을 펼치는 독특한 구도에 대한 회화적 해석에 있다고 할 것이다. 수조도의 조형적 특징은 순지에 오방색을 주색으로 구륵진채의 기법과 몰골법, 호초점과 피마준 등 다양한 운필법과 독특한 양식을 활용하여 그렸으며, 전체적인 구도는 부감법으로 나타내었고, 가깝고 먼 곳을 구분할 수 있는 원근법 대신 거리감을 두지 않는 평면적인 구도로 그렸으며, 주대종속법과 병치방식으로 중앙에 위치한 좌선을 부각시켰고, 평원법으로 육지와 섬을 표현하여 시원한 통영 바다를 부각시켰다. 여백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무한공간에서의 하늘과 바다로 생동감 있는 작품이 되었으며, 얼굴에서 보이는 미소와 긴장된 자세의 상반된 인물표현은 민화의 특징인 해학적인 효과를 강조하였다. 수조가 시작되기 직전의 상황과 수조가 종료된 직후의 상황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현함으로서 정지된 화면에서 시간의 흐름을 잡아내었다. 간명하고 대담하고 유쾌한 표현에서 민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애국심 고취를 위한 분명한 뜻을 담고 그려진 독특한 민화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인 구도와 배열, 풍부한 색상의 적절한 활용으로 뛰어난 작가적 기량을 지닌 정효현의 필력을 보여준 작품이며, 병풍겉면에 부착된 자수글씨로 송병문이 기증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aval Drill Picture Folding Screen> in Chungnyeolsa in Tongyeong is a picture drawn on twelve-panel showing the three provincial naval forces in Joseon Dynasty, in large scale with the open sea of Tongyeong at background, that spread a knife clasp battle array, a maneuver navigation tactics. Budugi, in which the number of great and small front of three provincial naval forces, soldiers, military provisions and the distance from headquarter are written in detail, was found out to be written on another paper before attaching it to the picture. The value of naval drill picture as a folk painting is that it has an explicit purpose and intention to nurture and inspire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of people of general Sun-sin Lee, who was loyal with his whole body and heart for the nation, at the time requiring self-esteem of country and people. It is also on the pictorial interpretation of the unique composition based on real fact in which the great and small front of the three provincial naval forces in Joseon Dynasty spread a knife clasp battle array, a maneuver navigation tactics, with the sea taking the entire background. The naval drill picture is characterized figuratively by various strokes of the brush and unique styles including Gureukjinchae that uses Obang colors as the main color on pure paper, Molgolbeop, Hochojeom and Pimajun; The bird's-eye view as for the entire composition; 2D composition without a sense of distance instead of perspective that enables distinguishing the far and near; the embossed Jwaseon at the center being juxtaposed with Judaejongsokbeop; Pyeongwonbeop that represents the land and islands embossing the grateful sea of Tongyeong. Active use of space made the work vibrant with the sky and sea in the infinite, and character expression of smile on the face and stiff posture that are balanced against each other emphasized humorous effect,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 Situations right before and right after the naval drill are represented on the same screen capturing the flow of time on suspended screen. Simple, bold and amusing expression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 that might be evaluated unique with clear intention to promote patriotism. Efficient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appropriate use of rich colors show the power of a brush stroke of Hyo-hyeon Jeong who holds the talent for excellent painter. The embroidered letters on the surface of folding screen confirm that it is contributed by Byeong-mun Song.

      • Microwave blanching을 利用한 綠茶의 製造

        김명삼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icrowave 에너지를 녹차 제조의 blanching에 이용함으로써 색깔과 영양면에서 우수하며, 한국인이 선호하는 구수한 맛도 나는 녹차를 제조하고, 이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화학 성분을 조사하였다. Microwave 차 (Microwave Blanched Green Tea, MBGT)는 덖음차(Pan-fire Blanched Green Tea, PBGT) 제조 공정 중 blanching하는 공정을 microwave oven (금성사, ER-687SF, 발진 주파수 2450MHz, 서울)을 이용하여 60초간 blanching하여 제조하였다. 효소의 불황성화를 위한 microwave blanching은 60초 동안 실시하였다. 수분, 전질소, 회분, 가용분과 caffeine의 함량은 microwave 차(MBGT)와 덖음차(PBGT)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tannin의 함량은 PBGT보다 MBGT가 약간 많았고, Ascorbic acid와 chlorophyll은 PBGT보다 MBGT가 훨씬 덜 파괴되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PBGT보다 MBGT가 더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Glu. 등 9종이 MBGT보다 PBGT가 많았고, Val. 등 2종은 PBGT보다 MBG가 많았으며, Leu. 등 6종은 PBGT와 MBGT 간에 별로 차이가 없었다. 색차는 MBGT가 PBGT보다 밝은 녹색을 띄었다. Color, flavor, taste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MBGT와 PBGT에서 모두 유사한 기호척도 값을 나타내었다. Microwave를 blanching에 이용하여 녹차를 제조하였을 때,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색과 영양가가 좋으면서 구수한 맛도 내는 녹차를 제조할 수 있었다. Microwave blanching을 실제로 녹차 제조의 연속 공정 중에 실시하는 방안을 앞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덖음차 제조 공정 중 건조 공정에도 microwave 에너지를 이용하는 실험도 좋은 과제가 될 것 같다. A green tea product was manufactured using microwave blanching instead of pan-fire blanching in parched green tea manufacturing process.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compared between two kinds of parched green tea, manufactured using microwave blanching and pan-fire blanching. Microwave blanching time was determined in green tea processing for 60 sec. Moisture, ash, soluble extract and caffeine contents were similar between microwave blanched green tea (MBGT) and pan-fire blanched green tea (PBGT). Total nitrogen and tannin contents were little higher in PBGT. Ascorbic acid contents of MBGT and PBGT were 411.81±10.82 mg/100g, 329.68±5.91 mg/100g. Chlorophyll contents of MBGT and PBGT were 366.19±3.19 mg/100g, 325.58±4.77 mg/100g.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MBTG than in PBGT. Free sugar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MBGT than in PBGT.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were little different and mineral cont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products. In green tea color, MBGT was more greenish than PBGT. Sensory evaluation on color, flavor and taste was not shown differently between two products. Using microwave blanching in green tea processing would save processing time and retain more green color and nutritional quality.

      • 유동과 음향 특성을 고려한 흡입 머플러 최적설계

        김명삼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위상/형상 최적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투과 손실과 낮은 압력 손실을 갖는 흡입 머플러 내부의 형상을 설계했다. 이를 위해, 위상 최적 설계로 얻은 최적 위상을 초기 형상으로 사용하여 형상 최적 설계를 수행하는 2 단계 설계 기법(2 step design process method)을 정립했다. 위상 최적 설계 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유동과 음향 위상 최적 설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최적의 유로와 격벽 배치를 갖는 위상을 얻는 방법을 결정했다. 보다 우월하다고 판단된 순차적 유동/음향 위상 최적 설계의 결과에서는, 유로의 아래에 있는 설계 영역에서만 공명기 구조의 격벽이 생성됐다. 이 최적 위상의 투과 손실 곡선은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만 갖았다. 따라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투과 손실 값을 갖도록 설계하기 위해서, 유로의 아래에 있는 설계 영역을 세 개로 분할했다. 분할된 각 설계 영역에 대해 음향 위상 최적 설계를 진행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피크 투과 손실 곡선을 갖도록 설계했다. 이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된 흡입 머플러의 초기 형상에 대해 형상 최적 설계를 진행했다. 이번 방법으로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투과 손실 값을 갖도록 설계된 2 차원 흡입 머플러의 내부 형상을 3 차원으로 확장해 최종 설계를 마무리했다. 이렇게 설계된 3 차원 흡입 머플러도 목표 주파수 범위에서 목표한 값보다 높은 투과 손실 값을 갖고, 허용한 값보다 낮은 압력손실 값을 갖게 됐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흡입 머플러 설계 방법은 설계자의 경험과 직관은 배제하고 위상/형상 최적 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에, 향후 유동과 음향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음향 장치 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an optimized design with high transmission loss and low pressure drop under actual flow conditions is presented over a wide range of target frequencies for suction mufflers. As an optimization method, an initial shape is obtained through topology optimization design. The shape optimiza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initial shape obtained through the topology optimization design to obtain a shape that can be made. Two methods are proposed as topology optimization design methods considering flow and sound. First, a topology optimization design considering flow-acoustic simultaneously, and second, a topology optimization design considering flow-acoustic sequentially are presented. The shape obtained by the two methods has the limit of having a high transmission loss only at the target frequency. Therefore, the design domain is divided, and the target frequency is different for each domain, and until these shapes are obtained within the target frequency range, the designer's intuition is eliminated and only the optimal design is performed.

      • 消費者의 廣告訴求點 認識에 관한 硏究 : 雜誌廣告를 中心으로

        김명삼 檀國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result of the industry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is increasing for the marketing activity. Especially, the magazine of the most important 4 media(Radio, T.V., Newspaper, magazine) takes a heavy portion. All advertisers (or agency) want to be understood the appeal points of advertising by consumer as much as possible. However, it is not easy that a consumer understands the appeal points from general advertising. Usually, we can find two kinds of advertising ; one is the image advertising, and the other is the product advertising for the more detail explanation about products. In the case of magazine advertising, I assumed that the product advertising is better than the image advertising. The reasons are those ; the intention of advertiser's (or agency) feeling about image may be different with consumer's feeling according to consumer's wealth, education, characteristics, background, etc. By the way, the product advertising can propagate general informations about products that the intention of advertiser(or agency) can be understood to consumer. As a result of a public-opinion research about consumer attitude for advertising activity, it was pointed out the lacks of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of products, and the lacks of credibility and reality for advertising. In the future, the advertisers (or agency) have to make advertising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items for advertising. 1. The contents for consumer's benefit. 2. The credibility information about product. 3. Positive copy. 4. Appeal to public. 5. Control the over acting. 6. Nationalism. 7. Simplication. From above result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 advertising functions is communication by consumerism. After that, the remaining functions of advertising should be followed. Consequently, the advertising must be made by consumerism for both benefits of advertiser (or agency) and consumer through continuous efforts of advertisers (or agency).

      • 치과 엑스선 촬영용 다이나믹 팬텀

        김명삼 순천향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방사선 관련 학과에서 치과 엑스선 촬영 교육 시 인체와 동일한 촬영조건을 갖춘 다기능 치과 팬텀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우선 엑스선에 대하여 동일한 흡수 및 산란 특성을 가진 인체 연부조직 및 뼈조직 등가 물질 개발하였다. 개발된 인체 연부 조직 및 뼈 조직 등가 물질을 사용하여 치과방사선 촬영 교육용 팬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팬텀은 파노라마 촬영, CBCT 촬영, skull 일반촬영을 한 후 구강 내 과학을 전공한 검사 자 2명이 영상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팬텀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영상 평가를 하였다. 파노라마 촬영은 해부학적 부위별 (Zygomatic arch, Pterygomaxillary fissure, Pterygoid plate, Orbit, Infraorbital foramenm, Maxillary sinus, Ethmomaxillary plate, Inferior turbinate, Nasal septum, Anterior nasal spine, Mandibular canal, Hyoid bone, Soft palate, Air way, Ear lobe, External auditory meatus, Hard palate)로 영상 평가를 하였다. CBCT 촬영은 치아의 구조와 인공물 유무, skull 일반촬영은 해부학적 구조와 인공물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일치도 분석 결과 모든 해부학 부위에서 팬텀이나 정상인의 영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텀 영상은 해부학적으로 묘사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CBCT 영상에서도 모든 해부학 부위에서 팬텀이나 정상인의 영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텀 영상은 해부학적으로 묘사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그리고 skull 일반촬영 영상에서도 모든 해부학 부위에서 팬텀이나 정상인의 영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텀 영상은 해부학적으로 묘사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결론 : 팬텀 개발을 통해 피교육자의 엑스선 피폭이 없이 자유롭게 실습을 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국민건강 및 방사선 피폭선량 경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lti-functional dental phantom with the same conditions as the human body in the radiology related department. Subjects and Methods: First, we developed a human body tissue and bone tissue equivalent material with the same absorption and scattering characteristics for X-rays. We developed a phantom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the developed soft tissue and bone tissue equivalents. The developed phantom was used for panoramic radiography, CBCT and skull radiography, and two examiners in the dentists who did not know the image information were used for the phantom and the normal person. The panoramic images were evaluated for each anatomical parts (Zygomatic arch, Pterygomaxillary fissure, Pterygoid plate, Orbit, Infraorbital foramenm, Maxillary sinus, Ethmomaxillary plate, Inferior turbinate, Nasal septum, Anterior nasal spine, Mandibular canal, Hyoid bone, Soft palate, Air way, Ear lobe, External auditory meatus, Hard palate). The images of the CBCT was evaluated by the anatomy of the teeth and artifacts, and the general radiography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artifacts. Results: Analysis of the agreement on the panoramic image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s of the phantom or the normal person in all the anatomical reg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hantom image has an excellent anatomical description. In CBCT ima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s of phantom or normal in all anatomical reg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hantom image has an excellent anatomical description. In skull radiograph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s of phantom or normal in all anatomical reg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hantom image has an excellent anatomical description. Conclu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Phantom,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the national health and radiation exposure doses by freely practicing without X-ray exposure of train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