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中 同素逆序語의 意味 연구

        김매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融通-通融' '下落-落下' 등과 같은 2음절 同素逆序語에 대해 그 기초적 구조를 바탕으로 특히 의미특성에 주목하여 의미 차이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韓中 同素逆序語의 기원을 중국어 기원, 일본어 기원, 한국어 기원으로 나뉘어 살펴보았는데 대부분 중국어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인다. 대응양상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대사전에서 나타나는 2 : 2 (강하/하강-降下/下降), 2 : 1 (이득/득리-得利), 1 : 2 (관문-關門/門關), 1 : 1 (획책-策劃)의 양상으로 해석하려고 하였다. 여기에서 중국어와 다른 형태를 취하는 逆序語의 양상이 흥미로운 부류인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중국에서 逆序語가 존재하다가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 일본 한자어의 영향, 한국에서 만든 한자어의 영향 卽 目述構成, 습관의 차이 등이다. 본고의 핵심인 韓中 同素逆序語의 의미 대조에서는 同義, 轉移, 變異로 나누어 의미차이를 밝히려고 하였다. 同義는 87쌍의 同素逆序語 중에 가장 많고 병렬구성이 많으며 두 어소가 서로 보완하면서 그 逆序語의 의미도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구체화-추상화, 전체-부분, 上昇-低下에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에는 連結形으로 된 同義字, 類義字, 反義字로 구성된 逆序語, 의미가 동일한 逆序語, 類義관계의 逆序語 卽 指示對相이 서로 다른 경우로 나타난다. 轉移에서는 의미의 擴大와 縮小로 나누고 한국과 중국에서 轉門用語에 사용한 것 (示顯-顯示), 서로 다른 比喩를 한 것 (時報-報時)과 관련되며, 한자의 多義性 (言語-語言), 서로 다른 指示對相의 차이 (菜蔬-蔬菜) 등 4가지 원인으로 보았다. 變異로 된 이 부류의 단어(亡身-身亡)들은 少數를 차지하는데 주로 한국에 漢字를 읽히는 가운데서 자신이 편리한 구조방식을 취하거나 알맞은 뜻을 취하는 것인데 중국기원인지 일본어의 영향인지 아니면 한국한자어인지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자세한 검토가 필요하며 이것은 어느 한 개인이 하기에는 부족하며 필자가 한계를 느끼는 부분이기도 하다. 韓中 同素逆序語 의미 연구는 민족지간의 언어교류와 문화교류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며 중국어 학습자나 한국어 학습자에게 모두 필요한 부분이며 흥미 있는 부분이다.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한자의 다의성, 의미의 추상화, 외국어의 영향, 언어 차용국의 보수성에 의하여 한국과 중국에 의미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借用國의 차용 당시의 의미를 계속 유지하려는 경향과 중국이 白話文으로 바뀌면서 의미상으로 많은 개혁을 한 것이 주되는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diffidences of meanings based on the basal structures and the semantic features of inverted morphemes that has two syllables, like, “融通-通融”,“下落-落下”. I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ry to classify their origins based Chinese, Korean and Japanese. I found most of them are from China as their origin. I also tried to classify the existence of the inverted words in modern Korean and Chines dictionary as 2:2(하강/강하-下降/降下), 2:1(이득/득리-得利). Interesting words are existing only in Korean and that inverted forms of words are not found in Chinese. These kind of words can be explained as one forms of word has been disappeared in Chinese that had in Chinese originally, the forms made in Japanese or the forms affected from the structures of Korean as "object-predicate order" or from the diffidences of language custom. Korean and Chinese "inverted morpheme" is composed of "synonymy, transfer, variation" three parts. Making the meaning’s difference known in their meaning’s contrast is just the core of this essay. In this essay there are about 87 pairs of inverted morpheme to be researched. In the part of synonymy I will research 28 pairs and this part is the biggest part in the whole essay. Parallel structure is composed of two phonemes and two phonemes supply each other. And the inversion’s meaning does not get big change. For example, concretion-abstraction, entire-part, commendatory- derogatory. In this essay, inversion is composed of " synonym, antonym". The same meaning’s inversion and the resemble meaning’s inversion and object showed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part of transfer is composed of two parts namely meaning’s enlarging and reducing. In Korean and Chinese inversion there are 4 kinds of reasons, namely term being different (示顯-顯示),comparison being different (時報-報時), Chinese words being multi-vocal(言語-語言),object showed being different(菜蔬-蔬菜)etc. In the part of variation, for example (亡身-身亡), the words that will be researched in this essay is the shortest part. Because Chinese character in Korean has changed original meaning and created the new structure and meaning, however, that the origin is from Chinese, Japanese or Korean must be researched carefully. But this part is not researched carefully in this essay. So it is a pity. The meaning’s researches of inverted morpheme in Korean and Chinese supply a big help for Chinese learner and Korean learner and make a big action for language and culture’s intercommun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Chinese character’s multi-vocal character , meaning’s abstraction, foreign languages’ affect and country ‘s conservation, we can see the meaning’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But in my opinion,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 countries who cite the Chinese character want to keep the origin meaning but Chinese is getting simple and getting a lot of change in the meaning. 本論文要硏究的是韓國語和中文中像“融通-通融”,“下落-落下”等,這樣兩音节的同素逆序語。以及把同素逆序語的基礎形構造作爲基礎,特別是着眼于他的意義特性,來了解成分分析法和頻率的意義差異,倂把這些作爲本論文的硏究目的. 先討論一下先行硏究,韓中同素逆序語的起源可以分爲中國語起源,日本語起源,韓國語起源,但是可以看出大部分都是從中國語中開始的。在對應的形式上,也想以韓國語和中國語的現代字典中所出現的2:2(降下-下降),2 : 1 (이득/득리-得利), 1 : 2 (관문-關門/門關), 1 : 1 (획책-策劃)的形式來進行分析. 在篇論文中,中國語和其他形態所運用的“逆序語”形式是一種非常有趣現. 但是這種現象出現的原因是因爲在中國語兩個逆序語中的一個慢慢消失,又受到日本漢語字的影響,還是受到韓國語漢字本身的影響,即“賓謂構成”及習慣上的差異. 韓中“同素逆序語”可以分爲“同義,轉移,變異”,在他們的意義對比中來了解意義的差異性是本論文的核心部分. 在本論文中所要硏究的“同素逆序語”大約有87對, “同義”部分出現最多. 倂列構成兩個語素互相補充,逆序語的意義也几乎沒有變化,例如:具体化—抽象化,全体-部分,褒義-貶義。在這里,逆序語的組成形式可分爲“同義字,類義字,反義字”. 意義相同的逆序詞,意義相近的逆序語,及所指示的對象互相不同。在“轉移”這部分,可以分爲意義的擴大和縮小. 韓國語和中國語中,可分爲使用的述語不同(示顯-顯示),比喩的不同(時報-報時),漢字的多義性(言語-語言),指示對象的不同(菜蔬-蔬菜)等四種原因。“變異”這部分,例如:詞語(亡身-身亡),在本論文所要硏究的詞彙中占少數部分,主要是因爲韓國語中的漢字改變了原有的意義,采用了适合自己使用的構造方式和意義,然而是中國語起源,是日語起源還是韓國語起源還需要按時代進行全面性的硏究,本論文對于這部分略顯不足是個遺憾的部分. 韓中語中的“同素逆序語“的意義硏究,爲中文學習者和韓國語學習者提供了幇助,對于促進民族之間的語言交流和文化交流也起到了積極的作用。根据漢字的多義性,意義抽象化,外國語的影響,語言借用國的保守性等方面可以看到韓國語和中國語的意義差異,就本人的硏究看來,最主要的原因是借用國想保持當時的意義,而且中國語逐漸變化成白話文同時在意義上也做出了很多的改革。

      • VECM과 ARIMA를 이용한 북경 인플레이션 예측력에 관한 비교연구

        김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의 물가수준은 2011년에 겪은 마지막 인플레이션 이후 연속 몇 년 동안 안정된 추세를 보였으나 2011년 인플레이션 유발 요인은 여전히 남아 있고 지금까지도 중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년 중국의 물가수준은 그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인플레이션율이 합리적인 구간을 벗어나게 되고 중국은 또 다시 인플레이션을 겪을 수 있게 된다. 북경은 중국의 경제 문화 중심인 동시에 중국 경제 정책 실시의 첫 시범 대상 지역이므로 북경지역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것은 중국 물가 안정정책의 수립에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플레이션 발생을 미리 예측하기 위해 2006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의 북경지역 소비자 물가지수 및 각 거시 경제 변수를 이용하여 벡터오차모형 및 ARIMA모형을 추정하였고 두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여 VECM모형을 최적 예측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벡터오차수정 모형의 실증분석에서 각 변수들의 안정성을 검정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을 하여 모든 변수가 I(1)과정의 변수임을 알았고 각 변수들의 장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적분 검정을 하여 각 변수들 사이에 1개의 공적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비자 물가지수와 거시경제변수들에 대해 인과관계 검정을 한 결과 통화 공급량(M2)과 외화보유액(FER)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Granger 인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ECM모형 추정 결과 각 변수들은 소비자 물가지수와 정(+)의 관계를 가지며 충격반응함수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 결과로부터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통화 공급량(M2), 구매자물가지수(PPIRM), 외화보유액(FER)의 충격에 개선되는 반응을 보이고 12기에 구매자 물가지수, 외화보유액, 통화 공급량의 순서로 소비자 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북경의 인플레이션은 구매자물가지수, 외화보유액, 통화 공급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본 연구에서 선택된 거시경제변수들은 인플레이션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북경 인플레이션을 개선하기 위해 통화 공급량을 줄이고 외화보유액을 감소시키며 원자재의 생산 가격을 하락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China's price level has remained steady for several consecutive years since its last inflation in 2011, but the inflation-triggered factor in 2011 has not been completely eliminated and continues to influence China’s economic situation. In recent years, the price level of Chin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If this phenomenon continues and goes beyond a reasonable inflation interval, China can afford to suffer inflation again. Since Beijing is the economic and cultural center of China and the first pilot area of China's economic policy implementation, and predicting inflation in Beijing is of great significance in determining China's price stability policy. This study estimated the vector error model and the ARIMA model using the Beijing CPI and macroeconomic variables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16 in order to forecast the inflation of China in advance. And the VECM model was selected as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e unit root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tability of each variable, and it was found that all the variables were I(1) process variables and the co-integration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long-term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causality test on the CPI and macro variables, the Broad Money(M2) and the Foreign Exchange Reserve(FER) are attributed to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VECM results show that each variabl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PI.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f impact function and forecasting error decomposition, the CPI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impact of the Broad Money (M2), purchasing price index of raw material (PPIRM), and Foreign Exchange Reserve(FER). In the 12th period, the purchasing price index of raw material, the foreign currency reserves, and the broad money were influenced by the consumer price index. As a result, inflation in Beijing is seen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purchasing price index of raw material, foreign currency reserves and broad money,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infl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Beijing inflation rate, it is necessary to decrease broad money and foreign exchange reserve, improv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 한·중 부사어의 대조 연구

        김매 창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conduct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dverbials and Korean adverbials and the impact on the meaning of sentence if the distribution of adverbial chang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nese adverbials and Korean adverbials have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ore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Korean and Chinese adverbial are both before predicate and modify predicate, and arbitrary and necessary.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 Chinese adverbials and Korean adverbials both have a variety of words to act as and express a variety of meani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rresponding relationship, not all the Chinese adverbials and Korean adverbials have one-to-one relationship. The study on the correspondence problem of Chinese adverbials and Korean adverbials shows that, the Chinese adverbials which can act as Korean adverbials are adverbials of time, adverbials of place, adverbials of degree, adverbials of state, and adverbials of manner, while the Korean adverbials which can act as Chinese adverbials are adverbials of time, adverbials of place, adverbials of manner, and adverbials of result.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adverbials and predicates indicates that Korean adverbials’ patter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predicates. On the basis of translation, Chinese adverbials can act as adverbials,predicates, objects and attributives in Korean. From the view that the position changes of adverbials on affect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e know that modal adverbs and time adverbs can be adverbials in a sentence. The adverbs which can be adverbials in a sentence are mainly to express the ideas and attitudes of a speaker and to emphasize it. Adverbial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redicates. Mainly, it relates to the meaning of the adverbial. If the adverbials have a distance with the predicates, the adverbials will lose dependence. Therefore, the adverbials can not change their positions randomly.

      • 유아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김매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의사소통의 수준, 능력 및 방법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 향후 다문화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교육경력등)에 따라 다문화가정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유아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 교사 - 다문화가정 학부모 간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유아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유아교사 26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것을 제외하여 최종 209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 간 의사소통 능력을 알아본 결과, 연령에서는 31-36세(M=97.75, SD=9.01)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경력도 11-20년(M=96.50, SD=8.15)의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과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게 분석되었다. 유아교사의 해외경혐과 다문화가정 유아 담임지도 경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교육 연수경험이 11회 이상(M=102.50, SD=13.46)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지도경험이 6-10명(M=99.57, SD=10.28)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중언어강사 협력수업경험이 2년((M=111.33, SD=.58)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인 중 다문화가정있는(M=94.70, SD=8.86)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 교사-학부모간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감수성은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감수성과 공감능력 (r= .490, p<.01), 다문화감수성과 의사소통 능력 ( r= .405, p<.01),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r= .485, p<.01)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간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간 의사소통 능력 전체에는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이 두 가지 변인으로 유아교사의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간 의사소통 능력 전체를 27%(F = 38.49, p < .001) 설명하며 이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교사-다문화가정 학부모간 의사소통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변인인 집중능력, 이해와 해석 능력, 분석과 평가 능력, 반응능력, 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해 보았는데,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이 두 가지 변인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변인 집중능력을 20% (F = 50.74, p < .001), 이해와 해석 능력을 20% (F = 24.70, p < .001), 분석과 평가 능력을 20%(F = 26.44, p < .001), 반응능력을 26% (F = 36.12, p < .001), 기억능력을 27% (F = 21.08, p < .001) 다섯 하위변인 모두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을 다문화시대에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보고 다문화가정에 대한 의사소통 연구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다문화사회에서 실제적인 교사의 교육 및 연수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사소통 관련 연구가 후속 연구과제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variables that aff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ents of an infant teacher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to analyze how th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are related to the level, ability and method of communi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The research issue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kills with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etc.)?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of infant teachers,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ability between teachers -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a teacher's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y on communication skills among parents of a teacher-multicultural family?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60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based in Seoul, and analyzed the final 209 students, excluding insincere or mis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a program called SPSS Ver. 21.0. The findings analyzed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background change of an infant teacher,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31-36 age group (M=97.75, SD=9.01) child teachers, and the highest recognition of an infant teacher of 11-20 years (M=96.50 and SD=8.15). The higher the age and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skills we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 teacher's experience in overseas minor and multi-cultural children's hom In addition, more than 11 training experien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102.50, SD=13.46) were the highest, while 6-10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experience in mentoring their students (M=99.57, SD=10.28) were the highest. Two years of experience in collaborative classes with dual language instructors (M=111.33, SD=).58) The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was the highest. Among acquaintances, M=94.70, SD=8.86) showed a high awarenes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of infants. Secon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eacher-school parents showed that multicultural sensi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Multicultural sensitivities and empathy (r= .490, p p)01), multicultural sensitiv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r= .405, p p)01),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r= .485, p<).01) There has bee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after studying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among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27% (F = 38.49; p001), and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the same as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paren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In the past, there are two variable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20% (F = 50.74, p <.001), 20% (F = 24.70, p <.001), 20% (F = 26.44, p <.001), and 26% (F = 36.12, p.001), and 21% (U.F) of the ability to respond. In this study, the ability of infant teachers to sensitize and empathize with multiculturalism was regarded as the ability of infant teachers in the multicultural era and showed positive effects in the communication study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based on this, actual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more systematically. Such communication-related studies could be presented as a follow-up project.

      • 한·중 의성어 대조 연구

        김매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일상 언어생활에서 의성어를 자주 사용한다. 의성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물 혹은 사람과 자연현상의 소리를 더욱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다. 의성어는 다른 어휘들과 달라 묘사하는 대상의 소리를 아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생동감 있고 형상적으로 느껴지게 한다. 의성어로 표현된 문장은 일반 형용사나 부사로 표현한 문장보다 더욱 효과적인 수사 효과를 낼 수 있다. 한자어와 외래어가 많이 유입되면서 고유어인 의성어는 한국의 소중한 언어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의성어는 외래어의 침투를 거의 받지 않았고, 외국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특이한 어휘 부류이다. 또한 의성어는 사전에만 등재된 화석화된 어휘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살아있는 어휘 범주임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의성어를 전체적으로 살펴 볼 때 우선, 양적으로 한국어의 의성어가 중국어의 의성어 수에 비해 훨씬 많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체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어는 소리 자체를 그대로 기록할 수 있는 소리글자이고 중국어는 기본적으로 뜻을 표기하는 글자로서 소리를 기록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아 의성어가 입말에만 머물러 존재할 수밖에 없다. 한국어의 의성어에 비해 중국어는 방언 차이도 심하기 때문에 입말 수준에만 머무르는 의성어는 아직 구체적인 통계로 잡히지 않는다.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 사이에는 음운적, 형태적, 문법적인 차이점이 많아서 한국인이 중국어를,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많은 어려움에 직면한다. 심지어 고급 수준의 외국어 학습자들도 그 나라의 언어특징과 문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의성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는 외국어 교육에서 문장 구성에 있어 필수요소가 아닌 의성어는 그간 소외되어 왔기 때문이다. 아직 의성어를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데 필요한 교재나 공구서가 없는 것도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한·중 의성어를 학습하거나 자국어로 번역할 때 우리는『한·중 대사전』이나 『중·한 대사전』을 주로 참고한다. 그러나 똑같은 “칙칙폭폭” 소리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哧哧”,“噗噗”,“隆隆”,“突突” 등의 다양한 어휘들로 대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자에게는 많은 혼란을 초래하게 한다. 따라서 양국의 의성어를 대조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문학작품 감상능력, 그리고 번역능력 등 종합적 언어능력을 제고시키는데 중요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이상의 인식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에 수록된 의성어를 수집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의성어의 구성적 특징과 상호대응 분석, 의성어 번역에 있어서의 효과적인 방법 등을 전면적으로 고찰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먼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대조를 위한 연구 내용과 범위, 방법을 결정하고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의성어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양국 의성어의 품사범주를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구성적 특질을 음절수에 따른 특징과 단어형성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한 후, 의성어가 명사로 되는 경우, 동사로 되는 경우, 형용사로 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대조한다. 제4장에서는 한·중 의성어를 의미에 따라 동물에 관한 소리, 자연현상에 관한 소리, 사물에 관한 소리로 분류한 후, 최소 단위를 중심으로 대응시켜 본다. 제5장에서는 한·중 의성어의 번역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의성어 번역방법론을 제시한다. 의성어는 개념적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수사적 표현 기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이론서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하여, 의성어가 많이 사용되는 생동감 있는 텍스트인 아동소설작품을 텍스트로 선택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한·중 번역을 위한 단초를 제공할 목적에서 시작하였지만, 필자의 역량 부족으로 번역학적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기보다는 그를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의 한·중 의성어 대조에 초점을 맞추었다. Onomatopoeia is often used in our daily life. Using onomatopoeia can express objects, people, sounds of nature more lively. Different from other words, onomatopoeia can express sounds so instinctively that people can feel more lively. Compared to sentence espressed in adverb or adjective, sentence expressed in onomatopoeia can show formula effect. Using onomatopoeia makes expression more concrete and descriptive, so that people can know the sounds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introducing of foreign words and chinese language, as the native language onomatopoeia will be valuable language assets. Onomatopoeia is not nearly effected by foreign words and is the special part difficult to translate. Also it would be noticeable that onomatopoeia isn’t fossilized words listed in the dictionary, and it is produced everyday and continually generated words. Overall korea and china two countries, in a quantitative respect, korean onomatopoeia is more than chinese onomatopoeia. It is because the phonology of korea and china is different. In korea, the letter can be wrote just as sound itself, and in china, the letter are wrote following the meaning so that writing as sound would be restricted. Compare to korean onomatopoeia, china exists many different dialects, so there is not yet exact statistics about onomatopoeia in china. Studying foreign language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many phonological, morphological, grammatical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Even the advanced learners would be feel difficult if not understand the countries language features and culture. It is because the onomatopoeia that’s not the essential elements of sentences was isolated due to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focused on communication. It is inconvenienced by not having dictionary for studying onomatopoeia. When studying korean onomatopoeia and chinese onomatopoeia, we can refer to 『Korean-Chinese Dictionary』 or 『Chinese-Korean Dictionary』. But the sounds like “ChikChik PokPok(칙칙폭폭)” translated in chinese were “Hehe(哧哧)”, “Pupu(噗噗)”, “Longlong(隆隆)”, “Tutu(突突)”. That would be cause confusing between the leaners. Through comparing two counties onomatopoeia and finding out the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feature, so hope to be a good reference to increase capacity like expressiveness, listening skills, translation ability of advanced leaner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paper collects the onomatopoeia listed on representative korean and chinese dictionaries, and reviews the configuration features of korean onomatopoeia and chinese onomatopoeia and the mutu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the method of translation. The paper’s construction is below. In introduction, clarity the purpose and necessity, settle research content and scope, method, and review about prior researches. In chapter 2, introduce about basic concept of onomatopoeia and review about word class of two counties onomatopoeia. In chapter 3, compare two countries onomatopoeia’s features of construction and number of syllables. Specially focus on onomatopoeia as noun, verb and abjective. In chapter 4, categorize korean-chinese onomatopoeia in the sound of animal, nature, object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compare in the minimum unit. In chapter 5, through the translation example present the method of translation about onomatopoeia. Onomatopoeia doesn’t convey conceptual meaning and is using for developing semantic representation function, so it can’t be find in the theoretical books giving informations. For such reason this paper selected lively text as children’s novels to proceeding discussion. This paper’s finally purpose is to offer clues of korean-chinese translation. But rather than discusses about translation, it focuses on comparing of korean-chinese onomatopoeia as the foundation work of translation.

      • 외국인 고용제도의 경로의존성에 대한 연구

        김매 서울産業大學校 IT政策專門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국에 저숙련 외국인력이 취업 목적으로 본격격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이다. 한국 노동시장의 단순기능인력에 대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1991년에 해외투자기업에 대한 상업기술연수생제도가 도입되고, 오랫동안 저숙련 외국인력을 '근로자'가 아닌'연수생'신분으로 활용하는 것이 한국의 저숙련 외국인력에 대한 정책방향이었다. 그러나 외국인근로자 관리체계에 있어 투명성이 부족하여 인권침해 등 문제로 인해 연수생이탈, 불법취업자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국내 노동시장의 왜곡현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한국정부는 뒤늦게, 즉 3003년 7월 31일에 국회에서「외국인근로자의 고용허가 등에 관한 법률」이 의결되고 2003년 8월16일 공포됨으로써 2004년8월17일부터 외국인 고용허가제도가 시행하게 되었다. 과거 산업연수제로부터 출발하여 현재 고용허가제도 도입 및 병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제들 인해 변화했지만, 근본적인 바꾸는 혁신적인 변화는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흠결이 없는 완전한 제도를 현실에서 기대할 수는 없겠지만, 지속적인 제도변화 가운데에서 근본적인 문제점, 즉 불법체류자문제, 인권침해문제 등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악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국은 외국인 고용제도 변화에 관여하고 있는 당사자들(조직)의 경로의존성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근본적으로 혁신적인 제도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에 본 연구의 핵심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로의존이라 개념을 이용하여 한국에서의 외국인고용제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원인변수, 즉 제약요인은 무엇이며, 제약요인에 따라서 추구되는 외국인고용제도의 유형은 어떠한 것인지는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원인변수는 행위자간의 관행, 즉 80년대 후반 이주노동자가 유입되기 시작한 시기부터 제도가 형성되고 변화되어 현재의 외국인 노동자 제도 "고용허가제"까지 외국인노동제도의 형성과 변화과정에서의 이해관계집단들의 외국인력에 대한 관행인 인력 활용행태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정책 부재상태의 미등록노동자의 유입시기(1987-1990)부터 산업기술 연수제(1991-1997), 연수취업제도 및 취업관리제(1998-2003), 고용허가제(2004-2005.6월)까지 4단계 시기별로 구분한 기간이 시간적 범위가 된다. 첫째, 산업기술연수제도조차 만들어지지 않았던 당시에는 국내 3D업종의 중소기업의 인력난 긴급 해소책으로서 외국인 고용제도는 그 수단이 된 것이며, 이것이 그 당시에 외국인 고용제도에서의 비공식적 제약요인으로서 외국인력에 대한 최초의 '관행'이며 경로의존성으로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산업기술연수생제도이다. 이 시기에도 정상적인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내지는 '고용' 문제의 해결이 아닌 임시처방책으로서의 외국에서 '근로자신분'이 아닌 '연수생 신분'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모집한 후에 국내에서는 '연수'가 아닌 '근로자'로 적용한 결과 여러 가지 문제들, 불법체류, 외국인 노동자 인권침해, 임금체불, 산재문제 등이 증가하는 외국인산업연수생제도의 모습이 되었으며, 비공식적 제약요인으로서 외국인력에 대한 '관행'이 경로의존성으로 작동하게 된 것이다. 셋째, 연수취업제도와 취업관리제시기이다. 산업기술연수제도를 보완한 연수취업제도는 기본 연수기간 2년을 만료한 자에게(후에는 1년으로 조정) 1년 동안 취업을 허용한다는 것이고, 또한 이 제도를 확대 보완하기 위해서 외국국적 동포를 대상으로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만 취업활동을 허용한다는 취업관리제의 내용 중에는 일반대상자와 특별대상자로 구분하고 있다. 결국은 산업기술연수생 제도에서 한 걸음 진일보 하였다고 하지만, 연수취업제도와 취업관리제 역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근본적인 노동정책으로의 접근이 아닌 '연수생' 개념이 여전히 근저에 자리하는 '관행'이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가 있으며, 산업기술연수제도에서 연수취업제도와 취업관리제로의 제도변화에 있어서 경로의존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고용허가제시기이다. 고용허가제를 실시하기는 하지만 산업연수생제도를 병행하고 있으며, 오히려 그 근본은 산업연수생제도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정상적으로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 노동자들조차도 억울하게 피해를 보게 되는 일조차 발생하고 있으며,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 노동자조차도 불법체류자로 전락하게 되는 악·폐습까지 발생하고 있으니근본적인 이유는 그 저변에 산업연수생제도가 주축을 이루고 이것이 외국인력에 대한 비공식적인 '관행'으로 자리매김해 있기 때문이다 있어서 경로의존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결국은 여러 번 제도변화를 경험하였지만, 경로의존으로 인해서 근본적인 외국인력제도의 '틀'은 변화하지 못하고 의형만 조금씩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In Korea from the late years of 1980s, the non skilled labor form overseas was flowed in. In 1991, Korea government take the technical training system for Korean industry as policy, that was to use overseas labor as trainer not as worker to solve problems of lack of non skilled labor in Korea. But the lack of transparency of the control system cause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so that the trainers leave the working company illegally. Because of the increase of illegal overseas workers in Korea, on July 31, 2003, Korea National Assembly made "The laws of permission for Oversea Workers"and on August 16, 2003, made it in public and on August 17,2003, put in the operation. By considering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policies, there were no remarkable changes. Even though a lot of change in policy, what are the reasons to make problems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illegal workers wors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was to state that there was o expectation to have good policy without considering "path-dependence" of related people in this overseas workers problem. From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real factors for the overseas labor policy based on "path-dependence" was made. The reason factors were the old fashion of actors and the patterns of the use of labor that was put among parties to earn and lose benefit for oversea labor through the whole policies were generated from the early 1980s. The time ranges of this research were 4 periods: 1st period was from 1987 to 1990, no registration period for oversea labor in korea because of no policy in Korea. 2nd period was form 1991 to 1997, the foreign industrial trainee system for Korean industry. 3rd period was from 1998 to 2003, the employment system for oversea traniners and the employment control system for oversea trainers. 4th period was from 2004 to June 2005, the employment permission for oversea labor. First of all, in the 1st period to solve the lack of Korean labor in 3D types of business, the employment of overseas labor was the tool and the 1st old fashion as "path-dependence". In the 2nd period, to use oversea labor as labor purpose not as train purpose after collecting them as trainers not as workers was done. This fact caused problems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illegal workers, a delay of salary and industrial accident and the 2nd old fashion as "path-dependence". In the 3rd period, the employment system for oversea traniers was developed from the technical training system for Korean industry. This system allowed overseas trainers, who finished successfully their training for 2 years (later it was changed 1 year), 1 year employment. To make up the weakness of this system, to allow Korea people of overseas nationalities the employment in the service business, as normal and special cases, area was done. This system was not the real solution for labor policy for oversea workers in Korea and the 3rd old fashion as "path-dependence". In the 4th period, because the emplyment permission for oversea labor was developed from the employment system for oversea trainers, the principles were same. This system made some legal oversea employees to illegal employees because it came from the technical training system for Korea industry. This case was 4th old fashion as "path-dependence". Finally, from experience of the various policies, observed that the basic principle was not changed and only the packing was changed a little because of "path-dependence".

      • 중국 주강삼각주의 항만 코피티션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광저우항, 홍콩항, 선전항을 중심으로

        김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 무역자유화, 교통운송일체화와 더불어 물류의 개념은 점차적으로 사회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해운 항만산업은 사회경제발전을 추진하는 요소의 하나로 각 나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항만물류비용을 감소하고 서비스의 질을 높여 최대이익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항만운영주체의 주요목표이다. 이로써 세계 각국의 항만당국은 각 나라의 실정에 부합되는 항만발전전략을 모색하여 각자의 이익을 도모하며 항만의 합리적인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의 급성장으로 중국 항만의 총 물동량이 급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항만시설 부족,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부응하여 중국정부 및 각 지역의 항만당국은 적극적으로 항만발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최근 중국의 항만물류는 질적으로 많은 개선을 가져왔으나 세계 수준에 비해 여전히 떨어지는 편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항만시장 환경 속에서 단순히 터미널 건설과 항만시설의 확충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중국 항만 당국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해외의 선진적인 이념을 도입하여 중국의 실정에 부합되는 발전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 중국항만은 총괄적으로 환발해만, 장강삼각주, 동남해안, 주강삼각주, 서남해안 등 다섯 개 항만 클러스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강삼각주는 광저우, 선전시를 중심으로 중국 내륙의 경제중심지의 하나로 성장하였다. 홍콩은 예로부터 주강삼각주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주강삼각주의 범위에 구분되고 있다. 주강삼각주의 항만에는 주로 홍콩, 선전, 광저우 등 간선항과 주하이, 중산, 후먼 등 지선항이 포함되는데 주요한 세 항만은 주로 허브항만 역할을 분담하고, 기타 항만은 보조항만의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그러나 2009년부터 시작된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광저우항, 홍콩항, 선전항도 역시 항만의 물동량 감소, 시설과잉 현상이 나타나고 과다한 경쟁, 중복적인 건설 등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해운물류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항만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협력(Cooperation)과 경쟁(Competition)의 합성어로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코피티션의 개념을 광저우항, 홍콩항, 선전항에 적용하여 항만간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세 항만의 SWOT분석을 바탕으로 장단점을 보완하고 역할분담을 통해 Win-Win할 수 있는 코피티션의 활성화방안을 구축하였다. 주강삼각주 지역에서의 공동발전을 도모하며, 외부로부터 오는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서 역할분담을 통한 항만별특성강화전략(SO전략), 합리적인 자원배분을 통한 연합항만의 구축 (ST전략), 항만 간상호보완 전략 (WO전략), 세 항만의 경쟁완화 전략(WT전략)의 구축은 세 항만의 장기적인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4가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주강삼각주의 주요 항만 간 불필요한 경쟁을 회피하고, 조화로운 발전 속에서 항만자원의 최적화배치를 이루고자 하는데 포인트를 두었다. The ports of Guangzhou, Hongkong and Shenzhen have inseparable historical, geographical and trade connections. With the acceleration of global economic trade, the function of ports has extended from much more than transportation to the industrial, commercial, and service fields. Nowadays, 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industry. The Pearl River Delta, known for its export-oriented economy, and the high degree of port concentration has given rise to the dilemma of imbalance i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hree ports. Following a brief introduction of Guangzhou, Hong Kong and Shenzhen ports, a SWOT analysis has shown that the port with highest competitive advantage is Guangzhou port with its reasonable labor and service price. However, the biggest disadvantage of this port, is the lack of well developed facilities. While Shenzhen port owns a vast land and coastal shoreline compared to other ports, its disadvantage is an inadequate logistics system of collection and distribution. Whereas Hong Kong port may have a lack of land for port development, it possesses high level management capabilities and strong financial backing. Overall, the three container ports share the same huge hinterland, infrastructure, and the dynamism of FDI in the Pearl River Delta. All the factors listed above have contributed to competition among the three ports. However, this competition has led to an overall decrease in port capacity. For the reasons listed above, a thorough reform at the macro-economic policy level and micro-economic port development solutions are cruc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hree ports in the long run. The regional governments coordination and joint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is also critical for efficient running of the ports. A SWOT model was used to list th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s factors and to clarify the underlying connection among those factors. The analytical process was divided into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WT Strategy, which stressed the basic factors and the importance of 'co-opetition' strategy. In finding a balancing point of cooperation among the three ports that is best for credibility, relation-building, competition, best for fairness and efficiency, we can arrive at the equilibrium of the dilem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