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80년대 이후 마당극 연구 : 놀이패 「신명」, 마당극패 「우금치」, 극단 「함께 사는 세상」을 중심으로

        김도일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마당극 발생의 정치·사회적 배경과 일반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마당극 형성기부터 현재까지의 전개과정, 그리고 놀이패「신명」, 마당극패「우금치」, 극단「함세상」을 중심으로 1980년대 이후 전개된 마당극의 양식적 특성과 사회문제에 대한 주제의식 등을 고찰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마당극이 형성된 것은 1970년대 중·후반이며, 1980년대 들어서 구체적으로 체계화 되었다. 마당극의 예술성은 굿으로부터 탈춤, 판소리, 꼭두각시놀이, 대동놀이 등 민속연희의 계승과 고유문화의 전통성 회복을 정신적 원류로 수용하고 있다. 또한 사회운동과 문화운동으로서 정치적 환경변화와 사회운동의 변화 에 따라 다른 성격과 위치를 갖게 하는 예술운동이다. 1980년대 이후의 마당극 변이과정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초·중반은 전체 사회운동과 지역문화운동이 결합하면서 문화운동을 목적으로 한 극단들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시기. 둘째, 1980년대 후반은 먼저 ‘6월 항쟁’을 기점으로 노동자의 사회적 진출과 민주화에 대한 대중들의 자신감과 함께 마당극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며,「전국민족극운동협의회」라는 전국단위 연극조직 결성. 셋째, 1990년대 초기는 변화된 정치와 사회 환경에 적응하는 새로운 모색의 시기와 실험의 시기이다. 마당극의 정체기에 해당된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마당극의 대중문화운동으로의 가능성, 예술성에 대한 자기 검증, 열린 연극으로써의 새로운 가치 개념의 모색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실험성은 계속되고 있다. 과거 1970·80년대처럼 대중들을 의도적으로 계몽하고 자각시키는 기능에서 벗어나 삶과 예술이 만나는 공간으로서 축제의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980년대 한국사회의 최대 관심사는 민주화여서 마당극은 정치적일 수밖에 없었다. 마당극은 사회 변혁을 위한 목적극으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문예사를 ?y어 볼 때 사회변혁을 추구하는 정차성향의 예술은 그 사명이 끝나면 소멸 하듯,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마당극은 사회변혁과 민주화에 대한 소명이 사라진 것처럼 인식하게 되고 위기가 왔다. 놀이패 「신명」은 1990년대 초반 상황을 작품과 공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극복하려 했다. 첫째는 공연 대상의 변화와 주제의식의 변화이다. 기존의 노동자, 농민, 대학생, 진보적 시민대상에서 어린이나 청소년 대상으로 이동한다. 변화된 사회적 환경 속에서 관객들과 무엇으로 교감 할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관중들의 관심, 요구와의 접점을 통해 작품을 만들어 내면 마당극의 특질이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공간의 문제였다. 우선 현장공연이나 초청공연 등이 줄어들면서 작품이 순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물적 토대의 약화를 극복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아트센터를 개관한다. 그러나 취약한 지역의 경제적 토대와 시민들의 문화 향유에 대한 경험이 오늘날 같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문화공간은 실패로 끝나고 만다. 이와 달리 민족 예술단「우금치」의 경우에는 초기 농민문제 중심에서 점차 소재의 영역을 확대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중반부터 통일 문제, 환경문제, 여성문제, 사회의 세태상과 효(孝)문제를 다루면서 점차적으로 사회적 영역과 소재를 넓혀 나갔다. 전통에 대한 재해석과 설화의 결합 등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영역까지 확장하면서 오히려 대중성을 확보하는 시기가 되었다. 극단 「함께 사는 세상」은 「우금치」나 「신명」의 경우처럼 전통연희의 양식과 내용을 강화하거나, 또는 공연대상을 이동하면서 소재를 다양화하는 것과 달리 극단간 통합을 통하여 극복한 사례이다. 1990년대 지역 민족극운동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놀이패「탈」과 극단「시인」을 통합하였다. 두 극단의 통합이 갖는 의미는 전업 극단의 체제가 갖추어짐으로써 공연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는 점과, 앞서의 공연에서 얻어진 예술적 성과들을 실험·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속성을 지니게 된 점이다. 민족극 계열의 다른 극단들도 마찬가지로 이들 세 단체의 유형중의 하나에 포함되며 90년대를 관통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각 극단의 양식적 특성 그리고 사회운동의 접근을 통해 나타나는 대표적 주제의식 등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놀이패 「신명」의 작품은 역사적 사건의 재해석과 그 속에 살아 숨 쉬었던 민중들의 삶을 다루면서 남도의 무당굿 놀이나 씻김굿을 차용하거나 변용하여 굿의 제의성을 연행원리로 삼고 있다. 삶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무당과 전통굿의 제의를 통해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광주의 1980년 5월을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나타난 주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1980년대 공연된 작품은 광주민주화운동이 당대의 사회적 모순이 낳은 필연적 결과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광주를 계기로 비로소 확인한 미국의 정체에 대한 반미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1990년대는 1980년 5월의 공동체정신과 투쟁정신에서 그 근본을 찾고 있다. 소외와 억압의 계층에 대한 현실모순의 적대적 계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계급성과 정치성도 나타난다. 2000년대의 작품은 오월항쟁과 시·공간적 거리두기와 극적 상상력을 으로 현재적 삶에 대한 인식과 자신을 치유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오월극과 관련한 일련의 창작과 공연 활동은 1980년 5·18 광주의 진실 알리기와 역사의 경험자이자 피해자로서 자가 치유의 예술 활동이 되었다. 「우금치」의 양식적 특성은 설화의 서사적 활용과 민속놀이의 현대화이다. 분석된 작품에 나타나는 양상은 설화를 차용하여 재현해서 현대의 사건이나 주제의식에 부합시키는 구성을 통해 현실의 이야기를 복합구조로 표현하고 있다. 작품은 설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제와 함께 사회적인 사건과 소재뿐만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영역까지 확장한다. 또한 민속놀이의 현대적 해석은 전통과 현대, 상층 및 하층 문화를 모두 아우르는 다층위 문화로써 개방성을 지니고 있다. 관습적 성격이 내포하는 깊이는 외연을 확장시키고 작품의 보편성과 포용성 그리고 탄력성을 더하고 있다. 주요 주제의식과 관련한 분단현실에 대한 접근은 남과 북의 정치·경제·문화 현실에서 노출 되고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남과 북이 민족적, 이념적으로 분열 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과정에 대한 탐색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의 제시이다. 「함세상」은 양식적 측면에서 「우금치」나 「신명」과는 다른 특징은 서사극 기법의 적극적 활용이다. 서사극을 집합한 마당극의 형식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극중 해설자의 운영이나, 극 전개의 압축적 설명을 위한 슬라이드 등의 사용, ‘관객배우’개념의 도입과 토막극 형식의 시도, 비극적 소재를 희극적 그릇에 담아내는 고전적 수법 등이 그것이다. 여성문제를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나타난 주제의식은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이성능력을 소유한 동등한 존재이며 따라서 남성과 동등한 기회와 경쟁을 요구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적 문제를 여성 편에 입각해 주관적으로 해석한 것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의 상호관계성에서 접근 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의 위치가 확보되려면 사회적,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직업에 있어서 성별계층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능력에 따른 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마당극은 현실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또는 제의적으로 다룬다. 제의성은 현실세계를 인식하면서 극복하고자하는 초월의지와 공동체 속에서 현세적인 개인의 삶을 보장받고 싶은 염원이 담겨있다. 이것은 연극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현실모순을 타개해 나갈 수 있는 공동체에 대한 회복을 의미한다. 전통극에 드러나는 민중성을 오늘에 맞는 형식과 내용으로 구현하여 공동체적인 원리를 실천하는 것이다. 이는 대중사회의 단절된 인간관계에 대한 회복이라는 목적성을 의미한다. 이를 마당극은 연극이라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축제적 의미로 확대하고 있다. 마당극의 축제성은 현실모순의 비사회적인 삶을 공동의 삶에 통합시키는 것이며 집단적인 실체의 표현 양식으로서의 마당극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마당극이 우리의 연극적 유산을 이어간다는 측면에서 대중적 기반의 확대와 미학의 정립 그리고 지속적인 실험은 앞으로도 꾸준한 과제라는 것이다. 오늘날 같은 개방화 시대에 자기문화만의 정체성만을 강조하는 우월주의나 외래문화의 무조건적인 배척은 문화적 고립을 초래하여 발전의 저해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문화의 발전은 고유문화와 유입된 외래문화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 즉, 문화란 이질적 성격의 문화간에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국가간 장벽의 의미가 없는 오늘의 세계화 시대에 마당극은 민족적 원형의 표현형식과 정서를 담고 있는 양식으로, 또는 서구 연극양식의 수용을 통한 실험적 연극행위로, 오늘의 시대정신과 감각에 맞는 연극으로 충분한 제고가 요구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를 세계 보편문화와 접목하여 마당극의 미학적 관점을 인류가 공감하거나 함께 공유하며 향유할 수 있는 연극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Madang Play after 1980's -Centering on Shinmyoung Theater Company, Wukumchi Theater Company and Hamsesang Theater Company- Kim Do il Advisor: Prof. Han Ok keun. Ph. D.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mode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s on social issues of Madang Play after 1980s centering on Shinmyoung Theater Company, Wukumchi Theater Company and Hamsesang Theater Company based on its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ang Play was formed in mid and late 1970 and has been specifically organized since 1980s. Aesthetic nature of Madang Play accepts inheritance of folk entertainment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uch as Gut, mask dance, puppet play, Daedong Play as a spiritual origin. It also has different nature and posi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political environment and social movements as a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Transition of Madang Play since 1980s is divided into as follows according to periods: First, in early and mid 1980s, as social movement was combined with local cultural movement, theater companies for cultural movements increased nationwide. Second, in late 1980s, as Madang Play enjoyed its best days with social progress of laborers and confidence of the public in democratization with June Democracy Movement as a starting point, the「National Theater Movement Association」was established. Third, the early 1990s was the period of grouping for a new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experiment. Madang Play was stagnant in this period. Since mid-1990s, Madang Play has had various meanings such as possibility as a popular culture movement, self-test on its artistic nature, and grouping for new concept of value, and its experimental nature continues to exist. Its entertaining effect as a field when life meets art has been reinforced out of the function to intentionally enlighten and awake the public in the past. As a matter of primary concerns in Korean society of 1980s was democratization, Madang Play was inevitable to be political. It has a nature of purposeful theater for social reformation. To glimps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just as art with political tendency pursuing for social reformation declines when its mission was achieved, it was recognized that Madang Play's mission ended when democratization of our nation was completed and it had a crisis. Shinmyoung Theater Company tried to overcome the condition of early 1990s in two aspects of theater and space: First, subjects of performance and thematic consciousness changed. In the past, the subjects were laborers, farmers, college students and progressive citizens, but the play was intend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t presents a significant clue in an aspect to question what should be interacted with the audience in a changed social environment. When theater is performed through contact points of attention and needs of the audience, Madang Play's characteristics can be displayed. The second issue is space. First, as field performance or invited performance decreased, theater can not be circulated properly and physical base can be weakened. Therefore, to overcome such problem, art centers were open, but such centers may fail under present conditions with poor economic base and cultural experience of citizen. Wukumchi Theater Company began to expand its materials out of initial problems involving farmers into national unification, environment, gender equality, social trends and filial piety.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and combination of narratives, it has expanded to universal issues of humans and secured popularity. Hamsesang Theater Company incorporated theater companies to overcome problems rather than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modes and contents or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To overcome depression of local folk theater movements in 1990s, it incorporated Mask Theater Company and Poet Theater Company. It has a meaning in that systems of professional theater companies were secured for continuous performance, and artistic results obtained through previous performances can be demonstrated and developed. Like other theater companies, the company belonged to one of three types and worked through 1990s. Representative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 mod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and approaches of social movements is discussed as follows: Shinmyoung Theater Company dealt with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and ritual events and life of the public by using Mudang Gut or Ssitkimgut or transforming it.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atrical works dealing with May 18, 1980 is described as follows: theatrical performances of 1980s showed that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a necessary result of social conflicts at that time and represented anti-Americanism as true colors of the U.S. were finally revealed through Gwangju May 18 Uprising. The bases of performances of 1990s were community spirit and struggle consciousness of May 18, 1980. They showed hostile classes of contradictory reality specifically and presented and political and class properties. The theatrical performances of 2000s showed changes in recognition and self-therapy through May 18 Uprising, time and spatial distance, and dramatic imagination. That is, creative works and performances involving May 18 have become self-healing artistic activities as the truth of May 18 is informed. Mode characteristics of Wukumchi Theater Company are epic use of narratives and modernization of folk plays. Works analysed represent real stories as a complex structure through reproducing narratives associated with current events or thematic consciousness. The works cover even universal area of humans as well as social events and materials included in narratives. Modern interpretation of folk plays has openness as multi-layered culture which covers tradition and modernism, and upper and lower classes. Their habitual nature expands extension and adds universality, capacity and elasticity to the works. Approaches to national division involving main thematic consciousness were intended to search for historical process of our nation which was compelled to be divided ideologically and optimistic perspectives rather than criticism of negative aspects which have been revealed i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reality of South and North Korea. Hamsesang Theater Company used epic theater actively unlike Wukumchi Theater Company or Shinmyoung Theater Company. It collected epic theaters in a Madang Play and used classical techniques such as operation of narrators, use of slides for compact explanation of theaters, introduction to a concept of audience-actors, an attempt of a little dramatical performance and presentation of tragic materials in comic vehicles. Themes of theatrical works focusing on female issues are gender equality and needs of equal opportunities and competition. It did not interpret women's social problems subjectively in sides of women, but it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t emphasized that to secure women's position, social and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be developed and jobs should be specialized according to ability rather than gender and class. Madang Play deals with real problems socially or through rituals. The rituals have wishes for transcendental intention both to recognize and overcome reality, and to guarantee secular life of individuals in community. The wishes pursue for unity of theater with life, which means restoration of community which can resolve contradiction. Popularity revealed in traditional theaters is realized according to present conditions to practice the principle of community. It means restoration of broken human relationship in mass society. Madang Play expands the passive meaning of theater to cover even festivals. Its festivity incorporates anti-sociable life of contradictory reality into life of community as a presentation of collective reality. What has been confirmed in the study was that present and future tasks of Madang Play are expansion of popular base, organization of aesthetics and consistent experiments. In this open society, culture chauvinism or unconditional exclusion cause cultural isolation and work as an impediment to development. Culture develop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our peculiar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That is, culture develop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cultures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In this global society where national boundaries do not have meaning, Madang Play contains a representational type and emotion of national prototype and is an experimental behavior through acceptance of western-style plays, which needs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ime and senses. Therefore, theater should realize values of traditional cultures and be grafted into universal cultures of the world so that humans can be sympathized with its aesthetic perspective and enjoy them together.

      • 無等山 高等菌類의 分類學的 硏究

        김도일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8639

        About one hundred specimens of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t Mt. Mudeung area from March 1 to Octover 1, 1989. These higher fungi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88 species, 54 genera, 28 families. 10 orders. Among them, 10 species and 5 genera under families were newly added to the flora of this region. These are as follows ; Amanita pseudorphyrid Hongo, Crystodema amianthinum (Scop. ex Fr) Fayod, Rhodophyllus quadratus (Berk. et Curt.) Hongo, Hygrophorus lucorum Kalchbr, Strobilomyces confusus Sing, Lactarius subvellereus Peck, Hydnellum concrescens(Pers. ex Scchw.) Banker, Coltricia cinnamomea (Jacq. ex Fr.) Murr, Pseudocolus schellenbergiae (Sumst.) Johns, Leptopodia elastica (St. Amans) Boud.

      • 관상피내암종과 미세침윤을 동반한 관상피내암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비교

        김도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방의 관상피내암종은 수술적인 치료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으로 유방촬영술의 발달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관상피내암종의 가장 중요한 병리학적 관심의 하나는 국소적 침윤성 병변이 있느냐이다. 국소적으로 침윤성 병변이 발견되면 그 치료가 관상피내암종과 확연히 달라져 국소치료 뿐만 아니라 방사선치료나 액와부 절제술 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저자는 미세침윤이 없는 관상피내암종과 미세침윤이 동반된 관상피내암종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그 예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991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851명의 환자 중 조직병리 검사 상 1mm이하의 국소적인 침윤성 병변을 포함 하는 관상피내암종(DCIS-MI군)으로 진단된 30예를 대상으로 하여 침윤성 병변이 없는 관상피내암종 환자 71예(DCIS군)와 임상적 병리조직학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기존에 알려진 여러 예후인자를 비교하였다. DCIS-MI군의 평균 나이는 44.8세로 DCIS군의 47.4세와 차이가 없었고 양군 모두 40대가 가장 많았다. 임상증상으로서 DCIS-MI군에서 유방종괴가 만져지는 경우가 DCIS군 보다 의미 있게 많았으나 원발종양의 평균 크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은 DCIS군에서 단순유방절제술이 60.6%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지만, DCIS-Mi군에서는 변형근치유방절제술 및 액와부 림프절 절제술을 동반한 유방부분절제술이 70%로 많이 시행되었다. 병리학적인 특성이나 종양 표지자의 발현빈도로서 핵분화등급, 면포성 괴사의 유무,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빈도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발현빈도 등을 조사하였으나 양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액와부 림프절의 전이는 DCIS-MI군에서 10%로 DCIS군의 1.6%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5년 무병생존율은 DCIS-MI군에서 89%로 DCIS군에서의 98%보다 낮았으나 대상환자가 적어 통계적인 의미는 얻을 수 없었다. 향후 미세침윤에 대한 일치된 정의를 적용하여 장기간의 추적관찰과 여러 기관이 참여한 더 많은 표본의 공동 연구를 통해, 예후에 관계된 인자와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결론에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natural history of patients with ductal carcinoma in situ(DCIS) including microinvasion is poorly defined, and the clinical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anagement of the axilla, has been controversial. Previous studies of this lesion have used and/or arbitrary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microinvasion.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outcome after treatment of patients with DCIS and DCIS with microinvasion, the medical records and histopathology of 101 patients of DCIS with/without microinvasion who had been treated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1991, Apr. through 1998, Oc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DCIS with microinvasion was 44.8 year-old and that of patients with DCIS was 47.4 year-old. The peak age group of both was 5th decade. DCIS-MI group had larger primary tumor(2.16 vs 1.93cm) and were more easily palpable on physical examination (63.3% vs 36.6%). The rate of the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was higher in DCIS-MI group(10% vs 1.3%). In terms of high nuclear grade, predominance of comedo type, ER receptor negativity, and c-erbB2 positivity,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between DCIS group and DCIS-MI group. The recurrence rate of DCIS-MI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DCIS group(10% vs 1.4%).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the DCIS group and DCIS-MI group were 98% and 89% respectively.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microinvasion is thought to be transitional disease entity between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invasive ductal carcinoma. However the treatment options of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microinvasio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invasive carcinoma. More long-term follow-up and standardized multicenter study seems to be necessar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methods of treatment.

      • 지역연계형 대학도시 조성을 위한 적용요소 도출 및 항목별 중요도 연구 : 지방중시도시를 중심으로

        김도일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역활성화의 관점에서 지역연계형 대학도시 조성을 통한 지역재생, 산업경쟁력 강화, 대학의 역할 확산 등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학도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과 연계되어진 지역재생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대학도시 관련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적용요소들을 도출하여 지역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AHP분석을 통해 항목별 중요도를 도출하여 캠퍼스 공간계획, 지역산업의 요구사항과 지역사회의 도시재생과의 연계 전략 마련 등 다양한 공간 구상 전략 수립을 통해 인구소멸과 입학자원 감소 등의 지역현안을 해결하고자 지방중소도시 활성화에 적합한 맞춤형 대학도시 조성을 위한 적용요소 도출 및 중요항목들을 창원대학교에 적용해 보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린 기법 적용의 성공요인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도일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린은 도요타 생산 시스템(TPS)을 기본으로 해서 미국적인 기법들이 체계화되어 나온 생산 혁신 기법중의 하나이다. 린 이라는 용어는 1990년 Womack & Jones 교수에 의하여 발간된 “Machine that change the world”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GM과 같은 자동차 산업에 도입되었지만 점차 항공기 산업과 물류 산업과 같은 다른 산업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한국에서의 린은 1990년대 초부터 TPS라는 명칭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1997년 아시아의 경제 공황이 오면서 한국에서는 많이 확산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확대되어 꾸준히 발전하였고 생산현장 뿐만 아니라 서비스 영역에서도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에 이르러 국내에 진입한 외국인 투자 기업들의 영향으로 다시 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의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린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린 기법적용의 성공요인으로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기업 내 조직문화, 성과보상, 교육훈련, 추진조직의 5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린 기법 적용의 범위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기업에서 린 기법을 조직에 적용함에 있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인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린을 적용한 지 3년 이상 된 기업의 임직원으로 정의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설문을 배포하였고 전체 170부를 회수하였으나 162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해외에 있는 린 경험자들에 대한 설문은 linkedIn과 facebook 같은 social network를 통하여 린 전문가 네트워크에 가입한 인원을 대상으로 전문 설문 조사 홈페이지인 survey monkey의 설문조사 상품을 이용하여 설문을 배포하여 전체 42부를 회수하였고 그중 22부를 유효한 응답으로 채택하였다. 전체 184부의 유효한 응답을 대상으로 SPSS 22.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요인과 린의 기법적용 사이에는 정(+)의 관계가 있으며, 린 적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과 성과보상 시스템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린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근거가 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실증적 근거를 찾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분석결과는 기업에서 린을 적용함으로써 품질향상과 낭비제거에 대한 성과를 부여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린을 적용함으로써 품질이 향상되면 재무성과와 고객만족으로 이어지는데 영향이 있었다. 넷째, 린 기법 적용은 고객만족을 통하여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석은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일부 일치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성공요인을 갖추고 린을 적용하면 경영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한 변수들은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상황에 따른 린의 성공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Lean was derived from TPS(Toyota Production System) by Womack & Jones on 1990 at “The Machine that Change the World”, and which was become known since 1996 from the book of “Lean Thinking” in the world. At the first, the Lean was adopted at automobile industry such as GM and extended to other industries such as aircraft and logistics industry. The Lean was introduced in Korea since early of 1990’s at automobile industry which was adopted as the name of TPS. However, the system wasn’t developed more because of the economic recession in Asia on 1997, and the system progressed in the USA and Europe. Currently, Lean is highlighted again in Korea by western companies which settled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about Lean implementation is required to support business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I selected five success factors such as CEO’s leadership, internal culture, rewarding system, lean training, leading organization. I have evaluated the validity about the five factors with opinion surve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the field of Lean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when a company implement the lean methods to their own organization and to find out the business effect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lean. The target group of the study is people who have experiences about the lean implementation over three year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I handed out the survey papers through my network in Korea, and I collected 170 responses and selected 162 effective responses. I also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oversea through the SNS such as facebook and LinkedIn with the survey monkey which is the commercial internet site for opinion survey , and I collected 42 responses and chooses 22 responses as the effective data. The total 184 survey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with SPSS 22.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re are positive relational structures between success factors and lean implementation. The analysis provide that the most influenced success factors for lean implementation are the leadership of CEO and rewarding system for achievement. This study presents a decision-making model which can be helpful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ean at their company. Secondly, the analysis shows the implementation of lean accompanies the quality improvement, wastes elimination, and the Lean implementation give indirect influence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financial achievement through quality improvement as the business performance. Thirdly, the study shows that quality improvement gives influence to financial effec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lean. Fourthly, the study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gives influence to financial effect through the lean implementation. The analysis result are follow previous studies partially. Through this study, it is improved that the lean is the powerful philosophy to achieve business success for companies. The variables are included at the study were limit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are needed to investigate situational variables aspects of innovational management.

      • 지방자치단체간 행정사무배분의 실태와 개선방안

        김도일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port is to analyze the realities of administrative affairs about divided works in the nation, the region, the megalopolises and a municipal community in the environment of the past-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he reasonable reformation to make a municipal community has substantial authorities and affairs to promote the well fare of the people and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community. First, chapter 2 is to clear up the types of the affairs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about work distribution and studied a principle and a basis about work distribution, which is formed in the operative law. And to find out the issues with analyzing the systems from France and Japan where the rules are similar to Korea. The chapter 3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of the affairs in the nation, region, especially selfadministration megalopolis, and from the analysis about work distribution between megalopolis and municipal community find out all the problems that the deepening about ministry authorization affairs causes. Also indicated the disutility as obscurity of work distribution, repetition of works that is from imperfection of the law. And recognize all the problems so the government reforms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affairs and this points out the central governments noncooperation and negative attitudes of the personnel from the Local Self-government then promotes regional transfer from the authority of central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out A Region Transfer Union Deliberation (1991-1998) and National Commission of a Region Transfer (1999-present). The chapter 4 presents an improvement plan, as foreign instances show, substantial work distribution of administration affairs which is connected with the basis of legislation like basis priorities, supplement, generalization transfer of authorities and also gives specialization between each administrative social stratum which is proper as the specialty of the region and the administrative demand. Finally,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bout the problems as written and the improvement plans, enacting a special law that could transfer the administrative affairs, financial affairs, manpower between the country and the local self-government union is advisable. Therefore clear up the division of works between the state and the region, megalopolis and the drafting committee to a local self-government union could divide the substantial authority and the responsible works reasonably to contribute itself for the improvement of the society and the well fare for the residents. And intends to enhance the states reputation as global standard and the decentralization with reconsidering the self-governments autonomy.

      • Tracing the Cosmic Web with Luminous Red Galaxies

        김도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large-scale structure of universe plays a central role in modern cosmology - being the manifestation of the anisotropic nature of gravitational collapse. This peculiar lamentary pattern has been confirmed by a variety of observations, as galaxies are natural tracers of the visible part of the cosmic network. The study of the highly complex geometrical pattern allows one to infer and constrain the underlying cosmological model, and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dark energy, on departures from standard gravity, and on primordial initial conditions. We consider here a sample of Luminous Red Galaxies (LRGs) from the Extended Baryon Oscillation Spectroscopic Survey (eBOSS) and characterize their clustering properties by measuring angular and spatial two-point correlation functions across the full redshift range, as well as in selected tomographic redshift bins. We compare our results with similar measurements obtained from a partial sample of Multidark mock galaxie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LRG clustering for mapping the large-scale matter distribution and the complexity of the cosmic web, and in relation to the Baryon Acoustic Oscillation (BAO) signal. We then attempt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filamentary network as traced by LRGs, relying on the Bisous model, a marked point process built to reconstruct multi-dimensional patterns.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urrent standard ΛCDM cosmological scenario.

      • 지역별 주택가격의 수렴에 관한 연구

        김도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지역별소득을 측정하는 데에 쓰이는 수렴성 측정방법을 주택시장에 확장 적용한 것으로 주택시장의 양극화 진행여부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택시장의 양극화는 크게 주택가격의 지역별 격차확대와 지역별 주택시장분리의 두 측면으로 정의하였다. 먼저 주택가격의 지역별 격차 확대를 측정하기 위해 시그마-수렴(σ- convergence)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택가격의 지역별 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유동성지표(Lf), 이자율(회사채, AA-), 정책더미 등 거시지표를 통제변수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주택시장이 지역별로 동일한 시장인지, 아니면 분리된 시장으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Pairwise 단위근검정을 이용하였다. Pairwise 단위근검정은 패널 단위근검정과 시계열 단위근검정을 이용하였다. 수렴성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그마-수렴(σ-convergenc e) 검정 결과, 특별‧광역시(1986.01~2011.06) 주택가격의 편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서울시 자치구(2003.01~2011.06)의 경우에는 검정결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거시경제변수를 통제변수로 포함한 분석에서는 이자율이 낮아지면서 시중에 총 유동성(Lf)이 풍부해지는 경우 주택가격의 지역격차는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동성의 확대가 투자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투자자금이 특정지역인 강남, 서울 등의 투기지역에 몰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종합부동산세가 실시된 시기를 고려한 정책더미의 경우에는 정책이 실시된 이후에는 정책의 의도와는 달리 오히려 편차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정책의 실시가 효과적이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택시장이 지역별로 동일한 시장인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Pairwise 단위근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별‧광역시(1986.01~ 2011.06)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결과가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서울시자치구의 주택가격(2003.01 ~2011.06)은 대부분의 결과에서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 전체적인 관점에서 주택가격 움직임의 방향은 같으나 세부적으로는 자치구별 주택가격이 동행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