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Ra 무선 Relay 네트워크에서 AoI 최소화를 위한 Q-learning 기반 다중접속기법

        김도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다양한 IoT 기기가 공존하는 LoRaWAN network기반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 환경에서 통신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 방식은 먼 거리나 장애물로 인해 gateway까지 데이터 전송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대안으로 사용 가능한 LoRa relay device를 이용하며, 데이터의 최신성을 측정하는 AoI(Age of Information)값을 모두 고려한 LoRa relay 선택 과정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LoRa는 장거리 통신을 위해 CSS(Chirp Spread Spectrum) 기술에서 파생된 LoRa modulation을 기반으로 LoRaWAN network를 구축하며, chirp rate에 따라 SF(Spreading Factor)를 정의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relay 선택을 통해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도 relay device를 이용하여 충분히 낮은 SF까지의 선택의 폭을 넓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통신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강화학습으로 각 device가 학습을 통해 최적의 SF를 선택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AoI를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신선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AoI를 적용하지 않고 강화학습만 진행한 알고리즘을 다양한 parameter를 변경해 가며 비교했으며,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밀집된 환경에서는 45% 정도,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31% 정도 평균 AoI가 줄어든 모습을 확인했다. This thesis proposes an algorithm to optimize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a LoRaWAN-based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 environment where various IoT devices coexist. The proposed algorithm employs LoRa relay devices as alternatives when there are difficulties in transmitting data to the gateway due to long distances or obstacles. It includes a relay selection process that considers the Age of Information (AoI) values to measure the freshness of the data. LoRa fundamentally builds the LoRaWAN network based on LoRa modulation derived from CSS (Chirp Spread Spectrum) technology f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The Spreading Factor (SF) is defined according to the chirp rate, allowing the selection of data transmission speeds. By selecting a relay, the algorithm ensures an effici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broadening the range of SF choices to sufficiently low levels even when the distance is too far.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reinforcement learning to simulate each device learning to select the optimal SF. Additionally, it aims to minimize AoI to enhance data freshness. The algorithm was compared by varying different parameters with an algorithm that only employs reinforcement learning without applying Ao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d the average AoI by approximately 45% in dense environments and by about 31% in environments requiring the transmission of large amounts of data, compared to the existing algorithms.

      • 거제도의 자연과 교감하는 시적 상상력 : 창작품(시)을 중심으로

        김도원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거제도의 자연과 교감하는 시적 상상력 김도원 미디어문예창작전공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본 논문은 창작품(시) 「사막의 기억」 외 38편을 중심으로 거제도에서 보고 느낀 것을 시 창작이라는 문학 장르를 통하여 어떻게 밖으로 드러내는가를 탐색하였다. 거제도의 자연은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다. 대지와 물과 바람과 햇빛은 유기물을 만들어 자연물을 키운다. 늘 변하는 자연의 모습에서 역동하는 생기를 본다. 생동하는 자연을 통하여 내면에 감춰진 어떤 슬픔이나 불안한 감정은 위로받는다. 숲을 거닐거나 바닷물의 변화를 눈여겨볼 때 혹은 길가에 핀 작은 꽃들, 바위틈 사이에서 삐죽 고개 내미는 어린 것을 볼 때의 환희와 생명의 경이로움에 대해서 찬탄한다. 이 연구에서는 거제도의 자연과 교감하는 시적 상상력을 내밀한 정서적 장소로서의 물 이미지, 약동하면서 치유하는 식물 이미지, 거제도의 자연에 스며든 기억의 운동과 변화를 각각 살펴보았다. 물 이미지는 물에서 파생된 이미지가 ‘저수지’, ‘비’와 같은 사물의 옷을 입고 어떻게 시가 되었는가를, 식물 이미지는 하나뿐인 거제도에서 접한 나무나 숲의 이미지가 ‘햇빛’이나 ‘바람’과 같은 공기와 어울려 약동하게 되는 생명력을, 기억의 운동과 변화는 거제도에서 성장하면서 듣고 체험한 이야기들 즉 유년의 기억과 역사적 사건 그리고 평범한 일상에 상상력을 더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서정적 자아의 기억 속에서 고향, ‘거제도’는 중요한 의미를 띈다. 고향에서 마주하는 사물에 자신을 이입하면서 생각하고 성장한다. 정신적으로 동일성 곧 연속성을 확보하는 공간은 늘 곁에 머무는 거제도의 자연과 가족과의 일화 등이다. 그렇다면 거제도라는 사물은, 화자의 내면을 특징짓는 뿌리라고 볼 수 있겠다. 시 쓰기는 자신을 드러내는 과정이다. 나무, 돌, 바다, 바람, 햇빛 등의 자연을 통하여 감추고 싶었던 내면을 표현하고, 마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자연을 마주하면서 느끼는 환희와 생명력을 시에 담아냈으며, 밀폐된 공간으로 들어가고 싶은 자신을 붙들고, 단단한 태도로 현실과 마주하였다. 청년기의 어둑하고 외진 공간에 숨겨두었던 기억을 털어내고, 과거의 기억을 접고, 현실을 직시하는 삶에 집중하였으며, 거제도에서 마주했던 사물에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시로 썼다. 그 결과로 현실을 받아들이고 세상을 향하여 단단하게 나아가는 힘을 시 쓰기에서 얻게 되었다. <Abstract> Poetic Imagination in Communion with the Nature of Geoje Island Doweon Kim Department of Korean Literary Arts and Creative Writing Kyunghee Cyber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al Creation This paper explored how to reveal the things seen and felt in Geoje Island through the literary genre of poetry creation, focusing on 38 pieces including the creative work (poetry) 「Memories of the Desert」. The nature of Geoje Island is full of vitality. Earth, water, wind, and sunlight make organic matter and nurture nature. I see dynamic vitality in the ever-changing nature. Any sadness or uneasy feelings hidden inside me are comforted through the lively nature. I admire the joy and wonder of life when I walk through the woods, watch the change in the sea water, see small flowers blooming on the roadside, or young things poking out from between rocks. In this study, the image of water as an emotional place revealing the poetic imagin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nature of Geojedo, the image of a plant that heals while stirring, and the movement and change of memory permeated into the nature of Geojedo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e image of water shows how an image derived from water became a poem wearing the clothes of objects such as 'reservoir' and 'rain', and the image of a tree or forest in Geoje Island, where there is only one plant image, is related to 'sunlight' or 'wind'. The vitality that becomes vibrant in harmony with the same air, and the movement and change of memory are described in detail by adding imagination to childhood memories, historical events, and ordinary daily life that I heard and experienced while growing up in Geoje Island. In the memory of the lyrical self, the hometown, Geojedo, has an important meaning. Think and grow while putting yourself into the things you face in your hometown. The space that secures continuity mentally is the nature of Geoje Island that always stays by your side and anecdotes with your family. If so, Geoje Island can be seen as a root that characterizes my inner self. Poetry writing is a process of revealing oneself. Through nature such as trees, stones, sea, wind, and sunlight, I expressed the inner side that I wanted to hide and observed the change of mind. The joy and vitality felt while facing nature were captured in the poem, and he faced reality with a firm attitude, holding on to himself wanting to enter an enclosed space. He brushed off the memories he had hidden in the dark and remote space of his youth, folded the memories of the past, focused on life facing reality, and created new images from the objects he encountered in Geoje Island and wrote them as poems. As a result, he gained the strength to accept the reality and move firmly toward the world through poetry writing.

      • 노인의 건강 형평성 연구 : 지역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생존시간 불평등

        김도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배경 서구선진국에서는 이미 1980년대부터 건강형평성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부터 건강형평성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불평등을 측정하는 것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2000년대 후반 건강 형평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의 지역적 격차의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서울시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건강불평등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보고서가 출간하기에 이른다. 현재 우리사회는 급격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 인구에 대한 건강형평성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관심과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인구집단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지역적 편차를 파악하고, 불평등에 있어서 지역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가지는 효과를 분석해봄으로써 앞으로 노인의 건강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밑걸음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자료이다. 전국 244개 시군구 65세이상 85세 미만 남녀 노인인구 75,1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역과 개인수준 변수를 고려하여 다수준 생존분석을 실시하여 생존시간에 대한 사망위험비를 산출하였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지역박탈지수를 활용하였고, 의료수준은 인구천명당 요양기관수, 병상수, 상급종합병원 유무를 고려하였다. 개인수준 변수는 표본 코호트의 자격 DB와 진료 DB를 이용하여 개인의 성별, 연령, 보험료분위, 장애중증도, CCI지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노인의 생존시간 격차는 인구 1000명당 병상수, 인구 1000명당 요양기관수, 상급종합병원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지역적 임의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노인의 경우 지역박탈지수와 사망위험비간의 양의 관계(열악한 환경일수록 사망위험비 증가)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여성노인의 경우 음의 관계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개인변수의 경우 연령, 보험료분위, CCI지수, 장애중증도 모두 사망위험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지역별 분석의 경우 서울지역의 지역적 임의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고려된 지역변수의 고정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개인의 성별, 연령, 보험료분위, CCI지수, 장애중증도를 고려한 효과는 여전히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서울지역은 지역적 편차로 사망위험이 설명되지 않고, 오직 개인의 편차로 사망위험이 설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경우에도 지역적 임의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인구 1000명당 병상수, 인구 1000명당 요양기관수, 상급종합병원 유무에 대한 고정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용된 개인변수의 고정효과 값도 모두 유의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셋째, 노인을 연령대별로 나누어 사망위험비를 산출한 결과 전 연령대에서 지역적 임의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인구 1000명당 병상수는 전 연령집단에서 유의하였고, 상급종합병원 유무도 70-74세 연령집단을 제외하고 유의한 방향으로 나탔지만 그 외의 지역변수는 대체로 고령층이 되며 p-value가 증가하면서 연령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개인의 연령과 성별은 전 연령층에서 유의하였고, 보험료분위, CCI지수, 장애중증도는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고령집단으로 갈수록 p-value값이 증가하는 방향을 나타냈다. 이는 후반기 노년층으로 갈수록 개인과 지역의 사회경제적수준을 고려한 사망위험의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생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으로 맥락효과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구성효과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불평등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계층중 소외된 집단에 대한 지역적 맥락효과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다양한 서브그룹 분석을 통해 지역별 연구결과 값이 다르게 산출되는 것은 노인을 하나의 동질적인 집단으로 두고 접근하기보다는 연령별, 성별, 지역별 연구와 정책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국내 시판되는 칫솔의 강모형태

        김도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y of bristle tips of toothbrushes that are sold in Korea. 69 different toothbrushes were chosen, and tufts from each toothbrush were used. The prepared bristle specimens were observed on a phase contrast microscope. The images taken by the microscope were then classified as round, tapered, or mixed. Then, the proportions of the acceptable rounded end bristles, tapered bristles were calculated. From the randomly selected 69 toothbrushes, 42 toothbrushes were domestic and 27 toothbrushes were imported toothbrushes. Of the domestic 42 toothbrushes, the ratio of the acceptable toothbrushes was 52.4%, where as the ratio of the acceptable toothbrushes of the imported products was 77.8%.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by the means of tooth brushing methods, 55.0% of all the manual toothbrushes was the round-ended bristles. Moreover, in the perspective of the classification by age, 67.2% of the toothbrushes for adults was acceptable, and 75.0% of the tooth brushes for children was non-acceptable. The majority of toothbrushes sold in Korean markets have acceptable percentage of acceptable bristles. However, not one toothbrush has a 100% acceptable bristles. The manufactures should refine their manufacturing process to ensure the quality of bristles they aimed to mak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칫솔 강모의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실험 군으로 69개의 칫솔을 임의로 선택하여, 각 칫솔의 강모를 관찰하였다. 준비된 시편은 위상차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고, 컴퓨터와 연결하여 각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각 강모의 형태는 round, tapered, mixed 으로 나누었다. 그 후, 각 시편을 acceptable 과 non-acceptable 으로 구별하여 각 비율을 계산하고, 여러 가지 조건 하에서 통계를 냈다. 임의로 선택된 69개의 칫솔 중에서 국산품은 총 42 가지 였으며, 수입품은 27 가지 였다. 국산품 중에서는 tapered 한 강모의 형태를 가진 칫솔이 가장 많았으며, 수입품 중에서는 round 한 강모의 형태를 가진 칫솔이 가장 많았다. 국산품 칫솔 중에서 52.4% 의 칫솔이 acceptable 하였고, 수입품 칫솔 중에서는 77.8% 의 칫솔이 acceptable 하였다. 작동법에 따른 분류에서는 수동 칫솔의 55.0% 가 tapered 한 강모의 형태를 가진 칫솔이었고, 전동 칫솔 중 88.9% 가 round 한 강모의 형태를 가진 칫솔이었다. 사용 대상에 따른 분류에서는 성인 칫솔의 67.2%가 accpetable 하였으며 유아용 칫솔의 75.0% 가 non-acceptable 하였다. 국내 시판되고 있는 칫솔의 형태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round, tapered 와 mixed 이다. 이중, 과반수 이상이 acceptable 한 강모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산 칫솔과 어린이용 칫솔 강모의 경우 non-acceptable 한 칫솔의 비율을 고려할 때, 칫솔 제조사는 non-acceptable 한 강모의 비율을 줄여 소비자가 구강관리시 안전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와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정서와의 관계

        김도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수련 시 수련생들의 수련시간, 수련빈도, 수련기간의 정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정서(긍정 및 부정)와의 차이를 분석하여 심리적, 정서적 안녕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쉬탕가 전문요가원에서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수련을 규칙적으로 수련하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상으로 173명의 설문이 표집 되었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25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련시간에 따른 수련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긍정 및 부정 정서는 일원분산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효과크기분석 결과에서는 시간이 긴 집단에서 부정 정서가 작은(small)􀀁 이상 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수련빈도에 따른 수련생들의 삶의 만족도, 부정 정서는 일원분산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집단 간 차이검증에서 수련빈도가 높은 집단에서 삶의 만족도는 높고 부정 정서는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수련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긍정 정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효과크기분석에서는 수련빈도가 높은 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긍정 정서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수련기간에 따른 수련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긍정 및 부정정서는 일원분산분석 및 효과크기분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 수련은 수련시간과 수련기간보다 주 3~4회 이상수련을 했을 때 수련생들의 삶의 만족도는 높고 부정 정서는 낮았다. 심리적 안녕감, 긍정 정서 또한 주3~4회 이상의 수련일 경우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고 수련시간이 90분 이상일 때 수련생들의 부정 정서가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주3~4회 이상 실천적 수련은 요가수련생들의 심리적, 정서적 균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매일수련 지침이 수련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정서(긍정 및 부정)에 영향을 부여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BIND 이외의 kr DNS 소프트웨어 도입을 위한 연구

        김도원 高麗大學校 컴퓨터情報通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kr도메인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DNS 소프트웨어는 현재 BIND만 사용하고 있어 BIND 프로그램에 중대한 취약점 및 결함이 발생시, .kr 도메인 서비스에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DNS에 대한 침해 공격이 날로 지능화 되고 있는 이때, 도메인 사용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DNS가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큰 혼란이 예상된다. 따라서, 인터넷의 지속적인 성장과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안정된 DN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r 도메인의 DNS 소프트웨어를 BIND 이외의 다른 DNS 소프트웨어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NSD, PowerDNS, TinyDNS, Microsoft DNS Server 등의 대량질의에 대한 처리 능력, 소요되는 시스템의 자원 등을 측정하고 향후 적용될 DNSSEC 적용 시 처리 능력을 비교하여 .kr DNS 사용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도출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이 공업고등학교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이 공업고등학교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가.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연구 집단은 전통적인 강의법 을 적용한 비교 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차이 를 보이는가? 나.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연구 집단은 사전과 사후의 수 학 학습 태도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이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I공업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집단 1개 학급(32명), 비교 집단 1개 학급(32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실험전과 후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Z- 검정으로 결과를 내고, 수학 학습 태도의 대한 변화에 대한 결과는 (chi-square)-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동질성 검사를 통하여 비슷한 성적분포를 가졌음이 확인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에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을 한 연구 집단이 그렇지 못한 비교 집단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을 한 연구 집단이 사전에 비해 사후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 했고, 특히 수학적 자신감과 호기심 부분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와 제한점을 보완하고 후속연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수Ⅰ 지수・로그단원에 국한하여 공업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므로 다른 학년 및 단원에 적용하여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통한 수업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습지를 활용한 동료피드백을 통한 수업을 하고자 할 때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항상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er feed- back by the utilization of study aids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Does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eer feedback is provided by utilizing study aids undergo a more positive change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a control group to which a typical lecture method is applied? 2. Does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eer feedback is provided by utilizing study aids show any favorable change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students in two different classes that were selected from among junior classes in I industrial high school in Seoul after an achievement test was implemented. There were 32 students in each of the classes. One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Z-test was employ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experimen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and x2(Chi- square) test was utilized to track any possibl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turned out to get similar grades when the pre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ir equivalency.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by applying peer feedback and study aids made a more favorable progress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peer feedback was provided by using study aids showed a more positive change in the posttest. Specifically, more favorable intragroup gaps were found in mathematical confidence and curiosit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nsure the efficiency of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exponent/log unit of mathematics I, and just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Therefore whether the experiment could have an effect on different graders and different units should be studied. Second, the instruction that applied peer feedback by utilizing study aids had a lot of impac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students. Hence the roles of teacher is very important if this kind of approach is taken. Teachers should try to instill confidence into students, to encourage them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motivate them to have interest in mathematics.

      • T-모델과 쌍곡선 함수를 이용한 장거리송전선로의 ABCD 파라미터 유도

        김도원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헌에 사용되어 온 -type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및 T-type 장거리 송전선로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T-type은 선로 양단의 병렬 어드미턴스의 중복이 없어 보다 이해하기 쉬운 모델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 문헌에 제시된 Hyperbolic solution을 이용한 간단한 장거리 송전선로 ABCD 파라미터 유도방법을 소개한다. Hyperbolic solution으로 장거리 송전선로 파라미터를 유도할 경우 , Exponential solution보다 수식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초기 값도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oint out the problem about (gamma) model which has been presented by all literatures, and new and T models which can be substituted for -model are presented. Especially, T-model can be considered to be a better model because it does not include any parallel admittances at the end of the unit circuit. This paper introduces a better method of the long transmission line parameters derivation with the hyperbolic solution which has been presented by another literature. In the derivation with the hyperbolic solution, the number of the equations is reduced and the boundary conditions are evaluated more easily than using the exponential solution. We propose that newly released power system books should use the hyperbolic solution and T-model for the beginners to learn power engineering.

      • 조헌영의 『東洋醫學叢書』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김도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bout Cho Heon-yeong’s 『Oriental Medicine Series(東洋醫學叢書)』. It consists of 5 clinical books, 『Gynecological Treatment(婦人病治療法)』, 『Gastrointestinal Disease Treatment(胃腸病治療法)』, 『Tuberculosis Oriental Medical Treatment(肺病漢方治療法)』, 『Neurasthenia Treatment(神經衰弱症治療法)』, and 『Therapy for People(民衆醫術理療法)』. They were first published between 1935-1941, and re-published until 1990’s. This series mainly succeeded 『Donguibogam(東醫寶鑑)』, and was influenced by 『Kyeongakjeonseo (景岳全書)』, and 『Hwangjenegyeong(黃帝內經)』. Cho Heon-yeong was a famous Korean medicine doctor as well as a politician. He made various efforts to research and disseminate Korean Medicine to rescue the Korean people suffering from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He created a treatment that the people can do on their own, corrected false perceptions about tuberculosis and neurasthenia, and spread knowledge of Korean medicine about gastrointestinal and gynecological disease that were popular and dangerous at the time. In this study, contents of 『Oriental Medicine Series(東洋醫學叢書)』 were analyzed to examine Cho Heon-yeong’s medical ideas and clinical views. 『Therapy for People(民衆醫術理療法)』 is about introducing Cho Heon-yeong’s original theraphy, body surface stimulation and consists of 6 chapters about theory and 1 chapters about application. 『Tuberculosis Oriental Medical Treatment(肺病漢方治療法)』 is reinterpretation of tuberculosis into Korean Medicine and consists of first volume about theory, second volme about treatment and prescription list. 『Neurasthenia Treatment(神經衰弱症治療法)』 is a reinterpretation of neurasthenia as ‘Heart-Ki disease(心氣症)’, a Korean medicical disease he created. 『Gastrointestinal Disease Treatment(胃腸病治療法)』 is a collection about gastrointestinal disease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t consists of 5 chapters about geneal theory, 1 chpater about detail symptoms and prescription list. 『Gynecological Treatment(婦人病治療法)』 contains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medically vulnerable women. Cho Heon-yeong’s two medical ideology were represented in this series. First, he emphasized invigoration in treatment for the people who lacked nutrition and medical care at the time. Weakness is very important from his clinical view about human body, disease and treatment. He thought the human body functions through stimulation and reaction, and disease is an abnormal stimulation. If human body gets weak, it can’t resist to small abnormal stimulation. So all treatment start from encouraging fundamental energy(元氣). Therefore, he regarded weakness(虛證) as an important cause of disease, and preservation(攝養) as an important treatment. Also, he used supplement(補藥) at a higher frequency and positively evaluate invigorating external treatments. Second, eclecticism of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s specifically revealed through this series. He aimed for comprehensive medicine, that consists mainly of Korean medicine and includes only a part of Western medicine. Throughout this series, he tried to modernize Korean Medicine by replacing pedantic terms and revising illogical theories, and take advantage of Western medicine by accepting some of the theories. Cho Heon-yeong‘s eclecticism was raised during the Oriental-West Medicine debate in 1934. This debate was triggered by the hope of revival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institutional pressure of Japanese imperialism. His ideology includes strong advocacy for yinyang(陰陽), passive approve for five elements(五行),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medicine’s herb(本草), efforts to modernized the meridian(經絡) and beware of unification of disease names. But when it comes to treatment, he didn’t accept Western Medicine’s methods and only used Korean Medicine’s methods. His eclecticism are comparable to those of others in the same era. Compared with 『Dongseouihakyoui東西醫學要義』 and Jang gimu(張基茂)’s eclecticism, his eclecticism focused on Korean Medicine rather than Western medicine. Cho Heon-yeong was more receptive to Western Medicine than Tang Zonghai(唐宗海), and was in a similar position as Zhang Xichun(張錫純), with differnerence in detai.l.. Also,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Hirata Kuraki(平田內臟吉)’s experimental physiological perspective and psychotherapy. Cho Heon-yeongs medical ideology and clinical view in 『Oriental Medicine Series(東洋醫學叢書)』 were the results of his concern about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so give an example of the direction of Korean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