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람직한 설교형식으로서 강해설교 연구 : 강해설교의 필요성과 실제를 중심으로

        김덕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설교”가 기독교 선교의 주요 도구요 주요 통로라고 하는 것은 구약성경으로부터 신약성경에 이르는 그 긴 성경전통과 이스라엘 역사 초기의 지파 공동체로부터 예루살렘 성전의 예배 공동체, 유대교의 회당예배, 그리고 기독교의 예배 공동체에 이르는 그 긴 예배 전통들이 강력히 뒷받침해 주는 명백한 사실이다. 이렇게 교회의 역사가 설교의 역사이고, 기독교에서 설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설교의 중요성에 비해 오늘날 한국교회의 설교에 대한 평가는 벼랑에 서 있는 설교, 침몰되어 가는 설교, 설교의 위기, 비어있는 강단(emptypulpit), 죽은 설교, 더 이상 설교를 통해 사람들의 완고한 마음이 부서지고, 변화가 일어나고, 민족이 개조되고, 믿음의 가치를 불러일으키고, 교회의 성장을 이끄는 변치 않는 원리로서 청중들의 신앙생활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는 설교로 평가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문제점과 설교에 대한 평가와 설교의 위기를 분석하고 그 분석을 근거로 해서 강해설교의 필요성과 가장 성경적이고 바람직한 설교 형식인 강해설교를 제시함으로 다시 한 번 강단에서 들려지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를 바람으로 쓰여 졌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강해설교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유익과 보다 성경적인 설교에 다가가기 위함이며, 강해설교의 이론과 실제를 교회와 성도들을 돌보는 목회의 현장에서 익숙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 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교회 설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강해설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 상황과 역사의 현장 속에서 드러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복음의 빛에서 해석하여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형성하도록 돕는 선포와 돌봄의 행위로서 실제적인 강해설교의 작성 방법을 통해 성경적이고 바람직한 설교의 모습을 밝혀준다. 바람직한 설교로서 강해설교에 이르기 위하여 본 논문 2장에서는 왜 한국교회에 강해설교가 필요한지를 연구하였다. 첫째는 한국교회의 문제는 교회관의 문제이고, 비복음적이고 비성경적인 바르지 못한 설교가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것을 지적했고, 둘째는 한국교회 설교의 문제는 구체적으로 본문에서 벗어난 설교, 강해설교에 대한 오해, 설교자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셋째는 새 설교학의 무조건적 수용을 통해 새 설교학이 성경으로부터 진리를 찾으려고는 하지만 성경이 진리라는 것은 고려하지 않으며, 삶의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전달에 최우선적 관심이 있기 때문에 가독교의 기본 진리에 대한 가르침을 소홀히 하고, 본문의 의도를 왜곡하는 경우가 있으며, 결론과 적용을 열어 놓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청중들로 하여금 설교자의 의도와 본문의 의도와는 다르게 아전인수(我田引水) 격으로 설교를 듣게 되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통해 강해설교가 왜 필요한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강해설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강해설교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강해설교란 “하나의 본문(Text)에 집중하고, 그 본문의 철저한 해석(Interpretation)을 통하여 얻어진 성경적 개념(Biblical Message) 즉 핵심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며 진전이 있는 말씀을 성령의 인도함을 받아 그것을 청중에게 전달(Communication)하여 설교자와 청중의 삶에서 본문을 바르게 적용(Application)하게 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강해설교의 특징과 구성과 장단점을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강해설교를 성경 본문을 다루는 방식에 따라, 혹은 성경을 해석하는 원리와 다루는 주제에 따라서다양하게 분류를 할 수 있지만 강해설교의 근본적인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그래서 강해설교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는 대표적인 설교의 형식, 즉 귀납법적 강해설교, 주제별 강해설교, 이야기식 강해설교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바람직한 강해설교를 위해 고려 사항들, 즉 본문 접근, 청중 분석, 적용, 설교의 목적, 보조 자료의 사용, 설교의 작성 순서를 통해 강해설교를 작성하는 실제에 대한 부분을 논하면서 강해설교의 준비를 위해 필요한 여러 단계들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방법으로 쓰여진 본 논문은 강해설교가 성경이 설교의 내용을 지배하고 설교의 기능이 본문의 기능과 유사한 설교로서 본문의 내용과 기능이 설교에 잘 반영되는 설교이며, 설교 본래 자리인 성경에 뿌리를 둔 설교 방법이기 때문에 오늘날 강단의 회복을 위해서 강해설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준다.

      •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공용시설의 배치와 동선의 공간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김덕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고층 주거복합 건물의 복합화 경향이 더 심화 되어감에 따라 초고층 주거복합 건물 내에서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공용시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주거민을 위한 공용시설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개발양상은 초고층 주거복합 건물 내 공용시설의 배치와 동선체계가 거주자의 생활을 위주로 하기보다는 개발업자들의 경제논리에 의한 고층, 고밀 개발방식에 의해 계획되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초고층 주거복합 건물 내 공용시설의 계획에 있어서는 거주민을 위한 주요 시설로서가 아닌 부가적 요소로서 개발에 필요한 부분을 충족한 후 채워지는 방식이 대부분이었으며, 공용시설의 배치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공간 구조적 측면이나 이에 따른 거주자측면에서의 동선체계에 의한 접근적 특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복합 건물 내에서의 공용시설의 배치적 특성에 따른 공간 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수직 동선 요소인 엘리베이터의 연결체계에 따른 공용시설들의 배치관계를 살펴보고, 정량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거주민 측면에서의 공용시설에 대한 효율적 동선체계의 수립과 커뮤니티 시설로서 공용시설의 적절한 공간적 위치를 모색하기 위한 건축계획적 제안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9개의 선정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도면분석과 현장답사를 통한 각 사례별 내부 공용시설의 위치와 엘리베이터의 연결관계를 통하여 공간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내 공용시설에 대한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계획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내 공용시설은 주거동과의 연속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내 수직 동선체계와 연계한 공용시설의 배치는 보다 효율적인 공간구조적 특성을 보인다. 셋째, 공용시설이 지상층에 위치하였을 경우 지하층에 위치한 공용시설보다 더 효율적 공간구조를 보인다. 넷째, 엘리베이터의 운행체계에 있어서 병행운행을 하였을 경우 각 시설간의 위계가 명확해진다.

      • Vector network analyzer 강자성 공명을 이용한 Nano-oxide층을 포함한 Py/Pd 이중층에서의 Spin-pumping 효과

        김덕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pin-pumping 효과는 강자성/금속 이질구조에서 길버트 감쇠계수를 증가시키는 현상이다. 강자성층과 인접한 금속 층 사이에서 스핀전류가 주입되고, 표면에 축적된 스핀들이 자기회전비율과 길버트 감쇠계수의 재조정 과정을 통해 스핀의 운동을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길버트 감쇠계수의 측정으로 spin-pumping 효과를 알 수 있다. 그리고 spin-pumping 효과는 산란행렬으로 표현할 수 있고, 스핀에 의존하는 표면 전도성에 연관되어 있다. 표면 전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Py, Pd 증착 사이에 중단시간으로 산화층(nano-oxide layer; NOL) 두께를 조절하여 만든 Si/Pd/NOL/Py 이중층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두께 10 nm Pd 층을 증착한 후 각각 0, 6, 30, 60 sec 동안 증착을 중단하여 산화층을 만든 다음 5 nm 두께의 Py를 증착하고, 마지막으로 Py 층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Cu 5 nm를 증착하였다. 즉, 증착을 중단한 시간 동안 Pd 층 위에 얇은 NOL이 형성 된다. 증착을 중단한 시간이 증가할수록 표면 전도성이 점차 감소됨을 의미한다. 강자성 공명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외부 자기장이 80 mT 이상에서 시료의 강자성 공명의 길버트 감쇠계수를 측정하였다. 산화층 시간이 0, 6, 30, 60 sec에서 길버트 감쇠계수가 Cu(5 nm)/Py(5 nm)/Cu(10 nm)/Si에 대해 113, 29, 21, 9 %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산화층은 스핀전류 주입을 감소시켜서 Spin-pumping 효과가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표면 전도성의 감소를 나타내는 nano-oxide층의 형성에 의해 spin-pumping 효과가 급격하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 유도가열기의 부하와 코일의 이격거리 변화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

        김덕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조리 기구는 열원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원에 따라서 가스 가열 조리 기구와 전기 가열 조리 기구로 나뉜다. 가스 가열 조리 기구는 전기 가열 조리 기구 보다 상대적으로 가격, 화력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폭발, 가스누출 및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의 문제점이 있다. 전기 가열 조리 기구는 가스 가열 조리 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내 및 해외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기 가열 조리 기구에는 크게 열선 가열 조리기구와 유도가열조리기구로 나뉠 수 있다. 열선 가열 조리 기구의 경우 저항선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변환 손실이 크고 소모 전력이 증대하는 단점이 있어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전력으로는 최대출력의 한계가 있다. 또한 저항선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화재 및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반면에 유도 가열 조리기구는 와전류에 의한 전력 변환 공급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전력변환 효율도 열선가열조리기구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1]. 유도가열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폭 넓게 사용되는 기술로 근본이 되는 원리는 1831년 패러데이(Faraday)에 의해서 발견된 전자기 유도현상이다. 유도가열 방식은 종래의 연소에 의한 발열방식이나 다른 전기가열 방식과 비교하여 가열효율이 높아 경제적이고, 온도에 대한 신속한 응답성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워밍업 등에 수반되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출력온도 제어의 용이성 및 안전성이 뛰어나고, 배출가스 등의 오염물질 발생이 없어 위생적이고 청결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산업 현장의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유도가열 방식은 발열체와 유체이동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기체, 액체 등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기가열방식과 비교할 때 사용상 제약이 적다. 유도가열 기술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회로기술을 기본으로 하여 고속화, 대용량화로 발전함에 따라 공진형 인버터개발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산업용 유도가열장치는 큰 출력을 요구하므로 출력과 스위칭 주파수 면에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가 적합하며 10[kHz]이상의 고주파로 스위칭 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전압형 인버터가 안정성 면에서 적합하다[2]. 하지만 가정용 유도 가열 조리 기구의 경우 조리 용기의 크기, 재질, 모양이 각각 다르고 조리 용기와 가열 코일의 위치 또한 설계된 시스템과는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이때 부하의 용량, 스위칭 주파수, 공진 주파수 등 실제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설계된 파라미터와 다르게 되어 가정의 사용자는 설계된 용량, 효율 만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가정용 조리 기구의 선택에서 다른 조리 기구에 비하여 선택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 가열 조리 기구의 문제점인 가열코일과 가열부하의 이격거리 변화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기존의 고정주파수 방식의 유도가열기의 문제점인 이격거리 변화시 가열시간, 입력전류, 효율의 변화를 실험 및 결과를 통하여 확인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변주파수 방식의 유도 가열 기구를 설계 및 제작하여 이격거리 변화시 가열시간, 입력전류, 효율의 변화를 실험 및 비교하여 새로운 방식의 유도 가열 기구의 가열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온도분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특성을 비교․분석하며 이상전압, 내부고장, 가열부하의 문제점 등으로 발생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보호시스템을 구성하여 유도 가열 기구를 사고로부터 보호 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제 Ⅰ장 서론, 제 Ⅱ장 관계이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제 Ⅲ장은 유도가열기 설계 및 구성을 Ⅳ장은 실험 및 결과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 모성분리와 fluoxetine 투여가 흰쥐 시상하부의 oxytocin,vasopressin 및 nitric oxide synthase에 미치는 영향

        김덕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ernal separation and fluoxetine treatment on the oxytocin, vasopressin and NADPH-d positive neurons in rat hypothalamus. The tissues were stain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chemical methods. The expression of oxytocin and vasopressin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each experimental group. The maternal separation with normal salin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nsity of NADPH-d positive neurons in comparison with continuous maternal care group in paraventricular nucleus. In thematernal separation with fluoxetine treatment group, the density of NADPH-d positive neur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VN compared to the maternal separation with normal saline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role of NOS in the biological mechanism of maternal separation and the action of fluoxetine.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provide cluefor evaluation of pathophysiology of stress or maternal deprivation-related disorders in clinical aspect.

      • 컨설팅 특성이 컨설팅 성과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SERVCO척도를 활용한 컨설팅 수진기업 실증분석 중심으로 

        김덕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컨설팅 산업은 전문 인력의 지식을 활용하여 고객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대표적인 지식 산업이다. 현대와 같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기업들 뿐 만 아니라 소상공인에 이르기까지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전략을 찾아내고 이를 직접 실현하여 성과를 내는 일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아가는데 컨설팅은 가장 효율적인 조언자 및 지원자로서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컨설턴트의 역할이 2016년 1월 WEF(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에서 제 4차 산업혁명이 거론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우리 컨설팅 업계에도 이 변화를 준비해야 하는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2017) 지식서비스 & 컨설팅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진행된“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컨설팅 패러다임 Shift에 따른 컨설팅 서비스품질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의 프로젝트를 통하여 개발된 “SERVCON의 품질측정 척도”를 활용한 중소 수진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를 목적으로 진행 하고자 한 것이다. 컨설팅을 수진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2.0, AMOS 22.0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 연구들이 서비스 전반의 품질 측정도구를 사용한 반면에, 본 연구는 경영 컨설팅 서비스 품질을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경영서비스 컨설팅 품질 측정 척도를 활용함과 동시에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컨설팅 산업의 역할 변화(컨설팅 신뢰)에 대해 컨설팅 역량 특성과 컨설팅 신뢰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컨설팅 역량특성 중 금전적 가치에 해당하는 경제적 품질은 컨설팅 신뢰특성인 편의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컨설팅의 금전 대비 결과물의 가치는 컨설팅의 신뢰와 결과물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컨설팅 역량 특성 중 컨설팅의 역량에 해당하는 기능적 품질은 컨설팅 신뢰 특성인 거래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컨설팅의 방법론이나 컨설턴트의 능력이 컨설팅의 신뢰, 확신, 윤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컨설팅 역량특성 중 컨설팅 경제적 품질은 거래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금전적 가치에 따라 컨설팅의 확신이나 윤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며, 결과적 품질은 컨설팅 신뢰특성 두 변수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데 컨설턴트의 기업에 대한 관심과 협력의지 배려등은 신뢰, 확신, 윤리적인 부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컨설턴트의 능력 및 전문성인 기능적 품질은 신뢰,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 수록 컨설팅의 과정과 결과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컨설팅 신뢰특성인 편의적 품질, 거래적 품질은 컨설팅 성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다변화 되는 사회에서 컨설팅의 신뢰특성도 컨설팅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으며 컨설팅의 신뢰도를 높이므로써 기업의 성과활용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촉매를 이용한 매립장 침출수의 새로운 처리법에 관한 연구

        김덕호 안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practical design and operating decisions on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can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overall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The main factor in this regard is the use of aerobic or anaerobic treatment technology. Current waste water treatment adapt the mineralization. But mineralization are wrong concept. The end products of compost are composed of humus, humic acid and fulvic acid. The current activated sludge process is unable to degrade these end products. This new approach provides the solution by cultivating algae and diatom. The following summary is the results of processing leacheate from the Gumi City Gupo Landfill using the new algae method. 1. The new algae method reduced the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of 6.31 ppm to 2.43 ppm. The addition of catalyst to the algae method further reduced the total nitrogen to 2.02 ppm. 2. The new algae method reduced the total phosphate concentration of 0.106 ppm to 0.078 ppm. The addition of catalyst to the algae method further reduced the total phosphate to 0.011 ppm. 3.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2.6 ppm to 5.6 ppm with the algae method. The addition of catalyst slightly decreased BOD to 2.3 ppm. ?This could be due to the algae growth. 4.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creased from 14.8 ppm to 26.7 ppm. With catalyst, COD increased to 17.5 ppm. ?This also could be due to the algae growth. 5. Fulvic acid test showed little change with the algae method. The addition of catalyst to the algae metho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6. The pH level of 8.84 in leacheate remained close at the range of 7.9 to 8.92 with the algae method. The algae method with catalyst increased the pH level significantly to the range of 10.59 to 10.76. The reduction in fulvic acid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solution being more alkali.? 7. One algae is identified with Volvox carteri.

      • 메탄-공기 예혼합기의 자발화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김덕호 建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글초록:내연기관에서 주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석유계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세계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그 특성상 출력과 연비와 배기가스는 서로 상반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획기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유해 배기 배출물을 줄이기 위하여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수소, 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등의 대체 기체 연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이런 연구는 효율의 극대화 및 배기가스 저감의 차원에서 희박연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희박 연소를 실현하는 경우는 연소 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탄화수소 배출량 증가, 출력저하, 실화, 그리고 낮은 연소압력 등의 많은 문제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런 문제들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제어자발화(Controlled Autoignition, CAI) 연소는 연소실내에서 연소 직후에 발생하는 활성화학종 및 높은 열을 이용하여 혼합기의 자발화를 유도하여 희박한 혼합기에 대해서도 연소의 안정화 및 연소압력 상승으로 엔진 출력과 연비향상은 물론 질소산화물의 저감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 EGR(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발생용 정적연소기를 제작하여 정적연소기에서 연소현상을 가시화기법을 통해 해석하고 이를 수치해석으로 비교 검토를 통해 자발화 특성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정적연소기의 경우 정적상태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므로 내부 EGR 효과를 만들어 내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실 중간에 화염의 전파를 방해하는 어댑터를 설치하여 내부 EGR 효과를 발생시켜 자발화를 유도하도록 하였고 이때의 연소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연료가 농후한 경우 급속 연소 현상을 보였고, 희박조건으로 갈수록 자발화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급속연소의 경우는 화염이 어댑터를 통과하면서 난류로 천이 되며, 통로에 의해 생성되는 강한 유동의 효과 뿐만 아니라 활성화학종 및 열의 전달에 의한 효과도 미치고 있음을 화상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자발화 연소현상을 보이는 경우는 희박조건에서의 화염이 어댑터 쪽으로 신장되어 가다가 어댑터에 의해 아래쪽으로 화염이 전파되지 않고 어댑터 위쪽의 연소가 거의 끝나는 시점에서 어댑터 아래쪽에서 자발화로 판단되는 연소가 새롭게 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어댑터 위쪽의 연소에 의한 활성화학종과 열이 홀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전달되다가 자발화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될 때까지 화염이 발생하지 않고 자발화가 일어나는 조건에 이르러 자발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을 통하여 자발화가 일어나는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현상을 실제엔진에 적용할 기초자료로 삼을 자료로 충분하다고 판단된다.또한 선행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엔진에 가까운 조건에 적용하기 위하여 급속흡입압축팽창장치(Rapid Intake Compression Expansion Machine, RICEM)를 제작하였다. RICEM은 1사이클만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실제엔진과는 다르나 사이클 변동이 매우 적고 동일 크랭크 위치에서 실험의 재현성이 뛰어나다. 또한, 실제 엔진에 비하여 가시화가 용이하여 혼합기 및 연소진행단계의 광학적 계측이 쉽고 주요 부품들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압축비, 혼합기의 온도 등의 실험조건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기초적인 엔진연소 연구실험에 적합하다.이러한 장점을 지닌 RICEM 장치에 두개의 별도 챔버와 1개의 주 실린더를 구성하고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예혼합된 메탄-공기 연료를 공급, 제어하도록 제작하였다. 본 실험은 RICEM을 이용하여 예연소시킨 연소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내부 EGR 효과를 실현하고자 하며 이 내부 EGR 가스 중에 포함된 활성화학종의 영향으로 다점 자발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이다.먼저, 두개의 챔버에 공급된 예혼합 연료를 주 실린더에서 점화하여 연소시킨 결과와 예연소실에서 연소시킨 가스를 공급하고 신기 챔버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가스에 의한 자발화를 유도한 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발화를 유도한 연소에서 화염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발생된 화염의 전파속도는 화염전파가 한 점에 시작하는 전기점화와 비교하여 매우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당량비 변화에 따른 실험에서 이론 공연비에 가까운 조건에서 연소압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개의 챔버의 공급 압력을 변화시켜가면서 실험한 결과에서는 신기 챔버의 압력이 동일한 경우 예연소 챔버의 압력이 높을수록 최고 압력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ICEM 실험에서 최고압력값의 해석 결과 내부 EGR을 이용하는 자발화 연소인 경우 화염전파에 의해 진행되는 정상연소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화염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어자발화 실현을 위한 기초 실험인 정적연소기내에서의 자발화 실험과 RICEM에서의 자발화유도 실험을 수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본 실험의 결과를 근거로 연료의 당량비, 연소실의 형상, 흡. 배기밸브의 개폐시기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능동제어밸브를 통하여 내부 EGR량을 제어하여 잔류시킴으로써 다점 압축점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소 안정화 및 연소압력 상승으로 엔진 출력과 연비향상은 물론 질소산화물(NOx) 저감까지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영문초록:Exhaust gas emission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 one of the major sources of air pollution. 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improve efficiency of gasoline engines and to reduce NOx and PM(Particulate Matters) simultaneously in diesel engines. To meet the needs for higher thermal efficiency and lower exhaust emission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 controlled autoignition (CAI) combustion system is generally recommended as one of the favorable candidates.In the CAI combustion system, combustion of mixtures can be controlled with autoignition by mixing the hot exhaust gas with fresh mixtures using 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EGR) technique. The CAI combustion system does not need an increased compression ratio for stable combustion and higher thermal efficiency. Also NOx emission levels can be reduced by optimizing the amount of internal EGR without sacrificing combustion stability.In this study, experiments using both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and a rapid intake-compression and expansion machine (RICEM)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feasibility of the CAI combustion system.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several flame traps were install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chemical radicals on combustion. Initial pressure, temperature, and air-fuel ratio were changed. In the RICEM, a pre-combustion chamber was installed in the exhaust port to realize the mixing of the burned and fresh mixtures. Flammable mixture in the pre-combustion chamber was ignited and fully burnt before i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mixed with fresh mixture during the intake period. The amount of internal EGR was changed by varying the initial pressure, temperature and air-fuel ratio in the pre-combustion chamber.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erties of the burned gas.In the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enhanced flame propagation due to burned gas jet, which depends on the geometry of the flame trap, was observed. Also in some critical conditions, autoignition was observed.In the RICEM, autoignition and enhanced flame propagation due to internal EGR were observed. And the pre-combustion chamber for controlling internal EGR in the RICEM was proven to be a very useful device to achieve CAI combu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