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단면, 형상 및 프리텐션 크기 최적화

        김대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구조물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구조 엔지니어가 기준으로 삼은 여러 제약조건들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며, 최종적으로 최소의 물량으로 최고의 구조 성능을 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게 최적화된 구조물을 얻기 위해서 구조 엔지니어는 과거의 경험에 근거한 직관적인 설계보다는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설계가 되도록 이끌어 나가야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기법 또한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전 알고리즘 중에 Krishnakumar가 제안한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Micro Genetic Algorithm : μ-GA)의 유전연산자를 트러스 구조물의 최적설계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구조 해석 프로그램과 결합한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전 알고리즘은 트러스의 최적 설계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트러스의 최적 설계의 경우 크게 부재의 단면적과 구조물의 형상 및 위상을 최적화하는 세 가지의 방법으로 나뉜다. 대부분은 단면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어왔으며, 이와 동시에 형상 및 위상 최적화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형상 및 위상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변수로 부재의 단면적, 구조물의 형상을 고려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트러스 예제를 선정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설계자가 원하는 조건 내안에서 최적의 단면적 및 형상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리텐션을 받는 트러스 구조물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기존에는 구조물에 프리텐션 적용 시 경험에 근거하여 그 값을 결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최적화 된 프리텐션 크기를 찾는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2-bar 트러스를 예제 모델로 선정하여 설계변수로 부재의 단면적 및 절점을 고려하였으며, 추가로 프리텐션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일부 구조물에서는 프리텐션의 적용이 트러스 구조물의 물량을 절감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구조물에 적합한 최적의 프리텐션 크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자가 원하는 조건 내에서 최적화된 구조물의 단면 및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리텐션이 고려된 일부 구조물에서는 단면, 형상 및 프리텐션 크기를 설계변수로 하여 이에 대한 최적의 값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ructural optimization have an important object for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truss structures. The optimum truss structures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as various constrains. For determined optimum truss structures, genetic algorithm is employed as an optimization tool for this purpose. Structural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is applied by many researchers, and they have published papers improving the results and increasing the speed of genetic algorithm in the last decade. This study is used to Micro Genetic Algorithm(μ-GA) by proposed Krishnakumar. Micro genetic algorithm is one of the improved form of genetic algorithm, to reduce iteration and computing resources by using small populations. In this paper, micro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find an optimum cross section, nodal coordinates and pretension magnitude of truss structures. For realizable structure design, allowable stress, displacement and Euler buckling stress are considered as constraints, when weight of the trusses is minimum. The efficiency of micro genetic algorithm has been proved through many truss structures. Features of the proposed method, which help in modeling and application to optimal design of truss structures. The optimum design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a valuable guide to structural engineers.

      • 백색 발광다이오드의 색온도에 따른 GaAs 태양전지의 효율 측정 및 분석

        김대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감성조명이란 색온도와 밝기를 변화시켜 자연조명과 유사하게 만든 인간친화적인 조명이다. 이러한 실내 조명에서 사용되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LED : Light Emitting Diode)의 빛과 차세대 에너지 공급원인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생산을 한다면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차세대 에너지 공급원인 태양전지와 차세대 조명용 광원인 LED를 이용하여 색온도가 다른 백색광원에 따른 GaAs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 분석하였다. 태양전지의 양자효율은 태양전지의 특성을 평가 분석 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PV measurement 사의 QEX7장비를 이용하여 GaAs 기판 상에서 적층한 GaAs 단일접합 태양전지의 양자효율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태양전지의 양자효율과 표준 태양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측정하였다. 적색, 녹색, 청색의 LED를 조합하여 색온도가 3,000~7,000 K으로 변하는 백색 LED를 구현하였다. 이 백색 LED에 대해서 GaAs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은 40%이상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태양광에 대한 GaAs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인 21%의 두 배가 넘는 값이다. 또한, 동일한 백색 LED power에 대해 색온도에 따른 GaAs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하였는데, 백색의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태양전지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특성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LED의 색온도별 스펙트럼에 대한 GaAs 태양전지의 양자효율을 분석하였다. 백색광의 스펙트럼과 태양전지의 흡수대역이 상당히 일치하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효율이 기존의 태양광을 이용했을 때보다 높다.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양자효율이 낮은 청색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낮은 지터의 Reclocker를 가진 Pre-Emphasis 송신기

        김대환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주파수와 clock의 주파수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주기는 작아지기 때문에 지터에의해 영향을 더 받게되어 지터가 적은 송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Transmitter에서는 출력 데이터를 내부에 탑재된 PLL(phase locked loop)에서 만들어낸 clock과 동기화하여 보낸다. 이때 clock에 jitter 성분이 많으면 Receiver에서 깨끗한 data를 전송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지터 특성을 보이는 PLL이 장착된 Transmitter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Transmitter는 Pre Emphasis 동작을 지원하여 전송선로의 고주파 감쇄에도 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먼저, High-level 시뮬레이션을 위해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Phase Detector와 PLL을 모델링하고 simulation을 통해 회로의 동작을 구현하고, Hspice와 Cadence를 사용하여 실제 회로를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Important issues in the current analog circuit area, require techniques that data can be sent accurately far fast. Transmitter sends the output data-made cloc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nally PLL mounted (phase locked loop). In this case, there is a difficulty to transmit the many jitter components clean data in the Receiver for clock. In this paper, using a PLL for Transmitter, existing PFD (phase frequency detector) only of the FIFO base that is equipped with Digital Low Pass Filter in order to create an output clock indicating a low jitter characteristic than using a PLL The providing of the PD(phase detector), and revealed a Transmitter equipped with PD PLL at this point Reclocker. First, implement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through the simulation model the Phase Detector and a PLL using Matlab Simulink for High-level simulation using Hspice and Cadence, was verified by designing the actual circuit.

      • 한국 개신교회 주일 낮 예배 순서에 대한 연구

        김대환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지금까지 초대교회부터 현대교회에 이르는 여러 가지 예배의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때로는 너무나 형식적이어서 예배자들이 알 수 없는 예배가 되기도 했고, 때로는 너무 비예전적인 형식을 가지고 있는 예배여서 예배자들로 하여금 예배에 대한 관심이 없게 예배가 진행되었다. 예배의 올바른 자세는 예배자의 마음이 하나님을 경배하고 있는지, 아니면 그렇지 못한지에 달려있다. 한국개신교회의 예배는 예배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경배케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다. 그 이유는 예배집례자 중심의 예배운영이 그것이며, 설교 중심적 예배와 축복과 은사의 강조, 그리고 무미건조한 예배의 내용이 그것이다. 한국의 개신교회가 선교 100주년을 넘어서 200주년을 향해 힘차게 전진하는 지금의 현실에 교회의 내적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예배의 불균형과 부조화로 인하여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초대교회로부터 현대교회에 이르기까지 예배순서 중 공통적인 것은 "말씀의 예전"과 "성만찬의 예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교회의 예배도 이 두 기둥을 중심으로 한 예배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대 개신교회 대부분은(루터교회 제외) "말씀의 예전"이 강조되고 "성만찬 예전"이 삭제된 예배를 드리고 있다. 특히 한국의 개신교회는 신도들이 지닌 훌륭한 기도생활, 감사의 생활, 열정적인 봉사와 헌신에도 불구하고 성만찬에 소극적이었던 선교사들의 예배형태와 한국의 샤마니즘적인 재래문화 속에서 생겨난 설교중심, 축복강조의 예배가 되고 말았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자연히 성만찬이 포함된 예배의 형태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설교가 중심이 된 예배가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1982년 리마에서 만들어진 리마예식서는 한국개신교회의 예배갱신에 좋은 기회가 되었다. 리마예식서는 하나의 완성품으로서가 아니라 완성되어��있는 예식으로서 한국교회의 예배신학에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제는 목회자 혼자만의 예배, 설교중심의 예배였던 한국 개신교회의 예배가 이러한 계기를 통해서 교회 공동체 전체가 참여하는 예배, 함께 하는 예배로 자리를 잡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한국 개신교회는 앞으로 예배를 위한 예배순서와 형식에 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완과 수정을 거쳐 한국개신교 실정에 맞는 예배의 정착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교회들이 예배의 순서를 균형과 조화있도록 구성해나��있음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새롭게 정립되어 가고있는 예배순서와 형식이 한국 개신교회의 외적 성장 뿐만 아니라 내적인 성장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이러한 예배는 예배 집례자 혼자만이 모두 감당할 문제가 아니다. 모든 성도들이 예배를 보다 잘 드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예배의 준비와 계획하는 일을 위해 많은 투자와 관심을 갖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의 한국개신교회가 지향해야 할 것 중에 하나는 받는 예배에서 드리는 예배로의 변화라고 하겠다. 그동안 한국의 교회는 은혜받기만을 원해왔다. 그러기에 예배에 대한 경외감이 없었고, 개인중심적인 예배의 참여가되므로 인해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와 인간과 인간과의 조화있는 관계가 무시되었던 것이다. 이제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가 되어야 하며 이웃에게 나누는 예배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 Pt/SiO2 촉매상에서 H2에 의한 저온 N2O 환원반응과 비활성화현상

        김대환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upported Pt nanoparticles with average crystallite sizes near 1 nm have been prepared by an ion exchange and wet reduction techniques and used for selective reduction of N2O at very low temperatures, such as 90∼15oC, in the presence of H2 as a reductant, designated to "H2-SCR" Activity maintenance profiles for the H2-SCR deN2O reaction over supported Pt depended significantly on an N2O-H2 ratio, kind of supports employed, loadings of Pt and its particle sizes, and reaction temperatures allowed. The supports and reaction temperatures could make a different activity and its maintenance in the N2O reductionwith H2; however, the remaining parameters may be apparent. A sample of 1.72% Pt/SiO2 for the reduction of N2O by H2 even at low temperatures, such as 110oC, had N2O conversions greater than 90% until 10 h on stream but the activity decreased with time, and this deactivation was quite reproducible as shown by four times repeated measurements. When a 0.65% Pt/SiO2 catalyst was employed for the N2O reduction at 125oC, this showed the deactivation as a function of time but complete regeneration if reduced at 400oC that was very similar to the observation with the 1.72% Pt catalyst. When a single sample of 0.57%Cu-1.13% Pt/SiO2 was used for a similar repeated measurement, this bimetallic system gave no copy of the initial activity for N2O and H2 both. All the Pt catalysts promoted with Cu with different quanties; including the 0.57% Cu- 1.13% Pt/SiO2, consist of alloy-like Cu-Pt species even before reaction, as confirmed by XRD measurements. In situ TPD experiments with Pt-alloy and Cu-Pt samples propose that the catalyst deacti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N-containing materials on the Pt surfaces during the deN2O reaction, but details regarding such precursors are required to be studied using much more sophisticated measurements. 본 연구에서는, 이온교환법으로 제조된 약 1 nm의 직경을 갖는 Pt 담지 촉매를 이용하여 90∼125oC의 저온영역에서 환원제로 H2를 이용한 N2O 환원반응을 수행하였다. Pt/SiO2 촉매상에서 H2-SCR deN2O 반응을 수행하였을 때, N2O 제거율은 N2O/H2 공급비, 지지체의 종류, Pt의 함량 및 입자크기 등에 의해 달라졌다. 특히 SiO2, TiO2, Zeolite(MOR, MFI)의 지지체 종류와 Pt의 입자크기는 deN2O 반응의 활성 및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여기서 입자크기에 의한 활성차이는 H2를 이용한 N2O 환원반응이 구조민감성 반응임을 말해 준다. N2O 환원반응에서 촉매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110oC의 반응온도에서 1.72% Pt/SiO2 촉매를 이용하여 deN2O 반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10시간 까지는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이다가 반응시간의 경과와 함께 점차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4번의 실험 모두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0.65% Pt/SiO2 촉매를 이용하여 125oC에서 똑같은 반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역시, 1.72% Pt/SiO2 촉매와 비슷한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0.57% Cu가 추가 담지된 Cu-Pt 촉매의 경우, 반복적인 deN2O 반응을 수행할 때마다 촉매의 활성감소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 촉매의 XRD 측정결과 이러한 현상이 Cu-Pt alloy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활성화 현상의 원인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해 in situ TPD를 실시한 결과, N2O 환원반응동안 N을 포함하는 물질이 Pts 위에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비활성화의 주요 원인중 하나임을 의미하고 있다

      • 의료인 직업윤리에 근거한 한의사 윤리교육 방법 연구

        김대환 대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dical profession has the problem of lack of bioethics, due to the expansion of capitalism and mammonism after modernization. Therefore, the need of education of bioethics is increasing but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is insufficient for promoting personal morals. So the author studied ancient and present bioethics, and searched for the cause of current bioethics absence and the method of overcoming it. Especially, studying the vocational features of oriental medical doctor as profession and the problems of education of bioethics in oriental medical college, the author searched for the directions of educations of bioethic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medical profession have ethical problems because of ① social moral hazard ② evils of capitalism ③ change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due to expansion of consumerism ④ limitation of autonomy due to commercialize of hospitals ⑤ decrease of knowledge monopolism of professionals ⑥ moral indifference and frailty ⑦ A missdeed preference 2. Considering short specialization process and high discretion, subjective and intuitional characteristic of oriental medicine, the bioethics of oriental medical doctor is mainly influenced by personal morals. 3. The education of bioethics needs "Rest's 4 components" but the current education of bioethics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lacks of time and is composed of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So it needs various types of education system. 4. Morals are subjective and discretionary personal character. Therefore, informational education is insufficient for enhancing morals and complex education for various personal attainments (various social indirect experience, philosophical speculation, mental serenity) is needed. It has to be done on the basis of ① educational method by experience not lecture ② long term expectation ③ basic understanding of bioethics.

      • Effects of reverse injection applied in Pintle injector for 400N GCH4/LOX rocket engine

        김대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intle injector is an axisymmetric bipropellant-impinging injector, which has suitable characteristics for throttleable rocket engines. Especially, pintle injector was utilized in lunar module descent engine (LMDE) and Merlin engine for Falcon series launchers of Space X. Due to their favorable characteristics and reliable performance, interest for pintle injector has been recently renewed and grown rapidly.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raying conditions and spray or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pintle injector. However, there is no previous study that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each spray characteristics individually. This research proposes an alternative method to individually control two major spray characteristics; spray angle and droplet size. For control group, a 400 N gas-liquid pintle injector for liquid oxygen and gas methane is designed and its spray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In sequence, ‘reverse injection’ idea and its design are presented to increase spray angle while maintaining the droplet size, represented by the Sauter mean diameter (SM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reverse injection tip a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data.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re evaluated through atmospheric cold flow tests using water and air as simulants for liquid oxygen and gas methane. Spray angle and SMD are measured using the shadow method, with appropriate optics and cameras. In this study, the reverse injection tips are designed to have identical reverse injection effect as the throttling level changes. The design was proposed to decouple two spray characteristics, spray angle and droplet size, and to enable the parametric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ray characteristic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 ‘reverse injection’ functioned properly, increasing the spray angle of the injector as intended without changing the droplet size. Furthermore, empirical equation correlating the spray angle and reverse injection angle was obtained. 핀틀 분사기는 축대칭 형상의 이원 추진제 충돌형 분사기의 일종으로, 가변추력 로켓 엔진에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핀틀 분사기는 Space X의 Falcon 계열 발사체에 사용된 Merlin 엔진이나 미국 달착륙선의 착륙용 엔진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핀틀 분사기는 높은 신뢰도와 매력적인 장점들에 힘입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들이 핀틀 분사기의 분무 조건과 분무 또는 연소 특성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분무 특성과 연소 특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일찍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는 각각의 분무 특성들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대표적인 분무특성인 분무각과 액적 크기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400N 급의 GCH4/LOX 로켓 엔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핀틀 분사기(평분사)를 대조군으로 삼아 그 분무 특성을 수류시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했습니다. 이어서 역분사 개념과 역분사 핀틀 팁의 설계가 제안되었고, 실험군으로서 서로 다른 역분사 각도를 갖는 두 개의 역분사 핀틀 팁이 제작되어 대조군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 분무 특성이 평가되었습니다. 분무 특성 평가는 그림자 기법으로부터 얻은 사진을 활용했으며, 액적 크기는 대표값으로 Sauter Mean Diameter (SMD)를 택하여 사용했습니다. 수류시험에서는 기체메탄을 공기로, 액체산소를 물로 모사하여 진행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역분사 핀틀 팁이 추력이 변화함에 따라서 그 역분사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실험 결과, 역분사 핀틀팁은 애초에 목표한 대로 오직 분무각만을 증가시키며 액적 크기는 그대로 보존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역분사 각도와 분무각 변화 사이의 경험식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중학생의 주장하는 글에 나타난 논증 양상 및 오류 연구

        김대환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주장하는 글에 나타나는 논증 구조와 논증 오류의 양상 및 자료 글 차용하기 양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2학년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논술형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논술문 자료를 유형별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쓰기 양상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논술문 쓰기영역 교육내용을 구성할 때 필요한 요소들과 수준별, 맞춤형 교육 내용을 점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각 장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논증과 논증 구조, 구조의 유형, 논증 오류의 유형, 자료 글 차용하기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증이란 공동의 문제(쟁점)에 대하여 자신의 주장을 타인에게 적절한 근거를 들어 동의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구성원들이 더 나은 결론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논증의 요소를 설정할 때는 윌리엄스와 콜럼(2008)의 연구를 기반으로 ‘주장, 이유, 근거, 반론고려’를 기준으로 논증의 구조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논증 구조 유형은 주장에 따른 ‘이유, 근거, 반론고려’의 유무를 기준으로 총 5가지의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논술문의 평가 기준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임의의 반을 선정하여 각 평가자들이 가채점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요소를 수정하여 평가자간 신뢰도와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Ⅲ장에서는 주장하는 글쓰기 수행 평가를 바탕으로 논증 구조, 논증 오류, 자료 글 차용하기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254명이며, 정책 논제를 바탕으로 주장하는 글쓰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였고, 채점은 국어 교사 3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SPSS Statistics 22 한글판 프로그램을 통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가자 간 신뢰도는 Cronbach a 계수는 .949로 연구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우선 학생 수행 자료에 나타나는 논증 구조 양상에 대한 빈도분석을 진행한 후 논증 구조를 도식화 하여 주장하는 글쓰기 수행에 대한 특징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자료 글을 차용하는 양상에 대한 빈도분석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논증을 생성할 때 자료 글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증 오류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주장하는 글쓰기에서 쉽게 범하는 논증의 오류를 확인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장하는 글에 나타나는 논증 구조는 이유형, 근거형, 이유-근거형, 주장형, 반론고려형 순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주장형은 자료 글을 그대로 베껴 쓰거나 잘못된 이유와 근거를 들어 논증을 전개하는 형태를 보였고, 이유형의 경우 보편적인 가치를 전제로 자신의 생각을 중심으로 찬성 측의 논증을 전개하는 형태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근거형의 경우 자료 글에 제시된 법률을 근거로 반대 측의 논증을 전개하는 양상을 보였다. 논증 구조에 따라 찬성과 반대의 빈도수가 극명히 구분되는 이유는 논술형 평가의 자료 글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유-근거형은 근거자료에 대한 자신의 판단이나 의견을 더하여 논증을 전개하였고, 반론고려형은 가상의 독자의 다른 의견을 고려하여 반론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반론고려형은 논증 요소에 반론고려가 나타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을 뿐 반드시 모든 논증 요소를 포함한다고 볼 수 없었다. 또, 반론을 자신의 논증을 강화하는데 활용하는 능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논증 요소의 관계와 논증 구조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주장하는 글쓰기 과정에서 논증을 생성할 때 자료 글을 차용하는 양상에서는 먼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인 자료 베껴 쓰기는 자료 글의 법률 근거를 활용한 학생들의 글에 많이 나타났다. 이는 법률 자료의 특성상 요약이나 환언하지 않고 직접 인용하면서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 자료 중심적 쓰기는 자료 글의 내용과 자신의 의견을 함께 나타내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자료 창조적 쓰기는 자료 글의 근거들을 활용하기 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자료에 대한 판단, 해당 사건과 유사한 다른 사례를 중심으로 논증을 전개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나 근거가 약하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주장하는 글쓰기를 할 때 자료 글을 차용 시 필요한 쓰기 윤리 교육과 주장에 따른 적절한 이유와 근거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주장하는 글에 나타나는 논증 오류는 자료적 오류 중 논점일탈에 집중해서 나타났으며, 심리적 오류로 감정에의 호소와 대중에의 호소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여기서 심리적 오류를 범하는 경우 논점일탈의 오류도 함께 범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통해 감정적으로 논지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논제를 벗어나는 경향이 자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다른 학년과의 학습 발달 단계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 논술문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연구 대상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 남자 중학교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같은 학년의 여학생들과의 성별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등의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중학교 2학년들이 논술문 쓰기에 나타나는 논증 구조와 쉽게 범하는 논증 오류의 양상 및 글을 차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학생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점과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논술문 쓰기 교육에 필요한 논증 및 쓰기 윤리에 대한 수준별, 맞춤형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모바일 환경 응용을 위한 코너 특징점 기반의 회전 객체 인식

        김대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모바일 장치의 영상 데이터 처리 능력 확대와 더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인식 기술 연구가 요구 되어지고 있다. 모바일 환경은 고성능 PC 환경과 달리 저사양의 CPU와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어, 영상에서 원하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론으로는 사용자 요구를 실시간으로 충족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모바일 환경에 맞는 객체 인식 방법론의 개발이 요구된다.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객체 인식을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객체 코너점을 이용한 Harris corner detector[1]로부터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영상내의 객체 정보 인식 방법을 제안 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의해, 입력 영상에서 객체의 코너점을 빠르게 추출, 기존 특징점과의 비교를 통하여 영상 내부의 객체 인식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회전된 객체의 특징점 정보는 객체의 회전 정도에 따라 코너 픽셀 색상 정보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특징점의 색상값은 객체의 회전 정도에 영향을 받아 주변의 픽셀값과 혼합되는 특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변경된 픽셀 색상값의 영향을 분석하여, 회전된 객체의 특징점 추출 및 객체 인식을 반영하도록 하여, 영상 내부의 회전된 객체 인식의 수행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징점의 코너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것은, 객체의 인식률은 다소 감소하더라도 모바일 환경에서 계산량의 감소를 통한 실시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은 저성능 CPU와 메모리에서도 회전된 객체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