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timuli-responsive Hydrogel Using Vinyl Copolymer : 비닐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자극 감응성 겔의 제조 및 특성

        김대섭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Hydrogels are important materials of both fundamental and technological interest. They are usually prepared via free-radical crosslinking copolymerization of a monovinyl monomer with a divinyl monomer(crosslinker) in a homogeneous solution. The swelling properties and the elastic behavior of hydrogel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in the last four decades. The theories that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till cannot predi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s from the synthesis conditions. This is due to the several non-ideal factors of the gel formation system such as the different and conversion-dependent reactivities of the vinyl groups, cyclization, multiple crosslinking, and diffusion-controlled reactions[1,2]. The hydrogels that are formed in such a non-ideal situation have defects that affect thei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welling, elasticity, transparency, and permeability. One of the network defects that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s the gel inhomogeneity[3.4]. In contrast to the ideal gels that have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corsslinks throughout the gel sample, real gels always exhibit an inhomogeneous crosslink density distribution, known as the “spatial gel inhomogeneity.” Since the gel inhomogeneit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spatial concentration fluctuations, scattering methods such as light scattering[5,6], small-angle X-ray scattering[7,8], and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9,10]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inhomogeneities. The gel inhomogeneity can be manifested by comparing the scattering intensities from the gel and from a semi-diluted solution of the same polymer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scattering intensity from gels is always larger than from the polymer solution. The excess scattering over the scattering from the polymer solution is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inhomogeneities in gels[11]. 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is famous for exhibiting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t around 32°C in an aqueous solution; that is, it dissolves in water below the LCST and precipitates from the solution above the LCST. PNIPAAm hydrogels with a crosslinked structure are characterized by a temperature-responsive nature in which they swell in water below and shrink in water above the LCST[12].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on specific polymer-water interactions. Gudeman and Peppas[13,14] and Shin et al.[15] reported innovative pH- and temperature-responsive interpenentrating polymer network hydrogels composed of PAA. It has long been known that a crosslinked polymer gel that bears weakly acidic or weakly basic pendant groups absorbs water to an extent that depends on the pH and the ionic composition of the solution that bathes the gel. If the temperature-sensitive gel contains acidic pendant groups, the swelling increases as the pH of the solution increases[16.17]. Similarly, a weakly basic temperature-sensitive gel expands smoothly as the pH of the solution decreases. PNIPAAm and poly(acrylicacid)(PAA) have characteristic temperature and pH sensitivity, respectively. Therefore, P(NIPAAm-co-AA) hydrogel, where in PAA is introduced as a pH-sensitive component into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nent, PNIPAAm, has both pH and temperature sensitivity[18.19]. With a pH, however, that is higher than the pKa of PAA and with a higher AA content, the swelling transition phenomena of the hydrogel disappears[20]. In this work,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Poly(NIPAAm-co-AA) hydrogels that contain various acrylic acid (AA) and cross-linking agents was studied, and the cause of the unusual changes in the swelling ratio, depending on the pH, temperature, and contents of the AA and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P(NIPAAm-co-AA), was investigated via ATR-FTIR spectroscopy, DSC, SEM, and swelling ratio measurement. Hydrogels are polymer networks that swell dramatically in the presence of abundant water. Hydrogels that exhibit dramatic swelling transition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ignals, such as pH, temperature, ionic strength, solvent composition, and magnetic fields, are called “smart hydrogels.” Their swelling behavior is usually reversible, which makes them highly desirable for applications in many areas, including biotechnology, chemistry, medicine, agriculture, and consumer products[21-23]. The swelling and deswelling of smart hydrogels are diffusion-controlled processes[24], with diffusion coefficients of 0.8x10-7 to 8x10-7cm2/s. Therefore, a 1mm-thick gel would take hours to reach equilibrium in response to a stimulus. Several chemical and physical approaches have been reported to have improved the response rate of smart hydrogels. Adding liner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Am) grafts to the existing three-dimensional network of a PNIPAAm hydrogel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significantly[25,26]. The temperature-triggered collapse of a 2mm-thick grafted hydrogel disc(15mmindiameter) occurred in less than 20 minutes. The faster response rate was thought to result from the more mobile graft chains. The creation of interconnecting porous structures has also been shown to enhance the thermally responsive rates of PNIPAAm or poly(vinyl methyl ether) hydrogels by providing open capillary channels for better exposure to the environment[27-32]. Pores (from 16.5Å[27] to tens of micrometers[28,29]) have resulted from heat-induced phase separation between a solvent and a polymer[27,30], differential evaporation of a water/acetone solvent mixture[31], and synthesis in the presence of water-soluble macromolecules[28,29] and particles[32], followed by their subsequent removal. These porous hydrogels collapsed in less than 5 minutes but took 100 minutes to reswell to 90% equilibrium. Because swelling kinetic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mensions of hydrogels[24], changing the geometry from that of a film to a rod with the same thickness, or reducing the rod diameter, directly enhances the response rate. Hydrogel rods were made through the extrusion of polymer solutions into a coagulation bath with a syringe. Hydrogel rods from poly(vinylalcohol)(PVA) and poly(acrylicacid)(PAA)[33] with a 1mm diameter responded to the pH in 20-40 minutes at a smaller diameter of 0.3mm, and much thinner chitosan/poly(ethyleneglycol) rods[34] responded to an electrical field in 20seconds. Conversely, a much thinner (6μm) PNIPAAm hydrogel film[35] took 60 seconds to swell. Conventional fiver-spinning technologies produce fibers with diameters of tenths of micrometers, and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formation of hydrogel fibers, they should improve the response rate to a timescale of minutes. Further reduction of the fiber size to micrometer and even submicrometer ranges should reduce the response time to seconds. Dual-stimuli-responsive hydrogel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instance, mixing N-isopropylacrylamid (NIPAAm)-based copolymers that contained either poly(aminoacids) or activated ester side-chain groups has led to dual thermoresponsive and enzyme-degradable hydrogels[36]. In this work,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PVA-g-NIPAAm and PVA-g-poly(NIPAAm-co-AA) nanoweb fibers was studied, and the cause of the unusual changes in the swelling ratio, depending on the pH of the PVA-g-NIPAAm and PVA-g-P(NIPAAm-co-AA), were investigated via NMR, DSC, swelling ratio measurement, SEM, and instron. 외부 자극에 다양한 응답성을 가지는 N-isopropylacrylamide (NIPAAm)와 acrylic acid(AA)를 바탕으로 한 비닐계 공중합체를 여러 가지 제조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중합비가 증가할수록 팽윤율도 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pH 2에서는 AA량이 증가할수록 팽윤율이 감소하였고, pH 4에서는 비슷한 팽윤율이 나타났다. 이는 AA의 pKa값이 4.7이기 때문에 4.7이하에서는 AA의 pKa값에 영향을 받는다. pH에 따른 팽윤율을 측정한 결과 중합비가 4:2일 때 pH 9에서 106배, pH2에서 3배의 팽윤을 나타났다. 이 팽윤율을 측정한 결과 pH에 자극 감응성 겔을 제조하였다. 가교제의 량에 따른 겔의 거동을 측정한 결과 4%이상부터는 팽윤이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4%가 포화상태였다. 온도 저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UV를 사용한 결과 80℃까지 투명한 겔이 나타났지만 4%이상일 때는 흰색 겔이 나타났으므로 4%이상일 때부터 가교제는 과잉으로 나타난다. 팽윤율을 측정한 결과 AA의 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팽윤율이 나타났고, 중합비 4:0일 때 가장 높은 99.80%, 그리고 중합비가 4:2일 때 가장 낮은 98.85%가 나타났다. 이것은 너무 높은 팽윤율 때문에 낮은 회복률을 가져오는 것이다.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자극 감응성 나노 부직포를 제조하였고, 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130℃~170℃에서 열처리를 한 후 각각의 인장강도와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열처리의 온도가 높아 질수록 물에 대한 저항이 높아지는 반면 Tm은 내려갔다. 나노 물질인 경우에 결정이 일어나면서 많은 공간이 생기는데 이 때문에 Tm이 내려가는데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pH변화에 따른 팽윤율을 측정하여 pH감응성 부직포로서의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PVA-g-(NIPAAm-co-AA) 부직포의 가장 높은 팽윤율은 열처리 170℃일 때 pH 9에서 64배로 나타났으며, pH 2에서 19배였다.

      • 마르코의 삶의 자리를 통한 종말론적 전망에 관한 연구

        김대섭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느님의 말씀으로서 복음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복음서를 집필한 저자와 당시의 상황을 연구하는 것을 통해 복음서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복음서 내에는 시대를 반영하고, 저자의 의도, 저자의 사상이 내재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마르코 복음서의 삶의 자리, 즉 저자와 집필(편집)시기, 장소의 문제를 먼저 다루어 보았다. 그런데 실제로 빠삐아스의 저작을 통해서, 그리고 사도행전을 통해 나타난 저자의 신원에 대한 연구는 저자의 확실성에 대한 애매함만 더해주고 있다. 요한 마르코이든, 또는 다른 누구이든 그것은 선택의 문제였다.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그런데 중요한 것은 복음서 내에서는 마르코의 신원을 밝히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또 이러한 노력에 대한 근거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복음서 내에서는 '하느님의 말씀'이 중요할 뿐이지, 집필자 마르코에는 판심이 없다는 것이다. '마르코에 의한 하느님의 복음'이라는 말이 이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시기에 있어서 중요한 기점이 되는 것은 '예루살렘 성전 파괴' 사건이다. 즉 70년을 기점으로, 고조된 긴장 상황(70년 이전)에서, 또는 성전파괴 이후(70년 이후)의 상황에서 복음이 쓰여진 것으로 본다. 13장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오히려 우리는 다양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음을 보게 된다. 결국 시기의 문제는 복음서 전체가 갖고 있는 의도와 전망을 통해 유추해 보는 것으로 넘겨지게 된다. 장소 역시 시기와 같은 지평에서 이해할 수 있다. 로마와 갈릴래아라는 두 축에서 장소는 결정되고 있다. 저자로서 요한 마르코와의 결부와 라틴 용어의 사용을 들어 로마를 주장하는 측과 복음이 갖고 있는 갈릴래아에 대한 편향을 들어 갈릴래아를 주장하는 측으로 나뉜다. 그런데 이러한 장소의 구별은 이제 이야기 장소로서, 즉 복음서가 들려지는 장소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 가게 한다. 즉 복음서의 분명한 지리상의 집필 장소 보다는 신학적이 지평이 어느 곳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저자와 집필시기, 집필장소에 대한 연구는 엄밀하게 말하면 실패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패는 시기와 장소를 보다 확장하여 마르코의 상황에 관심을 갖게 한다. 그리고 저자의 문제는 저자에서 공동체에로 초점이 옮겨지게 한다. 마르코의 상황은 크게 정치적, 사회·경제적, 종교적, 신학적 상황을 들 수 있다. 편집장소로서의 로마와 갈릴래아의 정치적 상황은 비슷함을 결론지을 수 있다. 그것은 억압과 고통, 억눌린 이들의 절망과 좌절의 상황인 것이다. 사회·경제적 상황 역시 경제적으로 가난하고 억압받고 권력자의 횡포에 시달리는 이들의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마르코 공동체는 당시 팔레스타인의 종교전통과 구별되는 상황에서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에게 환대를 기대할 수 없는 소외된 그룹이었던 것이다. 신학적 상황은 바오로의 케리그마적 신학을 보충하는 의미에서 역사적 예수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복음서는 개인의 성찰일 수 없고 그것은 공동체로 열려져 있고, 공동체를 향한 것이라 한다면 그것은 공동체의 성찰이다. 이러한 면에서 저자 마르코에 대한 관심은 그 공동체에로 확장된다. 마르코 공동체는 무엇보다도 제자 공동체이며, 갈릴래아를 지향하는 새로운 공동체이다. 아울러 절망과 좌절, 가난과 억압의 상환에서 종말론적 희망을 견지하고 있었던 묵시적 종말론적 공동체이다. 이러한 공동체가 마르코 복음을 탄생시킨 것이다. 과연 마르코 공동체는 어떠한 전망을 갖고 있었는가? 이러한 전망을 이해하는 틀은 마르코 신학의 기조라 할 수 있는 1장 14-15절의 분석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이 분석은 14절의 상황이 콘텍스트로서의 해석학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15절은 케리그마로서의 해석학적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게 한다. 복음서를 지리적 구분에 따라 본다면, 갈릴래아와 예루살렘은 서로 다른 신학적 의미를 가지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그리스도론적 구분에 따라 본다면, 마르코는 이미 존재했을 것으로 간주되는 바오로의 그리스도론과의 적절한 긴장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그리스도론을 전개한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마르코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종말론적 상황이라고 이해하면서, 이러한 상황 앞에서 자신의 공동체로 하며금 마르코 복음을 종말론적 시각에서 읽도록 한 것이다. 즉 마르코는 자신이 처한 종말론적 긴장상황에서 예수께서 선포하신 장소인 갈릴래아를 자신의 신학의 장소로 만들었으며, 복음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희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 희망은 신앙의 진정한 의미이다. There are many ways to understand the Gospel as a Word of God. Among these ways, Understanding of the Gospel through study on author and situation of the Gospel is important. Because the Gospel involves in the intention of author, the thought of author, and the retrospect of the age. In this viewpoint, this study manipulates 'Sitz im Leben' of Mark Gospel, namely author, time, and place. In fact, a study of Mark the author through work of Papias and Acts adds ambiguity to certainty of author. Whether John Mark or Some Mark, that is a problem of choice. Which one is selected? But it is important that Mark Gospel doesn't try to find identity of Mark and doesn't suggest the basis of this trial certainly and clearly. So to speak, in Mark Gospel important concern is the Word of God. The term of `The Gospel of God according to Mark' indicates this proposal well. In case of a determination of time, a determinative point is a accident 'Jerusalem Temple Destruction'(A.D 70). Mark Gospel might be written in increasing crisis situation(A.D 70 before) or temple destruction situation(A.D 70 after). In analysis of Ch. 13, we can find variant conclusion rather. After all, the problem of time induces to infer through intention and prospect of whole the Gospel. Place is divided from two axes, Rome and Galilee. Linking of John Mark and usage of Latin term proposes Rome, but attraction of Galilee in Mark propose Galilee. Differentiation of place moves redaction place to story telling place, namely place in which the Gospel is proclaimed. The problem of place isn't in geographical mean, but in theological ground. Strictly speaking, a' study on author, time. place may be unsuccessful. But this failure makes us concentrate on the situation of Mark which is extended from time and place. And this failure moves our aims of problem of author to aims of Markan community. Situation of Mark is divided into Political Situation, Socio-Economical Situation, Religious Situation, and Theological Situation. Political situation of Rome and Galilee are similar. That is a situation of hopelessness and frustration and oppression and suffering of the oppressed. Socio-Economical situation is a situation of the people who are poor, and are oppressed, are distressed by tyranny of the authority. Religious situation is a situation which differ from other religious tradition in Palestine, and a situation of miserable group who doesn't anticipates hospitality from Jews and Gentiles. Theological situation is a response in eschatological situation in means of supplementation of Pauline theology. The Gospel is not a introspection of person(a author). If the Gospel would open to community, and would be for community, it is introspection of community. In this phase, the concern of Mark the author extends to community. Markan community is a disciple community above all, and new community intend to Galilee. That is a apocalyptic community which adhere to eschatological hope in situation of poverty, oppression, desperation, discouragement. This community might bring forth Mark Gospel. Now, what kind of prospect is in Markan community? The frame of understanding of this prospect is through analysis of Mkl,14-15 that could be the basis of Markan theology.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situation of 1,14 has hermeneutic mean as a 'Context', and the situation of 1,15 has hermeneutic mean as a 'Kerygma'. In terms of geographical demarcation, it is said that Galilee and Jerusalem has theological meaning respectively. In terms of christological demarcation, Mark unfolds his christology in keep in distance and appropriate tension with Pauline christology which had already existed. Finally, Mark understands his situation as a eschatological situation. In this situation Mark Gospel is read with eschatological viewpoint by his community. So to speak, Mark made Galilee which Jesus proclaimed in as a his theological place in his eschatological crisis situation, and suggested hope through Gospel ultimately. This hope is real meaning of faith.

      • 한국형 ITS의 ODA사업 기반 개발도상국 도입 방안 연구 : 파라과이 수도 아순시온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대섭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발도상국의 주요도시에서는 경제발전에 따른 인구집중으로 교통정체 및 지연이 해당국가의 발전을 저해하고,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개발도상국들은 도로확장 같은 대규모 인프라사업을 통한 문제 해결이 아닌 IT산업과 접목된 ITS시스템 도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들은 이러한 ITS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충분한 자본이 없기 때문에, ITS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ODA사업을 통해 첨단교통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책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ODA사업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ODA사업이 지니는 진정한 의미와 책임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교통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한국의 ITS시스템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파라과이 대한 일반현황과 교통현황을 분석하고 파라과이 수도인 아순시온시 ATMS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제 한국의 ITS시스템이 어떻게 도입될 수 있는 지를 센터시스템과 현장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알아본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형 ITS시스템을 개발도상국에 도입하기 위한 절차적 모형방안을 제시하여 개발도상국을 위한 한국형 ITS시스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 호텔주방의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개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번트쉽을 중심으로

        김대섭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호텔주방의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개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쉽을 중심으로- 김 대 섭 지도교수 :김 희 기 남부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경영학과 조직문화는(Orgamization Calture)는 경영분야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되기 시작되었으며, 최근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조직의 적응과 생산성 향상에 있어 중요한 연구주제를 대두되고 있다. 특히 21C 지식사회에서는 지식, 정보력,구성의 창의성, 몰입 등과 같이 무형자산에 더욱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조직은 지식자원을 체계적으로 측적하고 이를 조직 전체에 확산시켜 구성원의 능력이나 기능을 향상시키고 구성원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조직 즉, 학습조직으로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호텔기업은 조직문화와 다양한 부대시설 속에서 종사자의 행동 및 태도 그리고 고객의 욕구와 상호작용을 통해 평가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다수 선행연구는 조직 내 상사의 리더쉽에 초점을 두고 조직성과 및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호텔조직의 특이성을 감안 중간 관리자들의 조직문화가 서번트쉽의 합리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였다. 특히 조직문화, 인적자원개발, 서번트쉽, 조직리더쉽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조직성과 인식도에 대한 개인별 서번트쉽이 독립 변수들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중심 효과와 영향을 주는지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배경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23일부터 6월17일 사이 S, B, K, G 등 총 13개 호텔 주방 종사원들로부터 자료회수 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49부의 설문을 분석을 활용 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립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12.0프로그램 AMOS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신뢰 조직문화 및 구성원들의 행동변화를 통한 조직의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호텔종사자의 서번트쉽을 매개로 관계조직문화와 조직성과와는 r=0.378(p<.01)에서 r=0.588(p<.01), 인적 자원 개발과 조직성과와는 r=0.513(p<.01)에서 r=0.685(p<.01), 서번트리더쉽과 조직성과와는 r=0.530(p<.01)에서 r=0.740(p<.01),조직리더쉽과 조직성과와는 r=0.441(p<.01)에서 r=0.599(p<.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상사의 리더쉽이란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구성원 들에게 업무수행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팀웍의 경우 β=0.004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업무수행의 경우 β=0.145로 유의한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 을 알 수 있다(p<.001). 새로운 방식의 경우 β=-0.102로 유의한 부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1). 따라서 조직화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이 되었다. 셋째, 서번트쉽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합리문화의 경우 β=0.34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위계문화의 경우 β=0.2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개발문화의 경우 β=0.309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즉, 조직의 합리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는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모두채택이 되었다. 그러므로 호텔종사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이 된 것이다. 상기 결과를 볼 때 ,오늘날의 현시점에서 서울지역과 지역별 호텔들의 조직문화에서 지역간의 큰 차이를 극복하기위해서 중간관리자들의 중심으로 한 리더쉽 교육을 통해 보다 더 활발한 호텔 간의 교류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비정규직 문제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아르바이트, 실습생도 현재 조직에 대하여 기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상사의 리더쉽이 조직발전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를 할 수 있다.

      • 스피노자에 있어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김대섭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pinoza is very attractive to those who evaluate bot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at he faithfully follows the spirit of modernism to its extreme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the spirit of postmodernism. By using concepts of substance, attribute, and mode, Spinoza proves that one substance, that is, a being of infinite attributes, necessarily exists and that infinite numbers of modes are produced from one substance. In his theory, he presents a new approach to the notion of “cause.” According to Spinoza, God (substance) is the immanent cause, not the transcendental cause. This ontological structure of cause can be found in Spinoza’s definition of ‘natuta natutans’ and ‘natuta naturata’, which offer a distinction between the nature of substance and the nature of the attributes. Based on his ontology, Spinoza suggests two ethical ways: (1) A way that transitions from pain to pleasure, which is actual ethic in that it depends on imagination that recognizes existence of things outside by modification of each material, and (2) A way that transitions from passivity to activity, which starts from the fact that both pleasure and pain passive affections that are the result of modific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active affection, true knowledge is necessary. The emotion of pleasure perceived by both intellectual and intuitive knowledge is the sense that increases ‘conatus’, which is the human inclination to preserve one’s essential being. Looked at this way, the emotion of pleasure can be an affective sense. In a sense of recognizing the essence beyond ordinary order of nature, transition from passivity to activity is ethic in a real sense. The uniqueness of Spinoza’s ethics is that conatus also have tendency to preserve other’s essential beings and ultimately, every being of nature. Ontologically speaking, in order to embody its essence more, each material should combine with other materials in the same character and become an individual, and finally, an individual should be expanded to all nature to show its essence in the maximum. It is possible because natuta natutans is the immanent cause of natuta naturata, that is, modes. Ethically, active emotion called pleasure that increases desire to preserve one’s being can be expanded by meeting other bodies in the same characters. In this process, the selfish-ethic that is showed in affirmation of self is not only valid in affirmation of others and all nature, but also maximized. This argumentation implies the surprising conclusion that being totally selfish would be an altruistic way to help others. Thus, in Spinoza’s theory, others are not beings that are unnecessary or obstacles to one’s advancement. Rather, they are individuals that I am associated and that are necessary to preserve all beings of nature. Spinoza’s ethics is an altruistic one in that (1) he affirms one’s essential desire; (2) ultimately, he sees maximizing one’s essential desire as good. In other words, he not only affirms selfishness, but also proves that maximizing one’s profit is the necessary way to ensure solidarity with others. Spinoza’s ethics provide an alternative when we cannot simultaneously give up our own profits and maintain solidarity and community. Especially, since Spinoza’s ethics proposes the realization of conatus as the purpose of the moral education and life-principles as means of the moral education, his theory can give us insight about the moral education. 스피노자는 근대의 정신을 극단까지 쫓아간 사상가임과 동시에 탈근대의 정신의 젖줄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와 탈근대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는 오늘날 우리에게 매력적인 인물이 아닐 수 없다. ‘실체’, ‘속성’, ‘양태’ 개념을 통해서 스피노자는 다수의 속성을 가진 단 하나의 실체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며, 바로 이 실체의 본질로부터 필연적으로 무한한 수의 양태가 산출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초월적인 원인’으로서의 전통적인 신 개념을 폐기하고 그 자리에 ‘내재적인 원인’으로서의 신(실체) 개념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이다. 이것은 그가 실체로서의 자연을 ‘능산적 자연’으로 ‘양태’로서의 자연을 ‘소산적 자연’으로 명명한 것에서 그 존재론적인 구도를 엿볼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존재론 위에서 스피노자는 크게 두 가지의 윤리학적인 길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슬픔에서 기쁨으로’ 이행하는 윤리인데, 이는 각 육체의 변용됨을 통해 외부 물체들의 현존을 인식하는 상상력에 의지한다는 점에서 현실 속에서의 윤리이다. 다른 하나는 ‘기쁨’이나 ‘슬픔’이 모두 외부 물체의 변용됨에 대한 결과라는 수동적인 정서에 지나지 않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하여 ‘수동에서 능동으로’ 이행하는 윤리이다. 수동적인 정서를 넘어 능동 정서를 갖기 위해서는 ‘참된 인식’이 필요하다. 지성지와 직관지를 통해 인식되는 ‘기쁨’의 정서는 그대로 자신의 코나투스를 증대시켜주는 정서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기쁨’의 정서는 능동적인 정서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연의 일상적인 질서를 넘어 본질을 인식한다는 의미에서 ‘수동에서 능동으로’의 이행은 실제 속에서의 윤리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의 윤리학이 지닌 독특한 점은 자신의 존재를 보존하고자 하는 욕구인 ‘코나투스’는 나의 존재를 보존하는 것을 넘어 타인의 존재를 보존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전 자연의 존재를 보존하게 된다고 하는 구조에 있다. 그것을 존재론적으로 이야기하면 각각의 육체들이 자신의 본성을 좀더 발휘하기 위해서는 같은 본성을 가진 다른 육체와 접합하여 하나의 ‘개체’가 되어야 하며, 이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개체가 전 자연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사실에서 증명된다. 이는 능산적 자연이 양태들인 소산적 자연의 ‘내재적 원인’이 되기에 가능한 일이다. 윤리학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나의 존재를 보존하는 욕구를 증대시키는 ‘기쁨’의 능동 정서는 나와 같은 본성을 지닌 다른 육체와의 만남을 통해 더 확장된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나의 긍정’에서 보여주었던 ‘이기주의’적인 윤리가 ‘타인의 긍정’과 ‘전 자연의 긍정’에서도 유효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욱 극대화된다. 철저히 ‘이기주의적’인 목소리를 유지하는 것, 오히려 이를 최대한으로 실현시키는 길이 타인을 돕는 ‘이타적’인 길이라는 놀라운 결과가 도출된다. 그렇다면 스피노자에게 있어 ‘타인’은 불필요하거나 자신의 이익에 방해가 되는 악의 대상이 아니라, 나 그리고 좀더 넓게 보면 내가 결합된 개체, 이를 극단적으로 확대하면 전 자연의 존재를 보존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연적인 존재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겠다. 이처럼 스피노자는 각 개인이 갖고 있는 본질적인 욕망을 그대로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궁극적으로 극대화하는 것을 ‘선’으로 보았다는, 즉 ‘이기주의’를 최대한 긍정했으며, 이와 동시에 자기 이익의 극대화가 필연적으로 타인과 연대하는 길임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이타주의’에 어긋나지 않는 윤리를 구축했다. 이는 개개인의 이익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공동체나 연대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는 이 시대 속에서, 스피노자의 윤리학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도덕교육적으로도 스피노자의 윤리학은 ‘코나투스’의 실현으로서의 도덕교육의 목표와 그에 대한 수단으로서의 ‘생활수칙’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통찰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들뢰즈의 존재론 :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김대섭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들뢰즈의 존재론은 ‘차이 자체’만이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차이 존재론’이라 불린다. 들뢰즈는 그의 작품 속에서 차이 존재론의 개념을 전개시키는데, 그는 철학사 속에 자리잡은 차이 존재론의 맹아들을 자신의 이론에서 보여주기를 원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바로 『차이와 반복』이다. 이곳에서 들뢰즈는 동일성, 유사성, 유비, 대립이라는 재현(representation)의 네 요소가 차이를 악의 상태로 만들어버렸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그는 차이 자체를 사유할 수 있는지, 차이 자체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이에 대해 들뢰즈는 일의성의 개념을 통해 대답하려 한다. 들뢰즈에게 있어 일의성은 존재가 유일하게 같은 의미로 말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체화하는 차이들 혹은 내재적 양상들 모두에 있어 유일하게 같은 의미로 말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들뢰즈는 니체 철학에서 전개된 개념인 영원회귀가 일의성의 참된 방식이라고 부른다. 영원회귀 개념을 넘어 들뢰즈는 반복 개념을 전개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미규정된 실존을 내가 생각한다는 것에 의해 규정 가능하게 하는 형식인, 그리고 수동적 자아와 균열된 나를 발견하게 되는 형식인 시간의 형식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시간의 종합은 현재, 과거, 미래로 나누어진다. 생생한 현재의 종합인 첫 번째 시간의 종합은 현재 안에서 인상들을 수축시키는 습관의 종합이다. 현재는 시간을 구성하지만, 구성되는 이 시간 안에서 지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종합은 현재를 지나가게 하는 과거의 종합으로서의 토대를 필요로 한다. 들뢰즈는 여기에서 과거의 네 역설을 해명하는데, 이것은 동시간성의 역설, 공존의 역설, 선재의 역설, 현실적 현재는 과거의 가장 수축된 상태라는 역설이 그것이다. 이러한 해명을 통해서, 들뢰즈는 순수과거로서의 잠재적 대상들과 실제적 대상들이 이질적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질적 계열들 사이에서 상호작용 - 이들에서 유래되는 체계 안에서 내재적 공명, 자신의 바탕의 계열들을 넘치게 하는 이들에서 유래되는 강요된 운동 - 이 가능함을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 종합은 여전히 자신이 토대 놓는 재현에 관계되어있다. 즉 동일성과 유사성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경첩을 벗어난 시간으로서의 시간의 세 번째 종합은 원형의 형태에서 자유로운 시간이다. 그리고 이 세 번째 종합은 영원회귀 그 자체이다. 사실상 니체의 영원회귀가 단순한 원형으로 구성되는 같은 것의 회귀로 이해해서는 결코 안되듯이, 들뢰즈에게 있어 반복은 오직 차이 자체만이 회귀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베르그송의 원뿔의 비유는 우리에게 수준의 선택이 자유이자 창조임을 가르쳐준다. 이에 더 나아가 들뢰즈는 미분화가 전개된 것이 바로 분화라는 것에로 나아가며, 이것이 바로 진정한 창조, 진정한 반복이라고 부른다. 결국 현재는 반복시키는 것이며, 과거는 반복 그 자체이며, 미래는 반복되는 것이다. L'Ontologie de Gilles Deleuze s'appelle l'ontologie de la diffe´rence, comme la diffe´rence en elle-me^me seulement existe. Deleuze de´veloppe dans son ouvrage le concept d'ontologie de la diffe´rence. Il veut d'montrer dans sa the´orie que l'embryon de l'ontologie de la diffe´rence se situe dans la histoire de la philosophie. Alors ce qui est le re´sultat de cette e´tude, c'est diffe´rence et re´pe´tition. Deleuze ici indique que quatre e´le´ments de repre´sentation, comme l'identite´, l'analogie, l'opposition et la ressemblance, ont rendu diffe´rence e´te´ de male´diction. Donc Il se pose la question de savoir dans quelle mesure doit-on concevoir la diffe´rence elle-me^me, existe-t-elle seulement? A cette question, Deleuze re^pond par le concept d'univocite´. L'univocite´ selon Deleuze signifie que l'e^tre ne se dirs pas en un seul et me^me sens. L'autre se dirs avec toutes ses diffe´rences individuantes ou ses modalite´s intrinse`ques. Alore Deleuze appelle l'e´ternel retour, comme notion de´veloppe´ dans la philosophie de Nietzsche, le vrai type de l'univocite´. Outre le concept de l'e´ternel retour, Deleuze de´veloppe le concept de la re´pe´tion. Ainsi pour celui, la forme du temps doit e^tre conside´re´ comme la forme sous laquelle l'existence inde´termine´e est de´terminable par que Je pense et la forme qui fait de´couvrir moi passif et que Je fe^le´. La Synthe`se du temps se divise en pre`sent, passe´ et futur. La premie`re synthe`se du temps, comme celle du pre`sent vivant, est celle du habitus qui contracte impressions dans le pre`sent. Le pre`sent constitue le temps, mais passe dans ce temps constitue´, c'est pourquoi la synthe`se du pre`sent ne´cessite fondement, comme la synthe`se du passe´ qui fait passer le pre`sent. Deleuze ici manifeste les quatre paradoxes du passe´, c'est le paradoxe de la contemporane´ite´, de la coexistence, de la pre´existence et ce que l'actuel pre`sent n'e´tant que la contraction maxima de tout ce passe´ qui coexiste avec lui. Par suite de cette manifestation, Deleuze e´nonce que les objets virtuels, comme le pur passe´, et les objets re´els sont he´te´roge`nes. Toutefois il est possible de faire des couplages entre ces se´ries he´te´roge`nes ; d'ou de´rive une re´sonance interne dans le syste`me ; d'ou de´rive un movement force´ dont l'amplitude de´borde les se´ries de base elle-me^me. Pourtant la seconde synthe`se du temps est encore relative a la repre´sentation qu'elle fonde. C'est-a-dire il conserve encore l'identite´ et la ressemblance. La troisie`me synthe`se du temps est comme le temps hors de ses gonds, libe´re´ de sa figure circulaire. Et cette troisie`me synthe`se du temps est l'e´ternel retour sur soit-me^me. En effet l'e´ternel retour de Nietzsche ne doit jamais e^tre compris que ‘le retour de ce que est me^me’ est constituee´ simple circulation. Ainsi la re´pe´tition selon Deleuze ne signifie que ce que la diffe´rence en ell-me^me seulement retour. La me´taphore bergsonienne du cone nous enseigne la liberte´ ou la cre´ation, comme choisir le niveau. En conse´quence Deleuze avance que la diffe´renciation n'est que ce que la diffe´rentiation elle-me^me de´veloppe. C'est ce qu'on appelle la vrai cre´ation, la vrai re´pe´tition. L'Un dans l'autre le pre´sent, c'est le re´pe´tieur, le passe´ est la re´pe´tition elle-me^e, et le futur n'est que le re´pe´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