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6주간의 웨이트 볼훈련이남자엘리트대학 수구선수의슈팅속도에미치는영향

        김단호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6주간의 웨이트 볼 훈련이 남자 엘리트 대학 수구선수의 슈팅 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 단 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 연구는 엘리트 대학 남자 수구선수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웨이트 볼 훈련에 따른 슈팅속도, 슈팅 정확도, 수중 수직 점프, 어깨 관절의 등속성 근 기능, 어깨 관절의 관절가동범위 및 몸통의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대한체육회에 선수 등록이 된 대학교 남자 엘리트 선수 중 수구 경력이 3년 이상인 자 30명을 대상으로 1.5kg 웨이트 볼 훈련 집단(1.5kg Weighted Ball Group; 1.5kg WBG, n=10), 1kg 웨이트 볼 훈련 집단(1kg Weighted Ball Group; 1kg WBG, n=10) 그리고 일반 공으로 훈련하는 집단 (Control Group; CG, n=10)로 무작위 분배하였다. 웨이트 볼 훈련은 6주간 주 3회 웨이트 볼을 이용하여 10분간 워밍업을 한 후 빈 골대에 70∼100%의 주관적인 강도로 20∼24회 슈팅하였다. 웨이트 볼 훈련 전·후 슈팅 속도, 슈팅 정확도, 수중 수직 점프, 어깨 관절의 등 속성 근기능 및 관절 가동 범위 그리고 몸통의 등속성 근기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PC version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 측정값에 대한 동질성을 만족한 변수는 집단-간 시기에 대한 차이는 반복 측정에 의한 이원 분산 분석(Two-way analysis of variance), 그리고 동질성을 만족하지 못한 변인들은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통해 검증하였다. 집단-간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Post hoc)은 Bonferroni 보정을 통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 의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재 전·후간 슈팅 속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 지 않았지만,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사후검증 결과 모든 집단 에서 슈팅속도가 향상되었다. 2. 중재 전·후간 슈팅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시기 및 집단, 집단×시기의 상호작 용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중재 전·후간 수중 수직 점프를 분석한 결과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사후검증 결과 1.5kg WBG, CG에서 중재 후에 증가하였다(p=.034, p<001). 4. 중재 전·후간 어깨의 등속성 근기능을 분석한 결과 IR 60˚/sec에서 집단×시 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42), 사후검증 결과 1.5kg WBG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09). IR 180˚/sec에서는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 및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 p=.004). 사후검증 결과 1.5kg WBG 및 1kg WBG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다(p=.010, p=.047). 마지막으로 Flexion 180˚/sec에서도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CG에 서 중재 후에 증가가 나타났다(p=.010). 5. 중재 전·후간 어깨의 관절 가동 범위를 분석한 결과 Flexion에서 집단×시기 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28). 사후검증 결과 1kg WBG에서 중재 후 증가가 나타났다(p=.026). 6. 중재 전·후간 몸통의 등속성 근기능을 분석한 결과 시기 및 집단, 집단×시기 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웨이트 볼 훈련은 엘리트 대학 수구선수들의 슈팅속도, 수중 수직 점프, 어깨 관절의 내회전 근력, 굴곡 근력 그리고 몸통의 굴곡 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수구선수들의 경 기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웨이트 볼 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 다. 향후 연구에서는 훈련 프로그램에 수중 수직 점프에 대한 명확한 지시와 신경생리학적인 적응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어: 수구선수, 웨이트 볼, 슈팅속도, 등속성 근기능, 관절가동범위, 수중 수직 점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