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융기관의 ESG 성과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환경 및 사회 관련 이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자본시장 참여자가 ESG 요소를 고려하는 책임투자(Responsible Investment) 경향이 보편화되면서 투자 주체인 금융기관의 역할이 주목 받고 있다.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는 자본을 제공하고 사회 전반의 투명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국내 금융기관의 ESG 성과와 재무성과를 분석한 논문은 극히 드물다. 이 연구는 분석 대상 측면에서 기존 국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ESG와 재무성과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했고, 나아가 정태패널과 동태패널 모형을 구축하여 분석의 다양성과 엄밀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특히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을 적용하여 내생성을 통제한 결과값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기업지배구조평가원(KCGS)에서 제공하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금융기관의 ESG 평가정보를 사용하였다. ESG 성과가 금융기관의 총자산수익률과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정태패널모형과 동태패널모형을 각각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재무성과를 반영하는 총자산수익률의 경우,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기대와 달리 총자산수익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성과는 모든 분석모형에서 총자산수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지배구조의 경우에는 정태패널 모형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기업의 미래가치를 나타내는 Tobin’s Q의 경우에는 동태패널인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 모형에서 지배구조 등급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가 제공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금융기관 ESG 평가에서 현재 제외돼 있는 환경 및 기후 영향을 고려한 투자의사결정 여부를 ESG 평가 지표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ESG 지표 개발을 위해 금융기관 공시자료를 ESG 영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recent rise in public awareness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and the concept of Responsible Investment, which attracts capital market participants to consider ESG factors, the impact of financial institutions directly carrying out such responsible investments is drawing attention. Although financial institutions that provide capital underlying economic activity and can contribute to transparency in society as a whole cannot overlook the importance, very few papers analyze the link between ESG activ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The difference from other prior studies is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were not covered much by existing research, and regression was conducted by building dynamic and static panels in terms of analysis methods. In particular, the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system GMM) was applied to derive the results of controlling endogenity. Based on the KCGS ESG evaluation inform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from 2012 to 2019, the empirical analysis established and compared the impact on the total asset yield and Tobin’s Q of financial institutions. For current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otal asset returns reflected in the system GMM model shows that higher environmental scor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otal asset returns, contrary to expectations. Social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return on total assets across all analytical models. For governance structur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exerted on static panel models. In the case of Tobin's Q, which represents the future value of an enterprise, the governance rating i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system GMM model, which is a dynamic pan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lude in the ESG evaluation index whether or not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environmental and climate impacts that are currently excluded from ESG evalu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Korea. Second, disclosure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be extended to the ESG area to develop effective indicators.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악 활용에 관한 인식 조사

        김다정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악 활용의 인식을 알아본 조사연구이다. 현장에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 후 네이버 폼 설문 링크를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보육교사 최종 90명의 응답을 회수하였다. 본 설문지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높고 낮음을 구분하기 위한 직무스트레스 척도 34문항,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 활용 인식 차이 20문항, 그리고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사항 6문항으로 구성하여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음악치료학 박사 수료 이상의 전문 음악치료사 2인 유아교육학 박사를 수료한 전문 보육교사 1인에게 검증받았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이 3년 이하일 때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음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날 수 있었다. 둘째, 설문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없이 음악 활용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로서 음악 활용 인식을 분석한 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hat explores the perception of job stress and the use of music among childcare teacher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through a Naver Form survey link, resulting in the collection of responses from a total of 90 childcare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4 items to assess job stress levels, 20 item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usic use according to job stress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6 items regarding general matters concerning childcare teachers, making a total of 60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alidated by two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with a doctoral degree in music therapy or higher and one professional childcare teacher with a doctoral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as experience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and the highest perception of job stress was found among those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Second, the participating childcare teach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of music use regardless of job stres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music use as a means of managing job stress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music program to reduce job stress among childcare teachers.

      •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협동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다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club activities on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adolescent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club activities, between the ages of 14 to 19 living in ○○-si, Gyeonggi-do, and a total of 301 out of 320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19 careless responses. The sampl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the conducted analysis methods wer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confirm the general trend of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average of cooperation was 4.04 points, higher than the average of Likert's 5-point scale, which confirmed that club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on.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relatively lower effect than cooper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test and variance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cooperative spirit,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frequency of club participation, and period of club participation.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and the more they participated more than once a week, the more significant the difference was as they engaged in club activities for more than a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 slight difference in age and participation period.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adolescent activities affect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t was confirmed that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influenced by adolescent club activities. Fourth,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n each other by sett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ngaged in club activ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cooperation, and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ive sub-factors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more the cooperation was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ike cooperation, were also found to be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is confirms that adolescent club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whether adolescent club activities affect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lubs operated in the existing form affect coope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do not have a definite effect, suggesting that this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club activities. 본 연구는 동아리 활동이 청소년의 협동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경기도 ○○시에 거주하는 14세~19세 중 현재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320부 중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총 301부를 분석하였다. 표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과 기술통계, t-검정과 분산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에 응답한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협동심의 평균은 4.04점으로 리커트 5점 척도의 평균인 3.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아리활동이 협동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인관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협동심보다는 낮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차이를 검증하고자 t-검정과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속변인인 협동심은 성별, 동아리 참여 빈도, 동아리 참여 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자 보다는 남자가 높았으며, 주1회 이상 참여를 할수록 1년 이상 동아리 활동을 할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에서는 협동심보다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나이와 참여기간에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 활동이 협동심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청소년 동아리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는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협동심과 대인관계 전체, 그리고 5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서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 빈도가 많을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협동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인관계 또한 협동심과 마찬가지로 참여빈도, 참여 기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협동심과 대인관계에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협동심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기존의 형태로 운영되는 동아리가 협동심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확실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동아리 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음을 제시한다.

      • 임상간호사의 임상경력,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과 재직의도와의 관계

        김다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상경력,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과 재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소재하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0명이며, 자료 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8월 26일부터 2019년 8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 정도는 8점 만점에 평균 4.90±0.72점으로 선행연구와 비슷한 정도로 측정되었다. 특히 임상경력 단계 중 숙련단계(7년 이상)대상자가 5.14±0.6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입 단계(1년 미만) 4.90±0.61점, 초보자 단계(1~2년 미만) 4.73±0.64점, 상급초보자 단계(2~4년 미만) 4.63±0.84점, 유능한 단계(4~7년 미만) 4.53±0.77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2±0.47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 하위 영역 중 가장 점수가 높았던 부분은 지지 영역(3.93±0.55점)이었고, 인내력(3.55±0.51점), 낙관성(3.40±0.63점), 강인성(3.27±0.56점), 영성(3.09±0.69점) 순이었다. 또한 임상경력 단계 중 숙련단계 대상자가 3.54±0.48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입 단계 3.43±0.06점, 초보자 단계 3.34±0.44점, 상급초보자 단계 3.32±0.53점, 유능한 단계 3.20±0.37점 순이었다. 3)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2.57±0.39점으로 간호근무 환경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 중 가장 점수가 높은 부분은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영역(2.86±0.56점)이였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부분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영역(2.15±0.64점)이었다. 또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신입단계에서 2.94±0.34점으로 가장 높았고, 유능한 단계에서 2.41±0.4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재직의도와 관련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임상경력(r=.197 p=.001), 회복탄력성(r=.482, p<.001), 간호근무환경(r=.29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5개 하위영역인 강인성(r=.428 p<.001), 인내력(r=.455 p<.001), 낙관성(r=.436 p<.001), 지지(r=.264 p<.001), 영성(r=.214 p<.001)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근무환경의 5개 하위영역인 인력, 물질적 지원(r=.240 p<.001), 양질의 간호기반(r=.282 p<.001), 병원운영에 간호사의 참여(r=.171 p=.003), 의사와의 협력관계(r=.292 p<.001),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r=.258 p<.001)와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재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재직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 중 임상경력과 큰 상관이 있는 연령을 제외하고, 결혼상태, 종교, 최종학력, 근무형태, 근무부서 및 임상경력,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을 모델 1에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모델 2는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1에서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교대근무 중 3교대 근무(β=-2.521, p=.012), 근무부서 중 외과계부서(β=1.985, p=.048), 수술실/회복실(β=2.658, p=.008), 기타(β=2.434, p=.016), 회복탄력성(β=6.198, p<.001), 간호근무환경(β=3.540, p<.001)이었고 설명력은 37.3%이었다(F=10.535, p=<.001). 모델 2에서는 간호근무환경 중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영역(β=1.999, p=.047) 에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34.1%이었다(F=8.751, p<.001). 본 연구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임을 알 수 있었고, 간호근무환경 중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자원이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경력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간호근무환경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차원에서 간호사의 임상경력 단계별로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을 각각 확인하여 필요한 요인들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간호 인력 및 물질적 지원을 보다 충분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을 개발하고 실현할 수 있는 방법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임상경력단계는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는 아니었으나, 특히 숙련단계 보다 신입단계, 초보자단계, 상급초보자 단계, 유능한 단계에서는 재직의도가 낮으므로 각 단계별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 임상경력 단계별 관리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재직의도 점수가 가장 낮게 나온 상급초보자 단계에 대한 전략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근무경력에 따른 보상, 승진 등과 같은 지원이 보다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업무역량을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관심으로 관리하여 숙련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지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기독청년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다정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기독청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이 일상이 되었으며, 청년실업 등과 더불어 사회적 환경에서 코로나블루 같은 정서적 빈곤과 고립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비대면 미술치료에 대한 요구와 필요는 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가격리나 모임제한 등의 상황에서 정서적 교류와 심리적 빈곤감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C대학교 한국대학생선교회에서 신앙훈련을 받고있는 기독청년 중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사전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8회기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비모수 방법인 Wilcoxon과 대응표본 Z검증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untact)시대 상황적 요구에 따라 공간을 초월하는 집단미술치료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의 감정을 탐색하며 기독청년의 신앙 성장과 더불어 자신의 심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하고, 건강한 자아존중감 향상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치료적 개입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기독청년의 자기표현력 정도에서 음성적, 비언어적 및 전체 자기표현력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낸 것으로 자기표현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으며, 내용적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긍정적 증가가 있었다. 셋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기독청년의 자아존중감 정도에서 긍정적 자존감,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낸 것은 자아존중감 정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으며, 부정적 자존감은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어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 요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기독청년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향상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독청년에게 성경을 통해 내재 된 욕구를 통찰하고 구조화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신앙성숙과 자아성장,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매체를 활용한 비대면 방법을 통한 개입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rtual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Christian youth. Due to COVID-19, most educational programs and people’s overall lifestyle have been confined to the virtual sphere. In addition, the demand and need for contactless virtual art therapy is increasing, given the rapid emergence of emotional emptiness and isolation in social environments and the increase in youth unemployment.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vacuity in situations such as self-quarantine or restricted group gatherings. Seven Christian youths who were receiving faith training from Korea Campus Crusade for Christ at a university located in an undisclose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weekly group art therapy sessions from January to March 2021 after receiving a prior briefing about the same. A total of eight 90-minute virtual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performed. Data analysis on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using the nonparametric method, Wilcoxon, and matching sample Z-test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group art therapy can serve as a tool to avoid the space limitations enforced by the situational demand of the non-contact COVID-19 era. The virtual group art therapy explored the emotions of characters in the Bible, which enabled the participants to actively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self-esteem.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virtual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elf-expression of the participants, who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vocal, non-verbal, and overall self-expression. The content of the virtual art group therapy itself was not responsible for any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xpression, but an overall positive increase was observed. Third, the virtual group art therapy facilit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articipants’ positive self-esteem and overall self-esteem. This indicates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that negative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re was a decrease, but it served as a positive factor that increase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affirm that virtual group art therapy positively impacted the participant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 Christian youths’ faith maturity, self-growth,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structured virtual group art therapy, which enabled them to observe their desires through the medium of the Bible.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rough a contactless virtual method that utilizes digital technology.

      • Adaptive cell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two users in cellular systems

        김다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점차 높은 통신 속도가 요구됨에 따라 미래의 통신시스템은 UFR(Universal Frequency Reuse)을 향해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접 셀간 간섭의 영향이 통신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리잡게 되어 이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방법들이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다. 그 중 다중 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기지국이 협력함으로써 다른 셀로부터 오는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적응적 공간 셀간 간섭 제거(Adaptive Spatial Inter 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기법이 있다. 이 기법은 다중 셀의 기지국들이 총 전송률(Sum-rate)을 높이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전송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선택 가능한 전송방법은 셀 내의 사용자를 위한 자가 빔포밍(Selfish Beamforming) 과 인접 셀의 사용자를 위한 셀간 간섭 제거(ICIC, Inter 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이 있다. 사용자가 셀의 경계에 있거나 채널 환경이 좋지 않아 신호 대 간섭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자가 빔포밍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사용자가 셀의 중간에 있거나 채널 환경이 좋아 신호 대 간섭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셀간 간섭 제거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법을 다중 사용자 환경으로 확장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선택 가능한 전송방법이 다음과 같이 바뀌게 된다. 셀 내의 사용자를 위해서 자가 빔포밍(Selfish Beamforming) 대신 셀 내의 다른 사용자의 간섭을 제거하는 자가 제로포싱 빔포밍(Selfish Zero-Forcing Beamforming) 을 사용하였고 인접 셀의 사용자를 위한 셀간 간섭 제거(ICIC, Inter 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는 그대로 사용하되 셀 내의 다른 사용자의 간섭도 동시에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확장된 환경에 맞추어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와 총 전송률의 수식을 새롭게 도출하였고 사용자들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 전송방법들이 어떻게 선택이 되며 그 결과 총 전송률이 얼마나 증가되는지에 대해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피드백(Feedback) 부담이 증가하지만 동일한 전송 전력으로 다중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다중화 이득을 얻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전력소모 없이 총 전송률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 師陀 향토 소설의 작가의식 연구

        김다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1930ㆍ40년대에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를 중심으로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한 스퉈(師陀, 1910~1988)의 향토소설 ≪마을에서 들은 이야기 里門拾記≫(1937)ㆍ≪희망 없는 마을의 지주 無望村的館主≫(1940)ㆍ≪과수원마을 이야기 果園城記≫(1946) 세 작품을 중심으로 스퉈 향토소설의 작가 의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작품에 대한 분석 외에도 스퉈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유년 시절, 신문화운동의 세례, 혁명 활동의 경험 등이 스퉈에게 어떤 식으로 새겨져 작품에 녹아나게 되었는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2장에서는 스퉈의 작가의식의 형성과 창작 활동 전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3장과 4장에서는 그가 왜 ‘과수원마을’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상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스퉈가 성찰과 사유 끝에 삶과 죽음,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에 대한 연민, 회귀로의 갈망과 같은 문제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살피며 그 안에서 드러나는 철학적 색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시점의 채택ㆍ기억과 회상을 통한 글쓰기ㆍ서정성과 같은 서술 기법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기법이 스퉈의 작가의식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일인칭 시점으로의 전환, 지식인 화자의 채택, 그리고 회상과 기억을 통한 글쓰기, 서정성에 깔려있는 비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 나타난 일상적 경험의 실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존 듀이의 경험 예술론을 중심으로

        김다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듀이는 예술의 근간을 일상적 경험으로 잡으며 생활, 일상, 경험 등의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삼는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예술과 일상의 간극을 좁히는 것을 그의 철학의 중요한 과제로 생각하였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듀이의 경험 예술론은 중심으로 일상적 경험과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고 일상의 미학적 의미와 가치를 다루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 듀이의 경험 예술론의 실천적 특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듀이는 경험을 인간과 외부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지는 산물로서 사람의 일생은 경험의 연속이자 경험이 축적된 결과로 삶의 과정과 결과의 총체라고 보았다. 듀이는 이러한 경험을 인간이 세계와 만나는 ‘만남’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인간과 세계의 만남’으로서의 경험은 ‘일상’으로도 풀이하고 있다. 듀이는 우리의 일상이 미적인 혹은 잠재적으로 미적인 경험들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경험들이 발생하는 환경들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듀이는 예술의 발생론적 토대를 경험과 일상에 두고 있으며 그의 경험 철학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서 경험은 일반적인 경험이 아니라 경험의 완성으로서 ‘하나의 경험’을 의미한다. 하나의 경험이란 듀이의 경험 예술론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중심이 되며 보통의 경험과 구별되는 것으로 경험 중에서도 가장 완전하고 이상적인 경험에 해당된다. 하나의 경험은 무질서하고 불안정한 일상 속에서 인간이 환경과 잘 어울려 통일되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였을 때 얻어지는 것으로 경험의 특성이 충만한 하나의 단일 성질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경험은 일상적 경험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예술의 근원이 일상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일상은 유기체인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체험의 장, 만남의 장’이다. 듀이는 일상과 예술의 통합을 주장하며 예술은 일상에 대한 주목과 관심으로 이루어진 선택적이고 변형된 소산물이라 하였다. 듀이의 경험 예술론은 일상 삶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일상적 행위를 예술의 근간으로 보며, 예술은 일상생활의 경험이라는 현존하는 순간의 미학이라 보았다. 미적이라는 영역을 일상으로부터 확장시켜 예술은 더욱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다. 일상적 경험으로서의 예술, 일상의 미학을 통한 예술은 고급과 대중 예술의 이분법에 대한 해체로 나아가고 그리고 다양한 예술들이 수용되는 다양한 형식들의 장을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점은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듀이는 예술품art of product와 예술 작품work of art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듀이에게 예술품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진열되어 있는 것으로서 진정한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예술품이 다른 사람들의 경험 속에서 활발히 작용해야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예술 작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듀이의 경험 예술론이 전제로 하는 유기체적 경험의 상호작용과 연속성의 원리로부터 예술가와 작품, 감상자 간의 교호작용을 밝힘으로서 예술과 일상의 단절, 작품과 감상자 간의 단절, 감상자의 수동적 역할 등의 문제들을 극복할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이런 점에서 일상의 미학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관람객과의 소통을 중요시 하는 포스트모던 예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 많은 예술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예술을 시도함으로서 사회적인 맥락 또는 개인적 경험과 일상 등 총체적 환경적 측면을 작품에 끌어들였다. 이는 정지된 작품이 아닌 관객 혹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예술로서 성장시켰다. 예술과 환경 즉 관람객과의 소통은 또 다른 예술을 창조해 내고 그 과정에서 관람객과 예술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창조해 낸다. 그러한 경험은 다시 예술의 원동력이 되며 완성된 예술품은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예술작품이 되는 순환적인 형태를 가져다준다. 이런 맥락에서, 존 듀이의 경험예술론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 나타나는 일상적 경험의 실천적 특성을 찾아보고 일상적 경험이 어떻게 예술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환경과 소통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Effect of Thyroid Stimulating Hormone on Serum Leptin Concentration in Dogs with Hypothyroidism

        김다정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샘 축과 지방유래의 아디포카인 간의 연관관계에 관련한 연구가 인의 영역 및 실험동물에서 수행되어왔으나,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며, 개에서 갑상샘 호르몬과 아디포카인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개와 갑상샘기능저하증 개에 있어서 아디포카인의 농도와 갑상샘자극호르몬 자극시험 이후의 아디포카인 농도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14마리의 정상견과 6마리의 갑상샘기능저하증 이환견을 대상으로 갑상샘자극호르몬 자극시험을 검사했다. 이 연구는 전향적 사례 대조 관찰 연구로 수행하였다. 갑상샘자극호르몬 자극 시험은 모든 연구견에서 인간 재조합 갑상샘자극호르몬 (100 μg/body)을 정맥주사하여 수행하였다. 혈청 렙틴 및 아디포넥틴 농도는 건강한 개와 갑상샘기능저하증 개에서 각각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전과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6시간 후에 개 특이적 효소면역측정법(ELISA) 키트로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렙틴 대 신체충실지수 비율과 아디포넥틴 대 신체충실지수 비율도 각 군에서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전후를 비교하였다.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전후에 건강한 개와 갑상샘기능저하증 개 사이에 혈청 렙틴과 아디포넥틴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갑상샘기능저하증 이환견은 건강한 개보다 기초 혈청 렙틴 대 신체충실지수 비율이 더 높았다. 건강한 개의 혈청 렙틴 농도 및 렙틴 대 신체충실지수 비율은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갑상샘기능저하증 이환견에서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전후에 측정 변수의 차이는 없었다.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전, 건강한 개보다 갑상샘기능저하증 이환견에서 더 높은 혈청 렙틴 대 신체충실지수 비율은 만성적으로 상승된 혈청 갑상샘자극호르몬 농도가 갑상샘기능저하증 이환견의 렙틴 생산과 관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 후, 건강한 개에서만 혈청 렙틴 농도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갑상샘자극호르몬 투여에 의해 내장 지방 조직에서 방출되는 렙틴에 대한 갑상샘호르몬의 잠재적 역할을 나타낸다. 따라서 갑상샘자극호르몬은 개에서 렙틴을 방출하는 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 hormones and adipokines in dogs. Objectives: To examine whether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leptin and adiponectin differed between healthy and hypothyroid dogs, and whether those concentrations altered after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stimulation test. Animals: Fourteen healthy dogs and 6 client-owned dogs with hypothyroidism were employe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prospective case-controlled observational study. TSH stimulation test was conducted by using recombinant human TSH (100 μg/body, IV) in all study dogs. Serum leptin and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canine-specific ELISA kits before (basal) and 6 h after TSH administration (post-TSH) in healthy and hypothyroid dogs, respectively. Additionally, serum leptin-to-BCS ratio and adiponectin-to-BCS ratio were also compared before and after TSH administration in each group.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erum leptin and adiponectin concentrations between healthy and hypothyroid dogs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TSH administration, respectively. However, hypothyroid dogs had higher basal serum leptin-to-body condition score (BCS) ratio (median [range] = 4.467 [0.7500-11.00]) than healthy dogs (1.291 [0.2667-4.900] ; P = 0.019). In healthy dogs, serum leptin concentration (8.450 [1.600-34.30] ng/mL vs. 10.35 [1.700-34.40] ng/mL; P = 0.0166) and leptin-to-BCS ratio (1.281 [0.2667-4.900]) vs. 1.789 [0.2833-4.914]; P = 0.019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SH administration. In hypothyroid dog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sured variables between before and after TSH administration. Conclusions: Higher basal serum leptin-to-BCS ratio in hypothyroid dogs than those in healthy dogs, implying chronically elevated serum TSH concentration might be associated with leptin production in hypothyroid dogs. Increased serum leptin concentration after TSH administration was only observed in healthy dogs, indicating the potential role of T4 on leptin releasing from visceral adipose tissue by TSH administration. Therefore, TSH might have a indirect role of leptin releasing in do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