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학습인의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한 홀리스틱 리더십 개발과정

        김길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성인학습인의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한 홀리스틱 리더십 개발과정을 밝혀 실제적 이론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인의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하여 홀리스틱 리더십이 개발되는 과정은 어떠한지,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해 개발된 성인학습인의 홀리스틱 리더십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태권도 수련을 10년 이상 체험하고, 국기원 공인자격 4단 이상의 경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눈덩이 표집을 통해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심층인터뷰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검증법(triangulation), 연구참여자 확인법(member check), 동료 검토법(peer examination), 감사추적(audit trail)기법의 전략을 사용하였고, 연구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밀보장, 연구 참가에 대한 동의, 자료의 누락과 왜곡 방지를 위한 줄단위 코딩의 원칙을 준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인의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하여 홀리스틱 리더십이 개발되는 과정은 남과 싸워 이기는 수련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점차 무도적 가치에 대한 깨달음을 얻어 ‘체(體)·덕(德)·지(智)의 통합인격체 완성을 향한 도전’을 출발하면서 시작된다. 그 다음 전략적 행동의 반복적인 순환과정을 통해 변환 과정을 거쳐 가면서 홀리스틱 리더십이 개발되는 과정을 체험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삶의 목적이 생기면서 긍정적인 삶의 태도로 변화되어 감을 체험하고, 정확한 동작의 반복된 수련으로 몸과 마음, 정신이 하나 됨을 체험하게 된다. 또한 자기 내면과의 성찰, 타 무술에 관한 탐구를 통하여 점차 감정조절 능력이 강화되고, 지식과 정보에 대한 비교분석능력이 향상됨을 체험하게 된다. 그리고 타인과의 수련과정에서의 소통을 통하여 수련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면서 주변인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본보이며 정진하는 과정에서 리더십을 체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략적 행동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면서 체험하게 되는 경험들을 생활 속에 반영하여 실천하면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깨달음의 초기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체험기, 변환기, 형성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홀리스틱 리더십 개발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해 개발된 성인학습인의 홀리스틱 리더십의 특성은 ‘홀리스틱 지혜인으로 거듭나기’의 과정이었다. 개발된 홀리스틱 리더십은 전체적인 관점에서 관계성을 인식하고 체(體)·덕(德)·지(智)의 통합 인격체를 바탕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균형과 화합을 통해 조직 및 사회 전반에 창조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리더십으로 정의 되었다. 여기서 체(體)·덕(德)·지(智)의 통합 인격이란 건강한 몸 관리를 통해 건전한 정신을 갖추고(體), 그로부터 긍정적인 삶의 목적과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됨으로써, 사회적으로 윤리적·도덕적 가치를 실천하는 능력(德), 그리고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변용시키는 능력(智)을 발휘하게 되는 인간 됨의 수준을 의미한다. 이처럼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홀리스틱 리더십이 어떻게 개발되는지에 관한 이론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태권도 수련체험을 통해 체·덕·지 통합인격체를 완성해가는 과정에서 평생교육의 목적에 부합되어 개인의 삶의 질도 높여가게 되었다. 그리고 홀리스틱접근을 위한 교육적 패러다임을 통하여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쇄신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업 환경의 리더십 개발 영역에서 홀리스틱 리더십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태권도 수련의 교육적 가치를 확산시켜 국민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building a theory on holistic 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through adult learners'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to develop the process of adult learners' holistic leadership based on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holistic leadership through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s?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grounded theory was used. Participants were chosen among the people with whom experienced Taekwondo training for at least ten years, and had a Kukkiwon license higher than a four grade black belt.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snowbal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order to get the trustworthiness of research, several means were used, such as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peer examination, audit trail, protecting interviewees' privacy by using pseudonyms, participation consent, and following principle of line-by-line coding to prevent intentional omission of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holistic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adult learners'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s began with realizing the chivalry value from the limits of training trying to win against others, and challenging the completion of whole personality integrating 'body·mind·spirit', And then, through a repeated cycle of strategic actions and a transformation process, the holistic 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es were revealed. First of all, the right reasons of life led participants' behaviors to change positively, and let them experience a meaning of life. Further, repeating exact behaviors brought them to integration of training the body, mind, and spirit. In addition, self-reflection and studying other martial arts skills enhanced the ability of controling feelings, and comparative analysis. And while performing leadership roles through taking active effort with others, such as trainees, parents,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and became models with righteous values. They embodied leadership in this process. Thus, by practicing lessons gained from repeating strategic actions in their lives, they proceeded initial step of enlightenmen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is progress with repeating step of experiencing, converting, and forming brought them to holistic leadership development .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holistic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were defined as ‘to be the one who has holistic wisdom’. The holistic leadership developed in the whole personality integrating body·mind·spirit recognized the relationships in holistic perspectives, and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Thus the holistic leadership was defined as an leadership to exert cre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 and society very widely based on the balance and harmony without any deflection. The integrated whole personality of body·mind·spirit included a healthy mind and spirit through managing a healthy body. And a healthy mind and spirit brought men to having the ability to set up positive purposes and meanings of life, which permitted the ability of practicing ethical and moral values socially, and the level of becoming human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creating new knowledge through integrating the knowledge of various areas. Like this, proceeding to solve research problems, a theoretical model how to develop holistic leadership was derived. In this study, because the process integrating body-mind-spirit matched the objective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n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rough the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And emphasizing holistic approaching to the educational paradigm was expected to offer another momentum of innov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schooling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expectations of offering the opportunity to raise concerns in holistic leadership in the area of corporate environment, and sprea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increasing people's interests for that.

      • 대학 기숙사 비상시 출입문 개폐장치의 피난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김길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학 기숙사 규모가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면서 화재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피난시스템에 대한 정상 동작은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설비적, 관리적, 제도적 부분에서 안전관리시스템이 정상적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위험한 상황이 되어 사고가 발생하고,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상시 피난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대학 기숙사 입주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 변화 및 시설과 소방설비와 출입보안설비, 소방훈련에 대한 실태조사, 화재통계, 국내외 사례, 관련 법률을 조사하여 피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비상 상황에서 비상문이 개방되지 않는 것은 피난 상황에서 가장 큰 위험요인이며 피난 실패로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므로 사고방지 대책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내대학 기숙사와 공동주택은 시설 부분과 관리적인 책임 부분에서 다르다는 점과 피난 훈련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인원이 적다는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과거에는 경제적, 사회적인 분위기로 제도적으로 도입 되지 않았던 안전 부분들이 점차 도입되고 있는 것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숙사에서 중요한 피난시스템을 국내외 제도와 실제 운영 상황을 대학기숙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미국, 싱가포르 등은 피난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이중화하도록 규제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대학 기숙사에서는 대부분 비상 출입문 개방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비상시 피난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위험요인을 제거하려는 방법으로 비상 출입문의 경우 자동제어 시스템과 수동제어 시스템을 함께 설치하여 시스템을 이중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피난 관련 제도를 마련하는 것과 관리적인 부분에서 소방시설 종합정밀점검 및 소방시설작동기능 점검 항목에 비상문 출입개폐장치 연동시험을 추가하는 것이다. 기숙사 규모가 커지고 수용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요인을 조사·분석하며 대책을 선정하고 적용하기 위한 안전담당 조직 구성 및 안전관리를 체계화해야 사고방지 및 재난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university dormitories are recently growing larger in size and denser in the population, the reliable operation of the evacuation system becomes more important whe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But i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does not operate properly in the aspect of facilities, maintenance, and institutions, we might fail to avert possible accidents and lo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afety of residents in university dormitories by correcting the problem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le risk factors for evacuation failure, based on various research on actual states of firefighting facilities, access security, fire drills, fire statistics,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 related laws. Especially, this study includes the plan for prevention of the disaster caused by disabled emergency exits, since if exits are not availabl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unavailability becomes the biggest risk factor in the evacuation situation. This study is to mention the problems that domestic dormitories and apartments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maintenance systems and that the number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evacuation training is low. Yet, we found that new safety measures are gradually introduced these days, which was systematically limited due to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the pas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notable evacuation systems, comparing domestic/foreign systems and actual operations in dormitories.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etc., dormitories are regulated to adopt multiple evacuation systems than to rely on a single system. But most of the domestic dormitories depend on a single system to control emergency doors, and we hav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vacuation failure in case of emergency. As a resolution to eliminate these risk factors, emergency doors should be installed with both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the manual control system to dualize the evacuation control. Pl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vacuation-related system and to add emergency door interlock control tests on the checklist of firefighting facility tests and firefighting facility operation tests. As the size of dormitories and the accommodation capacity increase, it is considered th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risk factors, preparing countermeasures, and organizing safety resources including manpower to systematically implement and manage them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and disasters.

      • 사회적기업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청주시 목회자를 중심으로

        김길수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사회적기업에 대한 종교단체 목회자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교단체의 정책을 결정하는 목회자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충북 청주시 목회자들이 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들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 증대와 사회적 기업과 교회가 추구하는 취약계층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주시 목회자들의 사회적기업 인지도는 이름 정도 들어본 수준이고, 사회적기업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 의향은 긍정적이었며, 사회적기업이 주변에 설립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하지만 청주시 목회자 일반적 배경에 따라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마다 사회적기업 인지에 대한 수준의 차이, 목회기간, 목회규모, 소속된 교파 등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방안도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내용 중 지역 자원 네트워크 및 협력, 자치 단체장 및 자치 단체 공무원의 협조에 관해서는 목회자의 배경 요인에 따라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것은 목회자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결론에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적 가치 및 사랑나눔, 즉 선교와 사회복지를 이원론적으로 인식하지 말고 사회선교나 사회복지를 하나의 관점으로 인식해야 한다. 둘째, 목회자들은 지역사회 경제와 취약계층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셋째, 목회자에게 사회복지 및 지역사회복지, 사회적기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교회는 지역사회의 기관과 협력하고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목회자는 통전적인 선교로서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에 대한 설교를 실시한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목회자는 교회를 이끌어 가는 지도자로 지역사회에 삶의 터전을 두고 있는 교인들이 모인 교회에서 지역사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식변화 및 공동체적이고 통전적인 선교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목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최근의 사회적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선교의 모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통해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끼치는 단계에 이르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 5-Fluorouracil이 胎仔白鼠 齒牙發育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病理組織學的 및 組織化學的 硏究

        김길수 朝鮮大學校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histopathologic and histochemic changes in developmental palate following intravenous injection of 5-fluorouacil to the maternal body. For this study, 45 female albino rats were gestated experimentally, devided into experimental, control animal group. In experimental animal group, injected 5-fluorouracil at a dose of 50mg/kg body weight, 7.5mg/kg body weight at tail on 7, 9, 11, 13th day after gestation. All the 50mg/k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were dead with the toxic side effects. All the rats, 7.5mg/k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were sacrificed on 21st day after gestation, just before birth. All the taken specimens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 in solution and embedded in paraffin and sectioned.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the various of staining methods which was hematoxylin-eosin, Van Gieson's periodic acid-Schiff's , and toluidine blue stain. Following result was attained 1. In 50mg/k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all the maternal rats was died due to severe hematemesis and dirrhea in two or three days following the injection. 2. In 7.5m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palate was completely fused at median raphe. 3. In 7.5m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osteoblastic activity at the periphery of palatal process was decrease on 7th day injection group after gestation and depressed on 9th, 11th day injection group, and recovered similar to the control animal group on 13th day injection group after gestation. 4. In 7.5m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at the median raphe, the epithelial remnant was not noticed among the mesenchymal tissue cells. 5. In 7.5m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in case of PAS reaction, it is diminished on 9th, 11th day injection group after gestation, and recoverered on 13th day injection group, but reveals decreased tendency compare to control animal group. 6. In 7.5mg/ body weight injection group, in case of toluidine reaction, a little decreased on 7th day, and depressed on 9th 11th day injection group after gestation.

      • 4종의 간접법용 복합 레진의 기계적 특성 비교

        김길수 全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2세대 간접법용 복합레진 4종을 직접법용 광중합형 레진인 Z250과 함께 in vitro 상태에서 실험하여 결과를 얻었다.

      •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혈장 Cathepsin B 활성도와 조직에서 Cathepsin B의 발현

        김길수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Cysteine cathepsin은 혈관신생, 세포증식 및 침습 등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cathepsin B 활성도는 분화 갑상 선암 조직에서 증가된 것은 보고되어 있으나, 혈액 검사를 통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조직에서 cathepsin B의 발현 여부와 혈중 cathepsin B 활성도와 단백질량이 갑상선 암과 비종양성질환 및 정상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갑상선암의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도 조사하여, 혈장 cathepsin B 활성도의 측정이 갑상선암과 결절성증식증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갑상선절 제술을 시술 받았던 환자 39명과 정상 대조군 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 39명 중 32명이 분화갑상선암이었으며 이 중 유두선암이 31예, 여포선암 1예였다. 나머지 7명은 양성종양이었으며 모두 결절성 증식증이었다. 대상 환자 중 조직획득이 가능하였던 정상조직 5예, 양성종양 조직 1예 및 악성종양 3예를 대상으로 조직에서의 연구도 시행하였다. 대상군의 혈액을 이용하여 cathepsin B 활성도와 단백질량을 측정하였으며, 획득된 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검사 및 real time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Cathepsin B 활성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68.94土15.10 (x 10^(-2), mU), 결절성증식증 255.45土95.68(x 10^(-2), mU), 악성종양 284.87士79.32(x 10^(-2), mU)로 대조군과 결절성증식증군 사이 및 대조군과 악성종양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결절성증식증군과 악성종양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athepsin B 단백질의 정량적 비교를 위하여 immunoassay를 시행한 결과, 대조군 4.85土0.61(x 10^(-3), %), 결절성증식증 17.64土7.49(x 10^(-3), %), 악성종양 15.50士7.86(x 10^(-3), %)으로, 대조군과 대상 환자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결절성증식증과 악성종양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면역화학조직검사 상 갑상선 유두선암 조직 1예에서 기저막을 따라 cathepsin B가 염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Real-time PCR 결과 결절성증식증 및 악성종양군과 정상조직 사이에 cathepsin B mRNA 유전자 발현량의 차이를 볼 수 있었으나(p<0.05), 악성종양과 결절성증식증 간에는 유전자 발현량은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갑상선암의 임상양상과 혈중 cathepsin B 활성도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갑상선 악성종양과 결절성증식증의 조직에서 정상조직 보다 cathepsin B가 더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혈중 cathepsin B 활성도가 갑상선 악성종양과 결절성증식증에서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양성질환과 악성종양을 감별하기에는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athepsin B가 갑상선조직의 증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athepsin cysteine proteases have been implicated in processes important for tumo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cluding angiogenesis,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Among these cathepsins, there were some reports about cathepsin B activitie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tissues. However,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study about serum analysis of cathepsin B activities in thyroid carcino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athepsin B expressed in the thyroid lesion and the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were different in thyroid carcinomas and non tumorous disease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yroid carcinomas and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and to see the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carcinomas from benign diseases.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at Kosin university, Gospel hosipital from February, 2006 to June, 2006 were included in the stud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2 thyroid cancer patients and 7 benign tumor patients before operation. Blood that was obtained from 5 healthy volunteers, served as a control. The activities of cathepsin B were measured with z-phe-arg-7-amido-4-methylcoumarin hydrochloride as a substrate at pH 5.5 and cathepsin B protein content was measured with immunoassay. And tissue specimens included 5 normal tissues, 1 benign nodule and 3 from thyroid cancer patients also used for real time RT-PCR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Results: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yroid carcinomas and nodular hyperplasias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dular hyperplasias and malignant tumors.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a case of papillary thyroid cancer revealed increased cathepsin B staining along the basement membrane of neoplastic cells lining the papillary structure. Cathepsin B mRNA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yroid carcinomas and nodular hyperplasias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dular hyperplasias and malignant tumors. No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yroid carcinomas and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and protein content also notic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and protein content were increased in thyroid carcinomas and nodular hyperplasias than in control group, but serum cathepsin B activities is not useful to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carcinomas from benign diseases. However, the author thinks cathepsin B may involve in proliferation of thyroid.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cathepsin B and tumorigenesis.

      • 뒤르껭의 도덕교육론에 따른 초등학교 도덕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김길수 전주교육대학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뒤르껭(Emile Durkheim)의 도덕교육론에 의거하여 초등학교에서 도덕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말하자면 공동체주의적 관점의 한 근거가 되는 뒤르껭의 사회화 이론을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학급과 학교를 도덕공동체로 만들어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학교와 가정을 적절히 연계하여 그 속에서의 삶과 체험을 통해 바람직한 공동생활의 덕을 형성하도록 이끌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우리의 도덕교육 내용은 주로 자유주의적 도덕교육에 기초하였는데, 이것이 과연 도덕교육의 기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 의견이 지배적이다. 자유주의 도덕교육에 기초했을 때 개인의 권리를 모든 것에 우선하는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개인주의적 성향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나아가 자칫 이기주의적 성향으로 빠지게 하였다.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가치가 개인의 선호나 이익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사회 병리적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바로 이런 점에서 통합적 도덕교육이라는 새로운 원리가 제시되고 있고,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이 그 내용적 특성으로 등장하였다. 인격교육이나 덕 교육으로 표현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도덕과교육은 그 배경에 있어서 통합적 도덕교육, 공동체주의적 도덕교육의 원리와 방법 및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도덕교육 접근방식의 기초를 제공한 바 있는 뒤르껭의 도덕교육론을 고찰해 봄으로써 초등 도덕교육의 기본 방향을 탐색해 보고, 그것을 기초로 한 구체적인 도덕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는 일 역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공동체 생활을 영위하게 되는 사회적 존재라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뒤르껭에 의하면, 사회는 그 구성원들 모두에게 행복한 삶을 가능케 하는 공동의 목적, 공동선, 공동의 가치를 중심으로 서로 돕고 협력하는 사람들의 구성체이다. 다시 말하면 공동체에 던져져서 공동체에 적응해 가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적응과정이란 다름 아닌 개인과 그가 속한 공동체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규범들을 사회적으로 학습하고, 내면화하고, 또 실천하면서 살아가는 사회화 과정을 뜻한다. 뒤르껭의 이러한 사회화의 관점에서 보면, 초등학교 교육은 사회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건전한 도덕성을 지닌 공동체 구성원으로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된 조직적이고 기본적인 교육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나보다 우리를 생각하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지닌 인간 육성은 교육의 가장 큰 목표이며 과제인 셈이다. 공동체 의식은 단순히 교과지도를 통한 글이나 이론적 학습을 통해서 길러지는 것뿐만 아니라, 습관교육, 도덕적 정서, 자율성 교육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나로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존재의식을 확고히 하는 가운데 교실, 학교, 가정에로의 공동생활 체험 활동을 통한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공동체주의자들의 주장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교육의 장으로서의 학교가 공동체적 삶의 양식을 체험하는 곳이자 공동체 규범에 의해 지배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가 이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학교가 공동체적 규범에 의해 운영되고, 보다 나은 사회의 공동체적 삶을 훈련하는 곳이어야 한다. 공공 업무에 대한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와 헌신을 야기 시키는 것은 성인으로서의 자율적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 못지않게 학교가 담당해야 할 중요하고도 필요한 기능이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급 공동체, 학교 공동체, 학교-가정 연계 공동체에서의 도덕교육 지도 방안을 아래와 같이 탐구하고자 했다. 첫째, 각 교과 학습활동에 있어서 도덕공동체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협동학습, 집단탐구활동, 역할놀이 등을 통해서 학교 교육의 무게중심이 경쟁, 개인주의, 권위주의 등으로부터 협동, 공동체, 참여 등의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해야 한다. 그리고 각 교과학습에 적용함으로써 인지적, 정의적 그리고 행동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하나의 통합적인 접근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학교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규범을 준수하게 하고, 서로를 존중하게 하며, 서로 협동하는 민주적인 학급이 되게 해야 한다. 의사 결정 과정에 아동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도덕적 추론을 도덕적 환경과 도덕적 행위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책임감을 느끼게 해야 한다. 규칙을 만드는 것은 교실의 공동체 형성에서 협동하고 상호 존중하는 행동의 하나이다. 학급회의 활성화를 통한 민주적 교실환경을 통한 학급 공동체의 형성뿐만 아니라, 장차 따뜻한 마음을 가진 책임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는 집단 활동에 대한 참여나 협동심, 봉사정신 등과 같은 체험활동이나 특별활동 등에 보다 역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봉사활동은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해 주고 아동들에게 도덕적 반성 및 성찰의 습관을 제공해 준다. 극기 훈련, 정신훈련, 봉사활동 등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운영되어 협동적 문제를 통한 다양한 실천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특별활동을 활성화하여 타인과의 만남, 참여와 대화 등을 통해 도덕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서 개성과 소질의 신장, 사회성과 협동심, 원만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길러 주도록 해야 한다. 가능한 ‘우리’라는 의식을 고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서 책임 있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 주는 것은 공동체적 경험의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도덕교육에 대하여 교장과 교사가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는가에 따라 도덕교육의 성패가 판가름 난다. 일상적인 학교의 모든 장에 아동들과 긴밀하고 지속적인 만남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초등학교에서 도덕교육은 장차 훌륭한 인격체를 가진 존재로 성숙해가도록 하는 데 초석이 되기 때문에,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가장 핵심적이다. 다섯째, 학교는 학부모와 함께 공동체적 인성을 육성하는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학부모는 적극적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내’ 아이만이 아닌 ‘우리’ 아이들 모두가 잘하는 교육의 결과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공동체 교육에서는 특히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부모의 도덕적인 인격의 함양을 위해 학교에서는 학부모 교육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인간은 공동체를 떠나서 개인의 정체성이 형성될 수 없는 것이고, 오히려 공동체가 바라는 덕을 실현할 때 자기의 정체성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개인주의와 입신양명의 교육은 지양되어야 하며, 공동체주의적 도덕교육이 더욱 더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지나친 공동체주의적 주장은 개인주의자들이 비판하는 것처럼 획일주의, 상대주의 도덕관, 현대성과의 부조화, 지나친 보수성과 전통의 강조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이상적인 조화를 이룰 때에 우리의 도덕교육은 바람직하게 전개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이기주의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다 함께 잘 살아가야 한다는 공동체적 생각을 좀 더 많이 할 때 우리 인간사회가 살기 좋게 될 것이며, 그런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덕이 있는 사람으로 키워야 하는 것이 우리 도덕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도덕교육은 가정 공동체와 지역 사회 공동체를 적절히 연계하여 그 속에서의 삶과 체험을 통해 바람직한 공동생활의 덕을 형성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도덕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상의 내용과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에 따른 실증연구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sks research of way that can form mor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Emile Durkheim's moral education loan by purpose. Wish to grope way that can make to moral community and operate elementary school class and school based on Durkheim's socialization theory that become basis of communalism viewpoint. Because I think that education that guide to form virtue of desirable community life through life and experience within connecting school and home community properly is very important. Our moral education contents were based on enemy moral education of Free State mainly so far, though this achieves basis target of moral education really, skeptical opinion is dominate about if was effective. When was based on liberalism moral education, did and fall by enemy habit of selfishness week at the slightest slip going forward as enemy inclination of individual week shows establishing that put priority individual's right to all. Because value in human relations is depended on individual's Preference or interest, phenomenon happened various kinds society pathology enemy. New principle called synthetic moral educ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is like this justly, and communalism moral education appeared by special quality the contents enemy. Morality and education of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that is expressed by character building or virtue education are emphasizing basic and method and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ynthetic moral education in the background, communalism enemy. Therefore, search basis direction of primary grade moral education investigating Durkheim's moral education loan that supply foundation of such moral education access way, and think it that work that grope way of specific moral education to foundation is relevant work too. According to Durkheim, society is people's corporeality which is interdependent laying stress on constituents common purpose that permit happy life to everybody, party line, common value and cooperate. In other words, live adapting in community peging in community. These adaptation process tooth rules that same individual and he prescribe relation with snob community socialization process that study socially, and internalize, and live practicing intend . If see from vantage point of these socialization of Durkheim,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an talk as process of readied organic and fundamental education to rear effectively by community constituent who have wholesome morality sex propeling socialization process systematically. When see in these meaning, together four to think us than me is subject human upbringing that retain community ceremony is the biggest target of edu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Gilreo through writing through simple subject guidance or theoretical studying be that consist as well as that set through various experience activity such as habit education, moral emotion, autonomy education efficient. Therefore, begin from me and moral education through community life experience activity to classroom, school, home must consist while doing expression of own presence firmly. As purpose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is controlled place by place and community rule that school as chief of education experiences pattern of cooperation volume life that community week's persons' captain that emphasize community ceremony has important meaning. Therefore, school must be place that school is operated and trains more than social cooperation volume life by cooperation volume rule to take charge this role. Place that do to internalize social rule and cultural tradition to child, furthermore society which is cooperation volume more do.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function that school must take charge such as thing which help so that can buy self-regulating life as adult that cause individual'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elf-sacrifice about public business. Research that see from these viewpoint justly investigated moral education map way in class community, school community, school - home link community as follows. First, studied about studying map method that can conduce in morality community formation in each subject busywork. Cooperation studying, group research activity, role red sky may make center of gravity of booklore through back move from competition, individualism, alignment to authority etc. slowly to direction of cooper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etc. Second, students make rule observantly as school community's member, and must do to become democratic class that cooperate each other doing to respect each other. Must have an opportunity that children can be voluntary and apply moral reasoning which drop moral environment and moral act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give sense of responsibility. It is one of action that cooperate and respect mutually in community formation of classroom that make rule. Is going to foster quality as responsible democracy citizens that have warm intention in future as well as formation of class community through democratic classroom environment through class meeting's activation. Third, school is thought must put emphasis more participation or cooperation spirit, experience activity such as service mind and so on or special activity etc. about group activity. Service activity offers a direct opportunity to practice moral action and habit of moralism and self-examination to children. Must supply various practice studying experience through problem cooperation enemy being operated systematically laying stress on self-denial training, mind training, service activity etc. Also, must do so that can activate special activity and run moral life through meeting with another person, participation and conversation etc. Must do to build character and height of making, sociality and cooperation spirit, formation of smooth human relations at together. That supply much program that can do to elate consciousness of possible "We" and an opportunity that can participate as is responsible as community's a constituent can say that is contents that occupy the centralest position of cooperation volume experience. Fourth, what belief do principal and teacher have about moral education? Also, what effective strategy are you laying and execute? According to back, success and failure of moral education becomes showdown. Moral education is in mo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because become straw mat in doing so that ripen by existence that have excellent personality sieve in future in primary school which is formed best of inseverable and continuous meeting with children to all markets of usual school and teacher's role is central. Fifth, school must achieve education that rear cooperation volume human nature with students' parents. Students' parents must get result of education that active all of our children who is not only child having participated spontaneously do well. Therefore, need that connect and coach department of domestic science specially in community education. Must incline force in students' parents education in school for fostering of moral personality of students' parents for this. Because human leaves community, it is that individual's identity can not be formed, and can assume that when realize virtue which community desires preferably, own identity consisted perfectly. Therefore, individualism and education of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will have to be sublated, and communalism moral education when spread still more that our moral education is right speak can today. Of course, as individualists of insistence of communalism which pass criticize, when side effect can be but accomplishes ideal creation of individualism and communalism with standardization, relativism mores, lack of harmony with modernity, conservativeness that pass and emphasis of tradition, our moral education is not spread desirably. When think much cooperation volume that must live all together well escaping in ideas which we are egocentric in such meaning little more, our human society may be livable, and that must raise by a person who is of cooperation volume virtue may have to become target of our moral education to foster such human. Forward moral education believes that the matter that guide to form virtue of desirable community life through life and experience within connecting home community and community properly is important. Finally on training courses for morality community formation contents and research about methods must consist steadily, must accompany actual proof research by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