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김극명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Korean welfare system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dditional demands and responsibilities, professionalism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a large increase in competition. This study 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Dream Start program covering the engagers of the dream start center as a welfare organization of low income childre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be utilized as dada for checking and developing the business of children welfare and Dream Start center in future. In order to 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of Dream Start cent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ttitude for the low income children, the attitude, the specialty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rs with the mind of the regional leader were researched. To collect data used in this research, 510 structured questionaries were sent by mail to 95 centers and 451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statistics of the data SPSS Windows 12.0 and Amos 5.0 were utiliz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hief study result; Firstly, with the increas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rs, the attitude for business content and object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319, the specialty 0.634, job satisfaction 0.688, the effectiveness 0.453. Secondly, with the increase the poverty of the employers and the attitude for the children problem, the attitude for business content and object was shown as the decrease of 0.167, the specialty 0.117, the job satisfaction 0.184. Thirdly, with the increase of the mind of the regional leader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168, the effectiveness 0.35. Fourthly, with the increase the specialty of employers the effectiveness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293. 본 연구는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복지기관인 드림스타트센터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앞으로 아동복지와 드림스타트센터의 사업을 점검하고 앞으로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드림스타트센터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종사자들의 조직몰입과 저소득층아동에 대한 태도, 그리고 지역단체장의 마인드에 따라 종사자들의 사업에 대한 태도, 전문성,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사업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드림스타트 사업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근무하며 지역 아동복지를 담당하고 일선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과 견해에 따라 저소득층아동에 대한 생활지원서비스의 문제점을 담당종사자의 입장에서 파악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질적인 창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종사자들을 통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모색하기위한 기초자료가 되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드림스타트 센터의 서비스와 사업의 발전방안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드림스타트 센터 95개소에서 57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5부가 회수되었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12.0을 빈도분석을 통한 기초통계, 요인분석을 통한 요인 분류, 신뢰도분석을 통한 각 요인의 신뢰성검정,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를 검증하였고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종사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11.7%, 여성이 88.3%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26세에서 35세가 전체의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혼인 응답자가 68.8%, 최종학력은 대학교가 5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업형태는 전일제 임시직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규직 전담 공무원이 36.1%로 나타났다. 근무지역별로는 경상도 28.7%, 전라도 21.3%, 충청도 18.6%, 강원도 17.7%순으로 나타났으며, 드림스타트센터의 개소기간은 2년 이하가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근무경력은 1년 이하가 48.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년 이하가 31.3%로 나타났으며, 담당업무는 사회복지가 35.5%, 보건이 26.8%, 보육이 21.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가설1>인 현장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은 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 대한 가설은 성립되었으며, 조직몰입이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 필요성, 지속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수 효과를 기대하지 않더라도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가설 2>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설이 성립되었으며, 직무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하여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내용과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치단체장의 마인드가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가설이 성립하였으며, 사업의 효과성에 대하여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검정하고자하는 전체가설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조직몰입은 전문성을 매개변수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면서 종속변수에 직접적인 영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아동 문제는 전문성을 통해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체장의 마인드의 경우는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조모형의 계수를 통해서 본연구의 전체 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증가하면 사업내용과 목적에 대한 태도가 0.319, 전문성이 0.634, 직무만족도가 0.688, 효과성은 0.45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자의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증가하면 사업내용과 목적에 대한 태도가 0.167, 전문성이 0.117, 직무만족도가 0.18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단체장의 마인드가 증가하면 직무만족도가 0.168, 효과성은 0.35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자의 전문성이 증가하면 효과성은 0.293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세부요인들의 유의 확률을 살펴보면 모두 0.05% 이하로 세부요인들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이 증가할 때 효과성은 0.639(직접효과+간접효과)증가하고,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증가할 때 효과성은 0.052(간접효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체장의 마인드가 증가하면 효과성은 0.35(직접효과)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