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고체전지에서 양극복합체의 계면안정성 향상을 위한 산소 치환 Li6PS5Cl Argyrodite 고체전해질

        김규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 Ion Battery, LIB)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증∙대형 리튬 이온 배터리가 큰 관심을 끌고있다. 액체 전해질 기반 배터리 시스템은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발화에 대한 위험으로 인해 여전히 안전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ASSLIB)는 우수한 안정성, 높은 에너지 밀도 및 넓은 전기화학적 창으로 인해 차세대 전지로서 많은 관심을 끌고있다. 고체전해질 중에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적절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여주고, 낮은 탄성계수로 인한 좋은 성형성, 그리고 높은 리튬 이온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가장 적합한 차세대 소재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Argyrodite 구조인 Li6PS5X (X = Cl, Br, I)는 가장 많이 쓰이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중에 하나이며, 실온에서 10-3 S/cm 이상의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전고체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체전해질의 높은 안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리튬 금속 및 대기(수분)에 대해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취약하다. 또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양극활물질과의 계면에서 충∙방전에 따른 분해 반응이 일어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주요 원소인 황을 산소로 치환하여 고체전해질의 전기화학적안정성을 개선하였다. 산소의 강한 결합력은 양극활물질과 전해질 계면에서의 전해질 분해를 억제한다. 고체전해질의 구조 분석을 위해 X선 회절 분석법(X-ray diffraction, XRD)와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를 실시하였다. 합성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전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고자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교류 임피던스 분광법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와 X선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산소를 치환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전지의 양극복합체에서 향상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 노후 건물의 합리적 리모델링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중규모 상업빌딩을 중심으로

        김규범 경기대학교 산업정보통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는 점진적으로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 중심의 시대로, 소품종 대량 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로, 양을 중시하던 시대에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건설 산업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각종 공사에 앞서 환경과 자원의 보호를 먼저 생각하게 되었고 수명을 다한 건축물들은 단순히 폐기 처분하던 시대에서 재활용 및 재순환을 먼저 생각하는 리모델링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욕구는 누가 인위적으로 억누르거나 부추긴다고 바뀌어질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누군가가 이러한 바램을 미리 감지하여, 그러한 욕구가 건전한 방향으로 발산되고 충족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대처해 나갈때, 비로소 변화는 바람직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리모델링이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추세이며, 환경 보전과 자원 절약이란 대의 명분외에도 역사성의 보존에 따른 문화적 가치 등 그 당위성이 너무나도 크고 자명한 데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의 리모델링 시장이 활성화되기 까지는 여러가지 걸림돌이 많다. 특히 국내 건설산업은 전통적이 건축 중심의 건설수요가 둔화되는 새로운 시장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경기침체로 인한 신규 건설수요 감소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볼 수 있지만, 지난 30~40년간의 고도 성장과정에서 사회적으로 필요한 주거 및 일반 건물과 사회간접 자본시설이 상당량 확보되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건설수요의 둔화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우리 보다 한발 앞선 선진국들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리모델링에 대한 수요는 건설시장의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향후 건설시장에서 리모델링 사업이 주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주택 보급률 상승, 노후재고 건축물의 증가, 도시 및 국토의 난개발 방지 등의 측면과 폐기물 발생 및 에너지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는 측면에 리모델링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필요성과 그 인식은 급격히 달라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리모델링 사업 시행에 있어 사업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추진과정과 방안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현재까지 상업건축물의 리모델링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했다. 정책적으로 재건축을 억제하면서 리모델링을 활성화 하기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일방적인 의욕만으로는 리모델링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건축정책을 담당하는 정부와 관련업체, 건축물 소유주등의 시각에서 사업 시행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지원, 관련법 개정, 개발 기법의 개발, 타당성 분석기법, 인허가의 간소화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나아가서는 국내의 리모델링 시장과 외국리모델링 사례들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가장 합리적인 추진방향과 대안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Our modern era has gradually turned from supplier-based generation to demand-based one, from the era of mass production to the era of mass customization, and from the era focused on quantity to the era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This historical transition also had a great impact on construction industry; before various construction works, conservation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became valu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it became naturally demanded to turn from the previous days of simply discarding or disposing of aged buildings toward remodeling with reuse and recycling prioritized. These historical needs cannot be changed even with artificial control or urge, if any. However, only when anyone predicts follow-up potential needs like them in advance and prepares or take reasonable measures so that those needs may be exerted and fully met in sound directions, the changes of needs will draw near to us as a favorable appearance. Remodeling becomes a historical tendency that we cannot avoid and its necessity becomes also significantly great and undoubted in the aspect of cultural values attributed to the conservation of historicity as well as a paramount motto calle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source saving.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lots of obstacles till our domestic remodeling market becomes promoted in near future. Especially,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faces unprecedented market circumstances in which there is a long-standing slump in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demands based on architecture. Of course, this market trend is directly caused by dropped demands for new construction works due to economic slump. However, it is also possib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ousing/general buildings and the facilities based on social overhead capital(SOC) become already acquired at a considerable amount beyond the demands around the society during exponential economic growth for last three and four decades. Accordingly, such slack in the demands for new construction works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but a structural problem that even advanced countries have undergone in common. Therefore, new demands for remodeling based on existing buildings mean an inevitable choice resulting from a series of structural changes as shown i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That is why it is expected that remodeling business will keep playing a leading role in our future construction market. Moreover, there have been rapid changes in socio- economic necessity and awareness of remodeling in the aspect of several latest trends such as boosted housing rate, increasing aged buildings in stock, preventing sprawl in the urban and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preventing any occurrence of wastes and squander of energy resources. Thus, this is the time to prepare alternative solutions for the questions abo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ctual profile and conditions of remodeling business for its performance and promotion and analyze corresponding promotional processes and alternative solutions.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modeling business of commercial buildings have failed to yield any remarkable results because of various questions till now. Although there are political efforts to facilitate remodeling business by controlling reconstruction, it is hardly expected that remodeling business will be promoted simply with lop-sided ambition. In this view, this study will draw any question in the performance of remodeling business from the angle of central/local government in charge of construction policies, related companies, building owners and the like, and then set up process of remodeling business correctly through investigation into corresponding governmental supports, revision of relevant laws, device of developmental methods, technique of feasibility study and how to streamline the process of approval and permission. Furthermore, this study will also compare and look into the domestic and overseas remodeling market cases with each other, and then suggest the most rational direction of promoting remodeling business and corresponding alternative solutions.

      • 자율주행자동차 환경에서 색온도 변화가 생체신호에 미치는 영향

        김규범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동차와 정보통신기술(ICT)의 접목으로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개발로 차량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생산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실내 분위기 조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와 맥파를 통해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관찰하여 자율주행 차량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유발하는 최적의 색온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0K, 4000K, 5000K, 6000K의 색온도를 갖는 조명을 자율주행 환경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은 자동차 그래픽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실험실에서 진행되었다. 안정기 5분, 스트레스 유발을 위한 U-K검사 3분, 자율주행 환경에서 3분간 조명제시 순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색온도를 변경해가며 총 4회 반복하였다. 뇌파데이터는 512Hz로 추출하였고, 60Hz노이즈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였다. 맥파의 경우 200Hz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시계열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분석을 실시하였고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파워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데이터는 연구대상자 개인 간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정규화과정을 거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뇌파는 안정의 지표인 α파와 각성의 지표인 β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맥파의 경우 교감신경계 활성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세 가지 지표에 대해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1차 분석결과, 뇌파의 경우 5000K의 조명을 제시하였을 때 α파가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조명제시 상황에서 β파가 증가하였다. 맥파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교감신경계 활성도는 5000K에서 가장 높았다. β파에 대한 2차 분석결과, 유의수준 5%에서 색온도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뇌파의 경우, 5000K에서 α파의 증가로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색온도에서 β파의 상승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는 동적환경인 자율주행으로 인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맥파의 경우,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는 맥파의 특성상 즉각적인 뇌파의 반응에 비해 둔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다가올 자율주행시대에 활용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높은 만족감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警察組織內 커뮤니케이션의 實態分析

        김규범 西京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우리들은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조직 속에서 살고 있다. 조직의 효율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조직원 각자가 직무만족을 느끼면서 조직원간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경찰업무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항상 국민과 함께 하므로 경찰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은 국민들에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어떤 조직보다도 조직원들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경찰조직은 업무의 특정상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집단으로 인식되어 다른 공무원 조직보다도 커뮤니케이션이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 온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의 정도를 조사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경찰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In this day, a lot of our daily lives are spent as being part of and dealing with organizational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s goal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for one to feel their satisfaction with jobs and experience an effective level of communica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Police organization maintains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nd the need to communicate within our organization is greater than other organizations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police directly affect how well we serve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people who think, because of the hierarchical class divisions and the conservative nature of our organization, there may be less communication within us than other organizations. As such,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observe and study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in police organization and by studying obstacles and limitations. I hope to find a way to improve and encourage communication in order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our work.

      •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반적인 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규범 서울한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rvicescape of community child centers on place attachment through their overall service quality,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from the users of the facilities, i.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verall service quality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s any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 and place attachment. Community child centers provide childcare services after school. Most users, i.e. children and adolescents utilizing the facilities, come from low-income, single-parent, multicultural or grandparents-grandchildren households. Compared to non-users, needless to say, they tend to spend a lot more time alone, with little to no conversation with their respective guardian, which render them more easily immersed in internet or delinquent subculture. In 2014, in an attempt to work out this serious problem, the government amended relevant laws to provide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hrough community child centers, one of which being the after school childcare service. According to many studies, the substance of such services are becoming ever greate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pend most of their after schools at the center and receive a wide range of services. That makes it a good time to conduct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servicescape and place attachment of the users. However, a majority of studies on this servicescape and place attachment are conducted by profit-making organizations. There is virtually no study for non-profit organizations or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is study, content validity on servicescape and place attachment for 10 community child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Ulsan and distributed 560 survey questionnaires to 48 community child centers in Yongin, Osan, Suwon and Goyang, Gyeonggi-do. Of those 520 (92.8%) were retrieved and 127 disingenuously filled out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 total of 393 survey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ourth graders up to seniors in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verall service qualit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of servicescape, i.e. cleanliness, safety, accessibility, and amenity, of community child centers on place attachmen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via a two-stage approach using empirical research method. In stage 1, the measurement model was valida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age 2, latent variables were converted to a single variable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ia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components of servicescape, namely cleanliness, safety, accessibility, and amenity,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It was disclosed that cleanliness of classrooms and kitche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and safety with regard to presence of an evacuation shelter and anti-slip pads on entrance floors and staircases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if the center was easy to find for the users as well as for other persons. Amen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if the center was at a comfortable temperature and brightness and properly soundproofed. Second, it was disclosed that the overall service quality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place attachment. A better physical environ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 did not always led to place attachment by the users, but it was proved by this study that, if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service quality is high, it positively affected place attachment. Third, it was disclosed that cleanliness, safety, accessibility, and amenity had an indirect positive impact on place attachment with overall service quality as a mediating effect. Such stimulus affects organism, and it was disclos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mediating effect of overall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 through the S (stimulus)-O (organism)-R (reaction) model an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es put forth in this paper. The significance of such results is as follow. Most low income households are double income households, each of them gradually losing its function as a family. This is why primary physical environment where place attachment first forms, i.e. a home, fails to function even at the very basic level a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s growing.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se facilities are subject to various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cape and place attachment also grew, indicating that these facilities are not only providing physical space through place attachment but also taking the social role of family fun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자(아동․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전반적인 서비스질을 통해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다시 말해서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장소애착 간의 관계에서 전반적인 서비스질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 대부분은 저소득가구, 한 부모가정, 조손가정, 다문화가정 등을 대상으로 방과 후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용자인 아동 및 청소년들은 홀로 지내는 시간이 일반 가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고, 보호자와의 대화가 없거나 관계 부족으로 인해 인터넷에 몰입하거나 비행문화에 쉽게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2014년 관련법 개정을 통해 지역 내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지역아동센터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많은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검토해 보면 이러한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서비스의 비중은 점차 확대되고, 그에 대한 필요성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은 방과 후의 대부분을 센터에서 생활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 환경인 서비스스케이프의 중요성과 이용자들의 장소애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스케이프 및 장소애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영리조직이 차지하고 있다. 비영리조직 혹은 사회복지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는 희소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10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프 및 장소애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시, 오산시, 수원시, 고양시에 소재해 있는 48개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총 5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중 520부(회수율 92.8%)를 회수하였으나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동일 번호로 획일적 기입, 기입 누락 등)한 설문지 127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실제로 사용된 유효 분석 자료는 총 393부로 통계프로그램 SPSS 22.0와 AMOS 18.0를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충분히 설문지를 인지할 수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및 중ㆍ고등학교 학생으로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청결성, 안전성, 접근성, 쾌적성)가 장소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서비스질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경험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한 2단계 접근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 하였다. 1단계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단계에서는 측정모델의 잠재변수를 단일변수로 만들어 경로분석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있어, 서비스스케이프의 구성요소인 청결성, 안전성, 접근성, 쾌적성은 모두 전반적인 서비스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결성은 지역아동센터의 교실 및 조리실, 그리고 전반적인 청결에 대하여 전반적인 서비스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은 아동 및 청소년들이 안전한 보호를 위한 피난시설 유무와 화재방재설비 및 출입구 바닥과 계단의 미끄럼방지 시설에 대하여 전반적인 서비스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은 아동 및 청소년들이 센터를 찾기 쉬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인도 센터를 찾아가기 편한 곳에 위치함으로서 전반적인 서비스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쾌적성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함에 있어 적당한 온도 및 밝기, 외부소음에 대한 방음이 아동 및 청소년의 전반적인 서비스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서비스질이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이 좋다고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이 지역아동센터에 애착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전반적인 서비스질의 긍정적인 영향이 높으면, 장소애착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스케이프인 청결성, 안전성, 접근성, 쾌적성은 전반적인 서비스질을 매개효과로 하여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극이 유기체에 영향을 미치며, 자극에 영향을 받은 유기체는 다시 환경에 대한 그들의 반응에 영향을 직접 미친다는 S(자극)-O(유기체)-R(반응) 모형과 본문에서 제시한 이론적 논의와 기존의 경험적 연구결과를 통한 전반적인 서비스질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는 유의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저소득층들은 어려운 가정생활 및 대다수 맞벌이 생활로 인하여 가족의 기능이 서서히 상실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장소애착이 형성되는 가장 일차적 물리적 환경인 집의 기능도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하여 집의 기능을 대체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이 센터 내에서 생활하며 서비스를 제공 받음으로써 시설의 물리적 환경인 서비스스케이프와 장소애착도 더불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역아동센터는 서비스스케이프와 장소애착을 통하여 단순한 물리적 장소의 제공이 아닌 가족기능의 사회적 대처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인간 감염성 진균의 cAMP 신호전달체계의 하위 신호전달 인자의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김규범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Cryptococcus neoformans는 인간 감염 병원성 진균으로써 AIDS 또는 장기이식, 노화와 같이 면역 결핍증 환자들의 중추신경계에 감염을 일으킨다. C. neoformans가 인간의 몸속에서 감염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숙주의 면역 체계를 이겨내고, 환경 변화를 견뎌내야 한다. Cyclic AMP signaling pathway는 C. neoformans와 같은 human pathogenic fungi의 growth 조절, 분화, 병원성을 나타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cAMP signaling pathway의 down-stream regulator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cAMP signaling pathway의 down-stream regulator를 찾아내고 그 기능을 밝혀내기 위하여 cAMP signaling pathway를 조절하고 관련되어 있는 유전자들(ras1∆, aca1∆, cac1∆, gpa1∆, pka1∆pka2∆ mutant strain)의 mutant strain을 이용하여 DNA microarray를 통한 transcriptom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wild type strain H99과 비교했을 때 cAMP-dependent 유전자들의 mutant strain들(aca1∆, cac1∆, gpa1∆, pka1∆pka2∆ mutant strain)의 transcriptome pattern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ras1∆ mutant strain은 다른 transcription pattern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MP-dependent 유전자들 중에서 HSC1(Hsp12-like heat shock protein 1), HSC2(Hsp12-like heat shock protein 2), GRE2(Genes de Respuesta a Estres : stress responsive genes), PKP1(Protein Kinase of PDH) 유전자들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들의 형질 분석을 통하여 Hsc1와 Hsc2가 polyene anti-fungal drug인 amphotericin B에 대한 감수성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Cryptococcus neoformans is a human fungal pathogen which causes infe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inly in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from AIDS, organ transplantation, aging. C. neoformans endure host immune system and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host infection. Cyclic AMP signaling pathway plays a central role in regulation of growth, differentiation, virulence of human pathogenic fungi such as C. neoformans. But a majority of down-stream regulator in cAMP signaling pathway was not identified. Therefore, to identify the down-stream regulator of cAMP signaling pathway, we performed transcriptome analysis with cAMP related mutant strain(ras1∆, aca1∆, cac1∆, gpa1∆, pka1∆pka2∆) by DNA microarray. As a result, aca1∆, cac1∆, gpa1∆, pka1∆pka2∆ mutants have similar transcriptome patterns to each other. But ras1∆ mutant showed different transcriptome patterns. Also, among the cAMP-dependent genes that we found HSC1(Hsp12-like heat shock protein 1), HSC2(Hsp12-like heat shock protein 1), GRE2(Genes de Respuesta a Estres : stress responsive genes), PKP1(Protein Kinase of PDH) gene. We also found that Hsc1 and Hsc2 involved in polyene anti-fungal drug, amphotericin B, susceptibility.

      • Clinical and pedobarographic evaluation after metatarsal sliding osteotomy in Morton's neuroma patients

        김규범 Graduate School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Various operative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orton’s neuroma have been discussed, and methods using osteotomy of the metatarsal bone had been reported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 of pedobarographic changes after the metatarsal osteotomy. Pedobarographic changes of other metatarsal area after the surgery may cause the transfer metatarsalgia, and thorough analysis of the pedobarographic data should be performed peri-opera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t-operative pedobarographic changes of sliding osteotomy of the 3rd metatarsal bone for treating Morton’s neuroma includ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Methods: 37 patients (42 feet) who underwent metatarsal sliding osteotomy of the 3rd metatarsal bone for treating Morton’s neuroma from November 2013 to January 202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oximal sliding osteotomy was performed at the proximal 3rd metatarsal bone through a dorsal approach.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Lesser Metatarsophalangeal Interphalangeal Scale (AOFAS LMIS), Foot Function Index (FFI)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Plain radiograph and pedobarogram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pedobarographic outcomes. Results: AOFAS score was improved from 51.4(range 18-62) to 90.1(range 78-100) and FFI was improved from 61.8(range 50-70) to 32.2(range 23-42) on average. The 3rd metatarsal bone was shortened by 3.26 mm(±0.35) and dorsally shifted by 2.34mm(±0.29) after the surgery. Average forefoot pressure was measured 137.1Kpa(±16.6) pre-operatively and 138.8Kpa(±16.0) post-operatively(P=0.87). The 2nd metatarsal head pressure was measured 158.2Kpa(±21.7) pre-operatively to 159.0(±22.4) post- operatively(P=0.27) and the 4th metatarsal head pressure was measured 157.7Kpa(±23.1) pre-operatively and 159.2(±21.3) post-operatively(P=0.102). There were no significant pedobarographic changes on the adjacent 2nd and 4th metatarsal bones. Two cases of weakness of the 3rd toe were observed which was relieved within 6 months. Conclusion: Proximal metatarsal sliding osteotomy of the 3rd metatarsal bone shows a satisfactory result in both clinical and pedobragraphical evaluations. It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of permanent indirect decompression of Morton’s neuroma with avoiding recurred neuroma, adhesion of tissue, paresthesia and transfer metatarsalgia.

      •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학습 성향에 따른 적응적인 코스 구성

        김규범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사회의 교육은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E-Learning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분야의 학습들이 나오고 있다.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E-learning은 거리의 제한이 없이 교육을 원하는 누구에게나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콘텐츠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E-Learning의 학습 효과와 결과를 위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인 학습 코스 설계와 학습 콘텐츠 제공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학습 성향을 판단하고 학습 성향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학습 성향에 대한 분석 방법은 Felder&Solomon의 ILS(Index of Learning Style)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성향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 콘텐츠를 찾을 수 있는 콘텐츠 선택 기법을 구현 하였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Internet, various learning material have been developed in E-learning System. E-learning can give opportunity to everyone, everywhere. Learner can choose among the various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uthermore, numerous research works have been to enhance teaching quality in e-learning environments. Among these studies, researchers have indicated that adaptive learning is a critical requirement for promot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stude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daptive course management depend on the learner's learning style. We used Index of Learning Style that was developed by Felder & Solomon to diagnosis learner's learning style. The proposed method compare with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 learning contents style, and then choose a suitable learning contents.

      •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한 지식경영 사례 연구

        김규범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consist of knowledge management. And weight should be carried on them correspond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company to select an object. With these factors, success and failure depend on selecting an object and carrying out them. Though the centroid of industrial economy has been changed from material resources to intellectual assets, knowledge management which is for the effective use of knowledge hasn't settled down. Therefore, this study which introduces the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by factors - evaluation of knowledge and compensation, KMS, share climate, CEO, etc. - can be very helpful to those manag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the cases of companies which are carrying out or already settled knowledge management, to deduce propuls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advance course of knowledge management to Korean companies. In addition, it is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to help successful settlement of other following knowledge management companies. This study tries to search how the company should propel when it carries out knowledge management. For this, this study extracted critical factors from previous studies, consulted other data including company case papers.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cases of five companies - Buckman Lab., Arthur Anderson, Daelim Industry, LG-EDS and Samsung Everland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which critical factors should be taken more emphases on, and searched advance course for Korean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