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도선수의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관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도대회에 참가하는 중학교선수 남·녀 268명, 고등학교선수 남·녀 511명, 대학/일반선수 남·녀 357명, 총 1136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기시 느끼는 경쟁상태불안의 3가지 하위영역들과 경쟁특성불안이 성별, 학교급별, 체급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 이러한 불안수준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냈다. 1. 성별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에서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소들 중 신체적 상태불안은 중학교 선수, 인지적 상태불안은 중학교, 고등학교 선수, 상태자신감은 고등학교, 대학/일반 선수에게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쟁특성불안은 고등학교 선수에게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학교급별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에서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소들 중 신체적 상태불안은 고둥학교:대학/일반, 중학교:대학/일반, 인지적 상태불안은 중학교:고등학교, 상태자신감은 중학교:고등학교, 고등학교:대학/일반 선수에게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쟁특성불안은 모든 학교급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체급별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에서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소들 중 신체적 상태불안과 인지적 상태불안은 고등학교 선수에게서만 전체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상태자신감은 고등학교 선수 中량급:重량급, 대학/일반 선수도 中량급:重량급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쟁특성불안은 고등학교 선수 中량급:重량급, 輕량급:重량급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성별과 학교급별 상호작용의 효과는 상태자신감을 제외한 신체적 상태불안, 인지적 상태불안, 경쟁특성불안에서 나타났고 성별과 체급별 상호작용의 효과는 고등학교선수의 신체적 상태불안에서만 나타났다. 5. 경쟁불안과 경기력과의 관계에서 경쟁상태불안은 그 하위요소들 중 중학교에서는 상태자신감, 고등학교는 신체적 상태불안, 대학/일반은 인지적 상태불안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특성불안은 고등학교, 대학/일반 선수에게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with 3 sub-categories and competitive trait anxiety and the effect of performance on gender, school levels and weight classification. The study employed 268 Judo players in middle school, 523 high school and 357 universitlyes/adults, 1136 to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For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test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hlets of middle schools, cognitive state anxiety in athle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state confidence in athlets of high schools and universitlyes/adults. Competitive trait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hletes of high schools. 2. For school leve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tests of compete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adults, and between middles schools and high schools, cognitive state anxiety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ate confidence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betwee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adults Competative trait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levels of schools. 3. For weight classif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test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and cognitive state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level of weight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s, state confidence between middle weight and heavy weight in athlet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ies/adults. Competitive trait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ddle weight and heavy weight, and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in athlets of high schools. 4. For gender and levels of schools, somatic state 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competitive trait anxiety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levels of school was revealed in somatic state anxiety of athlets in high schools. 5.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competitive anxiety and competing ability, most influencing factor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were state confidence for athlets of middle school, and somatic tate anxiety for athlets of hish schools, and cognitive state anxiety for athlets of universities/adults.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 특성이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관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산업은 스마트폰(Smartphone)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산업의 구조를 바꾸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냈으며,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이미 많은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자리 잡았다. 일반PC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더 나은 작업 및 편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최근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이 경쟁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용자들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기존고객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 지속적 이용은 기업의 경쟁우위와 수익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편의성, 콘텐츠 풍부성, 브랜드 인지도, 보안의 안정성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 특성이 이용자 습관과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 습관과 이용자 충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 편의성, 브랜드 인지도, 보안의 안정성이 이용자 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풍부성, 브랜드 인지도, 보안의 안정성은 이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습관은 이용자 충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 충성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업은 이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을 통해 신규고객을 끌어들이는 데 필요한 부가비용이 절감되어 기업의 수익창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 충성도 높은 고객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지속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은 기업의 활동에 있어서 기업 이미지제고 및 경쟁우위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을 좀 더 분석하고 이해하여 더욱 더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서로 다른 세 가지 다른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점도함수의 비교연구

        김관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스틱은 적당한 강도를 갖는 저밀도 소재로 300℃ 미만의 낮은 가공 온도로 인해 다양한 가공공정이 연구개발 되었으며, 값싼 가격과 함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학계와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플라스틱의 활용 범위 또한 넓어져 기존 소재들을 대체하고 있다. 이처럼 산업에서의 플라스틱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물질의 흐름과 변형을 연구하는 유변학 또한 중요하게 되었다. 여러 유변물성 중 전단점도는 흐름을 기술하는 유일한 유변물성으로 산업에서 물질의 특성파악, 제품의 품질관리, 플라스틱 가공기기의 설계 및 가공공정현상의 해석 등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전단점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단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연구되고 개발되었다. 현재 전단점도함수를 측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기는 모세관 레오미터(Capillary Rheometer)와 회전형 레오미터(Rotational Rheometer)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스크류 레오미터(Screw Rheometer)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용융수지의 흐름성을 알 수 있는 또 다른 실험으로 한 점 점도 측정법에 해당하는 용융지수(MFR : Melt Flow Rate)가 상업적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FR 측정법을 변형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가하는 하중을 바꿔가며 MFR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전단속도와 전단점도로 환산 하였다. 또한 환산한 점도함수를 동일한 조건하에 Screw Rheometer와 Capillary Rheometer로 측정한 점도함수와 비교하였다. 기준이 되는 점도함수 측정법은 현재 용융고분자의 점도함수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고 알려진 Bagley correction과 Rabinwitch correction을 모두 적용한 ‘Capillary Rheometer’ 측정 결과를 비교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우선 MFR로 환산한 점도함수는 L/D가 작은 규격화된 오리피스를 통해 실험이 진행되기 때문에 용융고분자의 탄성효과로 인해 측정된 모든 shear raet 영역에서 Capillary Rheometer의 점도함수보다 더 높은 점도값을 보였다. Screw Rheometer와 Capillary Rheometer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낮은 shear rate 영역에서는 두 점도함수 값이 ±5.0% 안에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shear rate가 높아짐에 따라 Capillary Rheometer의 점도함수 값이 더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10.0% 이상의 차이를 보여 측정점도 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Capillary Rheometer의 점도측정시 고전단속도 영영에서 다이에서 점성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온도가상승함으로 실제 점도함수값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에 Screw Rheometer는 점도 측정 영역에서 점성발열 효과가 나타난 수지 온도를 직접 측정하고 ±2.0℃ 온도변화 안에서 측정한 데이터로 점도값 계산을 수행함으로 별도의 온도보정이 필요없다. 따라서 동일 온도 조건에서 측정된 Screw Rheometer의 점도함수 측정결과가 더 신뢰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Capillary Rheometer의 경우 점성발열이 일어나는 고전단속도 영역의 데이터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die에서의 viscous heating을 고려함으로 동일온도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표현특성 연구 :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중심으로

        김관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Freud argued that emotions, such as fear and anxiety, should be included in the realm of aesthetics, beyond the traditional standards of beauty, and defined such a claim as the concept of ‘Uncanny’. This study begins with the concept. In the modern aesthetic paradigm, rejecting fixed norms and pursuing diversity, modern art is pouring out a variety of works beyond understanding and common sense that cannot be explained only by the established standards of beauty. In this trend, the concept of Uncanny is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to explain the provocative aspects of modern art and its structural origins as the principle of order that best identifies the disorderly aspects of modern art. This perspective also serves as an important topic that enables contemporary reasons, such as ac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aesthetics. However, despite the restoration of the Uncanny concept in the major aesthetic category of modern ar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cases that directly address the aesthetic expressions of the Uncanny concept in the realm of Spatial Design. This could be derived from the relatively difficulty of freely applying the avant-garde and provocativ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embedded in the concept of Uncanny to the nature of semi-permanent and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space. To resolve such a problem, this researcher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rchitecture and space by using Spatial Installation located at the interface of art and architecture as an object of analysis. Spatial Installation has a temporary nature in that the categories of painting and sculpture are expanded to have a spatial scale, where the work itself becomes a space, and the space itself becomes a work. In other words, experimental attempts and bold formative expressions can be carried out in many ways away from physical constraints because the purpose is to experience aesthetic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Uncanny, which seeks to break away from ideological thinking through original expressions that deviate from conventional aesthetic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rst analyze the Uncanny’s characteristics embodied in Spatial Install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patial application of the aesthetic expressions of the Uncanny’s characteristics can be effectively achieved. The next aim is to explore the creative possibility of moving beyond the limits of spatial representation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Uncanny, away from the existing fixed and rigid spatial representation patterns. This study, focusing on Freud’s concept of Uncanny, was based on variou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of modern art and Spatial Installation, along with the concept of Uncanny, an extended meaning that converges into various modern theories and conceptual evolution. The development of the paper proceeds as follow: First, the paper presents a study flowchart after describ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pecific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Freud’s paper ‘Das Unheimlich (1919)’, which analyzes the Uncanny concept from a psychoanalysis perspective for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Uncanny concept, and it reviews the theory of the Uncanny concept by synthesizing Freud’s early-late writings, including ‘Totem und Tabu’ (1913) and ‘Jenseits des Lustprinzips’ (1920) and more. Based on the review outcomes, it analyses how visual and perceptual presentation works of the objects, triggering Uncanny as a psychological atmosphere, and derives its characteristics. Third, the paper looks at how Freud’s concept of Uncanny has achieved a conceptual expansion in modern times.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the ‘extended meaning of Uncanny’ which is the primary concern in this paper is the outcomes from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Uncanny characteristics and the following three concepts including Jacques Lacan’s ‘The Real’, Georges Batayou’s ‘Informe’ and Julia Cristeva’s ‘abjection’ concepts to identify their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reconsideration of their present values. After each concept is examined in detail, modern art i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Uncanny’s formative expression. Consequently,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extended meaning of Uncanny’ derived from Chapter 3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large frames: ‘non-visibility of empty space, proliferation division, irregular fragmentation, paradoxical duality, anatomical exposure, segmentation and heterogeneity.’ Fourth, based on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ly derived Uncanny, it is intended to apply and analyze the corresponding cases of Spatial Installation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empirically. The units of the case analysis were limited to works produced after 2010, and through the works of artists active in modern times, it was emphasized that contemporary artistic expressions are in contact with Uncanny’s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le proving that Uncanny is a valid concept for today’s spatial expressions. Fifth, the study is finally summarized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and then future expected effects are sugges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expressions of the Uncanny concept appear effectively in Spatial Installation, which allowed to capture the possibility of spatial application. In Spatial Installation, Uncanny’s aesthetic expressions, through the subversive image of normality dismantled beyond the conventional ideological order, disorder through destruction of figures, and contradictory mix of opposition, appeared in a way that caused cognitive confusion and ruptured ideological reality by creating points that cannot be attributed to a single meaning or producing spots of gaps and stains that cannot be clearly represented. This feature provokes and collapses the boundarie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reating a gruesome feeling, while simultaneously provoking both familiarity and awkwardness, fascination and fear, and conviction and ambiguity, allowing the viewer to experience Uncanny’s affection. As suc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Uncanny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aesthetic notions and reveal chaos with dissonance and uncertainty. The spa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canny is constantly shaken and exudes infinite artistic vitality, not bound by the same fixed semantic system created by the logic of reason.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aesthetic expression of Spatial Design. Furthermore, the space applied with Uncanny’s characteristics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and allows people to enjoy unique aesthetic experiences. Given that it provides a rich artistic life, the space applied with uncanny characteristic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the center of leading new spatial experiences in the modern paradigm.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as an opportunity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area of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Uncanny, and it is also hoped that it can be actively used as a foundation for various interpretations in spatial analysis through the concept of Uncanny in the future. 프로이트는 전통적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 공포나 불안 같은 감정도 미학의 영역에 포함하여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언캐니(Uncanny)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개념에서 출발한다. 고정된 규범을 거부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미적 패러다임 속에 현대 예술은 기존에 정립된 미(美)의 기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해와 상식을 벗어난 다양한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언캐니 개념은 현대 예술의 무질서한 양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질서의 원리로서 현대 예술의 도발적인 양상과 그 구조적 기원을 해명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미학의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어, 현대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주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언캐니 개념이 현대예술에서 주요한 미적 범주로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 디자인의 영역에서 언캐니 개념의 심미적 표현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 사례는 다소 부족하다. 이는 반영구적이고 지속성이 강한 건축, 공간의 특성상 언캐니 개념이 내포한 전위적이고 도발적인 특성과 표현 방식을 자유롭게 적용하는데 비교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된다. 연구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술과 건축의 접점에 위치한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건축, 공간이 갖는 한계점을 넘어서고자 한다. 회화, 조각의 범주가 확장되어 공간적 스케일을 가지며 작품 자체가 공간이 되고 공간 자체가 작품이 되는 인스톨레이션 공간은 한시적 성격을 갖는다는 특성과 함께, 그 목적이 미적 체험에 있다는 점에서 물리적 제약에서 많은 부분 벗어나 실험적이고 과감한 조형적 표현을 시도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미적 표현에서 벗어난 독창적 표현을 통해 관념적 사고에서의 탈피를 꾀하는 언캐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스톨레이션 공간에 현현된 언캐니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언캐니 개념이 갖는 심미적 표현특성의 공간적 적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파악하고, 기존의 고정되고 경직된 공간적 표현 양상에서 벗어나 언캐니의 미적 특성을 토대로 공간적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창조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의 다양한 이론과 접맥하며 개념적 진화를 이루게 된 확장된 의미의 언캐니 개념과 함께 현대 예술, 인스톨레이션 공간에 대한 각종 문헌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논문의 전개는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첫째,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구체적인 범위와 방법을 서술한 뒤 연구 흐름도를 제시한다. 둘째, 언캐니 개념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언캐니 개념을 분석한 프로이트의 논문 ‘언캐니(Das Unheimlich, 1919)’를 중심으로 ‘토템과 터부(Totem und Tabu, 1913)’, ‘쾌락원리 너머(Jenseits des Lustprinzips, 1920)’ 등 프로이트의 전후기 저술을 종합하여 언캐니 개념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분위기인 언캐니를 촉발하는 대상들의 시지각적 현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이 현대에 이르러 어떠한 개념적 확장을 이루었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주목한 ‘언캐니의 확장된 의미’를 갖는 개념은 자크 라캉의 ‘실재(The Real)’,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Informe)’,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abjection)’으로, 분석에 앞서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을 통해 도출된 특성과 해당 개념들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갖는 현재적 가치에 대해 재고한다. 이후 각개의 개념들을 세부적으로 고찰한 뒤, 이를 토대로 현대 예술을 분석하여 언캐니의 조형적 표현특성을 도출한다. 그 결과 3장에서 도출된 확장된 의미의 언캐니가 가지는 조형적 특징은 ‘공백의 비가시성, 증식의 분열성, 불규칙적 파편성, 역설적 이중성, 해부적 노출성, 분절과 이질성’ 이라는 6가지 큰 틀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넷째, 앞서 도출된 언캐니의 미적 표현특성을 토대로 이에 부합하는 인스톨레이션 공간 사례들을 적용하고 분석함에 따라 그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해보고자 한다. 사례 분석의 대상은 2010년 이후에 제작된 작품으로 한정하였으며 현시대에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현대가 지향하는 예술적 표현이 언캐니의 조형적 특성과 접맥한다는 것을 강조함과 동시에 언캐니가 오늘 날의 공간적 표현에 적용함에 있어서도 유효한 개념임을 입증하고자 했다. 다섯째, 연구한 내용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증명하고 향후 기대효과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언캐니 개념의 심미적 표현은 인스톨레이션 공간 속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공간적 적용의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인스톨레이션 공간에서 언캐니의 미적 표현은, 기존의 관념적 질서를 벗어나 정상성이 해체된 전복적인 이미지와 형상의 파괴를 통한 무질서, 대립 항의 모순적인 혼재를 통해, 하나의 의미로 귀착될 수 없는 지점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거나 명확하게 의미화 되지 못하는 공백과 얼룩의 지점들을 생산하는 등 인지적 혼란을 일으키며 관념적 현실을 파열시키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특성은 의식과 무의식, 현실과 비현실 사이의 경계를 도발하고 붕괴하며 섬뜩한 느낌을 생성함과 동시에 친숙함과 낯섦, 매혹과 두려움, 확신과 모호함의 양가적 감정을 동시다발적으로 유발시켜 관람자에게 언캐니의 정동을 체험하게 만든다. 이처럼 기존의 미적 관념에서 벗어나 부조화, 불확실성의 혼돈을 드러내는 언캐니의 심미적 특성이 반영된 공간은, 이성의 논리로 만들어진 고정된 의미체계와 동일성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흔들리며 무한한 예술적 생명력을 뿜어낸다는 점에서 공간 디자인의 심미적 표현을 더욱 새롭게 풀어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더 나아가 언캐니적 특성을 적용함에 따라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독특한 미적 체험을 향유하게끔 하는 작품으로서의 공간은 그 자체로 풍부한 예술적 삶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현대적 패러다임 속 새로운 공간적 경험을 선도하는 중심이 될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여졌다. 끝으로 본 연구가 언캐니의 관점으로 공간의 영역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라며, 향후 언캐니 개념을 통한 공간 분석에 있어 본 연구가 다양한 해석을 위한 기틀로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전라선 고속화에 따른 지장물검지장치 적용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김관현 우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차운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선로 변에 설치된 지장물검지장치는 선로에 침입하는 지장물을 검지하여 신호기계실의 ATC(Automatic Train Control)장치 및 관제실 CTC(Centralization Traffic Control)장치로 전송하여, ATC장치에 의해 열차의 이동위치에 따라 감속 및 비상제동을 체결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일반철도의 경우에는 일부구간을 제외하고 안전설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침입 지장물에 의한 대형사고의 요인을 내포하고 있어 적용기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최적의 지장물검지장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전라선 익산~여수구간 과선교에 설치된 지장물검지장치에ISO/IEC Guide 51 기준과 ALARP(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원칙을 적용하여 산정요소 별 수용 가능한 위험요인과 허용 불가능한 위험요인을 구분하고 선로의 노선 수, 도로교통량 사고이력 및 도로배치, 방호특징, 방호능력 등 5단계로 구분하였다.

      •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galbanic acid from Ferula assafoetida L. in vitro and in vivo

        김관현 경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Galbanic acid, a major compound of Ferula assafoetida L, was known to inhibit thrombocyte aggregation that mediates antitumor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Thu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galbanic acid exerts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As expected, galbanic acid significantly decreas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duced proliferation,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galbanic acid reduced the level of hemoglobin (Hb) in VEGF-treated Matrigel. Furthermore, the effect of galbanic acid against Lewis lung carcinoma (LLC) cell induced angiogenesis was examined using a tumor xenograft model. Galbanic acid inhibited the neovessel formation and the growth of LLC. Consistently,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galbanic acid effectively reduced the expression of Ki-67 for proliferative index and CD34 for microvessels density index. Interestingly,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galbanic acid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in VEGF-treated HUVEC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galbanic acid can be a cancer chemopreventive candidate via its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partly through MAPK pathway. Galbanic acid는 아위에서 분리하였으며, 이전 연구에서 galbanic acid의 신 혈관형성 억제와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없기에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in vitro 와 in vivo 모두에서 연구를 하였다. Galbanic acid는 HUVECs에서 독성 없이 VEGF에 의해 유도된 세포증식과 세포분화는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해, Matrigel plug와 tumor로 유도된 혈관형성이 저해되었음을 보았다. 또한 항암활성을 보기 위하여 C57BL/6 쥐에 LLC 세포를 주사하여 암 조직의 부피와 무게는 galbanic acid를 처리한 쥐에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고, Ki-67과 CD34 조직 염색을 통하여 암 세포의 증식과 신 혈관형성을 저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 신호전달계인 MAPKs의 억제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in vitro 와 in vivo 연구 결과가 일치함을 보았다. 따라서 galbanic acid는 신 혈관형성 저해와 항암효과를 통해 세포의 증식과 혈관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좋은 항암제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量刑의 實態와 合理化 方案

        김관현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量刑은 抽象的인 刑罰法規가 具體的인 事件을 통하여 刑罰로서 具體化되는 동적인 過程으로 法定刑의 確認, 處斷刑確定, 宣告刑을 決定하는 過程으로 볼수 있다. 法治國家에 있어서는 國家刑罰權행사의 範圍와 限界는 매우 중요하다. 국가형벌권행사에 있어서 유·무죄의 결정뿐만 아니라 有罪가 확정된 자에 대해 刑罰과 부수처분을 결정하는 양형과정도 법치국가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量刑의 結果는 被告人의 自由와 人權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法律에 의한 支配”는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양형의 適正性과 均等性 確保는 憲法의 平等原則과 法治?家의 原理에 의하여 必須的으로 요청되는 刑事司法制度의 目的이자 結論이다. 量刑은 法官의 裁量行爲라 하지만 이 재량은 자유로운 것이 아니라 法的으로 羈屬된 裁量이다. 그러나 엄격히 따진다면 裁量은 형법상의 개념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法治國家原則과 罪刑法定主義에 입각해서 볼 때 형사법과의 엄격한 구속이념은 형법적으로 보면 죄형법정주의의 요청인 동시에 憲法的으로는 法的 安定性과 수범자의 豫測可能性을 保障하기 위한 法治國家原則의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양형의 합리화을 위해서는 우선 양형에서 재량이라는 개념이 사라져야 하며, 量刑은 法適用의 문제라는 確固한 認識 아래 가벌성의 확정 못지 않게 法律의 嚴格한 구속과 統制를 받아야 할 必要가 있다. 그런데 법률상으로 法官의 適正하고 均等한 올바른 양형을 이끌 原則的인 基準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까닭에 濫用의 危險과 그에 隨伴되는 實務상의 양형 불균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刑事裁判의 結論으로서의 量刑은 당해 被告人에게 적정한 것이어야 할뿐만 아니라 동질·유사한 被告人들에게는 균등한 것이어야 하며, 법적 안정성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 客觀的인 豫測可能性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量刑의 正當性과 衡平性을 담보할 수 있는 요소는 責任이다. 즉 형벌의 정도와 분량은 책임의 정도와 분량에 따른다는 責任原則에 量刑이 拘束되어야 한다. 책임은 國家刑罰權을 가장 效果的으로 制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刑罰과 均衡을 이룸으로써 量刑의 適正을 가능하게 하므로 責任原則이 양형의 원칙적인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양형을 함에 있어서는 그 刑罰이 行爲者의 장래의 생활에 미칠 효과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예방적인 고려는 책임을 그 상한선으로 하여 그 한도안에서 행해져야 한다. 예방은 國家刑罰權의 남용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책임이라는 큰 테두리가 그에 대한 한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현행 刑法 第51條는 量刑의 條件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양형사실을 단순히 例示的으로 열거하는데 그치며 양형을 지도하는 原則的인 基準이 되지 못한다. 결국 비판의 대상이 되는 양형의 불균등은 양형에 대한 원칙적인 기준의 미비와 법관의 개인편차의 반영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형의 불균등현상을 해소하고, 양형의 목표인 적정성·균등성 그리고 客觀的인 豫測可能性을 이루어 人間의 尊嚴을 重視하고 사법의 신뢰를 堅持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형의 지도원칙이자 양형사실의 평가, 참작의 기준으로서 책임원칙이 법률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법관의 양형에 있어서의 개인편차를 줄여 양형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量刑基準制의 도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법관의 양형재량에 일정한 한계를 제시해 줌으로서 법관간의 양형편차를 줄여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법관들이 양형결정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감경시켜 줄 수 있는 바, 양형의 합리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