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 신항 개발에 따른 국적 선사 및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운영 참여 모델에 관한 연구

        김경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studies on participation model of the terminal operator in enchancing competitiveness of Korean ship owners, terminal operators and Busan Port. Particularly, it would be focused on Busan container terminal that is being expaned through Busan New Port project. Recently, Exsiting "North Port Terminal" is being closed down due to redevelopment and instead, "New Port" terminal is expanding. However, although the port project is a national project, foreign capital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Busan's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d Korean shipping companies and operators are at a disadvantage. Busan Port also has good infrastructure and geographical strength compared to competitive ports, but it is somewhat lacking in terms of profitability and competitiveness.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 low rate and competitiveness have weakened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many strengths and scales compared to the major ports due to the small and large number of operating systems through the reckless development of the North and New Ports. While the author works in the operation team of the shipping company and manages the ships coming to the Busan container terminals, a lot of vessel focuses on specific terminals, make a berth congestion each terminal and make unnecessary los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ngestion level of each terminal.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ways to prevent these losses and maximize the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of Busan container terminal. To do this, large-scale consolidation of operators can lead to reduced competition among operators, cost-efficiency, sales force rationalization and inducement of supplier advantage.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ype and operation status of Busan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d to derive the optimal operator model to identify and supplement problems through SWOT and management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two models, Model A, which integrates HPNT and BNCT, New Port 2-4 terminal, and PNIT, Model B, which integrates BPT and DPCT, and HJNC and Part 2 of New Port 2 after securing new port 2-5 terminal operation rights.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olidation, the operator presented a reasonable consolidation scenario that operators could change each other's terminal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public and private joint procurement is the best in terms of cost and efficiency as a funding plan for termin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 IG-MLP기반의 특징 평가 방법을 이용한 질병 예측 머신러닝 모델의 최적화된 특징집합 선택

        김경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하급수적으로 쌓인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은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공공데이터포털을 운영하여 빅데이터를 제공하고 접근이 가능하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머신러닝을 위해서는 적절한 데이터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특징선택은 목표로 하는 러닝 모델의 학습 전에 수행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과정이다. 입력 데이터에 의존적인 머신러닝의 특성상, 데이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의 선택은 러닝 모델의 성능과 신뢰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통계청에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 조사 데이터가 공개되어있다. 암을 제외한 한국인의 질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 1, 2위는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이고,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환자의 심혈관질환의 위험 척도는 프레밍험 모형(Framingham model)을 사용하지만, 프레밍험 연구의 모델은 과거 서양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모형이기 때문에 한국인의 심혈관질환의 예측에 대해 정확도가 떨어지며, 뇌혈관질환 예측에 대한 위험도는 계산할 수 없다. 또한, 심뇌혈관질환은 질환의 조기 증상의 특징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질환 예측이 힘든 편이다. 그러므로 한국인에 맞는 예측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고, 통계청에서 공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중 2008년~2017년도의 원시 데이터를 사용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 전반의 실태에 대한 국가, 시도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계 데이터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 기반의 심뇌혈관질환 예측 모델에 입력될 특징집합을 IG-MLP (Information Gain – Multilayer Perceptron) 요인 평가 방법을 통해 선택하고, 특징집합 선택 방법을 결과를 통해 시뮬레이션 하여 검증하는 것에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IG-MLP 요인 선택 방법을 통해 한국인의 심뇌혈관질환에 관련된 중요한 특징들을 찾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특징들로 한국인에 대해 적절한 심뇌혈관질환 예측 모델을 제공한다.

      • 지적장애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 간 서비스 연계에 관한 연구

        김경륜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an effective linkage plan by grasping problems about linkage through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linkage between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and to offe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is more effective and qualitatively enhanc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surveyed and analyzed targeting 112 people of the chief teachers with a major in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f the middle manag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asks, who are working at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in Chungcheong and Jeolla area. Summarizing the conclusions that appeared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most institutions are being linked now in rela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task. A motive of linkage was the highest in the response as saying of aiming to offer the specialized service to the disabled. As for the phase of linkage, a case of special school and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as being formed the linkage in relatively high level, which is being planned and adjusted service through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a case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was being mainly formed the linkage in relatively low level at the phase of exchanging information and getting familiar each other. As for a linkage form, the linkage was being formed primarily by using the specialized program of being carried out at each institution. The merits given the linkage included sharing experience and idea of relevant institution, being easy for access to relevant service, being available for offering the overall and specialized service through linkage. The factors of promoting linkage were shown to be important factors in implementing service delivery system, establishing a role by institution, and arranging guideline and system for linkage. The factors of hindering linkage were representative in the lack of a systematically cooperative method and the lack of manpower in charge of linkage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service linkage, the special school had the high ratio of service linkage in employment service, supportive employment, vocational evaluation, and career counseling. The ratio of service linkage was high in order of employment service, pre-job training, career counseling, vocational evaluation, and supportive employment in case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order of career counseling, vocational evaluation, employment service, and supportive employment in case of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in order of work adjustment training, job training, pre-job training, and career counseling in cas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satisfaction with the linked service targeting respondents, the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order of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special schoo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In case of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with the linkage with other institution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ervice contents by institution, in case of special school,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service was being offered in pre-job training, work adjustment training, and job training.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service was being provided in work adjustment training, post-guidance, career counseling, pre-job training, and employment service in case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areer counseling, vocational evaluation, employment service, and supportive employment in case of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in pre-job training and work adjustment training in cas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The response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as saying that the special school needs to offer pre-job training intensively.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the response was indicated to be high as a whole as saying of needing to intensively offering work adjustment training and job training. Fifth, there was recognition as saying that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needs to perform a role such as a window of linking and adjusting service between institutions as the central institution of regional network, for the smooth and effective linkage and cooper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uggesting plans for vitalizing service linkage between special school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for reinforcing competence of looking for a job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y are as follows. First, to be formed linkage in the closer and higher level between special school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there is a desperate need of expanding budget for offering linkage motivation and linkage service and of increasing and training manpower in charge of linkage. Second, for effective linkage, there is a need of arranging a system for establishing a role by institution and for implementing and link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hird, there is a need of linking service through opening regular meeting, offering service information by institution, and publicizing, and of forming the central institution of network, which will play a role in a window of adjusting, targeting special school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within community. Fourth, there is a need of implementing task network for service linkage between special school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stitution.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 간의 연계 실태 조사를 통해 연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장애학생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으로 향상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충청․전라지역에 소재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부장교사와 장애인복지관, 장애인고용공단,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는 직업재활업무 중간관리자 112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 업무와 관련 하여 대부분의 기관이 현재 연계하고 있으며, 연계 동기로는 장애인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연계 단계로는 특수학교와 장애인고용공단의 경우에는 협력을 통한 서비스의 계획과 조정이 이루어지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장애인복지관과 직업재활시설의 경우에는 정보교환 및 서로 친해지는 단계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연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계 형태로는 각 기관에서 실시하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계 시 장점으로는 관련 기관의 경험 및 아이디어 공유, 관련 서비스 접근성의 용이함, 연계를 통한 총체적이면서도 특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었으며 연계 촉진요인으로는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기관별 역할 정립, 연계를 위한 지침 및 제도 마련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체계적인 협력 방법의 부족과 연계 서비스 담당 인력의 부족이 대표적이었다. 둘째, 서비스 연계 내용을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에서는 취업알선, 지원고용, 직업평가, 직업상담에서 서비스 연계 비율이 높았으며, 장애인복지관의 경우에는 취업알선, 직업 전 훈련, 직업상담, 직업평가, 지원고용에서, 장애인고용공단의 경우에는 직업상담, 직업평가, 취업알선, 지원고용에서, 직업재활시설의 경우에는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 직업 전 훈련, 직업상담 순으로 서비스 연계 비율이 높았다. 셋째, 응답자를 대상으로 연계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고용공단,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고용공단의 경우 타 기관과의 연계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기관별 서비스 내용을 살펴본 결과 특수학교의 경우에는 직업 전 훈련,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장애인복지관의 경우에는 직업적응훈련, 사후지도, 직업상담, 직업 전 훈련, 취업알선을, 장애인고용공단의 경우에는 직업상담, 직업평가, 취업알선, 지원고용을, 직업재활시설의 경우에는 직업 전 훈련, 직업적응훈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특수학교에서 직업 전 훈련을 중점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재활서비스기관에서는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을 중점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원활하고 효과적인 직업재활서비스의 연계․협력을 위해서는 장애인고용공단이 지역 네트워크 중심기관으로서 기관 간 서비스 연계 및 조정 창구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인식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의 구직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 간 서비스 연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이 더욱 긴밀하고 높은 수준의 연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계를 위한 동기부여와 연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예산 확대 및 연계 담당 인력의 증강과 양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기관별 역할 정립과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및 연계를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내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모임 개최, 기관별 서비스 정보 제공 및 홍보 등을 통한 서비스 연계 및 조정 창구의 역할을 담당할 네트워크 중심기관의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특수학교와 직업재활서비스기관 간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업무전산망 구축이 필요하다.

      • 韓國外交政策決定 : 個人變數를 中心으로

        김경륜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책결정자들은 개인·사회 및 통치 변수와 같은 몇가지 요인에 의하여 작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변수가 한국의 외교정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저 한다. 첫째, 외교정책 결정자들의 특징은 어떻게 해서 형성되어졌는가? 둘째, 그 특징은 어떻게 해서 제 각각의 정책결정자의 행태(行態)와 특수한 외교정책에 관련되어 왔으며, 한국외교정책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이전의 대통령이었던 이승만(李承晩)과 박정희(朴正熙) 두 분에 관한 것이다. 그들의 특징은 사회적 배경과 심리적 특성으로 구분되어 진다. 그들의 가문적 배경, 교육배경과 생애 경력들은 사회적 배경을 중심으로 연구된다. 그들의 성격, 동기 및 국제적 이미지에 대한 더 심화된 연구가 그 심리적 특성의 관점에서 요구된다. 국가의 생존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외교정책이 개인적인 최고결정자에 의하여 통제되어 온 사실은 한국외교정책이 해결해야만 했던 가장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실제로 한국외교정책의 시초부터 최근까지 그 중요 외교정책을 결정했던 이전의 두 대통령께서 방향과 특유의 형질을 확립하였다. 더욱이 그들은 오늘날의 한국외교상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주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최고결정자들의 개인변수가 한국외교정책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개인변수의 영향은 한국의 정치문화가 독재주의의 분위기 하에서 성장해왔던만큼 그밖의 어떤것 보다 더 큰 것이고 더 중요한 것인 것이다. In the process of deciding foreign policy, policy decision makers a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societal, and governmenta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which the individual variable has had on the foreign policy in Korea.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approaches in two ways. First, how has the Idiosyncrasies of the foreign policy decision-makers been formed? Second, how have the Idiosyncrasies been related to the each decision-making behavior and the specific foreign policy, and how have they been reflected in the foreign policy of Kore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wo Korean ex-presidents, Syngman Rhee, Chung-Hee Park. The Idiosyncrasies are divided into the social background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 Their family backgrounds, educational backgrounds, life histories and experiences are research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backgrounds. Further investigations of their personalities, motivations, international images are demand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 The fact that the foreign policy connected directly with the existence problem of a nation is controlled by the individual, super decision maker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hat the Korean foreign policy should solve. In fact, from the beginning of Korean foreign policy until the recent date two ex-presidents who decided the important foreign policy established direction and specific character. Moreover they have a great influence on today's Korean diplomacy.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he super decision-makers have played the most important part in deciding the foreign policy of Korea.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variables is bigger and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s the political culture of Korea has grown up under the atmosphere of the authoritarianism.

      • 디지털 문화유산 해석 제언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

        김경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문화유산 분야에도 디지털 문화유산이라는 새로운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와 동시에 문화유산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하는 문화유산 해석 또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해서 다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현재 디지털 문화유산은 디지털의 장점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문화유산을 디지털 형식으로 보여주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더 쉽고 재미있게 문화유산을 접할 수 있지만 디지털 문화유산으로 접하는 문화유산은 실제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단편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문화유산은 현재 존재하는 모습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건과 시간을 거쳐왔다.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를 거쳐온 문화유산을 한 부분만 조명하여 보여주는 것은 다층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유산의 여러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다. 현재 디지털 문화유산이 이러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만들어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문화유산의 다양한 면모를 바라볼 수 있는 문화유산 해석을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이 어떻게 문화유산을 디지털화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문화유산과 문화유산 해석에 대해서 살펴본 후에 디지털 문화유산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정의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유산이 어떻게 문화유산을 담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가다머의 해석학과 디지털 문화유산 해석을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의 해석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유산을 기술적으로 더욱 잘 접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앞서 살펴본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유산 해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큰 틀에서 가다머의 지평융합 방안을 차용하였고 디지털 문화유산의 특성과 방향성에 대해서 기존의 디지털 문화유산 해석을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구성한 프레임워크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국내 석굴암을 대상으로 생성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고 디지털 문화유산의 해석적 부분에서 어떠한 부분이 필요한지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문화유산을 통해 문화유산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디지털로 구현되고 생성된 문화유산에 대해서 어떤 점이 필요한지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디지털 문화유산 해석 프레임워크를 이론적으로 구축해 제시하였다.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앞으로 생성되거나 이미 만들어진 디지털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문화유산을 경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문화유산을 더욱 잘 접근하고 향유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를 제시하였다.

      •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 개발

        김경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평가척도의 구체적인 활용목적은, 기존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안전평가를 통한 보육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준을, 그리고 신규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시설 설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평가척도 초안이 마련되었으며, 보육, 건강, 안전 관련 전문가(10명)의 자문에 의하여 217개의 문항을 가진 1차안이 개발되었다. 이어 전문가 집단(51명)의 의견수렴과 타당성 검증을 통해 1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2차안이 마련되었다. 2단계는 현장방문과 자기보고 방식의 두 가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2차안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3단계는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의 최종안이 개발되었으며, 안전 위험수준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는 환경과 관리적 측면, 물리적 및 인적 측면 등의 두 차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두 차원에서 구성되는 안전 보육환경은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안전관리와 건강관리의 4개영역으로 구분되며, 평가척도의 최종안은 4개영역과 1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총 16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물리적 환경(총 72문항)은 일반적 환경(23문항), 실외환경(9문항), 실내환경(37문항)과 차량환경(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및 보수를 강조하는 안전관리(총 41문항)는 시설종사자에 의한 실내?외 환경의 일일안전점검(19문항)과 정기안전점검(2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인적 환경(총 21문항)은 보육시설의 종사자와 영유아, 그리고 부모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실천을 강조하는 부분으로, 인적구성(3문항), 안전교육(6문항), 영유아 안전감독(9문항), 영유아 학대예방(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즉각적인 안전위험은 아니지만 소홀히 하였을 때 인적 구성원들의 건강을 해침으로써 간접적인 또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영역(총 32문항)은 건강보호(11문항), 위생(17문항), 영양(4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166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척도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현장방문으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7, 자기보고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4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안전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안전점검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인적 환경이나 안전관리 및 건강관리에 대해서도 보육시설의 안전수준을 포괄적으로 점검할 수 있었다. 셋째,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를 위험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였다. 직접적, 즉각적 위험수준인 A 등급(117문항)과 직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B 등급(34문항), 그리고 간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C 등급(15문항)으로 최종안을 분류하여 세 가지 방안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 안전 보육환경의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과 법적 뒷받침, 전국의 보육시설에 대한 안전 보육환경 평가실시, 그리고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안전과 건강을 옹호하기 위한 범국민적인 캠페인 전개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based on this model. In detail, the goal of using this assessment scale was to provide standar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in existing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standards to follow in building and operating new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proceeded in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se reviews an initial assessment scale with 217 items was designed following careful reviews by 10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t was then modified to have 166 items after validity assessments and the suggestions made by 51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n the second step, the degree to which this revised scale could be applied in the field was measured by using on-site inspections and self-evaluations of participating child care centers. In the third step, the final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was developed and how to use i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levels of risk factor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covered environmental, managerial, physical, and human aspects. The final assessment scale consisted of 166 items, selected from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ones regarding general environment (23 items), outdoor environment (9 items), indoor environment (37 items), and vehicle environment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regular mainten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covered daily safety inspections of the in-and-out-door environment (19 items) and regular safety inspections (22 items) by staff members. The items pertaining to human environment,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afety by staff members at child care centers,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vered staff members (3 items), safety education (6 items), safety supervision of young children (9 item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health management, which rather indirectly and potentially affected the safety of all people involved when neglected, covered health protection (32 items), sanitization (17 items), and nutrition (4 item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scale that consisted of 166 items was very high. Its reliability based on on-site inspections was =.97, while the reliability based on self-evaluations was =.94. This study, which assessed the level of safety, covered human environment, safety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which had never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Third, the applicability of this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grouping its item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child care centers: direct and immediate risk factor group (Group A with 117 items), 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B with 34 items), and in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C with 15 item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1) legislating for safety laws and improving the policies toward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2) assessing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all child care centers, and (3) conducting a national campaign to protect the safety and health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 정신지체학생 직업재활훈련에 대한 직업재활 유관기관 담당자의 요구

        김경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s for the core elements of te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a survey in 146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viders at relevant institution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irst priority in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was given to the area of vocational life, followed by basic work, career exploration, and vocational functions. Second, the first priority was given to counting objects, followed moving objects as directed and doing a simple errand in the area of basic work, to performing work as directed, followed by observing rules at workplace and doing work according to the routines in the area of vocational life, to doing divided work, followed by using packaging tools and devices and packing goods according to the use in the area of vocational functions, and to introducing oneself at job interviews, followed by making verbal expression of desired work specifically and selecting a desired job in the area of career exploration. Third, official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showed a greater demand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in the area of career exploration than those in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Fourth,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demand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by the variables of officials at institution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officials who were less than thirty years old and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had a greater demand for the area of career exploration than those in other age or education group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majors showed a greater demand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in those areas of vocational life and career exploration than social welfare majors. This study may be useful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or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ore elements of teaching among various area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business owners and personnel managers, who employ or have once employed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on a nationwide basis to determine if the elemen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require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iffer by region and occupation and to allow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ant to get a job later to receive regionally and occupationally custom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Seco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elemen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required at the employment possibility levels (competitive employment, protective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the objective of helping them receive differentia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pursuit of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same context as this study.

      • 이중보강 구조물의 측면 충돌 손상의 해석적 추정

        김경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건조와 설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 재산적 손실과 해양환경 오염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다. 요즘에는 배의 충돌과 같은 복잡한 구조의 대규모 분석에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선형 유한요소법이 보다 실용적인 방법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 효율성의 측면과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점으로 인해 간이해석법이 초기 설계 단계에서와 위험기반 평가에 특히 유익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실험에 의한 결과와 간이해석법의 비교는 충돌 문제에 대한 물리적인 과정을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이 선체 구조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손상 모드 별 흡수 에너지를 이론적, 실험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이로부터 얻어낸 간이해석법을 제안하였지만, 충돌 시 구조의 전체적인 거동에 대한 간이해석법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시된 간이해석식들 중에 정확도가 높은 식을 선별하고 이전에 수행되었던 실선의 1/10 크기의 이중선각 구조물의 충돌실험과 1/7 크기의 이중선각 구조물의 충돌실험에 적용하여 간이해석식의 정확도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또한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BAQUS/EXPLICIT을 이용하여 striker의 무게에 변화를 주면서 Bulbous bow와 이중 측면구조물과의 충돌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한 후,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충돌 유형에 따른 판과 girder의 변형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충돌상황에 간이해석식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가상환경 기반 HTC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능 분석

        김경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use of HTC-based applications increase, many academic institutes and industries build their own HTC (High Throughput Computing) based computing resource which helps the researchers to perform the simulations for their research and analyze the data. HTC environment makes on logical resource farm with several computing nodes and uses batch scheduler to submit job. Once, HTC cluster setup for an sepecial purpose (experiment), it's very hard to change resouces environment for other analysis. If there are no jobs are comming to cluster, all computing resources are being idle status. Therefor, the utilization of resource farm is low.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omputing resources, virtualization is one of the options. While general performance on virtual environment is not better than physical machine environment because of hypervisor overhead.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erformance of Job execution time for each resource type between physical based HTC cluster and Virtualized HTC cluster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