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 후기 倭館의 정보수집에 관한 연구 : 分類紀事大綱 25 風說之事를 중심으로

        김강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조선 후기의 草梁倭館은 표면적으로는 朝日 간의 외교ㆍ무역업무를 담당하고 있었으나, 이면에서는 조선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對馬藩으로 보고하고 있었다. 수집한 정보는 政變이나 民亂, 朝廷 권력의 추이, 가뭄으로 인한 작황 부진, 기상이변 등 종류를 가리지 않았으며, 조선의 실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항이면 무엇이든 수집하였다. 對馬藩으로 보고된 정보는 朝鮮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千秋使나 冬至使를 통하여 들어오는 중국대륙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倭館으로부터 보고받은 對馬藩은 사안의 중요도에 따라 일부 정보는 幕府까지 보고하였다. 壬辰倭亂 이후 明과의 冊封體制에서 벗어난 江戶幕府는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로부터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른바 「四つの口」를 통한 해외정보 수집에 열성적이었다. 특히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는 明ㆍ淸 교체기에 해당하는데, 중국대륙의 정세 변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幕府는 중국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幕府는 長崎로 입항하는 모든 외국 선박에게 외국 사정을 기록한 風說書를 제출하도록 했다. 福建이나 廣東에서 琉球를 경유하여 薩摩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薩摩口), 長崎로 들어오는 唐船(중국선)을 통한 중국관련 정보(長崎口)는 幕府가 얻을 수 있는 중요한 情報源이었다. 그러나 薩摩口와 長崎口를 통해서 얻는 중국관련 정보는 주로 남부 중국에서 들어오는 정보였으며, 정보 수집자도 민간 상선이라는 점에서 幕府의 관심에 전적으로 부응하지는 못했다. 倭館을 거쳐서 對馬藩이 보고하는 중국관련 정보(對馬口)는 조선의 고위관료들이 직접 北京으로 가서 황제와 대면하고, 北京에 체류하면서 얻은 북방 정보라는 점에서 薩摩口와 長崎口를 통하여 얻는 중국 정보와는 차이가 있었다. 對馬藩은 幕府가 관심을 갖는 북방 정보를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家役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막부쪽에 자신의 존재를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對馬藩을 통해서 들어오는 조선 정보 및 중국관련 정보, 長崎의 出島를 통해서 들어오는 서양관련 정보 및 唐人町을 통해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 琉球를 통해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는 근세 일본의 幕藩體制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倭館에서 對馬藩으로 보고한 문서를 분석하여 수집한 정보의 종류, 情報源, 보고방식 등을 정리했으며, 아울러서 조선왕조실록의 관련기록과 비교하면서 조선 정부의 대응책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對馬藩이 조선 및 중국관련 정보수집에 열중했던 이유를 밝혔다. 즉 對馬藩의 가장 큰 관심사는 조선에서 수입하는 公作米가 제대로 들어오는지 여부였으며, 對馬藩에서 조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궁극적인 목적은 안정적인 쌀 수입을 위해서였다. 對馬藩이 조선 조정의 동향에 관한 정보를 치밀하게 수집했던 이유는 조선과 외교ㆍ무역상의 현안문제를 협상할 때 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교섭하려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집권 세력의 정치적 성향이나 對日觀에 따라 對馬藩의 이익이 좌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파악하고 있어야 교섭에서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기 때문이다. 朝鮮後期の草梁倭館は表面的には朝日間の外交ㆍ貿易の仕業を.いでいたが、裏側では朝鮮に.する全ての情報を集めて.馬藩に報告していた。集められた情報は政.や民.、朝廷の.力の推移、干魃の影響による作況の不振、.象異.など種類を問わず朝鮮の.情を.めることなら何でも集められた。.馬藩に報告された情報は朝鮮に.する情報だけてなく千秋使とか冬至使(皇曆使)を通じて入手される中.大陸に.連した情報も含められていた。倭館からこのような情報を申越された.馬藩は事案の重要度によって、一部の情報は幕府に報告した。 壬辰倭.の以後、明との冊封.制から外れた江戶幕府は東アジアの.際秩序から孤立されるのを防ぐために、いわば.四つの口.を通じた海外情報の收集に熱誠的だった。特に17世紀の末から18世紀の初めは明ㆍ淸の交替期に.たるが、中.大陸の政勢.化に深い.心を持っていた江.幕府は中.に.する情報を集めるために心血を傾けた。そして江.幕府は長崎に入港するあらゆる外.船舶に.して外.の事情を書き入れた風說書を差し出すように命令した。福建とか廣東から琉球を.て薩摩に入る中..した情報(薩摩口)、長崎に入る唐船(中.船)を通じた中..連情報(長崎口)は幕府が得られる重要な情報源であった。しかし薩摩口と長崎口を通じて得られる中..連情報は主として南部中.から入る情報であって、情報收集者も民間の商船という点で江.幕府の.心に全く.じなかった。 倭館を.て.馬藩が報告する中..連情報(對馬口)は朝鮮の高位官僚たちが直接北京へ.て皇帝と.面して、北京で.留しながら得た北方情報と言う点で、薩摩口と長崎口とを.て得る中.情報とは違があった。 對馬は江.幕府が.心を持っている北方情報を迅速に提供することによって家役に忠.に勤ているということを見せて、幕府側に自身の存在を.く認識させることができた。.馬藩を通じて入ってくる朝鮮情報及び中..連情報、長崎の出島を通じて入って.る西洋.連情報及び唐人町を通じて入って.る中..連情報、琉球を通じて入る中..連情報は近世日本の幕藩體制を支えるのに大いに寄.した。

      • Analysis of stochastic bias in estimation of distribution genetic programming

        김강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분포 추정 유전 프로그래밍(Estimation of Distribution Genetic Programming, EDA-GP)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진화연산 알고리즘 중 하나로 분포 추정 알고리즘(Estimation of Distribution Algorithm, EDA) 의 모델 기반 학습 방법을 유전 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 GP) 이 다루는 관계형 정보 기반의 문제 영역에 도입하였다. 이 분야에서는 지난 15년간 많은 모델 기법들을 60여개의 논문에서 발표되었으며, 모델 기반의 접근 방법을 통해 다양한 해생성, 다수의 최적해 분포 학습, 사전 지식 사용 및 유전 프로그래밍 행동 분석의 용이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알고리즘이 다루는 문제 영역은 귀납적 논리 프로그래 밍(Inductive Logic Programming, ILP)이나 확률적 관계학습(Statistical Relational Learning, SRL)등 관계형 정보를 확률적으로 학습하는 방법 론들과 중첩된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분포 추정 유전 프로그래밍은 분포의 편향 성에 의해 확장성에 큰 제약을 받는다. 관계형 정보로부터 확률 모델을 구성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하나의 표준화된 모델의 표현방식이 사용되 지 않고 다양한 표현방식들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다른 분야로부터 유입 되어왔다. 이런 과정에서 많은 표현방식들은 진화연산과정 중 특히 모델 의 확률 분포 유지 면에서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 다. 일반적인 분포추정알고리즘에서는 보통 모델이 학습한 확률분포가 진화적 선택과정 없이 세대가 흘러가는 경우 분포가 변하지 않는 것이 보편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이다. 중립성(Neutrality)라고 부르는 이 성향 은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의 경우에는 많은 모델들에서 지켜지지 않고, 확률적 편향을 발생한다. 해결하려고하는 문제와는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이런 편향성은 진화적 선택과정이 제공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유용한 정 보들을 왜곡하고, 확장성을 제한하고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의 문제해 결도구로써의 능력에 심각한 제약이 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의 편향성에 대해서 보다 근본 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분포추정유전알고리즘이 극단적으로 간단한 문제 조차 해결을 못하는 경우를 실험적으로 보여, 편향성의 심각성과 영향력 을 증명한다. 이런 실험적 분석을 넘어서 이어지는 연구에서는 수학적으 로 확률초기트리(Probabilistic Prototype Tree, PPT) 및 확률적문맥자유 문법(Stochastic Context Free Grammar, SCFG)라는 분포추정유전프로 그래밍의 대표적인 두 표현방식을 분석한다. 확률초기트리 방식에서는 편향성이 드리프트효과(drift effect)로 인해 발생하고, 이 효과가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증폭되면서, 큰 모델의 문제 해결력을 제한한다. 이런 제 약은 현실적인 문제들에서는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확장성의 문제를 가져온다. 확률적문맥자유문법, 크게는 문법기반의 모델들에서는 이런 드리프트효과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재귀성(recursion)과 깊이제약(depth limit)으로 발생하는 편향을 분석한다. 두 가지 특성은 각각 컴퓨터 언어학과 유전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특성으로, 두 특성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편향효과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 편향성은 모델을 특정한 형 태의 분포로 수렴하게 하여 위의 편향성이 가져오는 문제들과 같이 관측 된 정보의 이용을 방해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편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정확한 추정을 제공하 고, 이를 이용해 편향성을 제거한다. 확률초기트리의 경우, 우도가중치 (Likelihood Weighting, LW)라는, 베이지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편향성의 증폭 효과를 제거한다. 문법기반 모델의 경우, 학습된 분포가 만들어내는 편향의 정도가 추정되었으므로, 이의 역치를 다시 적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이런 방법들은 수학적인 접근을 통해 편향성을 제거하고 중립성을 보존하는 것을 보장하지만,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위하여 널리 쓰이는 벤치마크 및 현실적인 문제들에서 검증한 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많은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 모델들의 확장성 을 향상시킬 것이다. 중립성 문제의 해결은 해결하려고하는 문제와는 독 립적이므로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모든 응용연구에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현방식을 가장 널리, 대표적으로 쓰이는 두 가 지를 선택하여 분석함으로써, 이 표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수의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들이 개선될 것이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중립 성의 해결로 인한 일반적인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 분야의 전반적 성능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파급 효과로써 중립성 문제의 해결을 넘어서 분포추정유전프로그래밍 의 모델 표현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분석 연구 활성화도 기대해본다. Estimation of Distribution Genetic Programming(EDA-GP) combines Estimation of Distribution Algorithms(EDA) and Genetic Programming(GP), obtaining benefits of model-based approach in applications dealing with relational information. It has been studied for the last 15 years and more than 20 different models are introduced in about 60 papers. This algorithm has advantages in generating more diverse individuals and learning distribution of multiple solutions. Also it can easily be incorporated with prior knowledge and helps understand GP behavior. Its problem domain is shared by Inductive Logic Programming, handling relational information statistically. EDA-GPs have, however, strong limitation of scalability caused by stochastic bias. Due to the difficulty of building stochastic model with relational information, many model representations are newly proposed or introduced from other areas. Their main problem is lack of analysis of retaining distribution in evolutionary search. If we exclude selection from general EDA process, remaining sampling and update steps are not supposed to change distribution in general, called neutrality, since no problem-related information is used. In EDA-GPs, it changes and generates stochastic bias. This problem-independent bias distorts useful information observed from selection or stops EDA-GPs search, seriously restricting scalability. In this thesis, we provide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bias in EDA-GPs. We prove that the bias has strong impact, unfunctioning EDA-GPs even in solving near-trivial problems. Then, the bias of two major representations, Probabilistic Prototype Tree(PPT) and Stochastic Context Free Grammar(SCFG), are mathematically analysed. In PPT, bias is in a form of amplified drift effect increasing exponentially, preventing systems scaling to complex models for real world problems. Bias of grammar based models is caused by recursion of SCFG and depth limitation of GP, each of which is studied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GP respectively, but their interaction has not been studied yet. This bias prefers specific form of distribution consistently, disturbing guide of search through selection. Beyond confirming the bias, we esitmate it accurately and introduce solutions eliminating it in the update step. For PPT, Likelihood Weighting conceptually similar to that of Bayesian networks is proposed to remove the amplification. In SCFG, we cancel its bias by modification of learnt distribution as estimated amount. These solutions mathematically guarante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bias, maintaining neutrality of systems. Additionally, we verify it empirically by with benchmark and practical problems. This thesis will improve scalability of many EDA-GPs, because systems are improved in an aspect irrelevant to problems. Furthermore, our analysis of model representation rather than a specific model is more generally applicable to EDA-GPs. Beyond direct results of scalability improvement, we expect analysis of neutrality to shed light on fundamental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EDA-GPs.

      • 모바일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무선 피부부착형 시스템 개발

        김강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데이터값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처리,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시장에 출시된 제품은 주로 시계, 팔찌 등의 정형화 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손목, 발목 등에는 착용하기 용이하지만 등, 가슴, 배 같이 면적이 넓은 곳에는 부착시키기 제한되고 그에 따라 해당 부위에는 정확한 생체신호를 얻기 제한된다는 기능상의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피부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많은 논문에서 이용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이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인체에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어 정밀한 생체신호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과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다만 인체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는 피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유연하며 늘어날 수 있어야 하며 물에 닿아도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는 특성을 선결 요건으로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컷-앤드-페이스트(Cut-and-Paste)”라는 공정 방법을 활용하여 무선 피부부착형 시스템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무선 피부부착형 시스템은 피부 어느 부위에도 부착이 가능하며 부착 후 생체신호를 무선 통신을 활용해 얻을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시스템 구성을 위한 부품들이 구불구불한 배선들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과 신체 변형에 데이터의 왜곡이 생기지 않고 방수 기능이 있기 때문에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외부에서 흐르는 물에도 이상 없이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컷-앤드-페이스트”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6축 관성측정시스템(Inertial Measurement Unit, IMU)와 심전도 측정 시스템(Electrocardiogram, ECG)을 제작하여 성능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성능 평가는 IMU는 원판 실험 후 사람의 팔 관절 각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하고 ECG는 ECG 파형을 얻고 혈압을 추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제시된 “컷-앤드-페이스트” 공정 방법을 이용하면IMU와 ECG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재활, 일상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paper, implementation of patch-type 6-axis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and electrocardiogram (ECG) monitoring for applications in wearable electronics is presented. The proposed device is implemented using circuit elements on a patch-like substrate to collect accurate data from human body. To achieve flexible and stretchabl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 serpentine interconnection is adopted between the circuit elements. Instead of micro fabrication process, the “Cut-and-Paste” method is used to fabricate the substrate, which uses thin metal sheet and cutter tool to fabricate complex serpentine interconnection. The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IMU and ECG using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for future applicability.

      • 상담 수퍼비전의 지각된 시행과 기대-시행 차이가 수퍼비전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강일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수퍼비전 시행과 수퍼비전 기대와 수퍼비전 시행간의 차이가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수퍼바이지 86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지각된 수퍼비전 시행과 수퍼비전 기대는 7가지 수퍼비전 영역별로 측정하였다. 이들 영역은 상담을 하는 데 필요한 기술에 해당하는 2개영역(개입기술, 과정기술)과 수퍼바이저에게 원하는 역할에 대한 3가지 영역(상담자 역할, 평가자 역할, 자문가 역할),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2가지 영역(관계적 특성 및 태도, 전문가적 역할)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가지 수퍼비전 영역 모두에서 수퍼비전 시행이 좋다고 지각할수록 수퍼비전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기대와 수퍼비전 시행 간의 차이가 클수록 즉, 수퍼비전 시행이 기대에 못 미칠수록 수퍼비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수퍼비전 기대 정도에 관계없이 수퍼비전 만족도는 지각된 수퍼비전 시행에 달려있음을 의미한다. 수퍼비전 영역별 시행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련성은 초심자 수퍼바이지와 경력자 수퍼바이지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모든 수퍼비전 영역의 수퍼비전 시행과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초심자 수퍼바이지가 경력자 수퍼바이지보다 더 높은 상관을 보여, 수퍼비전 시행이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경력자 수퍼바이지보다 초심자 수퍼바이지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심자 수퍼바이지는 기본적인 상담기술 중 개입기술 영역에서 수퍼비전 시행이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높은 관련성은 보였으나 경력자 수퍼바이지의 경우에서는 개입기술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ion performance and expectation-performance gap on supervision satisfaction. A total of 86 supervis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erceived supervision performance and supervision expectation were measured by 7 areas of supervision. These areas include 2 areas of counseling skill (intervention skill, process skill), 3 areas of supervisor role (counselor role, evaluator role, and adviser role), and 2 areas of supervision relation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professional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supervision performance was better perceived, the supervision satisfaction was higher. Second, if the gap between supervision expectation and supervision performance was bigger, or the supervision performance did not reach the expectation, the supervision satisfaction was lower. This results indicated that supervision satisfaction depends on the perceived supervision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level of supervision expect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performance by area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varied between the beginner supervisors and experienced supervis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performanc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in all areas, the beginner supervisor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than the experienced supervisors,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supervision performance on satisfaction was greater in the beginner supervisors than experienced supervisors. In addition, the beginner supervisors showed a higher relation between supervisi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area of intervention skill among the basic counselling skills, whereas, the experienced supervisors showed no rela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skill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애기장대에서 chitinase-like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AtCTL2 유전자가 암조건에서 생장시 일어나는 리그닌의 축적

        김강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새로운 그룹의 chitinase-like protein (CTL)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이 애기장대, 벼, 목화, 완두에서 발견되었다. 애기장대의 발달과 비생물적인 스트레스 등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AtCTL1 유전자와 아미노산 서열이 68% 일치하는 AtCTL2가 존재함을 BLAST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AtCTL1 전사체는 잎, 줄기 그리고 꽃에서 발현되나, AtCTL2 전사체는 줄기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β -D-glucuronidase(GUS) 유전자를 도입한 애기장대의 조직화학적 연구에서도 유사한 발현 양상이 나타났다. 특히, AtCTL2 프로모터는 xylem과 interfascicular fiber에서 GUS를 매우 특이하게 발현되도록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현 양상의 차이점은 그들의 돌연변이 표현형에서도 확인되었다. AtCTL1 유전자 돌연변이체인 hot2와는 다르게 AtCTL2 knock-out 돌연변이체는 야생종과 비슷한 정상적인 발달과정과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보였다. 반면에 hot2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하나 etiolated seedling의 하배축에서는 AtCTL2 knock-out 돌연변이체도 ectopic lignin deposition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새로운 plant chitinase group에 속하는 AtCTL1와 AtCTL2 유전자가 정상적인 식물 세포벽 형성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A novel group of genes, encoding chitinase-like protein (CTL), have been recently identified from various plants, including Arabidopsis, rice, cotton and pea. The previous reports have provided genetic evidence that AtCTL1 gene has an essential role in developments, cell wall biosynthesis and responses to abiotic stresses. The Arabidopsis genome contains AtCTL2 exhibiting 68% identity to AtCTL1 on amino acid level. Given the pivotal role of AtCTL1,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tCTL2 appears to be justified. AtCTL1 transcript is expressed in all organs, whereas AtCTL2 transcript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stems.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rofiles of AtCTL1 in more detail, we performed histochemical analysis of these genes using β -glucuronidase (GUS) assays in Arabidopsis. The expression of AtCTL1 promoter-driven GUS was highly detected in all tissues of inflorescence, whereas the expression of AtCTL2 promoter-driven was restricted in xylem and interfasicular regions. We also detected higher GUS activity in the lower part of the stem of AtCTL1::GUS and AtCTL2::GUS transformants. T-DNA insertion in AtCTL2 resulted in higher accumulation of lignin in etiolated seedling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AtCTL2 is possibly involved in the growth of the secondary walls of differentiating inflorescence.

      • 투명 LED GLASS 전광판의 구동을 위한 제어기 설계

        김강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기존의 획일적인 LED 전광판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산업제품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중에 투명 LED GLASS의 종류에는 투명 유리에 FTO등 투명전극을 적층하고 LED를 이식하여 투명한 전도체에 연결하는방법과 더불어 GLASS 대신 투명 필름을 이용하여 얇은 투명한 필름에 ITO등 투명전극을사이에 LED 모듈을 심어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로,전광판, 랩핑 광고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개념 투명한 LED디스플레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효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설계에 해결해야될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며 이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로 일반 LED DRIVER에 비하여 PCB폭이 좁은 GLASS DRIVER 특성상 공급전류의 한계를 극복하여야 한다. 이는 PCB ART-WORK상의 VIA의 위치를 수평으로 설계하여 전류 흐름의 차단을 방지하였다. 두 번째로 CABLE 설치가 열악한 관로의 특성상 케이블 부피및 사용하는 시그널 DATA 비트 최소화를 최소화 하여야 하고 DC전원 및 DATA 전송로가 원거리로 인한 전원 노이즈와 잡음 및 데이터와 클럭 딜레이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시그널 3LINE을 RS-422방식으로 처리 하였고 전원 DC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40V를 사용하여 구동부의 인입과 로직 전원에 스위칭 DC-DC CONVERTER를 사용하여 전원 노이즈를 해결하였다. 세 번째로 투명 LED GLASS의 투과율을 높이기위해 패턴성분으로 사용하는 FTO,ITO의 큰저항성분 발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인별,길이별 패턴의 면적을 차등 분배하여 일정한 저항을 유지하였다. 네 번째로 LED GLASS 특성상 대형 표출면으로 인한 영상의 REFRESH 속도개선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PWM 12BIT LED DRIVER를 사용하여 속도를 높였으며 별도의 어드레스 맵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LED 배열 순서에 쉽게 적용할수 있게 하였다. 다섯 번째로 투명 LED GLASS 특성상 R-C공진이 발생하여 ON/OFF시 인계된 출력 포트의 소손문제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출력단에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장착하여 높은 리플전압에 의한 출력 포트를 안정화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결과 45mm 폭의 PCB 상에 40V 20A를 구동하였으며 포트당 4096 DOT의 LED LAMP를 R,G,B 각각12BIT의 영상을 안전적이고 자연스럽게 표출 할수있게 되었다 .

      • 마가복음 4장 11-12절에 나오는 ἵνα 해석에 관한 연구

        김강일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의 한국 교회 상황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때로 날카롭고 거친 비판의 목소리로 들려오지만 그러한 비판적이고 심판적인 어조가 한국 교회가 그저 무너지고 사라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고만 단정해서 해석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그러한 비판의 목소리는 그래도 한국 교회를 향한 기대와 희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시 회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강도 높게 꾸짖는 역설적인 방식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금의 강도 높은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는 한국 교회가 다시 건강을 되찾기를 바라는 간절하고 절박한 외침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약에 한국 교회에 대한 애정과 기대가 없다면 그러한 충고와 비판의 소리는 사라질 것이며 체념과 무관심으로 방관할 것이다. 사랑의 반대는 비판과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과 방관인 것이다. 마가복음에 나타난 ?να의 의미도 그와 같은 흐름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가복음 4장 11-12절에서 예수께서 말씀하신 의도는 그 말씀을 거부하는 외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을 심판하기 위한 목적만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성경은 그러한 말씀을 거스르고 대적하는 악한 사람을 위해 율법이 존재하다고 선언한다(딤전 1:9-11). 예수께서 비유의 말씀을 통해서 던지신 심판의 위협은 우리를 그분의 구별된 제자로 부르시고 그분의 말씀에 응답하게 하는 단호한 행동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기에 담긴 의미는 책망을 듣고 회개하면 용서 받고 회복될 뿐만 아니라 그분의 제자로 구별되는 구원의 길을 열어 놓으시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구원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전혀 없기에 하나님은 그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를 위한 구원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내주셨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친히 십자가를 지시고 심판과 어둠의 수수께끼를 푸셨고 그분의 은혜에 믿음으로 응답하는 모두에게 구원의 문을 열어놓으셨다. 예수께서는 한편으로는 이사야 기자가 외친 심판의 메시지를 전하시면서 동시에 그 메시지의 엄중성을 듣고 다시 돌아오면 고쳐 줄 것을 말씀하신다. 곧 “심판과 회복”의 메시지가 양가적이고 역설적인 방식으로 균형을 이루며 그 청중에게 전달되고 있는 것이다. 예수의 비유에 있어서 그 비유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성은 하나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전할 뿐만 아니라 그의 부름 속에 절박한 회개를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회개”라는 인간의 응답이 요청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책임이 도외시되지 않고 중요한 역할로 부각됨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당신의 무한하신 사랑과 은혜로 우리가 죄 가운데서 더 이상 머물지 않고 주님께로 돌아올 것을 요청하시지만 그 부르심에 인간이 응답하지 않으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인간이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마가복음 전체에 걸쳐 마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요점은 외인이든 내인이든 누구든지 어떠한 이해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다. 마가가 전하고자 한 요점은 누구든지 완악한 마음이 아니라 말씀 앞에 상하고 깨어진 마음을 통해 구원의 비밀인 복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 변화의 과정은 그들이 기존에 들어오던 익숙한 방식에서 철저히 벗어날 것을 요청한다. 즉, 그들의 완강하고 자기중심적인 방식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겸손히 믿음으로 응답하며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할 때 내인과 외인의 구분을 넘어서 모두가 하나님의 말씀 앞에 겸손히 나아가는 자로, 구원에 동참하는 자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