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설문조사와 합리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김갑규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주택공급의 확대 정책에도 2005년도 기준으로 결혼 후 내 집을 마련하는데 평균 7.7년, 서울시는 8.4년이 소요되어 외환위기 이전인 1997년 소요 기간 8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주택 구입 소요 기간의 단축이 미미한 것은 분양가 자율화 조치가 이루어진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시 및 광역시 등 전국 아파트의 분양가격이 전반적으로 두 자리 수 이상의 급격한 상승률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지역은 위 해당연도 기간에 연평균 15.93%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전국적인 아파트 분양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재고 주택의 가격 상승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쳐 매매가격의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계속되었다. 분양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가격의 불안정은 공공택지 내 제한적인 분양원가 공개의 시행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지난 2006년 9월 14일 서울시 산하기관인 SH 공사가 공급하는 은평뉴타운 지구의 분양가격에 대하여 서울시가 집값 상승을 주도한다는 비난을 받자, 전격적으로 후분양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고 분양가격의 논란이 지속됨에 따라 2007년 4월 20일 주택법 개정을 통하여 2007년 9월 1일부터 민간택지에도 제한적인 분양원가 공개와 함께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특히, 정부는 2008년 본격적인 단계별 후분양제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서울시의 후분양제 시행에 따른 분양원가 공개에 대하여 주택공급 물량 감소에 의한 기존 주택의 가격 불안 우려와 함께 분양원가 공개 항목의 확대 내지 전면적인 공개에 대한 부담을 안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수행에 따라 민영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시행에 보다 합리적인 정책 방향의 결정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민간택지의 제한적인 분양원가 공개 시행에 즈음하여 이러한 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 앞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할 예정인 후분양제에 연계되는 분양원가 공개와 분양가 상한제 등 주택의 수급과 가격 결정을 위한 정부, 민간부문 공급자 및 분양수요자 등 각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각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거버넌스(governance)를 통한 분양원가 공개의 확대 내지 전면적인 분양원가 공개를 결정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설정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정책 방안이 올바르게 나아갈 수 있는 이정표를 제시하고자 선행연구자의 연구 논문과 학회 학술논문 등에 의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택공급 제도의 변천과 특징 그리고 그간 정부에서 추진하여온 부동산 투기억제 정책의 고찰, 분양원가 공개 논란의 원인이 된 아파트 분양가격에 대한 상승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고,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시민단체와 주택건설업체 간 주요 쟁점 사항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양원가 공개의 합리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분양원가 공개 제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소비자군, 건설업 종사자, 부동산 관련업 종사자로부터 과연, 분양원가 공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한 후 통계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기술분석인 빈도분석(Frequency)과 추론분석인 분산분석(ANOVA) 및 교차검증(χ2-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택공급 제도 중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이하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2007년 4월 20일 주택법 개정에 따라 2007년 9월 1일부터 시행될 민간택지의 분양원가 7개 항목 공개에 대하여 소비자군은 찬성하고 있는 반면에 부동산 관련업 종사자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 종사자는 주택건설업체의 입장을 동조하여 분양원가 공개를 반대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의외로 분양원가 공개에 찬성하는 쪽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원가 공개를 찬성하는 이유는 분양원가가 공개되면 분양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반대로 분양원가 공개를 반대하는 이유는 분양원가가 공개될 경우 아파트 물량이 감소하여 오히려 분양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었다. 서울시 은평뉴타운 지구의 후분양제에 의한 분양원가 60개 항목 공개에 대하여 자영업자, 공무원 등 소비자군은 물론, 건설업 종사자도 분양원가 60개 항목 공개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의 분양원가 공개 확대 시행에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양원가 공개와 함께 시행될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대해서도 소득이 적은 계층은 주택가격 안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소득 수준이 높은 계층은 부동산 투기가 재현될 것이라는 이유로 회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양원가 공개와 분양가 상한제 동시 시행이 이중 규제라고 생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 두 제도의 시행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두 가지 정책 수단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존 재고주택과 시세차익 발생에 따른 문제는 정부가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하여 분양원가 공개와 분양가 상한제의 정책 취지를 살림으로써 저렴한 고품질의 아파트가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주택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거버넌스를 통한 정책의 개발과 운영으로 한층 발전하는 정책 수행 과정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서울시라는 공간적 한계와 설문조사 시점에 따른 시간적 한계가 존재하며, 논문의 설문응답자 이외 비 참가자의 의견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분양원가 공개를 공공부문에만 제한하여 운영하거나 분양원가를 전혀 공개하지 않는 경우 등 정부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만, 2007년 9월 1일부터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원가 공개가 결정된 시점에서 앞으로 분양원가 공개의 확대 내지 전면적인 분양원가 공개에 따른 분양가격 하락 효과에 대한 검증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a policy of expanding housing supply, it was reported that as of 2005 it took 7.7 years on average or 8.4 years in case of Seoul City for couples to buy their own houses after they had got married. These data are almost similar to those of 1997 before the financial crisis. At that time it took 8 years. This slight reduction in the time necessary for married couples to purchase their houses results from the fact that sale price of new apartment units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Seoul City and metropolitan cities has sharply increased by over ten percents until 2006 since a housing policy of deregulation of sale price was enacted in 1999. Particularly, Seoul recorded an average 15.93% annual growth in sale price during the period. The sharp growth in sale price for new apartment units around the country had enormous effects on an increase in price of housing stock, which has stirred up the increase in sale price. The instable housing price caused by the increase in sale price for new apartment units brought about the implementation of limited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in public housing lots. In addition, when Seoul City was blamed for leading the growth in sale price of new apartment units in Eunpyeong New Town which were supplied by SH Corporation, a subsidiary of Seoul City, the post-construction sale system was implemented. As the controversial on the high sale price for new apartment units continued, the government amended Housing Act in April 20th, 2007, and decided to unveil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in private housing lots as well and to set a price limitation on new apartments since September 1st, 2007. Especially,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post-construction sale system is going to be introduced by steps in 2008, the government has to bear the anxiety of instable prices of existing housing caused by a decrease in housing supply and the burden of expanding items supposed to be disclosed or fully disclosing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more rational policy when the government and Seoul City implement such policies. when the disclosure of original unit cost of private apartment is carried out, it is necessary to collect public opinions from various classes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housing suppliers, and housing consumers in terms of the price limitation system and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unit cost of apartment connected to be the post-construction sale system which is supposed to be implemented grad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a housing policy of expanding the range of the disclosure or fully disclosing the original unit cost of apartment for sale, based 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governance. In order to present a milestone leading to a right direction of the policy of the disclosure,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housing supply system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of controling speculation in real estate, analyzed the background and reasons of the increase in sale price for new apartments which became the cause of the controversy on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for construction, examined main issues of civil groups and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and reviewed literature including previous researchers' theses and experts' opinions recorded in the academic journals. Moreover, targeting housing consumers group, those who engage in construction business, and those who engage in real estate busines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opinions about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for construction to provide rational operation methods of disclosing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for Frequency ANOVA and χ2-test.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disclosure was below the normal in general. In terms of the disclosure of 7 items out of private apartments' orignal costs, which will be carried out from September 1st, 2007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Housing Act in April 20th, 2007,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umer group approved of it, while those who engage in the real estate business opposed it. In case of those who engage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it was expected that they would be against the disclosure in line with the position of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Unlike the expectation,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m were for it. They approved of the disclosure, on one hand, because they perceiv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for construction would make sale prices for new apartments fall.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they were against it was based on their opinions that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would cause a decline in the amount of apartments, and that sale prices would increase as a result. With regard to the disclosure of 60 items out of the original costs in accordance with post-construction sale system in Eunpyeong New Town, Seoul, those who engage in construction business as well as the consumer group including self-employed persons and government officials approved of the disclosure. It means that they do not opposite the expanded cost disclosure policy of Seoul City.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ice ceiling system, the low-income class thought of it as an essential policy for stable housing price, while the high-income class viewed it skeptically because speculation in real estate would reappear.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did not think the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and the price ceiling system would be double regulation. It seems to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two systems at a time. However, the problems of possible differences in prices between the existing housing and new apartment units caused by the two policies should be solved by providing various policy means and maximizing the purpose of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for construction and the price ceiling system. In this way, the government must lea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olicies by developing and operating policies through governance so that stable housing policy can be shaped and inexpensive but high-quality apartment units can be supplied for consumer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conducted only in Seoul City an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addition, the result can vary depending on the opinions of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t can be also different by the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the cases where the disclosure is limited to the public sector or the original costs are not disclosed at all. At the moment it was determined that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built by the private sector would be disclosed from September 1st, 2007,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the expansion of the disclosure or the complete disclosure of the original costs of apartment unit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a fall in sale price.

      •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죽음에 대한인식 및 임종간호태도

        김갑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stress of nurse and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 of terminal care. Data was collected from 1 April 2013 to 30 April 2013,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nurses who have clinical experience more than six month in three public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 general hospital In J provide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tool for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measuring instrument toward to death perception of Cho(2011) and measuring instrument toward to terminal care attitude of Kim(2012).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for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occupational stress of participants shows 6.34(1.99) in averge out of 10. the death perception scale was 3.51(0.30) in averge out of 5. and terminal care attitude 2.94(0.22) in averge out of 4. 2)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character of participant show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whole working career, education concerning death. 3) The perception of death of participants show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religion (t=2.047, p=.042). 4) Terminal care attitud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780, p=.011), spouse(t=-2.278, p=.024), whole working career(F=3.102, p=.027), and monthly income(F=4.489, p=.012). 5) There were no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stress of participant and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r=.50, p<.001). This study shows that if the perception of death is high, it affect optimistic effect to terminal care attitude. Thus, for controlling nurses' positive perception toward to death and terminal care stress, methodical program concerning death education may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