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상관 연구

        권하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 양상을 밝히고,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상관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상관성 연구는 소설 쓰기 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 기초 연구로서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설 생산 능력과 수용능력을 전면에 내세워 본격적으로 그 특징을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이 연구에서는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에 관한 주요 논의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또한 조사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쓴 소설과 수용 검사지의 분석을 통해 소설 생산 능력과 수용 능력 양상을 파악하고, 그 상관성을 명료화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각 장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소설 생산 능력과 수용 능력의 상관성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드러냈다. 소설 생산 능력과 수용 능력의 개념을 확정을 확정하고 하위 구성 요소를 밝히기 위해 쓰기 능력과 읽기 능력, 문학 능력에 대한 주요 논의들을 정리하였으며,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하위 요소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이 연구의 수행과 관련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북 지역의 중학교 2학년 학생 247명이 참여하였다는 점과 소설 생산 능력 검사지, 소설 수용 능력 검사지, 소설 수용 태도 검사지 그리고 평가 기준과 관련한 검사도구의 제작과 확정 과정을 밝혔다. 이어서 예비 검사에서 본검사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진행 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평가자 간 신뢰도 검증과 관련한 평가 절차와 분석도구를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전개하였다.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양상과 상관, 소설 수용 태도와 소설 생산 능력 그리고 소설 수용 능력의 상관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성별 소설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 소설 수용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논의에 포함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 간 상관계수는 .522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결과이다. 그리고 그 하위 요소별 상관을 살펴보면, 소설 수용 능력의 '추론적 사고 능력'과 소설 생산 능력의 '구성 능력'이 .473으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소설 수용 능력 중에서는 '추론적 사고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 '창의적 사고 능력'이 소설 생산 능력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소설 생산 능력 중에서는 '내용 생성 능력', '표현능력', '구성능력' 순으로 소설 수용 능력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소설 수용 능력 중 '사실적 이해 능력'과 '어휘 이해 능력'은 소설 생산 능력과의 상관성이 비교적 낮게 나왔다. 그리고 소설 생산 능력 중 어법능력은 소설 수용 능력과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소설 수용 태도와 소설 수용 능력의 상관계수는 .276으로 사회과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는 .4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할 뿐, 수용 태도와 수용 능력에는 약하지만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용 태도의 하위 요인들 중 '정서적 선호'가 소설 수용 능력의 '창의적 사고 능력', '추론적 사고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소설 수용 태도는 소설 수용 능력보다 소설 생산 능력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소설 수용 태도와 소설 생산 능력의 상관 계수는 .314로 .4에 가까운 상관성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소는 수용 태도의 '중요성 인식'과 소설 생산 능력의 '표현 능력'이었다 셋째, 소설 생산 능력, 소설 수용 능력, 소설수용태도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소설 생산 능력의 경우 '내용 생성능력'과 '표현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였고, 소설 수용 능력에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설 수용 태도의 경우 '정서적 선호'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소설 생산 능력과 소설 수용 능력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소설 생산과 수용의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쓰기 교육의 방법과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가 의의를 가진다.

      • 돌발성 암성 통증에 대한 마약성 진통제의 비용-효과 분석

        권하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암성 통증은 암 환자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특히 예측과 통제가 어려운 돌발성 암성 통증은 암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돌발성 암성 통증을 위한 약물 요법에서는 약물의 효력 뿐 아니라 빠른 효과, 투약의 편의성 등이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최근에는 침습적이지 않으면서도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비강분무제와 구강정이 대표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펜타닐 비강분무제와 펜타닐 구강정을 대상으로 결정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과 변수는 투약 성공률과 치료 성공률로 각각 5 점 척도, 11 점 척도의 환자 설문을 통하여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을 만족시킨 경우 약물 요법에 성공한 것으로 보았다. 비용으로는 직접 보건의료비용으로 약물치료비와 기타 의료비를 고려하였다. 이후 산출한 비용-효과비를 이용하여 펜타닐 비강분무제의 적정 가격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비용-효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돌발성 암성 통증에 대한 약물 요법의 성공률은 펜타닐 비강분무제와 펜타닐 구강정 각각 0.950과 0.699로 나타났다. 또한 펜타닐 구강정을 사용한 환자는 약물 요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 비교적 많은 직접의료비를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점증적 비용-효과비는 음의 값으로 펜타닐 비강분무제가 우월한 대안으로 나타났다. 평균 비용-효과비의 경우 4 주 동안 한 명의 돌발성 암성 통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비용은 각각 펜타닐 비강분무제 773,991 원, 펜타닐 구강정 1,053,533 원으로 전자가 보다 비용-효과적이다. 비용-효용 분석 결과에 따른 평균 비용-효과비는 펜타닐 비강분무제 15,870,453 원/QALY, 펜타닐 구강정 18,569,987 원/QALY으로 역시 펜타닐 비강분무제가 우월한 대안이었다. 한편 평균 비용-효과비를 통해 추정한 펜타닐 비강분무제의 약가는 펜타닐 구강정의 현재 약가 대비 약 1.36 배이다. 결론: 펜타닐 비강분무제는 펜타닐 구강정보다 투약이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통증을 억제한다. 반면 펜타닐 구강정을 사용한 환자는 상대적으로 약물 요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적인 의료비를 부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펜타닐 비강분무제는 펜타닐 구강정보다 비용-효과적인 대안이다.

      • (The) association between low 50g glucose challenge test value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권하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목적: 임신성 당뇨 선별을 위해 시행한 50g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저혈당인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에서 2016년 12월까지 임신 24-28주에 50g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연구에 참여한 산모 중 혈장 혈당치가 10 백분위수 미만인 85 mg/dL 이하인 산모를 저혈당 산모군, 86 mg/dL 이상 130 mg/dL 미만인 산모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다태임신, 임신 전 당뇨를 진단받은 경우, 임신 24주 이전 또는 28주 이후에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중 경구 당부하 검사상 저혈당이 나온 산모는 9.2% (579/6257) 였으며 그 중 연구에 적합한 저혈당군 519명, 대조군 3356명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저혈당 군은 대조군에 비해 저체중출생아의 빈도가 높았고(10.8% vs 7.9%, p=0.02)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적었다 (32.6% vs 42.8%, p<0.01). 조기 분만, 조기양막파수, 양수과소증, 태반조기박리, 낮은 아프가 점수,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빈도와 자궁내 태아사망빈도는 두 군사이에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임신 중 혈당은 태아의 발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임신 중 저혈당이 지속되는 경우 저체중아를 출생하는 발생하는 빈도가 더 높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pregnancy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low 50 g glucose challenge test (GCT) values to those of pregnant women with normal valu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pregnant women undergo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screening tests at 24-28 weeks gestational age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Women with multifetal pregnancies, type I or II diabetes before pregnancy, GCT performed prior to 24 or after 28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women undergoing multiple GCTs in the same pregnancy were excluded. Pregnancy outcomes in women with low GCT values [<tenth percentile (≤85 mg/d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omen with normal GCT values (86-130 mg/dL). Results: Of 3875 screened subjects, 519 (13.4%) women were included in the low GCT group and 3356 (86.6%) were included in the normal GCT group. Women in the low GCT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infants than did women in the normal GCT group (10.8% vs. 7.9%, p=0.02). Cesarean section and postpartum hemorrhage (PPH) were less frequent in the low GCT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32.6% vs. 42.8%, p<0.01 and 0.2% vs. 1.2%, p=0.03, respectively). Women with low GCT values had a 1.38-fold increased independent risk of bearing SGA infants (95% CI: 1.01-1.88, p=0.04). Conclusion: Women with low 50 g GCT values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GA infants and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cesarean delivery and PPH. Low GCT value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S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