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HP의 부분부하에 대한 효율 평가 연구

        권오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냉난방기용 공조기기 가운데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기기는 단연 EHP(Electric Heat Pump)라고 할 수 있다. EHP의 성장세는 시공의 용이성, 고효율 달성에 의한 경제성, 쉽고 편리한 제어성 등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아직 EHP의 부분부하 효율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소비자들 또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단순한 정격 조건의 효율에 의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EHP의 사용 부하율 분석과 부분부하 성능에 따른 경제성 및 탄소배출량을 시뮬레이션 하여 최적의 EHP 성능 지표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EHP에 대한 정의와 특징 등을 기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대상 건물의 EHP 사용 부하율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EHP의 정격운전 성능과 부분부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EHP의 부분부하 효율에 따른 년간 운전비 및 탄소 배출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제 6장에서는 각 장의 이론과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HP를 주 냉난방 기기로 사용하는 대상 건물을 선정, 이를 통해 EHP의 사용부하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분부하율에 따른 경제성과 탄소배출량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였다. 1) EHP의 운전 부하율은 최대 냉방 부하 기간인 7, 8월에 평균 80%대를 웃도는 수준에 불과하며, 겨울철 최대 난방 부하 기간인 12, 1월에도 80% 정도의 수준을 나타낸다. 2) 정격운전 효율과 부분부하 효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둘 사이의 관계가 비례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3) 냉난방 용량이 동일한 EHP라고 할지라도 부분부하 효율에 따라 전기요금과 탄소배출량이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 아파트 단위주거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에 관한 실무자 의식조사

        권오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2년 리우선언을 계기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1996년 '제2차 세계인간정주회의(UN Habitate Ⅱ Confernece)'에서 Habitate Agenda Ⅱ가 채택되면서 인간 정주지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건축계에서는 1970년대 에너지 쇼크 이후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저환경부하, 에너지 절약형 건축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 하고 있으며, 삶의 질 문제와 병행되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환경친화적인 디자인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환경친화성과 건강성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관심이 증가하면서 '주택의 환경친화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친화적 주택 개발에 대한 시도가 증가 일로에 있다. 이러한 시도로써, 90년대 이후 민간공급 업체에 의해 시공되어진 아파트에 환경친화적인 계획요소들이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주택의 환경친화성'은 주로 단지 개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가 단지 내 조경과 일부 실내 마감재로 한정되는 등 주로 판매를 목적으로 가시적인 효과가 큰 부분과 외부 공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거주자가 실질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생활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외부환경 오염이 점차적으로 심화되고 있고, 재택근무의 확산 등과 같이 거주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함에 따라서 거주자의 실내 거주시간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의식수준 향상으로 인해 주택 실내의 쾌적성과 건강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친화성을 고려하는데 있어서 주택 실내는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 부분이 되었다. 이러한 환경친화성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중요하지만 공급자인 실무자들이 어떠한 주택을 공급해 주는가에 따라서 소비자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인식과 판단은 우리 사회의 환경친화적 주택건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들이 현재 어떻게 생각되고 경험되며 또 앞으로 어떻게 계획될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환경친화관련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관련 문헌의 분석을 통해 환경친화적 주택의 계획요소들 중 아파트 단위주거에 적용 가능한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들을 체계화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실무자 의식조사를 통해 단위주거에 적용 가능한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의 실내 적용현황과 의식수준을 파악하여 폭넓은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무자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설문도구 작성을 위한 예비조사와 설문조사인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예비조사로는 1995년 이후 발표된 연구보고서, 연구논문 그리고 환경친화적 건축의 디자인지침을 제공하고 있는 단행본을 대상으로 하여, 문헌들에서 제시하는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들을 모두 도출한 후 공간적 범위를 주택 내부 및 주택내부와 연계되는 주동을 포함하는 단위주거로 한정하여 이에 적용 가능한 항목만을 재 추출하였다. 도출된 46개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를 환경친화적 주택의 궁극적인 목표인 '환경부하의 저감'과 '인간의 건강성 증진'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크게는 4개 분야,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20개로 세부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즉, '환경부하 저감'에 대해서는 '에너지'와 '자원'분야로 분류하였고, '인간의 건강성 증진'에 대해서는 '시설 및 시스템'과 '공간계획'으로 분류하여 체계화 하였다. 본조사는 예비조사에서 추출된 항목들을 기초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전달 후 회수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환경친화 아파트 계획시 주요 고려사항을 파악하였고 둘째,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의 실내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셋째, 단위주거에 적용 가능한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우선 적용 가능항목, 현재 적용 불가능 항목을 살펴봄으로써 실무자들의 의식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폭넓은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친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생각 에서 그치는 항목의 관심도가 행동으로 옮겨져 실천되어야 하는 항목의 관심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환경친화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의지가 부족하고 '경제적 부담'이 실천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환경친화형 아파트 단지 계획시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항목은 외부공간의 조경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항목으로 시각적, 외현적 쾌적성 차원에서 '환경친화성'을 주로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응답자의 50% 이상이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적용경험이 있었으며, 자원, 에너지, 시설 및 시스템, 공간계획 분야에 대한 적용경험이 고르게 나타났고, 기기의 도입 등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한 적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적용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26%가 적용경험 항목에 표시하였는데, 이는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적용경험 유무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경험이 있는 집단과 적용경험이 없는 두 집단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50개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계획시부터 고려가 되어야 하는 항목에서 적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종사분야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건축, 인테리어, 연구분야로 종사분야를 분류하여 F검정을 실시한 결과 50개 항목 중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축분야 종사자들의 전체평균값은 상대적으로 낮았던 반면, 인테리어와 연구 분야 종사자의 중요도가 더욱 높았다. 연구분야 종사자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연구개발이 필요한 항목이었으며, 그 외 공간계획, 주택 실내에 시설 및 시스템의 도입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 는 인테리어 분야 종사자의 응답에서 가장 높아 종사분야 특성에 따라 중요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이 우선 적용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은 현재 적용 불가능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의 적용시 문제점은 '비용', '소비자의 인식부족', '관련자재 개발 미비 및 부재'로 나타났다. 폭넓은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소비자와 공급자의 인식개선', '비용문제 해결' 그리고 '정책적 뒷받침' 등이 나타났다. 공간 계획시 고려사항은 연구자가 설문지에 제시한 항목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는 아직까지는 설문에 제시된 항목만이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로서 제안될 수 있는 항목이라는 한계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또한 실무자들에게 제공되는 관련 정보가 부족함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환경친화 관련 정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것은 관련 정보의 제공으로, 신뢰성 있는 정보가 실무자들의 환경친화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여 실천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1995년 이후 환경친화적 주택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삶의 질 문제와 연관하여 내부공간의 환경친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 인테리어 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진들은 주택의 환경친화성을 결정짓는데 외부공간의 환경친화성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환경친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나 각각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항목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환경친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은 실정이나, 일부 제시된 계획요소를 환경친화적인 계획요소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환경친화에 대한 명확한 개념 및 그 범위에 대한 이해가 실무자들에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사결과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의 적용을 위한 가장 큰 문제점이 '비용'으로 나타난 것과는 달리 환경친화적 주택을 위해 더 시급한 것은 환경친화적 주택의 명확한 개념 설정 및 관련 자재 개발 등과 같은 신뢰성 있는 정보의 부족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환경친화적 주택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측면과의 괴리를 보여주고 있다. 환경친화적 환경의 창조에 직접적으로 공헌하는 실무자들의 역할을 감안할 때 환경친화적 주택의 폭넓은 적용을 위해 우선적으로 실무자들이 환경친화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경친화에 대한 총체적인 개념을 확실히 심어주어야 한다. 특히 관련학과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환경친화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모형 개발이 되어야 하고, 관련 자재 연구 및 기술 개발을 함으로써 제반 계획요소들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즉, 실무자들이 책임감 있는 실무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환경친화적 건축을 위한 교육모형 개발 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의 제공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하여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정책적 차원에서의 장기적인 대책 수립을 함으로써 법제적 뒷받침이 되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실무자들이 전문지식과 실천 경험, 책임의식이 낮은 상황을 보다 개선할 수 있고, 환경친화 계획요소의 폭넓은 적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With the Rio Declaration of 1992 as the chance, interest in environment took on the rising trend and as the at the Habitate Agenda Ⅱ was taken at the UN Habitate Ⅱ Conference in 1996 active discussion on people's permanent residence started to take place. In order to respond to such a chance of environment, the architecture society is accelerating researches on less environmental load and energy saving architecture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since the Energy Shock of 1970's and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d along with the quality of life, consciousness on environment-friendly design is rising. Like mentioned above, as the interest in environment and health increase in society general, consumers' demand on the 'environment-friendly house' increased and therefore, attempts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houses to correspond to such a demand is on the increasing trend. As such an attempt,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eatures started to be applied to apartments that are constructed by private suppliers since 1990's, but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house' is being attained in the concept of apartment complex, and it is also typically concentrated on the more visible parts and large outdoor areas mainly for the purpose of selling the apartment houses so that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only to the landscape within the complex an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at is to say, consideration for the interior space where the residents actually spend most of their time is lacking. However, following the gradually worsening external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change of residents' lifestyle, the time that residents spend indoors is increasing. Also, since the improved awareness of consumers, the demand for the housing interior's pleasantness and healthiness, the interior of house has become a necessary part in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lthough such a consciousness on environmental friendliness is important to both consumer and supplier, the awareness of consumers can change depending on what houses the suppliers supply. Also, because the awareness and judgment of practitioner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houses in our society,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 understanding on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are considered and experienced and how they will be planned in the future. Under the above background, this study has systematized the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that can be applied to apartment units along the planning features for environment-friendly house through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 since 1995, when the environment-friendly related researches started to be carried out on a full scale. Then, regarding this, awareness survey targeted on practitioners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improvement plan for broader application by understanding the interior application status of the applicable planning features for environmental-friendly apartment and their awareness through the awareness survey on practitioner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research purpose, largely, preliminary survey for preparing the questionnaire tool and the questionnaire as the main survey, were carried out. First of all, as the preliminary survey, all features for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 reports, research papers and books that provide for the design guideline for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that were published since 1995, and limited the special scope to apartment unit that includes the interior of house and main buildings that link to the interior of house, and re-extracted items of which the application is limited to this condition only. The 46 extracted features for environment-friendly plan were divided into 4 large areas in the directions that fit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load' and 'improvement of human health,' which are the ultimate goal of environment-friendly house and they were then more elaborately subdivided into a list of 20. To elaborate on this,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load' was divided into 'energy' and 'resource,' and the 'improvement of human health' was divided into 'facilities and system' and 'space planning' for systematization. The main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items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d distribution and collection was used as the method of survey. In the main survey, by understanding first the answerer's interest in environment and the main concerns when planning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second the interior application status of the planning features for environmental-friendliness and thir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that can be applied to apartment unit and items that can be applied first and those that cannot be applied currently, the awareness of practitioners were found out. Lastly, problems in application and plan for improvement for broader application were identified. To summarize this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interest on environmental friendliness showed to be higher than average but the interest on items that stop at idea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items that need to be practiced in action. This shows that there is lack of will to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iness even if it incurs economic burden and 'economic burden' is acting as an obstacle in practice. The item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when planning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complex were those related to the landscape of exterior and energy saving, which shows that 'environmental friendliness' is mainly understood in the sense of visual and apparent pleasantness. Second, more than 50% of the answerers had experience in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eatures, and their experience showed even distribution among resource, energy, facilities and system, and space planning, and they had especially high frequency of application in applicable items such as introduction of devices. Especially, 26% of those who did not have the experience of application marked the columns for experiencing application, which means that there is lack of precise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Third, each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degree of importance showed to be above average on the overall.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egree of importance between the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group, t-test was conducted on both groups and 3 out of 50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experienced answerers' answer showed higher degree of importance in items that need to be considered elaborately from the planning stage.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egree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areas of practice, the areas were divided into architecture, interior and research and then, F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As the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8 items out of 50. While the overall average of practitioners in architecture was comparatively low, interior and research practitioners' degree of importance was higher. The item in which the research practitioner's importance was the highest was the item that required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terior practitioners showed the highest the degree of importance for space planning, facilities within house unit and introduction of system other than research and development, show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reas of practice. Also, items that showed higher importance also showed to be the items of preferential application and those with low importance showed to be the ones that cannot be applied currently. Four, problems in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showed to be 'cost,' 'lack of consumer awareness' and 'lack of development on related materials and their unavailability.' For improvements for broader application, 'consumer and supplier awareness improvement,' 'resolving cost problem' and 'policy support' were shown. Items to be consider during space planning were mainly those suggested in the questionnaire by me, which suggests the limitation that so far, only the items that were entered in the questionnaire were those that can be suggested as the features for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This also shows that the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to practitioners is insufficient,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study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of related information is what needs to be resolved fundamentally for this, and I believe that reliable information will improve practitioners' awareness on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to relate this to practice. I suggest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Although environmental-friendly house related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interior space related to quality of life problems, the practitioners who work in the interior field think that external space's environmental friendliness takes up more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a house. Also, I could learn that practitioners lack in clear concept and scope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overall interest and importance of each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 showed to be high, while practitioners did not understand some planning features as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This shows that what needs to be resolved more urgently for environmental-friendly house is lack of provision of reliable information such as setting of clear definition on environmental-friendly house and development of related materials, unlike the fact that 'cost' was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that has to be resolved for applying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actor. This also shows the deviation from reality where environment-friendly house related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Considering the practitioners' role which is to directly contribute to creating environmental-friendly environment, first, a general concept on environmental friendliness has to be impressed on them clearly by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have environmental-friendly mind. Especially, education model that allows students of related departments to have environmental-friendly mind, and reliable information on various planning features by conducting researches and technical development on related materials need to be filed systematically and distributed. That is to say, in addition to developing education model for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for the practitioners to rebirth as ones that are liable, they should be also allowed to make a wide selection on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by developing new approaches such as provision of wide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Also, for active utilization of this, long-term measures on policy level have to be established for legislative support. Through this, the current practitio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situation of insufficient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ractice and low awareness on responsibility, and broa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features will be made possible.

      • 성경적 가정 세우기 : 대구 정동교회 가정을 위한 6주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권오진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가정의 문제를 분석한 후, 하나님이 바라시는 성경적인 가정의 모습이 어떠한지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나아가 가정 사역에 대한 교회사적 근거와 가정의 사회학적 이해, 유교문화에서 이해하는 가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성경적인 가정을 세우기 위한 변화이론으로는 가족체계이론, 가족생활주기이론과 하나님은 인간의 모든 문제를 성경을 통해서 말씀하고 계시기에 말씀과 사랑으로 상담할 것을 주장한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이론을 적용하여 오늘날 가정도 성경적 가정으로 세워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을 근거로 필자는 성경적 가정을 세우기 위하여 어떤 프로그램이 필요한지를 가정사역위원회에서 토론하게 되었고, 토론 결과 교인들의 가정에 구체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기로 하고, 결혼만족도 검사(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를 실시하였다. 결혼만족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사역위원회와 필자는 ‘성경적 가정 세우기 6주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6주간의 프로그램 실행이후 참여한 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만족도, 자녀 양육태도, 부부간의 의사소통,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해서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가정사역위원회와 당회 역시 만족하다는 평가였다. 필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성도들이 기대하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보았고, 구체적인 사랑을 표현함으로 가정이 아름답게 세워지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성경적 가정을 세우는 일은 교회가 해야 할 중요한 사역이라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필자는 앞으로도 현대 가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문제(이혼, 폭력, 외도, 자살, 성(性), 고부간의 갈등 등)들을 교회차원에서 예방 교육을 하려고 한다. 나아가 성도들이 개인적인 문제를 지 교회 목회자에게 노출하기 힘들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대구지역의 노회와 교회가 연합하여 가정상담센터를 개설하는 사역에도 힘쓰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이 무너져 가는 가정을 성경적 가정으로 세우는데 유용한 도구가 되고, 한국교회의 부흥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building a biblical family that God desires. It was made after analyzing problems currently occurring in the family. It also deals with the basis of family ministry from the view of church history,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characteristics of family in the confucian culture. This dissertation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biblical family based on three theories; family system theory, family life cycle theory, and Adams' Nouthetic counseling, which insists that counseling should be based solely upon the Bible in which God has revealed all the sources of human's problems and solutions. Based on these theories, the researcher discussed what program should be needed to build a biblical family with the Family Ministry Committee and searched for the basic and specific needs to help church members' families. After that,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s, a 6-week program for building a biblical family was planned and implemented. After the program, survey results were very satisfactory in terms of martial satisfaction, child-rearing,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earcher has observed that participants were eager to change with high expectations and build their family beautifully by expressing love with one another. It has been clear that building a biblical family is one of the important ministries of the church. The researcher is planning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for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problems such as divorce, domestic violence, adultery, suicide, sexual issues,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so 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wants to succeed in opening a family counseling center in the city of Daegu with cooperation from local churches and associations, because church members tend to feel uncomfortable exposing personal issues to their own pastor. Lastly, it would be sincerely appreciated if this dissertation could be a helpful tool to build a biblical family and boost the revival of Korean churches.

      • 광원 변화에 따른 복합레진 중합

        권오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광중합 수축은 임상에서 변연 누출 등으로 인한 술 후 통증 및 이차 우식증 유발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을 최소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접착 레진, 충전 방법 그리고 광중합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 저자는 소구치를 대상으로 협설로 2㎜, 근원심으로 4 ㎜, 깊이 2 ㎜ 크기의 와동을 교합면에 형성하고, 복합레진을 충전한 다음, 초기 중합 1초 이후 30초, 60초, 90초, 120초간 대기 후 20초간 최종 중합하고, 전 과정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인접 법랑질의 스트레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스트레인의 변화와 환산된 스트레스 값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트레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기 시간이 30초에서 120초로 증가할수록 스트레인의 변화폭은 감소하였다. 2. 회귀 분석 결과, Ⅰ군의 기울기는 -7.82, Ⅱ군은 -3.81, Ⅲ군은 -3.57 그리고 Ⅳ군은 -2.57로 나타났으며, Ⅰ군에서 Ⅳ군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p<0.05). 3. 법랑질 표면에 발생한 스트레스는 Ⅰ군에서 25.0 ± 18.01 ㎫, Ⅱ군에서 13.27 ± 9.51 ㎫, Ⅲ군에서 12.78 ± 7.65 ㎫ 그리고 Ⅳ군에서 10.93 ± 7.08 ㎫로 나타났으며, Ⅰ군이 다른 군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기 광중합 1초 후 1분 이상의 대기 시간을 가지게 되면, 중합 수축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광중합 초기의 변화를 평가한 것으로 추후 좀 더 장기간의 평가와 다양한 물리적 기계적 성질에 대한 영향 평가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사료된다. Polymerization shrinkage of light cured composite resin leads a marginal leakage of cavity and it can caused a post operative sensitivity and secondary caries. To reduce the unexpected side effects,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have to be minimized and can be achieved by the improvement of bonding resin, cavity filling methods and light curing. Author prepared the cavity on the occlusal surface of experimental teeth. The dimension of cavity were 2 ㎜ X 4 ㎜, and depth was 2 ㎜. After composite resin filling, initial curing was given on the compsite resin for 1 sec. The interval time was give for 30 sec, 60 sec, 90 sec, and 120 sec to each group. After interval time, final curing was given for 20 sec. During all procedure, the strain was recorded on the adjacent enamel surface. The strain values calculated into stress and the change of strain and stres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change of strain of each group, as the interval time increased from 30 sec to 120 sec, the change of strain was decreased. 2.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slope of Group Ⅰ was -7.82, Group Ⅱ was -3.81, Group Ⅲ was -3.57, and Group Ⅳ was -2.57. And from Group Ⅰ to Group Ⅳ, the slope value was decreased(p<0.05). 3. The stress of enamel surface of Group Ⅰ was 25.0 ± 18.01 ㎫, Group Ⅱ was 13.27 ± 9.51 ㎫, Group Ⅲ was 12.78 ± 7.65 ㎫ and Group Ⅳ was 10.93 ± 7.08 ㎫, and Group Ⅰ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p<0.05). From the results, after initial light curing for 1 sec, if the interval time was given at least 60 sec,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can be reduced. It can improve the side effects of filling of composite resin, like microleakage and sensitivity. The study was to evaluated the change of initial period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and longitudinal study and physical and mechanical study was needed in the future.

      • 期始給 年金 終價의 平均과 分散에 관한 硏究

        權五辰 翰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raham Zaks studied that the mean and variance of an accumulated value of some annuities-certain over a period of years in which the rate of interest was a independent random variable. We obtain that the mean and variance of accumulated value for an annuity-due in the case where the increments of the rate of interest are stationary and indepedent.

      • Region Adaptive Image Coding

        권오진 The University of Maryland 1994 해외박사

        RANK : 247631

        2개의 영역 적응성 영상 압축 기법을 서로 다른 기준에 입각하여 제안한다. 첫번째 기법은 "영역 적응성 대역 분할 영상 압축" 이라 부르며 "압축율과 왜곡율의 상관 관계론" (rate-distortion theory)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이 기법은 영상을 압축하였을 때의 비트 수를 고정시켰을 때 원영상과 압축된 영상간의 평균 제곱 오차를 최소화하는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두번째 기법은 "영상 분할에 근거한 영상 압축" 이라 부르는데 인간의 시신경계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기법에서는 원영상을 여러 성분으로 분할하고 이들로부터 원영상과 닮은 영상을 합성하여 재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영역 적응성 대역 분할 영상 압축"에서는, 입력되는 영상을 여러개의 주파수 대역성분으로 분할하고 이들이 각 대역에서 보이는 통계학적 특성이 연구된다. 영상이 주파수 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의 양은 낮은 주파수 대역 방향으로, 더 중요하게는 영상의 윤곽선 방향으로, 증가하는 사실이 관찰된다. 또한, 주파수 대역별 영상 에너지의 분포는 윤곽선의 방향에 매우 밀접한 방향성을 지니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에너지 분포에 입각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임의 모양의 영상 영역을 추출하고, 영역별 영상의 주파수 대역별 데이타를 범용 가우스 분포로 모델링한 "엔트로피 제한적 양자기" (entropy-constrained quantizer)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모든 가능한 영상의 주파수 대역 분할방식중, 최적의 분할 방식의 결정 방법 또한 제시된다. 실험적 결과로, 화소당 1 비트로 압축하였을 때 시각적 왜곡이 무시할 수 있는 정도였으며 화소당 0.25 비트까지 압축하여도 원 영상과 거의 유사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역 적응성 대역 분할 영상 압축" 기법을 비디오 압축에도 응용하였다. 연속된 2개 화면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특징 대비" (feature matching)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움직임이 보상된 화면들 간의 차이값들은 "정적 배경", "움직이는 물체", "새로 생긴 지역" 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각각의 다른 영역에 대하여 다른 양자기를 사용하여 양자화하였다. "영상 분할에 근거한 영상 압축" 기법은 인간의 시신경계에서 영상의 윤곽과 바탕영역이 서로 다른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을 모방하여 개발되었다. 입력되는 영상은 균일지역과 복잡 지역으로 분할된다. 복잡 지역은 2차원 "비인과성 가우스-마르코프 임의 체 모델" (noncausal Gaussian-Markov random field model)을 사용하여 재생된다. 균일지역은 다항식 전개 방식에 의하여 재생된다. 화소당 0.1 비트까지 압축하여도 원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S.K.F(System Kitchen Furniture) design에 關한 硏究

        권오진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現代와 같이 기계와 文化가 공존하는 時代에 있어서는 부엌을 더욱 더 合理的이며 科學的으로 설비함으로써 家事勞動을 즐겁고 快適게 만들어야 할 의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住居空間에 있어서의 家事空間은 가족의 건강과 직결되는 곳으로서 인간 生活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여성들에게 있어서 家庭生活은 급격한 科學技術의 발달과 함께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여성의 지위는 향상되고 그 결과 여성은 家事勞動 이외의 여가활동 시간이 증가되었고 직업을 가진 여성이 증가됨에 따라 가사노동 시간을 줄이고 작업을 능률화 하여야 함이 절실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住居空間에서의 System Kitchen Furniture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의 방향 제시를 위한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의 디자인적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소비자의 行動硏究와 함께 이미지 평가척도를 위한 설문을 통해 이용자의 기호를 조사해 보았다. 또한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5단계의 과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System Kitchen Furniture의 일반적 고찰로 부엌공간의 개념과 Built-in System의 정의 및 類型에 대해 개념을 설정하였다. 現代 生活에 있어 관심을 보이고 있는 Built-in System 이란 개개의 물건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고 家具속에 붙박이 형태로서 In-set되는 것을 말하는데 과거의 부엌가구는 모든 製品들이 밖으로 노출되고 家具의 상판은 이음매가 있어서 위생상으로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자칫하면 부조화된 분위기로 보이기 쉬운데 반해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는 기본적으로 싱크보울, 가스레인지, 레인지 후드를 비롯 오븐, 식기세척기, 쌀통, 쓰레기통등 등 家事空間의 모든 製品을 Built-in 化 함으로써 室內空間을 깨끗하고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System 가구로서 위생적으로도 매우 권장할만한 부엌가구의 형태이다. 둘째,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의 디자인 구성요소로서 형태, 재료, 구조, 색채에 관해 硏究하였다. 세째, 공간조형 요소로서 Zoning과 動線, Module 계획과 상관분석을 통해 우선순위와 要求度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네째, 人間工學 요소로서 부엌공간에 필요한 人間工學의 개념과 動作을 분석하고 부엌작업의 내용을 통한 부엌의 작업과정과 Block Diagram 을 작성하였다. 다섯째, Market 요소로서 소비자 행동과 이미지 조사를 해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위한 설문에서는 소비자의 System Kitchen Furniture에 대한 관심도, 재료 및 규격, Style, Image등에 관한 내용으로 Semantic Differential 法에 의해 조사되었고 이러한 소비자의 평가척도를 통해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의 미래 디자인의 방향설정을 위한 디자인의 Module화 적용을 시도해 보았으며 향후 부엌의 家具는 전자 製品과의 規格化, 差別化, Built-in 化를 적극 도입하여 개발하여야 하겠다. Modern life where machinery and mental culture coexist provides for the kitchen the need to be equipped with more efficient and scientific appliances which make housework pleasant than ever. The kitchen which plays a major role to keep family healt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space in a family's shelter. In modern life, women's social status has risen with the drastic economic growth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the result, of the change housewives have more leisure time than ever and larger and larger number of them are working outside home. The series of development requires more efficient way to do housework, spending less time on it than they previously did. Moreover, as life style and values have changed the society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and nuclear family system has become common, a kitchen has shifted its role from the space simply for cooking to multi-functional space for cooking, family communication, and many others as well. This study analyzes the general concepts of system kitchen Furniture (S.K.F.), consumer behavior, and image in order to offer new design for S.K.F. A survey through a questionnaire preceded the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and image. The followings are the analysis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S.K.F. which this researcher took. First, I analyzed the concept of a kitchen, an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built-in system. Second, I analyzed design elements for Built-in system Kitchen Furniture. Such as form, materials, structure and color. Third, I analyzed elements of space formation such as zoning, motion lines, module plan and the relations among them, and drew up a connection net-work. fourth, I analyzed on the concept of Human Factors and motions. I also drew up block diagram and working process table according to the tasks. Fifth I analyzed on marketing elements such as consumer behavior and image. Sixth I conducted a survey on the consumers' interest in S.K.F., image, and the consumers' evaluation of S.K.F. Style. The results suggested that further development of system furniture requires standardization of electronic appliances and introduction of built-in system.

      • 분산전원을 활용한 산업단지 내 스마트에너지 네트워크 모델 연구

        권오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분산형 비상발전기를 활용한 스마트에너지 네트워크 사업모형을 검토하기 위하여 화성 산업단지의 세 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산업체가 다른 두 산업체에 열을 공급한다고 가정하여 에너지 사용량 및 패턴을 분석하고 경제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설비 준비·조성 기간은 1년, 운영기간은 15년으로 가정하고 유지보수를 위해 5년마다 5%의 재투자 비용이 발생한다고 가정한 후 평균 할인율 5.0%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열판매 100%, 열요금 664원/N㎥ 이상일 경우 내부수익률 6% 이상으로 사업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체가 기존 1.4MW급 열병합발전기를 보유 중이고 산업체 필수 비상용발전기인 350kW급 열병합발전기 1기를 활용하며 전력과 스팀을 100% 사용한다고 가정한 결과 열을 100% 판매할 경우 투자회수 기간은 3.9년으로 분석되었고 열판매 단가가 업무용 도시가스 요금의 80% 이상이고 열 판매량이 80% 이상이면 투자회수 기간이 5년 내외로서 투자타당성이 있다고 분석된다. In this study, we suggest a smart energy network model utilizing distributed emergency power generators. We analyze energy use and pattern as well as simulate the economic feasibility regarding three industrial sites within the Hwaseong industrial complex assuming one site provides heat to two other sites. For the facilities with one year of preparation and 15 years of operation under maintenance incurring 5% of the initial investment cost every 5 years, we can carry out business with 6% of IRR if 100% of heat is sold at price higher than 664won/N㎥ with 5% of average discount rate. Equipped with one 1.4MW cogeneration generator and one 350kW emergency generator required by the law, the payback period turns out to be 3.9 years assuming 100% utilization of generated power and steam as well as 100% heat sales. If heat selling price is 80% or more of the commercial city gas rate and the amount of heat sold is 80% or more, the investment recovery period is about 5 years providing positive economic fea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