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능기반 화재안전 설계를 위한 주거 및 업무공간에서의 화재모델 산정

        권오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tructure and type of buildings tend to be variously changed because they have been designed for the high-rise, high dense and multi-purpose use. They play their roles as a factor to boost economy and a space where unspecific people are moving and residing and many people are dense. Due to those factors, it is difficult to secure safety and evacuate the people during the fire. In order to handle the fire risks that are various and complex in large scale buildings over certain scales for high-rise, mass stadium and multi-purpose ones, a design method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 is required after evaluating the engineering fire risks rather than the existing prescriptive design method.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 the fire hazard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and to do this, the basic data for the forecast of fire behaviors is required. This basic data is currently lack in Korea due to an insufficient construction of the related infrastructure and therefore many related disciplines are relying on international data.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that are the cost and the encroachment of the target technology market. Thus, the fire development and scale in the unit compartment space where the fire hazard analysis should be preferentially carried out in the buildings have been propo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unit compartment space,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source and space is essential to analyze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unit compartment space. Thos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sign of the fire scenarios. Factors to figure out the fire characteristics are the heat release rate, volume of fuel, composition of fuel, chemical properties, etc. For those factors, the data specified in the handbook, technical report, result on fire test, empirical data, etc. are to be used. To evaluate the fire risks as a whol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mbustibles such as the heat release rate, smoke release rate, poisonous gas, etc.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particular, the surveyed dat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ire is the heat release rate and is highly related to the fire behaviors in the compartment such as expansion of the fire, temperature increase, etc. In order to measure poisonous gas generation and heat release rate for the furniture, the full scale fire test has been carried out for combustible characteristics by the test method of “ISO 9705: Fire test-Full-scale test for surface products”. Also, for the forecast of the fire scale within the compartment space, mock-up with 2.4(L) × 3.6(W) × 2.4(H) m has been fabricated as specified in the test method of ISO 9705 and then the full scale fire test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spaces of residents and works. For the resident space, beds, furniture for blanket, vanity, wardrobe, trash bin, clothes and books have been selected as the combustibles and desks, chairs, computers and books have been selected for the work space. The fire test has been carried out by LSC and the trash bin has been determined to be initial ignition. Then, the scenario for the fire has been planned to be spread to overall space. 1) As a result of furniture, 1346.8 kW heat release rate has been measured in the bookshelf, which was the highest value at 1089 sec after starting the test and for the carbon dioxide 2.62 % has been measured in the bookshelf 1092 seconds after starting the test. For the carbon monoxide, 3894.2 ppm has been measured in the cabinet 372 sec after starting the test. 37.8 ㎡/s smoke release rate has been measured in the cabinet 390 sec after starting the test. 2) Maximum release rate for hydrogen cyanide and hydrogen chloride have been measured in the bed. For the hydrogen cyanide, 164.6 ppm has been measured 504 sec after starting the test. For the poisonous release rate, level 3 of ERPG has been exceeded in the furniture excluding the vanity and desks. 3) 22.67 kg/㎡ has been calculated by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fire load for each usage of buildings through the full scale fire test for the resident space. Since the floor area is 8.64 ㎡, all the loads are calculated to 195.68 kg. The fire load has been calculated to 18.74 kg/㎡ for the work space and considering 8.64 ㎡ floor area, overall fire load has been determined to 161.91 kg. 4) As a result of the full scale fire test for the resident space, the initial ignition has been started in the trash bin and the flame has been spread to the adjacent bed about 3 min after the ignition and the wardrobe about 5 min after starting the test. The smoke has been rapidly propagated to the entrance 7 min after starting the test and the flame has been broken out to the exterior about 7 min and 50 sec after starting the test. The flame broken out to the exterior has been weakened as the interior combustibles have been totally destructed by the fire about 20 min after starting the test. After that, the test has been finalized 30 min after the start. 5) The full scale fire test for the work space has been also carried out for 30 min the same as the full scale test for the resident space. In the fire test, the flame started in the trash bin has been propagated to the desk about 5 min after starting the test and overall combustibles about 6 min after the start. The flame has been spread to overall combustibles and broken out to the exterior about 7 min after starting the test. Accordingly, a flashover has been taking place. 6) The heat release rate measured by the full scale fire test and the fire growth rate, t2 prepared by using the fire test data showed the midium speed. About 3.8 MW maximum release rate in the resident space and about 4.1 MW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the work space for the fully developed fire and nonlinear t2 fire weakness in the weakened stage have been shown. For , fire weakened factor in the weakened stage, 0.004 for the resident space and 0.003 for the work space have been indicated. For the total energy release rate, 8554.7 MJ for the resident space and 6705.9 MJ for the work space have been taking place and for the energy release rate in each unit area, 990.1 MJ/㎡ for the resident space and 776.2 MJ/㎡ for the work space have been shown. 7) In the compartment space, for the result of the study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curve, a maximum temperature in the resident and work spaces has been determined to 900℃. The arriving time by the fire test was 8.2 min and 7.0 min. The configuration factor has been set up to 2.0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ntilation factor in the compartment space. The temperature in the compartment space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the intial stage of the fire and then reduced about 9 min after the increase. 국내의 건축물은 점차 고층화, 고밀도화 및 복합용도 사용으로 설계되면서 구조 및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많은 인구가 밀집되고 불특정 다수인이 이동 및 거주하는 공간으로써 경제적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화재 사고 시 그에 따른 대응과 안전성 확보 및 피난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초고층 건축물, 대형 스타디움과 복합용도 건축물과 같은 일정규모 이상의 대규모 건축물에서의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화재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양설계 방법보다는 공학적 화재위험을 평가한 뒤 진행되는 성능위주 화재안전 설계 방법이 필요하다. 성능위주 화재안전 설계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대상 건축물에 대한 화재위험도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화재성상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초 자료들은 현재 국내의 관련 인프라의 구축 미비로 인해 많은 부분을 국외 자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 및 대상 기술 시장 잠식 등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의 화재위험 분석을 위해 우선적으로 분석되어야 하는 구획 공간 내에서의 화재 성장 및 크기를 제시하고 하였다. 구획 내부에서의 화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화원과 공간의 특성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내용은 화재시나리오 설계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화재 특성을 판단하는 인자는 열방출률, 연료의 양, 연료의 구성 및 화학적 물성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인자들은 핸드북, 기술 보고서, 화재실험 결과, 경험적 데이터 등에 제시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한다. 화재 위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열방출률, 연기발생률, 유독가스와 같은 가연물의 연소특성을 모두 고려해야한다. 특히, 화재에서 가장 중요한 측정 데이터는 열방출률로서 화재의 확산, 온도 상승 등 구획 내에서의 화재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가구류에 대한 열방출률과 유독가스 발생량 측정을 위해 국제화재실험평가 기준인 “ISO 9705: Fire test-Full-scale test for surface products” 실험법에 의한 연소 특성 실물화재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획공간 내에서의 화재 크기를 예측하기 위해서 ISO 9705 시험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2.4(L) × 3.6(W) × 2.4(H) m의 크기의 Mock-up을 제작하여 주거 및 업무공간에 대한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연물은 주거공간의 경우, 침대, 이불장, 화장대, 장롱, 쓰레기통, 의류와 서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업무공간은 책상, 의자, 컴퓨터, 서적과 쓰레기통으로 선정하였다. 화재실험은 LSC에서 진행하였으며, 쓰레기통에서의 초기 발화에 의한 전체 구획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결정하였다. 1) 가구류에 대한 연소실험 결과, 열방출률은 책장에서 가장 높은 1346.8 kW가 실험 시작 후 1089 초에 측정되었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책장에서 2.62 %가 실험 시작 후 1092 초에 측정되었다. 일산화탄소 발생량은 장롱에서 3894.2 ppm이 실험 시작 후 372 초에 측정되었다. 연기발생률은 장롱에서 37.8 ㎡/s가 실험 시작 후 390 초에 측정되었다. 2) 시안화수소와 염화수소의 최대 발생량은 모두 침대에서 측정되었으며, 시안화수소는 164.6 ppm이 실험 시작 후 504 초에 측정되었다. 염화수소는 1072.2 ppm이 실험 시작 후 492 초에 측정되었다. 유독가스 발생량은 화장대와 책상을 제외한 가구류에서 ERPG의 3단계 기준을 초과하였다. 3) 주거공간에 대한 실규모 화재 실험은 건축물 용도별 화재하중값에 대한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22.67 kg/㎡로 산정하였으며, 구획공간의 바닥 면적이 8.64 ㎡ 임에 따라 전체 화재하중 값은 195.68 kg로 계산되어진다. 업무공간에 대한 화재하중 값은 문헌조사를 통해 18.74 kg/㎡로 산정하였으며, 바닥면적 8.64 ㎡을 고려하여 전체 화재하중을 161.91 kg으로 결정하였다. 4) 주거공간에 대한 실물화재실험 결과, 쓰레기통에서 초기 착화가 발생되어 약 3분 후에 인접한 침대로 화염이 전파되었고 실험 시작 약 5분 이후에는 인접한 장롱으로 화염이 전파되었다. 실험 시작 7분 이후에 출입구로 출화되는 연기의 양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실험 시작 후 약 7분 50초부터 화염이 외부로 출화되었다. 실험 시작 후 약 20분에 내부의 가연물이 전소되면서 외부로 출화하던 화염은 쇠퇴하였으며, 이후 30분에 실험을 종료하였다. 5) 업무공간에 대한 실규모 화재실험도 주거공간에 실규모 화재실험과 동일하게 총 30분 동안 진행하였다. 화재실험은 쓰레기통에 착화된 화염이 실험 시작 약 5분 후에 책상으로 확산되었으며, 약 6분 후에 가연물 전체로 화염이 확산되었다. 전체 가연물로 화염이 확산되어 실험 시작 약 7분 후에 외부로 화염이 출화되면서 플래시오버가 발생되었다. 6) 실규모 화재실험을 통해 측정된 열방출률과 화재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성된 t2 화재 성장률은 중속으로 나타나고 최성기 화재에서는 주거공간의 최대 열방출률 약 3.8 MW, 업무공간의 최대 열방출률 약 4.1 MW, 쇠퇴기에서는 비선형의 t2 화재 쇠퇴를 보여주고 있다. 쇠퇴기에서의 화재쇠퇴 인자, 는 주거공간은 0.004, 업무공간은 0.003으로 제시되었다. 총 에너지 방출량은 주거공간은 8554.7 MJ, 업무공간은 6705.9 MJ로 나타났으며, 단위면적당 에너지 방출량은 주거공간은 990.1 MJ/㎡, 업무공간은 776.2 MJ/㎡로 나타났다. 7) 구획공간에서의 온도 곡선 산정을 위한 연구 결과는 주거 및 업무공간에서의 최대온도는 900℃로 설정하였으며, 화재실험을 통해 도달 시간은 8.2와 7.0분으로 나타났다. 형태계수는 구획 공간의 환기계수 특성에 따라 2.0으로 설정하였다. 구획공간에서의 온도 변화는 화재초기에 빠르게 상승한 이후에 약 9분경 이후에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 艾灸가 흰쥐의 소장수송능에 미치는 穴位別 비교연구

        권오상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대상 : 艾灸 요법은 참쑥 및 황해쑥, 野艾의 잎을 건조시켜 만든 艾絨을 病證에 상응한 부위에 부착하여 연소시키는 韓醫學의 치료법의 하나이다. 配穴은 임상적으로 소정의 치료효과에 이르기 위한 방법으로 穴位의 配穴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소장은 소화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의 하나로 소장의 운동성은 소장의 소화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穴位에의 艾灸를 통해 소장수송능의 변화를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5~8주령의 암수 SD계 백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足三里, 上巨虛, 下巨虛, 胃兪, 中脘, 足三里+上巨虛, 足三里+下巨虛, 足三里+中脘, 足三里+胃兪, 足三里+胃兪+中脘의 혈위에 艾灸자극을 주었다. 이후 백서에 착색제를 경구투여한 후 10분이 경과하여 백서를 희생하고 소장에서의 착색제가 진행한 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1. 下巨虛, 上巨虛, 足三里의 단독군은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胃兪, 中脘의 단독군은 효과는 있었으나, 타 실험군에 미치지 못하였다. 2. 足三里에 胃兪와 中脘을 配穴한 군에서는 소장수송능이 足三里 단독군에 비해 같거나 적었다. 3. 足三里에 上巨虛 또는 下巨虛를 配穴한 군에서는 소장수송능이 足三里 단독군에 비해 같거나 증가하였다. 4. 艾灸에 따른 소장수송능의 증가는 성별에 의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고찰 : 이상의 연구결과 소장수송능에는 足陽明胃經에 관련된 穴位가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穴位의 실험을 통해 臟腑와 經絡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소화기질환과 소장수송능의 관련성 또한 앞으로 연구해야할 과제로 사료된다. Objective : Moxibustion is on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by burning cautery made with dried Artemisia lavandulaefolia DC., Artemisia argyi Lev. et Vant. and A. vulgsris L. on the skin surface. Combination of acupoints is general use for achieving desired therapeutic effects in clinic and there are several rules for combination of acupoints. Small intestine is one of a organ which is in charge of digestion, and small intestine motility plays major rule in digestion in small intest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bout different effects on small intestine motility by moxibustion treatment of various combination of acupoints. Methods : Either male or female SD rats aging 5 to 8 weeks were divided into 10 groups (n=6) according to moxibustion in the single or combined acupoints as follows; ST36, ST37, ST39, BL21, CV12, ST36+ST37, ST36+ST39, ST36+CV12, ST36+BL21, ST36+CV12+BL21.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a coloring agent into the stomach with zonde immediately after moxibustion treatment. Rats have been sacrificed 10 minutes after and length of small intestine and colored length of small intestine were measured. Results : 1. Small intestine motility i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oxibustion treatment of ST36, ST37 and ST39 but not BL21 and CV12. 2. It did not show significant increase of small intestine motility in ST36+CV12, ST36+BL21 and ST36+CV12+BL21 combination groups. 3.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small intestine motility in ST36+ST37 and ST36+ST39 combination groups. 4.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f small intestine motility in the condition between male and female but showed a decreased tendency in the aged rats. Conclusions : As shown in the present study, it is speculated that combination of effective acupoints showed remarkable effects than one of less effective acupoints and the combination type could change the small intestine motility.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among acupoints supports the presence of meridian systems. Keywords : moxibustion, small intestine motility, meridian, ST36, ST37, ST39, BL21, CV12

      • 폴리머 기반 결합 링 공진기를 이용한 광 신호 지연 모듈 연구

        권오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외의 네트워크 시장은 고속화되어 가며,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고속 통신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광섬유를 통한 테라 비트 급의 초고속 통신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광전송 장비를 이용하여 통신 시 광 신호를 전기 신호 또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 없이 광 신호를 직접 데이터 패킷으로 사용하는 전광(All-Optics)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광 패킷 스위칭 기술을 적용하여 실현 가능 하며, 이를 위해서는 조절 가능한 광 지연선, 광 버퍼, N X N 광 스위치,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다중화기 등을 포함하는 "Slow Light" 광 신호 지연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광 펄스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 다수의 링 공진기를 기반으로 하는 결합 링 공진기 광 도파로(CRROW : Coupled Ring Resonator Optical Waveguide)를 8.7%의 높은 굴절률 차를 갖는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CRROW는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링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때 링들의 FSR(Free Spectral Range)은 0.8 nm로서 ITU-T Grid의 100 GHz에 부합되도록 설계하였다. CRROW의 링 개수는 8 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된 CRROW의 링 공진기를 상부에 증착된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링 공진기 주변의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공진 파장을 변화시켜 딜레이 특성을 확인 하는 것이다. 측정결과 두 개의 링을 공진시켰을 경우 약 100 ps, 4 개의 링을 공진시켰을 경우 약 180 ps 정도의 지연시간이 측정되었으며, 이는 이론적인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Today, ultra-speed communications are researched to realize the fast network system since global network markets and demands of large amount of data communication grow explosively. When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is used for communicating, necessity of All-Optics network is increasing. "Slow Light" technology including the tunable optical delay line, optical buffer, N X N optical switch and TDM multiplexer plays a important role in realizing All-Optic network. In this paper, the CRROW(Coupled-Ring-Resonator Optical Waveguide) for time delay of injected optical pulse was designed with 8 micro-ring-resonators using polymer materials with 8.7% high indices difference. Especially, micro-ring-resonators were designed with FSR of 0.8nm which accords with 100GHz ITU-T Grid. The delay characteristic of fabricated CRROW could be observed through change of resonant wavelength by control of reflective index of ring-resonator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is shown that time delay is about 100ps and 180ps, respectively, when 2 and 4 ring-resonators of CRROW were resonated. Thus it is observed that the result of measurement and simulation is same.

      • 토마스 머튼의 영성 신학에 대한 연구 : 관상기도를 중심으로

        권오상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끊임없이 하나님을 찾는 존재로 지음을 받았다. 하나님을 찾으려했던 위대한 영성 가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이를 시도하였다. 머튼은 관상기도라는 방법을 통해서 새로운 자아 발견의 길을 그리스도인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머튼에게 있어서 관상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랑의 체험을 의미한다. 관상기도를 통해 비로소 인간은 자기의 내적 자아와 이웃과 하나님과 일치를 이루게 된다. 머튼은 그의 삶을 통해 집요하게 추구한 것은 하나님과의 일치에 뿌리를 둔 이웃과 자연과 하나님과의 일치였다. 머튼에게 있어서 관상과 활동은 나누어지지 않고 더욱 친밀해 진다. 머튼의 일치의 영성은 현대 사회와 교회에 독특한 공헌을 하고 있다. 그는 이분법과 이원론에 지배당하는 사회에 새로운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머튼에게 있어서 이원론적인 사고에서 통전적 사고로 전환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이다. 머튼의 기도신학의 결정이자 핵심인 관상기도는 단순한 고독 속에서 개인적 경건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참여 등의 행동을 추구하며, 어떤 면에서는 그 인식방식에 있어서 동양적인 선과 많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머튼에게 있어서 관상과 활동을 통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그는 역사적 변혁의 의지와 개인 영혼 갱신의 노력을 분리하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서 행동은 사랑에 기초하고 있다. 참된 행동의 기초를 이루는 사랑도, 하나님과의 접촉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는 사랑에 기초하지 않는 무수한 거짓 행동들에 분주한 현대인들에게 경종을 울려 준다. 그는 참된 행동은 사랑에 기초해야 하고 사랑은 관상을 통해 도달하는 최고의 경지임을 알려 주고 있다. 관상기도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직접 직관을 통해서 말씀하신다. 그분의 사랑의 활동을 통해서 우리는 인식하고 그분의 활동에 우리는 동의함으로 합일에 이르게 된다. 관상과 행동의 일치를 향한 노력 없이 적당히 양자를 인정하는 차원이나, 외적으로 드러나는 균형과 조화에만 머문다면 그것은 진정한 일치에 이를 수 없기 때문이다. 머튼에 의하면 일치는 관상을 통한 하나님과의 합일, 그 깊이에서 맛볼 수 있는 참된 중용의 세계이다. 토마스 머튼은 관상수도회의 수도사이며, 사제이고, 탁월한 저술가로서, 그리고 사회 개혁자와 평화주의자였다. 맋스주의와 대화를 통해 일치를 추구하였으며, 동양의 선(禪)과 기독교와의 대화를 통해, 동양적 기독교의 탄생이라는 새 시대를 예고한 예언자이다. 머튼은 관상기도는 하나님을 찾는 인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랑의 내적 체험을 의미한다. 사랑의 체험인 관상을 통해 비로소 인간은 자기와 동류 인간 그리고 세계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즉 관상기도는 나 자신과 이웃과 세계와 하나님을 깊은 사랑의 눈으로 새롭게 보게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막힌 담을 허물었듯이 우리는 관상 기도 속에서 이러한 관계의 회복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머튼의 관상이해와 그이 영향력은 현대인들이 영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인터넷 망중립성 논의의 평가 및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권오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Network neutrality debate has been triggered by and between ISPs(internet Service Providers; telecommunication service carriers)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portal and contents service providers)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of 1990s and the early of 2000. The debate has its origin an excessive traffic on the internet caused by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traffic, furthermore a plan of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to invest in the internet. The debate is essentially re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cost and benefit caused in the internet by and between ISPs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The network neutrality debate is in the initial stage in Korea, Japan and European countries. In Korea,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ganized Network neutrality TFT including telecommunication carriers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in the early of 2007 and leading related issues in the aspect of policy making.The core of the network neutrality debate is the subject selection of the cost and benefit from the internet value-chain and the feasibility argument of two-tiered internet based on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ISPs insist that two-tiered internet can solve traffic jams in the internet caused by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and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invest in the internet which enables to absorb excessive traffic and provide stable internet service. 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raise on objection that two-tiered internet can retard innovation through internet and deteriorate internet quality although price increases by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A reasonable way to settle the net neutrality debate is to organize a neutral and objective committee and derive idea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invest in the internet. A principle of collaborative defrayment of cost should be adopted and ways of preventing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should be prepared. If there were no viable alternative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in the committee, then the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could be discussed in the aspect of feasibility studies and activated through a burden measurement of the internet and an estimation of necessary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to solve traffic jams in the internet.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could be an alternatives to save cost for network investment and enhance effectiveness of internet resources. And it could prevent 'tragedy of the commons' in the internet. But it could retard Innovation by application providers because of cost problem caused by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Even though transmission and price discrimination are activated in the internet, there should be an alternative to prevent an exclusion of application providers from internet value-chain because application providers has been continuously creating values in the internet with network externality and network effect and making the interne as valuable and creative market place.Network neutrality debate would be a philosophic problem of equal distribution of cost and benefit. The debate should be solved not for an additional benefit for ISPs' or cost saving for application providers but for increasing social benefit. 미국에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포털사업자 및 컨텐츠사업자들간 2000년대에 접어들어 촉발된 인터넷 망중립성(Net Neutrality) 논의는 인터넷접속회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와 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포털사업자 및 컨텐츠사업자간의 인터넷상에서의 과다 트래픽 유발원인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인터넷 망 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비용과 편익 주체에 대한 논쟁이다. 미국을 제외한 유럽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에서는 아직 초창기 논의단계이다. 국내에서는 2007년 현재 정보통신부 주도로 통신사업자와 포털사업자 및 컨텐츠사업자 등이 참여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망중립성 논의의 핵심은 dumb network으로 비차별적으로 운영되던 인터넷 망을 트래픽 전송차별 및 전송차별을 전제로 한 가격차별을 통해 이원화된 망(two-tiered network)으로 인터넷 망을 운영하여, 점증하는 인터넷 망에서의 트래픽을 수용하고, 원활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망 투자재원을 확보하고자 하는 통신사업자와, 이원화된 인터넷 망에서는 혁신이 저해되고 인터넷 망의 품질이 저하되어 인터넷 망 사용자의 비용만 증가시키고 효용은 감소시킨다고 주장하는 포털사업자 및 컨텐츠사업자간 비용주체와 편익주체에 대한 논란이다.망중립성 논의를 조정하는 합리적인 방안으로는 정부 또는 중립적인 제3의 기관 주관 하에 망중립성 당사자간 협의체 운영을 통해, 비용 공동부담원칙에 의거 인터넷 망 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여, 망중립성 논란의 핵심인 전송차별과 가격차별 이슈가 사회문제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들 수 있겠다. 전송차별과 가격차별은 당사자간 인터넷 망 투자재원 확보 방안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인터넷 망의 부하 정도와 필요한 투자재원 등을 산출하여 인터넷 망 투자재원을 충당하는 범위 내에서 전송차별과 가격차별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실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전송차별과 가격차별은 인터넷 망 리소스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인터넷 망 확장구축을 위해 소요되는 투자재원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되며, 인터넷 망의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지속적인 혁신' 이라는 측면에서는 전송차별과 가격차별이 혁신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인터넷은 애플리케이션사업자들의 지속적인 혁신에 의해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네트웍 효과와 망외부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늘어나 오늘날 같이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공간이 되었다. 전송차별과 가격차별로 인해 창의성을 지닌 중소 애플리케이션 사업자들이 비용부담으로 인터넷 밸류 체인에서 도태되는 상황은 방지해야 한다.망중립성은 비용과 편익의 공평한 배분에 대한 철학적 문제라 생각한다. 인터넷이 태동기 대비 모든 면에서 변화되었다. 망중립성 논의는 지금까지 인터넷의 변화단계에서의 가장 큰 전환기에서의 논의라 할 수 있다. 망중립성 논의는 인터넷회선제공사업자의 추가이윤 확보나 애플리케이션사업자들의 비용절감 차원이 아닌 사회 전체적으로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논의 초점이 모아지고 조정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우리社株制度에 관한 法的 硏究

        권오상 忠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 is a system plan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pport of government and corporations is needed to promote the cooperation of capital and labor and to improve employees' economic and social status. It can be achieved by making employees obtain and retain the stock of a company that has a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ESOP, which was reorganized by enacting a labor welfare law in August 2001, seems to have developed a stable system through reorganization in March 2005.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surrounding the balance between the promotion of employees' welfare and the rights and interests of stockholders and creditors, owing to economic support of the company when an employee obtains treasury stock. That is because ESOP keeps it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company to offer special conveniences or economic aid to help employees obtain treasury stock. When they let a member of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who is a stakeholder, hold the dual role of both employee and stockholder, and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blem of investing that person with authority and benefits and of restricting the authority - not only the legal aspect, but also the political aspec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legal problems related to ESOP, with emphasis on the critical mind. This study will suggest a theoretic basis and reasonable mediation to nip the conflict over benefits between stakeholders in the bud, and to mediate it. It will also explore the way to introduce a new form of ESOP. At first, a preferred dividend for the member of a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does not infringe the subscription rights of stockholders in the fundamental law of employees' welfare and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It does not clash with Article 418 of commercial law, either. Action must be taken to prepare an integrated standard regarding the limit of obtaining treasury stock and the limit of funding that is needed to obtain treasury stock. The possibility of prediction and transparency of the people who take part in the ESOP have to be promo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that require the intention of stockholders. In the case of a director's economic support for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the director should impose a good manager's notice of duty and a fidelity duty in the range of benefit for the stockholders as well as for the company. The information that the member of a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obtains comes under the category of important information that can affect the judgment of investors. It corresponds to the prohibition of insider trading to use the information or to make someone use it, related to trade of the securities. Secondly, related to participating in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there is a need for a written vote prescribed by commercial law or an electronic vote of a revised commercial law that is announced to be legislated by making it easier to exercise the voting right of a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It aims to assure the participation in management of employees and to solve the difficulty of attendance at a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as a member of an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 It deserves consideration to have the company that has an ESOP which has stock at a regular rate to enforce cumulative voting. In addition, when the members‘ quotas are over the regular level, it is suggested to vest nomination or the seniority right to a director outside of the company. Thirdly, the employee as a user of an ESOP is attaching an importance to making a fortune, and the company is putting distribution of profit and public ownership of the result before an employee'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In that condition, there is no need to exclude introduction of an ESOP as a form of security. Moreover, obtaining sufficient treasury stock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required to realize productivity increases and amicable industrial relations. It will be done by letting the employees share quotas, participate in the company's decisions, and inculcate them with loyalty. Consequently, obtaining sufficient treasury stock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a pension. Therefore, introducing an ESOP as a form of a pension must be considered, but, the ESOP has to be planned as an optional system to complement the present ESOP. In conclusion, a change of the industrial structure, employees' and employers' consciousness,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s well as a change of system is essential to establish ESOP successfully and to make it active. Especially, a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constructed through mutual sympathizing and concessions. An environment that can get the participant to be admitted as a partner of the enterprise, to exchange opinions, and to share concerns constantly should be built. I expect not only a juridical solution to be derived from this study but also complementary political measures, and legislative alternatives as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ESOP. It is also expected that Korean ESOP will be consummated as a system t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