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식관리시스템의 이용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권양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의 지식관리시스템의 이용이 연구자의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식관리시스템의 이용률, 시스템 내의 지식의 품질, 시스템의 품질이 지식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연구자의 연구산출물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 중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세부변인 및 측정요소를 설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6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관리시스템의 이용률은 이용자의 연구산출물의 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산출물의 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식관리시스템의 이용률을 나타내는 요인 중 지식등록건수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지식관리시스템의 지식등록건수가 높을수록 연구산출물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식관리시스템의 지식 품질은 이용자의 연구산출물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산출물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 품질 요인 중 지식의 중요성과 현재성 순으로 연구산출물의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관리시스템내의 지식의 중요성과 현재성이 높을수록 연구산출물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식관리시스템의 시스템 품질은 이용자의 연구산출물의 양과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관리시스템의 시스템 품질이 높을수록 연구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지식관리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중 시스템의 편의성이 연구산출물의 양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스템 편의성이 높을수록 연구산출물의 양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의 안정성과 접근성 순으로 연구산출물의 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관리시스템의 안정성과 접근성이 높을수록 연구산출물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의 지식관리시스템 이용이 연구산출물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지식관리시스템과 관련된 변인들 중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지식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연구기관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의 발전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 결과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설문지 응답을 바탕으로 하여 개개인의 연구성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요소를 측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향후 이를 보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on the research productivity in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measured the influence on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research product accomplished by users who utilize KMS and figured out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For this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0 researchers who worked for 6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of KMS has influenced not on the quantity but on the quality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in the statistics. As the registration of knowledge is analyzed to have positive effect, the more users register their knowledge, the higher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is. Second, the quality of knowledge in KMS has influenced not on the quantity but on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Also, as the importance and the recentness of knowledge have influenced on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the more important and recent knowledge KMS employs, the higher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is. Third, as the quality of system in KMS has influenced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esearch productivity, the better quality of system KMS has, the higher research productivity is. And the convenience of system among various factors that stand for the quality of system in KMS also has influenced on the quantity of research productivity. Additionally, as the stability and accessibility of system have affected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in a good way, the more stable and accessible KMS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i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utilization of KMS in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has an influence on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tivity and analyzed which variable affects the research productivity amo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KMS. Any institutes using KMS can utilize the outcome of this study as an elementary data to recognize the objective for development. However,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ly on the result of survey, it can not measure the more objective factors related to the personal research productivity. Therefore the additional study to supplement the shortage of this study is required in the future.

      • 활주로 이동 객체의 실시간 추적 시스템

        權良一 慶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paper presents a system that is able to track moving objects on the runway by image process technique in real-time using wireless web cameras. We can detect the moving objects comparing previous image to next image in the image sequence. After removing noise by using a erosion operation, the moving objects are displayed into spatial plane with xy-coordinates by calculation of a center of weight. A camera that is installed with servo motor can be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which can be tracking the moving objec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our proposed system is very efficient for tracking the moving object on the runway and our proposed system also can be applied to the airport control system in real time..

      • 피질기저핵변성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18F]-deoxyglucose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유용성

        권양 아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Backgrounds and Objectives: The corticobasal degeneration (CB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showing the progressive asymmetric extrapyramidal motor deficits, apraxia and cortical sensory loss. The asymmetric fronto-parietal cortical and subcortical hypometabolism was demonstrated in the previous [18F]-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 PET) scan studies. We investigated the hypometabolic pattern of Korean CBD patients using quantitative FDG PET and voxel based comparison metho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CBD and 16 age-matched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Quantitative brain FDG PET and MRI scan studie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ll subjects. For better spatial normalization of PET image, individual MR image was used for the normalization template. Using the group comparison model in the SPM2 software, we compared the local glucose metabolism between the CBD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Results: The global glucose metabolic activity of the CBD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s. In SPM analysis, the CB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glucose metabolism in the fronto-parieto-temporal cortices, thalamus and caudate nucleus. The contralateral hemisphere to the more affected side showed decreased glucose metabolism in much wider fronto-parieto-temporal cortices. Conclusions: Quantitative FDG PET analysis showed asymmetric fronto-parieto-temporal hypometabolism in patients with CBD and is useful method in diagnosing the CBD. 서론: 피질기저핵변성은 좌우 비대칭의 추체외로 증상과, 실행불능증, 피질성 감각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계퇴행성 질환이다. 지금까지 [18F]- deoxyglucose 양전자방출단층촬영 (FDG PET) 연구에서 뇌 포도당 대사량이 전두엽과 두정엽에 걸쳐 비대칭적으로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FDG PET에서 나타난 한국인 피질기저핵변성 환자들의 뇌 포도당 대사량 패턴을 화소 기반 통계적 모수지도 기법 (SPM)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했다. 방법: 12명의 피질기적핵변성 환자와 나이를 일치시킨 16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정량적 뇌 FDG PET과 뇌 자기공명영상을 동일한 날에 시행했다. FDG PET 영상의 공간적 정규화 정확성을 높이고자 피검자 개개인의 뇌자기공명영상을 정규화를 위한 기본틀로 이용했다. SPM2 소프트웨어의 군간 비교 통계를 이용하여 피질기저핵변성 환자들과 정상인의 국소 뇌 포도당 대사량의 차이를 비교했다. 결과: 피질기저핵변성 환자군의 전체 뇌 대사량은 정상인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져 있었다. SPM 분석에서 환자군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에 걸쳐 뇌 피질 대사량이 떨어져 있었고, 시상과 꼬리핵의 대사량도 정상에 비해 떨어져 있었다. 증상이 심한 쪽의 반대편 대뇌 피질이 동측의 대뇌 피질에 비해 더 넓은 영역에서 포도당 대사량이 떨어져 있었다. 결론: 정량적 FDG PET을 이용하여 피질기저핵변성 환자에서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에 걸친 비대칭적인 뇌 포도당 대사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뇌 대사량 패턴은 피질기저핵변성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권양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 나라의 사회교육은 1950년 6.25 한국 전쟁이후 사회교육과 참여도 면에서 질적이나 양적으로 모두 팽창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기관이나 단체에 대한 증가하는 교육 수요에 발맞추어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편성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는 특성을 지닌 현대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정규교육 이상의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국의 사회교육은 50년대 이후 양적으로는 급속히 팽창해 왔다고는 하나 각 기관의 규모나 재정적인 면에서는 아직도 열악한 수준이며 자체적으로도 내부적 여건을 검토해보려는 노력이 미진하다. 국내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사회 건설과 사회교육 수요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에 인색하였고 프로그램 개발 과정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둘째, 국내의 사회교육 기관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전문적인 교육의 부족으로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고 개발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기관마다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개발을 위한 개발이론과 모형의 구체적인 준거틀이 부족한 현실이다. 셋째, 사회교육 프로그래머들은 현실적인 사회 여건상 사회교육 프로그램에 주도적으로 임할 수 없고 불필요한 관행과 제도에 의해 창의성이 제약 받으며 열악한 근무환경과 과중한 업무로 인해 제대로 역량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교육 기관의 절반을 차지하는 일반사회교육기관, 시민사회단체기관, 산업교육연수기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기관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전 과정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깃든 기관적 그리고 개인적인 제한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 따라 프로그램 유형 및 개발 과정이 차이가 있다. 시민사회 단체와 산업교육연수기관은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조사도가 일반사회교육기 관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시민사회단체는 지역사회의 요구와 외부상황의 반영정도, 그리고 프로그램 결정과정에 있어 지역의 잠재적 수요자, 지역 유 력인사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교육 목표 와 일치되는 정도는 시민사회단체와 산업교육기관이 일반사회교육기관보다 높았다. 실시되는 프로그램 유형으로 시민사회단체는 교양?문화교육이 중점이었고 산업교육 연수기관은 직업기술?전문교육, 일반사회교육기관은 문맹?문해교육과 교양?문화교육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개인 배경 특성의 영향으로 성별과 담당한 업무, 사회교육 전문요원 자격증 소지 여부에 따라 사회교육 기본 철학 및 프로그램 개발 방식에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여성보다 사회교육 활동 만족도가 높고 조직체계와 업무파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한 업무로서 강사들은 프로그램 개발자, 업무총괄, 기타업무를 맡고 있는 사람들보다 학습자의 환경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았다. 사회교육 전문요원 자격증을 소지한 성인교육자들은 소지하지 않은 성인교육자들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조사에 철저했고 자기개발에 더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산업교육 연수기관에 종사하는 성인교육자들의 학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한국에서 일어나고 잇는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주로 기관 목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다분히 기관 중심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관행과 제도에 의해 많이 제약을 받는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교육 수요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조사가 대체로 실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회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많은 교육 대상자를 유도할 수 없는 상황과 유료 프로그램에만 치중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다수의 성인교육자들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상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 지적했다. 두 번째, 시민사회 단체들의 열악한 재정환경과 근무환경은 프로그램 개발 편성시의 주요 제한요소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사회교육을 선도하는 성인교육자들의 의식수준이나 교육수준 및 개발노력은 그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교육의 앞으로의 전망이 그리 어둡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사회교육 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요망되며 국민의 호응도 필요하다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for Community Education The area of community education in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expanded in the view of quantity and quality since the war in 1950. Accordingly, there is a great emerging importance of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processing of community education to meet an increasing need for education for group and organization. We are ,therefore, accepting this kind of change without any doubt since we need further education other than formal education in order to adapt ourselves to modern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rapid changing. Actually, we can say that the quantity of our community education has been growing up since 1950's but its quality is still in the early phase as well as a required effort for reviewing organizational situation. The problems of program development in our community education are given below. First, we didn't pay attention to program development to comply with the building of life-long educational society and the need for community education and didn't develop program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Second, Our community educational organizations are devoid of professionalism resulted from the deficiency of professional educ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way of making and processing a program among other organizations. Moreover, we need the theory of program development and the frame of a detailed paradigm. Third, Programmers cannot afford to develop program self-directly due to many restrictions, and their initiatives are partly limited by unnecessary red-tapes and restrictions. There are often times when they are unable to do their best because of too much work and hard working condition. Accordingly, this thesis will focus on an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restrictions based on program development after overhauling the whole phases of program development of selected organizations which are called civil-society, industrial education training and general-society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consist of half the whole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a type and a process of program according to organizations. The degree to which civil-society and industrial organizations search for learner's expectations and needs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society organization's. Many potential learners and powerful local inhabitants are much mor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ecision-making at civil-society organization than other groups. Civil-society organization reflects the needs of community and social situation well. Civil-society and industrial training organization have a higher degree that is accorded with learner's educational goals than that of general society organization. As a type of program currently practicing, cultural education is popular in civil-society organization and occupational technology, professional education is popular in industrial training organization and illiteracy education is more popular in general society organization. Second, philosophical concerns of community education and the way of developing program i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who they are, such as sex, position. A man is more satisfied with the works of community education than a woman and is more likely to figure out what he does and which he is in than a woman is. Instructors are most likely to be considering learner's situations than those who are in charge of program development and paper working and chores. Community education programmer who has a certificate of professional community education is often motivated to develop his career path and is searching learner's expectations and needs thoroughly better than compared with those who do not have that. The level at which they are educated is relatively higher in industrial training organization than other groups'. Considering above all results, I am convinced that programs are always institution-oriented and processed by institution respectively, accordingly they are limited by unnecessary red-tapes and restrictions. Involvement of potential clientele and a research for learner's expectations and needs are very low degree. Many programmers sai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are that they cannot gather learners due to lack of concept of community education and are forced to focus on a paid program. Second, even though a working environment and a financial state of organizations for community education have been in a bad situation, it appears that programmer's level of thinking, educational background and his effort to develop himself look higher than the working situation of organization. For these reasons, national and civil suppor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present conditions in commun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