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권새미의 One movement for orchestra 'Joy'(2004) 분석연구

        권새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현대음악 연구의 일환으로 본인이 작곡한 'One Movements For Orchestra <Joy>' (2004) 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음악사를 보면 바로크, 고전, 낭만, 현대에 이르기까지 음악의 특징적 변화로 인해 전환점을 맞아왔다. 그중, 19C후반의 후기낭만시대 조성음악은 반음계의 확장과, 종지의 모호성, 비화성음의 연속적 진행으로 점점 조성성을 잃게 되었다. 후기 낭만시대 음악에서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음악작법에 있어 큰 변화는 19C말에 등장한 '무조주의'와 20C초에 A.Schoenberg에 의해 창시된 '12음기법' 에 있다고 할 수있다. 12음기법은 규칙이 모호하고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다양하게 표현되었던 무조음악에 일정한 규칙을 갖게하여 당대의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대표적인 12음 작곡가인 A.Webern, A.Berg등의 제자를 배출하여 제 2 비인악파로 불리웠다. 2차세계대전 후에는 Dallapicola, Krenek, Babbit, Boublez등이 음열주의의 영향을 받게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흐름에 따라 생겨난 무조성에 바탕을 두어 작곡된 2관편성 오케스트라를 위한 단악장 작품을 분석 하였다. 특히 본론에서는 4가지로 나누어 권새미의 'One Movements For Orchestra <Joy>' (2004) 를 음열구조와 특징, 형식, 선율과 음열의 사용, 화성적인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3부형식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A부분은 대위적 구성, B부분은 호모포니적구성, A'는 A부분을 확대 발전 하여 구성되었으며 조합음열에 기반을 두어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2관편성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어졌으며, 동기가 다양한 악기에 대위적 화성적으로 제시되어 확대, 발전해나가는 과정을 무조성에 바탕을 둔 음열주의 기법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and studying musical features of 'One Movements For Orchestra <Joy>' (2004) which I composed as a part of the study of modern music. When we look into the history of music hitherto, we met with several turning points owing to the distinguished changes of music from the baroque era via classics and romantics up to the modern age. Out of these eras, the formative music in the post-romantic times in the late 19 century gradually lost its formative character with the expansion of chromatic scale, the vagueness of cadence and the successive proceedings of non-harmonic tones. It may be fairly said that a big change in the musical composition from the post-romantic music to the modern music lies in 'atonalism' in the late 19 century and 'Dodecaphony' originated by Schoenberg in the early 20 century. Dodecaphony which was vague in the rules, led to a certain rules in the atonal music which was diversely expressed in many composers' works and had a highly effect on the contemporary composers, who turned out the typical Dodecaphony disciple composers like A. Webern, A. Berg etc. named the 2nd Vienna School. After the World War Two Dallapicola, Krenek, Babbit and Boublez etc. were influenced by the tone-row system. In this thesis we analyzed and looked into the work of one movement for two-piped formation orchestra composed based on the non-formative emerging from such a historic tendency. Especially in the main subject we described Saemi Kwon's 'One Movements For Orchestra <Joy>' (2004) in the respects of four categories such as tone-row structure, forms, melody and harmony. It is composed of three part song form, in which A part is polyphonic form, B part is homophonic form, and A' part is enlarged and developed from A part, and it was composed based on the combinatorial set. This work is composed for two-piped formation orchestra, where the composer expresses, through the tone-row system on the basis of atonality, the process where a motive is represented by the various instruments polyphonically and harmonically.

      •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수업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권새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예술은 시대의 흐름과 기술 발전에 대응하며 그 기술을 수용함으로써 예술의 개념을 확장해왔다. 디지털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예술가들은 디지털을 매개로 한 새로운 작품을 실험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트는 기존의 미디어 아트와 구별되어 뉴미디어 아트로 불리어진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예술가들의 시도는 오늘날 예술의 창작과 경험에 무궁한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작품의 창작 방식과 유통 방식, 감상 방식에 이르기까지 예술의 의미와 존재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뉴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뉴미디어 아트는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일상이자 소통의 한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뉴미디어 아트는 미술 교육에서도 이미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가 되었다. 뉴미디어 아트를 통해 주목해야 할 점은 매체에 대한 기술 중심의 학습이 아니라 오히려 기술로 인해 가능해진 것과 예술의 존재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개념 중심 학습이다. 그러나 미술 교육 현장에서 대부분의 뉴미디어 아트 교육은 개념 중심의 학습이 아닌 새로운 매체의 활용에 주목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뉴미디어 아트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함께 뉴미디어 아트의 수업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학습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수업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수업안의 개발과, 개발한 수업을 중학교 2학년에 적용하여 수업의 교육적 의의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뉴미디어 아트와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수업 설계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뉴미디어 아트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학습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 기간 및 전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학습자 사전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실행연구는 창원시에 소재한 A중학교 2학년 1반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0차시의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고 수업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수업 결과를 분석하고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도출된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뉴미디어 아트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자는 조사, 탐색활동과 이를 기반으로 한 표현 활동, 발표와 전시를 통한 공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뉴미디어 아트의 창작 방식, 제작 과정, 감상 방식에 이르기까지 예술의 변화된 특성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상호 협력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현하였으며 서로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 속에서 협력의 중요성과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또한 궁극적으로 전통적 관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예술가의 개념과 제작 방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역할 분담을 통한 표현 활동으로 학생들은 자기 탐색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잘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되었으며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새롭게 알게 되기도 하였다. 넷째, 미술에 대한 인식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 후 뉴미디어 아트를 삶의 맥락 안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으며, 새로운 기술, 새로운 형식, 새로운 해석으로서 동시대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도 하였다. 아울러 미술을 다른 영역이나 교과와도 연계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등 미술에 대한 시각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도 확인되었다. 먼저 프로젝트 학습 진행에 있어 충분한 수업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다면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제한되었던 학습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학교 전 학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 정도나 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를 거듭하는 이 시대 예술을 어떠한 관점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아트 교육이 단지 매체를 다루는 기술이나 능력 중심이 아닌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뉴미디어 아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