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유산의 처리 방안

        권경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디지털 유산”이란 사망한 자가 디지털의 형태로 남긴 부호, 문자, 음성, 음향, 화상, 동영상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미 집적된 디지털 유산의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 사용의 증가로 디지털 유산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므로,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법률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유산은 온라인상에 소재하고, 다양한 성격을 가진 디지털 정보가 혼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민법이 규정한 물건이나 지적재산권과 같은 기존의 개념에 잘 들어맞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관한 사회적 합의와 법률적인 검토가 필요함에도, 아직까지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많은 디지털 유산이 사장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별도의 입법이 없이 현행 법률의 해석론으로도 디지털 유산의 상속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디지털 유산의 법적 성격과 관련하여, 디지털 유산은 민법이 정한 물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부동산이나 동산에도 해당하지 않으므로, 물권으로 보호를 받을 수는 없다. 그러나 온라인에서 사망자가 축적한 디지털 정보 일반에 대한 권리를 재산권의 성격을 가진 하나의 권리로 보아, 물권 이외의 재산적 권리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유산이 저작권법과 같이 개별 법률이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이에 따른 보호를 받을 수 있고, 디지털 유산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서비스이용계약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망한 이용자의 상속인은 위 서비스이용계약의 내용에 따른 채권적 권리를 가진다. 이와 같이 디지털 유산은 재산권의 성격을 가지고, 일신에 전속한 권리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민법 제1005조 본문에 따라 상속인에게 포괄적으로 승계된다. 다음으로 디지털 유산의 많은 부분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계정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디지털 유산의 처리에 있어서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이용약관에 따라 성립하는 정보통신서비스 이용계약의 내용이 중요하다. 이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크게 계정정보와 계정 내 내용물을 나누어 살펴보아야 한다. 계정정보를 알지 못하면 계정 내 내용물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계정정보는 내용물에 접근하기 위한 관문의 역할을 한다. 우선 내용물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약관에서 내용물을 작성한 이용자가 내용물에 대한 권리를 갖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이용약관에 의해 이용자가 작성한 내용물에 대한 권리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갖는 것으로 정할 경우, 이용자에게 상당한 대가 등을 제공한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이용약관에서 계정정보를 제3자에게 이전하거나 알려주지 못하게 하고 있고, 그로 인해 계정을 상속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상속인은 제3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고 상속은 포괄승계로 특정승계인에 대한 이전이나 양도와는 구별되므로, 계정 역시 상속의 대상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나아가 상속인이 사자의 계정에 접근하는 행위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상속인들에게 사망자의 계정정보를 알려주는 행위는 형벌법규나 개인정보 보호규정 등에도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용약관에서 이용자가 사망할 경우 계정과 내용물을 폐기하는 것으로 정한 경우, 해당 디지털 유산은 이용자의 사망 시 소멸을 전제로 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속을 허용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한편 아이튠스의 음원과 같이 온라인상에서 저작권자가 거래에 제공한 것을 구매한 경우 최초판매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를 상속할 수 없다. 저작권법에서 “배포”와 “전송”을 구별하고 있어 온라인상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포권에 대한 예외로서 최초판매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고, 최종사용자계약에서도 서비스이용자가 라이선스를 갖는 것에 불과하다고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상속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저작물을 상속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또한 개인이 온라인상에 작성한 각종 데이터를 더 이상 처리하지 못하게 할 권리인 “잊혀질 권리”를 상속인에게 인정할 것인지에 관하여, 현행 법률상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기 어렵고, 그러한 이상 상속인에게 사자의 정보에 대한 잊혀질 권리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이 현행 법률의 해석론으로도 디지털 유산을 상속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디지털 유산의 처리를 둘러싸고 현행 법률의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나 현행 법률 규정이 부족한 부분은 입법을 통하여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법은 디지털 유산에 대한 권리 주체의 재산권과 자기결정권, 인격권과 그 상속인의 이해관계를 존중하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받게 될 경제적 부담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입법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① 디지털 유산 상속의 방법과 절차, ② 상속인이 없거나 상속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디지털 유산의 삭제를 위한 방안, ③ 민법상 유언법정주의를 완화함으로써, 디지털 유산의 권리 주체가 디지털 유산의 처리에 관한 의사표시를 현행 민법 규정과 다른 방식으로 하더라도 유효한 것으로 하기 위한 방안, ④ 디지털 정보에 관하여 물권적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다. 다만,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디지털 정보가 결합한 디지털 유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요한 사항은 법률에 규정하되, 세부적인 부분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자율에 맡기거나, 하위법규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디지털 유산과 관련하여 18대 국회에 3개, 19대 국회에 2개의 입법안이 발의되었고, 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법률시안과 권고안을 마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유산의 처리에 관하여 충분한 논의나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입법안은 입법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디지털 유산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개별적인 정책이나 방침에 따라 처리되고 있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들은 형사법적 책임 등에 대한 염려나 현실적인 부담을 고려하여 서비스이용자들의 요청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현행 법률에 따를 때에도 디지털 유산을 상속할 수 있음에도 상속인이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막대한 디지털 유산이 폐기되거나 인터넷 공간을 떠도는 현실은 문제가 있다. 디지털 유산의 처리에 대한 공론화와, 현행 법률상 디지털 유산의 처리에 관한 체계적인 해석론, 나아가 입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입법을 통한 해결이 절실하다.

      •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이해 :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중심으로

        권경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책 읽기의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고찰하고, 유아의 그림책 읽기의 의미이해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텍스트 이해의 다양성과 순환성을 주장한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에 근거하여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의 A어린이집 유아반(만 4세)의 그림책 읽기 상황을 8개월간 참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이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이해의 순환성이다. 첫째, 유아는 그림책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글과 그림, 앞장과 뒷장, 부분과 전체 등을 순환하며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점점 더 확장해갔다. 둘째, 유아들은 텍스트와의 거리두기를 통해 의미를 재해석하며 보다 깊이 있는 이해로 다가갔다. 다음은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이해의 역사성이다. 첫째, 유아들의 이전 경험과 배경지식은 현재의 사회적 상황과 얽히며 해석의 바탕이 되었고, 이로 인해 유아들의 의미이해는 개인적 역사성을 띠게 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고유한 자신만의 각자성을 통해 그림책의 해석에 참여하였으며, 자신의 세계에서 경험하는 관계를 근거로 그림책의 내용을 해석하고 이해를 확장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자신의 개인적 역사성에 기반한 감정경험을 끌어와 자신의 삶이 담긴 이해를 드러내며 능동적으로 해석에 참여하였다. 다음은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이해의 부정성이다. 첫째, 유아들은 현재 마주한 그림책의 텍스트가 자신의 이해와 다를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그림책을 자세히 보며 상황을 설명하며 이해하고자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그림책 텍스트로 인해 혼란이 초래될 때, 그 의문을 풀기 위해, 또래와의 역동적인 물음과 답변의 순환을 통해 그림책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은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이해의 놀이성이다. 첫째, 유아들은 그림책을 읽으며 텍스트와의 조우를 통해 드러나는 즐김을 자연스럽게 놀이로 표현하였다. 둘째, 유아들이 그림책을 읽은 뒤 참여하는 놀이 속에는 유아들이 읽었던 그림책의 이해가 담겨있었으며, 이것은 유아들의 ‘삶’인 놀이 속에 표현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이해를 위해, 유아가 드러내는 생생한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으며,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유아들이 그림책의 이해를 위해 끊임없는 해석과 재해석으로 텍스트에 적극 참여하며, 자신과 타자의 지평융합을 통해 의미를 확장해가는 능동적 의미구성자임을 드러냈음이다. 이를 통해 유아가 자유롭게 그림책의 해석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림책을 즐길 수 있는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유아의 놀이를 통해 드러나는 표현은 문학적 상상과 즐김,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음을 드러냈음이다. 이를 통해 유능한 놀이자인 유아를 인정함으로써 유아문학교육과 교육과정을 연결 짓는 그림책 읽기의 발현적 놀이를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시사했음이다. 셋째,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통해 유아의 이해에 대한 지평을 넓혔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이해를 의미의 지향을 통한 사유의 구성과정으로 드러냄으로써, 유아의 삶의 현상으로 일어나는 이해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존재 자체에 주목하고, 유아의 표현을 통해 드러나는 ‘삶의 이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 取消訴訟의 原告適格에 관한 연구

        권경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Standing to su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Kwon, Kyoung-Su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dvisor : Professor Kim, Hae-Ryong Standing to sue is the qualification for being a plaintiff. It is prescribed under the title of "standing to sue" that 「those who have the legal interests in revoking administrative actions, etc. shall institute the revacation litigation」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of article 12. As it is mentioned, according to article 12 of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Standing to sue is authorized only for article 12 those who have the legal interests. Because The range of Standing to sue depends on the boundary of "law" and "interests", the meaning and boundary of "law" and "interests" have been focused on. Therefore,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how we can define the meaning and range of "law" and "interests".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Standing to sue systems in some developed countries. The countries pursue the welfare of the people, the more they have administrative actions, which brings activat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that protects people's right and interests. This is the phenomenon that takes plac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which leads us to wonder to whom is given the right to institute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refore, looking into standing to sue system of developed countries like Japan which has the most similar system, German and France that have somewhat similar ones, U.S. and U.K. that have totally different ones, this chapter tries to find a resonable directon in standing to sue system.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mention above,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Korean judicial precedents showing to whom is actually is given the legal interest.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means that not only the direct party but the third party whoever has 'the legal tinerests' can institute the revocation Litigation. Especially these days, as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becomes diverse and wide, the approval and license in the fields of construction law, environment law, and economy law of administration office affect the third party rather than the direct party.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range of standing to sue should be extended for the exisisting theory cannot ensure the right of the people enough. Thus, the forth chapter deals with the reasonable and proper interpretation on the article 12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at is the intepretation ensuring the right and interests of the people.

      • 베이즈 추론을 향상시키기 : 생태학적 합리성 가설과 하위 구조설의 비교

        권경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확률 값을 추정하여 판단과 결정을 한다. 베이즈 추론은 제시된 확률 값을 사용하여 원하는 값을 추정해내는 과제이나,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이 추론을 잘 하지 못한다. 베이즈 추론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때로는 생명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이므로 연구자들은 이를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왔다. 베이즈 추론 문제를 빈도 형식으로 제시하거나 그림과 함께 제시하면 추론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보통 베이즈 문제는 빈도나 그림과 함께 제시되지 않으므로 베이즈 추론이 어렵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teaching method)이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베이즈 추론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까? Sedlmeier(1999, 2000), Sedlmeier와 Gigerenzer(2001)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 교수법의 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추론 규칙의 학습보다 추론 문제를 표상하는 학습법이 장, 단기적으로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표상 학습에 사용된 조건들 중 빈도 나무조건은 장기적인 학습 효과를 보인 유일한 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어떻게 베이즈 추론을 가르치는 것이 장, 단기적으로 문제 해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예제로 학습시킨 선행 연구와는 달리 하나의 예제로 학습시켜 짧은 시간 안에 가장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교수법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선행 연구에 사용된 처치 외에 확률 설명과 빈도 설명조건을 추가하여 생태학적 합리성 가설과 하위 구조설 중 어느 것이 학습 효과 측면에서 타당한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직후 처치들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처치가 통제 조건에 비해 효과가 있었고, 빈도 나무조건이 확률 설명조건보다 더 나은 베이즈 추론을 이끌었다. 둘째, 선행 연구에서 확인된 빈도 나무조건의 장기적인 학습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학습 직후 가장 우수한 수행을 보였던 이 조건의 효과는 19일 후 재검사에서 반복되지 않았다. 학습 19일 후에 효과가 유지된 조건은 베이즈 공식, 확률 나무, 빈도 설명 조건이었다. 셋째, 본 연구는 생태학적 합리성 가설이 아닌 하위 구조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생태학적 합리성 가설과는 달리 빈도 나무조건은 확률 나무조건보다 그리고 빈도 설명조건은 확률 설명조건보다 우수한 베이즈 추론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하위 구조설의 주장대로 빈도 형식과 결정 나무 그림을 모두 사용하여 하위 구조를 잘 나타낸 빈도 나무 조건이 확률 설명 조건에 비해 우수한 베이즈 추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하나의 예제 학습만으로도 베이즈 추론은 즉각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이 향상은 빈도 형식 자체 때문이 아니라 빈도 형식과 결정 나무 표상이 전체 집단에 대한 하위 구조를 한 눈에 보게 해주기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베이즈 추론 학습에서 기억 부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직후 가장 큰 효과를 보였던 빈도 나무조건이 19일 후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베이즈 공식, 확률 나무, 그리고 빈도 설명조건이 19 일 후 효과를 보였다. 작업 기억이 작동하는 학습 직후에는 두 표상을 모두 사용하여 하위 구조를 보인 빈도 나무조건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나 이들을 모두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단점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때문에 각각 습한 표상만을 사용한 확률 나무와 빈도 설명조건이 재검사에서 효과를 유지하였다. 빈도 나무조건의 경우 즉각적인 학습 효과는 크지만 효과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복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Under uncertainty, people make judgment and decisions by estimating probability. Bayesian inference is a method which estimates desired value using given probabilities, however, not only the public but also the experts are not good at Bayesian reasoning. Bayesian inference is common in daily life and sometimes it is a matter of life or death situation. As a result, researcher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performance of Bayesian reasoning. When Bayesian problem is presented in frequency format or with a picture, Bayesian inference is improved. Unfortunately, Bayesian problems are not usually provided in frequency format or with a picture, so teaching Bayesian reasoning is an important issue. How to teach Bayesian inference effectively? Sedlmeier(1999, 2000), Sedlmeier and Gigerenzer(2001) tested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eaching methods using a computer program. Teaching how to represent inference problem was superior than rule teaching in the short-term and long-term. Especially among them only natural frequency tree condition was effective in the long term.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best way to teach Bayesian reasoning using minimal example and short interval between test and retest. In addition to the treatments used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used probability descriptive condition and frequency descriptive condition. Adding these conditions, this research tests whether ecological rationality hypothesis or nested-set hypothesis is verifi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reatments right after learning. All treatments a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condition, and frequency tree condition leads better Bayesian inference than probability descriptive condition. Second, long term effect of frequency tree condition which identified by previous research has not been confirmed. Its effectiveness of learning which was the best in short term was not repeated in long term. Conditions which maintain the long-term effect are Bayesian formula, probability tree, and frequency descriptive conditions. Third, this study supports sub-set structure hypothesis rather than ecological rationality hypothesis. Unlike ecological rationality, frequency tree condition is not superior to probability tree condition, and frequency descriptive condition is not better than probability descriptiv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consistent with nested-set hypothesis, frequency tree condition which shows sub-set structure using frequency format and the picture leads better Bayesian reasoning than probability descriptive condition which does not use both representations. This result shows that one example training alone can improve Bayesian inference immediately, and this improvement is due to seeable sub-set structure rather than frequency format itself. Also, this study introduces how memory load influences on Bayesian reasoning training. The immediate training effect of frequency tree condition disappears after 19 days. Only Bayesian formula, probability tree, and frequency descriptive conditions have long-term learning effect. This implies that working memory is operated in short-term, so frequency tree condition which shows sub-set structure by using two kinds of representations has the biggest learning effect. However, memorizing both representations may serve as a long-term disadvantage. Probability tree and frequency descriptive conditions both using only one representation have a long-term effect. In case of frequency tree condition, its immediate learning effect is big, nevertheless in order to sustain the effect, it requires repeated training.

      • 국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

        권경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Nth Room Case’ was a crime made possible by offshore instant messaging services and cloud computing. As national courts have no jurisdiction over offshore instant messaging services, Search and Seizure Orders for offshor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were rendered unenforceable. Of course,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offshor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may be enforced through international judicial assistance but such procedures are time consuming, and moreover ineffective as it is difficult to pinpoint the exact location where the targeted electronic data are saved. For such reasons, investigators would rather obtain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the individual user when investigating crimes related to offshore cloud computing services. Such orders would allow the investigators to download electronic data related to crimes stored in the target individual’s cloud computing service account. When the electronic data is downloaded to a separate data storage or computing device, the device would then be seized by the investigators under the Search and Seizure Order. In cloud computing, electronic data are stored in remote servers provided by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This is in contrast to electronic data being directly stored in data storage devices which was more frequent in the past. Because of such shift in the way data are stored, Search and Seizure Order against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will invariably lead to issues relating to remote Search and Seizure, the legality of which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is silent on. Under the terms of contract between cloud service users and providers, users would typically enjoy a right to access the server connected to his/her account. Also, users would normally have disposal rights and legally protected interests with regard to electronic data stored in his/her cloud computing account. This would allow the individual user to access his/her account and download electronic data stored in remote servers to any data storage devices of his/her choosing. This would mean that under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remote search and seizure against individual service users would be deemed legal as it would be a form of Search and Seizure Order against a person who holds exclusive and undivided right over the seized electronic data. Furthermore, as it is typical for data to be stored in offshore servers,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cloud computing service users would also raise issues relating to extra-territorial Search and Seizure Orders. Cloud service users retain a right to access and download electronic data stored in his/her account regardless of the server’s location. Such right forms the basic premise of cloud computing services. Therefore, in contrast to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physical properties located abroad,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electronic data in cloud computing can be conducted through electronic networks which allows the Order to be enforced within the territorial boundaries of judicial competence, without having to physically venture out into extra-jurisdictional territories where the server is located. Hence, it must be concluded that such extra-territorial Search and Seizure is also allowed under current legal settings. In order to search and seize electronic data stored in individual cloud service accounts, it would be necessary to acquire the exact ID and password of the targeted account. As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during criminal proceedings, individuals may not be forced to disclose his/her ID and password to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Moreover, compelling the individual to type in his/her ID and password in the log-in page or forcing the individual to hand over his/her computing device with the cloud computing service already logged on would also lead to similar constitutional violations. This is because such acts would show that the individual is in knowledge of the ID and password to the account which in turn is a statement that (s)he has proprietary rights over the data stored in that account. Such statements will be deemed incriminating whilst individuals ar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against making forced incriminating statements. It is also obvious that such compulsions may not constitute ‘necessary measures’ under Article 120(1) of the Criminal Procedures Act. Even in situations where investigators have obtained a Search and Seizure Order for biological informations in order to log-in to the account, the aforementioned coercions can not be deemed legal. Therefore, when individual cloud computing service users do not voluntarily provide his/her ID and password, there is little that investigators may achieve. Article 48(1) of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prohibits intrusion o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rightful authority for access or beyond a permitted authority for access. In cloud computing, the perimeters of authorized access would be set by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Therefore, it would be illegal for investigators to access cloud computing accounts by using certain brute force attacks or by exploiting certain security weaknesses in the cloud computing system. Legally viable options left for investigators would be to acquire the ID and password from other legally seized evidence or to utilize the default log-in status of cloud accounts in certain computing devices that have already been legally seized. Even when investigators succeed in accessing individual cloud service accounts, only limited forensic data can be acquired and existing forensic tools may be ineffectiv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n cloud computing, the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for the cloud system i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as opposed to the individual user him/herself. If the data in the cloud system has been adulterated, the investigators have no other option but to search and seize the adulterated information, without having the tools to recover the unadulterated version. This is in contrast to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smart-phones or personal computers and renders Search and Seizure Orders in cloud computing services less effective. The Korean Supreme Court only acknowledges the initially stored data as originals and deems subsequently copied data as mere copies. According to such rules, it may be difficult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integrity of electronic data acquired from individual cloud service accounts. However, when electronic data are exactly copied from a device to another device, the identity of the copied data may be matched with that of the original data, which would allow the copied data to have the same legal force afforded to the original data. This would mean that the electronic data downloaded from cloud computing servers would be deemed as copies that have equal legal weight as originals stored in the server itself. In this way, the identity and integrity of electronic data acquired from individual cloud service users may be established in a simple and smooth fashion. In crimes relating to offshore cloud computing services,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individual users clearly have its limits. The spread of Two-Factor Authentication and Multi-Factor Authentication along with other technological advances would only create more hurdles for investigators. In response to such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changes it entails, many nations are devising ways to seize electronic data stored abroad and have enacted legislations explicitly stipulating that electronic data are objects of Search and Seizure Orders as well as creating new rules legalizing Remote Search and Seizure Orders. Such actions were taken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data, which is becoming evermore extra-territorial, volatile and transmissible in nature. Given the difficulty of locating the server where electronic data are saved and the possibility that such data may be stored in more than one jurisdictions, criminal investigations relating to cloud computing calls for international actions and inter-state cooperations. The Convention on Cyber-crime(so-called the ‘Budapest Convention’) allows for certain preservation orders against cloud service providers in Article 16(Expedited preservation of stored computer data) and Article 17(Expedited preservation and partial disclosure of traffic data). It also empowers authorities to issue cooperation orders to cloud service providers and provides legal basis upon which member states may require other member states to preserve certain stored computer data more swiftly(Article 29 – Expedited preservation of stored computer data). The CLOUD Act of the United States also provides clear legal grounds allowing for the access of electronic data stored abroad. Furthermore, where a foreign state organ has entered into an executive agreement with the US government, the Act empowers such foreign state organs to directly request US private companies to hand over certain electronic data. Such measure was adopted as an alternative to international judicial cooperation procedures. It is clear that the current practice of issuing Search and Seizure Orders against individual users falls short of effective Search and Seizure in relation to offshore cloud computing services. To counter such ineffectiveness, clear legal grounds providing for direct measures against offshore cloud service providers should be established. Joining the Budapest Convention and entering into an Executive Agreement with the U.S government under the US CLOUD Act should certainly help in achieving such goals. n번방 사건은 국외 메신저 서비스와 국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범행이다. 국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경우 국가관할권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더라도 이를 집행할 수 없다.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 가능한 방안인 국제형사사법공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를 특정하기 어려운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상 효과적이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에 대한 증거 확보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범죄혐의사실 관련 전자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처리장치로 내려 받은 다음 압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정보를 직접 관리하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했던 과거와 달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버에 전자정보가 원격 저장된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으로 인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에서는 항상 원격 압수‧수색의 문제가 발생한다. 형사소송법은 원격 압수수색이 허용되는지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서비스이용계약에 따라 클라우드 계정과 관련하여 서버에 대한 접속권한을 가지고, 해당 클라우드 계정에서 생성한 전자정보에 관한 처분권한과 권리보호이익을 가지는 주체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계정정보를 입력한 정보처리장치로 해당 계정의 전자정보를 가져올 권한이 있다. 따라서 현행 형사소송법 하에서도 서비스 이용자를 상대로 한 원격 압수·수색은 전자정보에 대한 배타적, 독립적 재산권자를 상대로 해당 전자정보를 압수·수색하는 것은 허용된다. 또한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전자정보가 저장된 서버는 국외에 소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역외 압수·수색이 허용되는지 문제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는 서버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계약에 따라 클라우드 계정의 전자정보를 가져올 권한이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역시 이와 같은 접근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증거인 전자정보는 유체물에 대한 압수·수색과는 달리 압수·수색을 위하여 수사기관이 물리적으로 국외에 위치한 서버 소재지에 갈 필요 없이 네트워크로만 이루어지므로, 역외 압수·수색은 허용된다고 본다.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를 상대로 한 압수‧수색의 방법으로 전자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사기관이 피의자인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진술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피의자에게 불리한 자료로 이어질 수 있는 내용을 진술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헌법에서 정한 진술거부권 위반에 해당한다. 피의자에게 정보처리장치에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거나 입력한 상태로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 또한 이러한 행위를 함으로써 피의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고 있고,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정 내 전자정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 진술을 포함하고 있고, 비밀번호를 말하도록 하는 것과 효과에 있어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진술거부권의 대상이다. 이를 형사소송법 제120조 제1항에서 규정한 압수·수색에 필요한 처분으로 볼 수도 없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잠금해제를 위한 생체정보를 압수·수색의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된 경우라 하더라도 허용된다고 볼 수 없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수사기관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제한적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제48조 제1항은 정당한 접근권한 없이 또는 허용된 접근권한을 넘어 정보통신망에 침입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고, 이때 접근권한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서버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이므로, 수사기관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속적·반복적 접근, 시스템의 보안상 취약점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계정에 접근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수사기관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은 적법하게 압수한 증거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보하거나 적법하게 압수한 정보처리장치에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동로그인 기능이 설정된 것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등으로 제한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의 클라우드 계정에 접속한다 하더라도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우드 인프라와 자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확보할 수 있는 포렌식 데이터는 제한적이고, 기존의 포렌식 도구로는 클라우드 포렌식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가 전자정보를 변경한 경우 변경한 상태로의 전자정보를 압수할 수밖에 없는 등 피압수자의 휴대폰, PC 등 정보처리장치에 대한 압수‧수색이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압수‧수색에 비해 제한적이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확보한 전자정보의 동일성과 무결성을 인정받는 것은 최초의 저장물 1개만을 원본으로 보고 이후의 복제본은 사본으로 보는 대법원 판례의 입장에 따르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매체에서 매체로 전자정보가 그대로 복제된 경우 원본과 자료의 동일성이 인정되고, 이러한 복제본에 대하여 원본과 동일한 효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서버에서 수색장소의 정보처리장치로 내려 받은 전자정보는 복제본으로서 원본과 같은 효력이 있다. 이와 같이 보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확보한 전자정보의 동일성과 무결성을 용이하고 매끄럽게 인정할 수 있다. 국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압수‧수색의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에는 이미 한계가 있고, 2요소 인증, 다중 요소 인증의 확산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약은 더욱 커질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는 기술의 발전과 변화한 환경, 초국경성, 휘발성, 전파용이성 등의 특성을 가진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을 위하여 전자정보를 압수·수색의 대상으로 명시하고 원격 압수·수색을 허용하는 규정을 신설하는 등으로 법률을 정비하고 다른 국가에 소재한 전자정보의 확보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전자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특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고 전자정보가 여러 국가에 흩어져있을 가능성이 높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상 국제적인 차원의 논의와 국가들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사이버범죄협약은 일정한 경우 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의 보존명령, 협조의무 등을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고, 협약당사국이 다른 협약당사국에 저장된 컴퓨터 데이터의 신속한 보존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CLOUD Act는 국외에 소재한 전자정보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를 명확히 하였고, 기존 국제형사사법공조절차의 대안으로 미국과 행정협정을 체결한 해외 정부기관이 미국 기업에 직접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하여 현재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를 상대로 한 압수·수색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국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조치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사이버범죄협약에 가입하고 미국 CLOUD Act에 따른 행정협정 체결에 대하여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 하나님의 선교의 현장으로서의 광장 고찰

        권경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하나님의 선교의 현장은 온 피조세계이다. 광장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광장은 사람들이 모이고, 담론이 오간다. 그 과정에서 권력이 형성된다. 권력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사한 공간이 있다. 연설장이다. 연설장의 연사는 많은 대중을 상대로 자신의 생각을 선포하고, 주입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상태, 행동, 생각 등을 바꾼다. 타자의 상태를 바꾸는 것을 ‘권력’이라고 한다. 하지만 광장과 연설장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연설장은 하나의 자아가 다수의 군중에게 자신의 사상과 생각을 주입하는 공간이다. 반면 광장은 모두가 주체가 되어 각자의 생각을 교환한다. 광장이 연설장과 다르다고, 권력이 비어있는 공간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각자 생각을 가진 이들을 설득하고, 그들에게 귀를 기울일 때 광장의 구성원들은 그 주체에게 설득 당할 때 그들을 지지하고, 권력을 위임한다. 연설장의 담론 교환 방식을 일방향성, 광장의 소통 방식을 다방향성이라고 칭하면, 현대 한국 사회는 일방향성의 연설장의 성격은 점점 옅어지고, 광장의 다방향성의 성격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광장 사회인 현대 한국 사회에서 크리스텐덤 기독교의 선교방식의 일방적 선포가 아닌 하나님의 선교에 입각한 타자 중심적 선교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선교적 교회는 교회 안으로 모이는 교회가 아니라, 세상 가운데에서 세상에 참여하고, 겸손한 자세로 세상을 섬기려눈 하나님의 선교 이해에 근거한 교회론이다. 광장은 교회의 선교의 현장이다. 하나님의 선교 이해에서 비롯한 선교적 교회론의 중요성이 더 부각될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광장과 광장에서 형성되는 권력을 고찰하고,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한 선교적 교회론이 광장에서 매우 중요하고 유효함을 인식하며 하나님의 선교의 현장으로서의 광장을 고찰하고자 한다.

      • 중국의 사회관리제도를 통해 본 농민공에 대한 사회공간적 배제-베이징 성중촌과 거주 농민공을 중심으로-

        권경선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本研究主要以中国首都北京的"城中村"及以其为生活基地的"农民工"为研究对象,阐述了以户籍制度为首的现行的旧式社会管理制度却把中国城市最具代表性的弱势群体--农民工排挤在城市社会空间之外,并歧视该群体。 为此,该研究首先探索计划经济时代的城乡二元结构、户籍制度的出台及其内容以及结构和制度如何分割对待农村和农民,然后表示自从改革开放以后,虽然农民可以进城,然而仍有一系列的户籍制度等社会管理制度不视农民为城市的正式人口,而视之为城市的边缘人。另外,通过城中村的概念、形成机制及含义等等,还研究了作为城市空间的角落类型和非正式空间,城中村起到农民工聚居区的作用。 这些农民工和城中村,尤其是基于对居住在北京城中村的农民工的理解和他们置社会之外,探索了目前在进行当中的北京的城市计划及其主要内容之一 --改造北京城中村计划,并得到如下结论,即这些城市及其城市人、以主流阶层为主的城市计划及其论理再度利用户籍制度等不公平的社会管理制度,将农民工从城市拒之门外。 本研究通过这样的过程要得出的结论,并不仅仅是与旧式社会管理制度相应的政策就是把这些农民工置在城市之外的主要机制。还值得注意的是,按照计划经济时代的国家和体制的要求,建立的这些制度虽然经过有所变化,但仍然分割于城市人口和农村人口,产生不少农民工,并把他们排挤在社会之外。就是说这种现象即使是社会转型时期的现象,然而社会管理制度脱离体制本身的性质,可演变成时代权利的一种工具。 目前,除农民工外,由于社会多种力量和因素的复合作用,在制度和政策方面也发生一些变化。但与此同时,中国社会内市场机制和资本论理日益加强,政治和经济社会已深受全球化潮流的影响,农村人口相继进城和城市承载能力逐渐饱和,随着城市产业结构的大力调整,下岗人口增加和劳动就业市场竞争日趋激烈。因此,在地区主义或者地区排他性等负面因素也日益凸现的情况下,这些问题理应更为受到关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