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부모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의 매개효과

        공인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ifiation of college students as early adults on depression. Therefore, the research model which investigates direct effects of parentification on depression and indirect effects using the parameter between parentification and depression was set. The potential parameters of the study were self-discrepancies and shame and surveys of 461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were used for analysis. SPSS 18.0, AMOS 18.0, and Mplus 6.0 were used to perform mediated effect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The summary of their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parentific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hame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rentification, self-discrepancies, shame, and depression. In addition, among subtypes of parentification, physical parentificatino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congruence, shame, and depression, wherea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injusti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es on effects of parentification, self-discrepancies, shame, and depression, parentification and sham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self-discrepancies did not have an impact on depression. Third,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ies in relations to parentification and depression,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ies between parentifiaction and depression. Fourth,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in the course of parentification to depression, shame in relations to parentifiaction and depression showed some mediating effect. Fifth, in relation to parentification and depression, self-discrepancies and shame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how that between parentifiaction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shame is the main variable that has an impact.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arentification, depression, self-discrepancies, shame, double mediating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대학생의 부모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부모화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영향과 부모화와 우울 사이에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영향을 탐색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잠재적인 매개변인으로는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성인초기 대학생 461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8.0과 AMOS 18.0 그리고 Mplus 6.0을 사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비롯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자기불일치, 수치심, 우울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화는 수치심,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화의 하위유형 중 물리적 부모화는 자기불일치와 수치심, 우울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정서적 부모화와 불공평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화, 자기불일치,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화와 수치심은 모두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불일치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본 결과, 부모화와 우울사이에서 자기불일치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부모화가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부모화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화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부모화와 우울 사이에서 수치심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제도와 신뢰도가 예비 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매업 프랜차이즈 중심으로

        공인원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현재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의 시장 규모가 12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명목GDP의 약 7%, 총 고용의 4.5%를 차지할 만큼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국내 프랜차이즈의 시장규모에 비해 질적인 성장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로인해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폐업률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중요시 되는 요소가 바로 프랜차이즈 본사의 책임과 역할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이다. 본 연구는 소매업 프랜차이즈 산업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위해서 프랜차이즈 본부의 지원제도를 분석하고 업태에 맞는 지원제도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비창업자 관점에서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창업의사결정시 필요한 요인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소매업 프랜차이즈에 관심이 있는 예비창업자 178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지원제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점포개발지원제도, 교육·경영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 신제품지원제도, 상품운영지원제도’ 총 6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본부 신뢰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점포개발 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는 직접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본부의 신뢰도가 가맹 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본부에 대한 신뢰도는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 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신제품개발, 상품운영지원 등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상품지원제도 수립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에게 신뢰를 줘야 한다. 둘째, 본부의 적극적인 경영지도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이 경영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중점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셋째, 점포개발지원, 물류지원, 홍보지원 등의 지원제도는 차별화된 강점 보다는 안정적인 지원제도로써 전반적인 경영을 지원하는 제도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본부는 예비창업자에게 사업역량 검증과 일관성 있는 태도로 신뢰를 보증함으로써 상호간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해야 한다. Korean franchise market size appears to be almost 120 billion KRW in 2019. It has beco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that take 7% of 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and 4.5% of the total employment in Korea. However, the quality of growth seems to be insufficient compare to the quantity of growth. Low quality growth resulted pre-entrepreneurs suffer and many entrepreneurs ran out of business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with the responsible attitude of franchise headquarters. For more accurate research, the final analysis included 178 pre-entrepreneurs who have specific interests on retail franchise business. SPSS 23.0 was the main analytical method to deep dive into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veals main variations as the reliability with the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system an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pre-entrepreneurs and franchise headquarters. Total of 6 sub factors of the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which are store development, education-business administration,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new product, product operation support systems. Below list is consisted of the final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s on the Franchise headquarter’s trust Second,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that it has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 on the decisions pre-entrepreneurs make.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have shown relatively lower effects. Forth, the reliability in providing supports of the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ly has some mediated effects on whether pre-entrepreneurs signing in franchise contract or not. Meanwhile, those sub-factors of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were not satisfied in each level of the verification which means it was uncertain if the sub-factors have the mediated effects. Summaries of the key points based on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retail franchise headquarters must provide a systematical product support system to ensure reliable relationship with pre-entrepreneurs based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operation supports. Seco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 to amplify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s of pre-entrepreneurs through active provision of management guidelines and trainings is crucial.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supports should be steady support systems throughout the whole business administration rather than differentiated strengths. Fourth, franchise headquarters must be consistent in support and verifying operational competence of the business that will build reliability assurance with pre-entreprene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