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의 관련성 연구

        고혜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 교육이 중요한 시대이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우수한 교사 확보와 교사양성 과정의 질적 향상이 필요한 시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용교사의 양성과정과 우수한 교사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는 타 전공에 비해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미용교사양성기관 중에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의 취득이 가능한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비율을 비교․분석하여 각 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예비 미용교사들에게 부족한 교육과정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연도별 과목의 배점 비율을 분석하고 이수과목별 시험년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여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을 알아보았다. 임용시험과 기본이수과목의 출제율의 관계를 비율로 나타내 8년간 임용시험의 과목별 출제 비중을 파악하였고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의 취득이 가능한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의 현황을 조사하고 학과의 명칭별로 12개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과의 명칭별로 한 학과씩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기본이수과목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기본이수과목별 포함정도를 비율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본이수과목에 근거하여 미용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율과 4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의 교과목비율을 상관계수를 통하여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교과목영역을 교과내용학 영역과 전체기본이수과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더니 대부분의 학과가 교과내용학 영역에서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전체과목에서는 관련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부분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맞게 비중을 주어 교과목을 대체로 잘 편성하고 있으나 교과교육학영역에서는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대비한 교육과정은 필수 교직이수 과목에만 한정되어 있어 대학교의 교육과정 중 교과교육학영역에 대한 교과목 개설이 요구되며 기본이수과목 중 개설이 안 되어 있는 과목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우수한 교사를 확보하기 위해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이라는 선발방법으로 신규교사를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선발 이전에 미용교사를 양성하는 양성기관이 예비 미용교사들의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디딤돌이 되어 보다 질 좋은 교육과정과 교사가 되기 위한 교과목들을 편성하여 교사양성기관으로서의 제 역할을 다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21st century is a knowledge-based era, in which education became important and it is required to secure outstanding teachers and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process for higher quality of education. Nevertheless, when compared to other majors, the field of cosmetology lacks in the researches on plans for cosmetology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securing good teachers.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fication test for appointment of school teacher and each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ies where teacher certificate for middle school (2nd level) is achievable among cosmetolog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s and the proportion of questions in the test; understanding problems of insufficient curriculums for would-be teachers; and suggesting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First of all, the thesis analyzed the ratio of point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in the test by year and the change of the course subjects according to the years in which the tests were held, and identified a tendency of questions in the qualification test for appointment of middle school teacher. In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and the proportion of questions about basic course subjects was displayed as a rate to find the proportion of questions for each subject in the test through 8 years, and 4-year cosmetology-related universities, where the teacher certificate for middle school (2nd level) is achievable, were investigated about their current situation and classified into 12 types according to the names of majors. The thesis selected each of majors in accordance with their names, inquired into the curriculums, classified them on the basis of basic course subjects, and showed the degree of including the subjects into a rate. Then, based on the basic course subjects, the research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questions in the test for appointment of middle school teacher in cosmetology and the proportion of subjects in the 4-year universities' curriculums throug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classifying the subjects into subject content and entire basic course subjects, most of the majors had a high relationship with subject content, while they showed a low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basic course subjects. The 4-year cosmetology-related universities, where the teacher certificate for middle school (2nd level) is achievable, organized subjects well, giving weight to them in light of the test for appointment of middle school teacher, but because the curriculum of preparing for the test is limited to the required teaching education course subjects, it is required to open subjects about subject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curriculums and improve unopened subjects among basic course subjects. Schools are recruiting new teachers through the qualification test for appointment of middle school teacher in cosmetology as a way of selection to secure great teachers. However, before the recruitment, it is expected for cosmetolog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support for would-be teachers' goals and to play their roles with the organization of practical subjects and curriculums of higher quality.

      •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이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쓰기표현은 문자언어를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하며 의미를 발견하고 창조하는 능력이다. 쓰기는 일상생활에서는 중요한 표현도구이고 학교생활에서는 국어 교과뿐 아니라 전 교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므로 쓰기표현장애 아동들의 쓰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쓰기 교수는 매우 중요하며, 이들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 쓰기에 필요한 전략을 직접 수행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쓰기교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이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내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쓰기표현장애 아동 26명을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각각 13명씩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게는 동일한 제목을 게시하여 사전검사(40분 동안)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10회기(각 회기당 60분)의 이야기문법 자기 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10회기(각 회기당 60분)의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한 쓰기교수는 계획하기-글쓰기-수정 교정하기 단계로 구성하였고, 이야기문법요소 기록지와 자기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외한 모든 자료는 두 집단에게 동일하게 제공하였다. 실험 처지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제목으로 사후검사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글은 글의 내용, 글의 길이, 글의 어휘 다양성, 글의 유창성, 글의 정확성(어절연결 정반응율, 해독가능어절 정반응율, 철자 정확성, 띄어쓰기 정확성, 문장부호 사용 정확성, 문법 사용 정확성)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검사결과 처리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SPSSWIN 프로그램에 의한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글의 내용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은 글의 내용에서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2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글의 길이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은 글의 길이에서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3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글의 어휘 다양성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은 글의 어휘 다양성에서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4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글의 유창성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은 글의 유창성에서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5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글의 정확성에 있어서, 첫째, 어절연결 정반응율, 해독가능어절 정반응율, 철자 정확성, 띄어쓰기 정확성, 문장 부호 사용 정확성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위의 다섯 가지 기술에서 더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문법 사용의 정확도에 있어서, 꾸미는 말 사용과 접속사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조사 사용, 주술 호응, 시제 호응, 어순 배열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을 사용한 쓰기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쓰기교수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꾸미는 말 정확도와 접속사 사용 정확도에서 더 크게 향상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교수전략은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표현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쓰기표현장애 학생들의 쓰기표현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이야기문법 자기평가 전략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앞으로 쓰기 표현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편안하고 즐겁게 내용 구성에 초점을 둔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쓰기 전략과 초인지 전략을 적절하게 병행하여 제공해주며, 문법, 쓰기 규칙과 같은 쓰기 각 영역에 대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평가를 함께 실시해 주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written expression instruction with story grammar-self evaluation strategy on written expression ability in primary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wenty six elementary children with writing difficul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EDI-WISC intelligence test, the word recognition sub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and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subtest of the Perception and Language Tes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the story grammar-self evaluation method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general writing method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written expression ability,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used The written expression ability was measured relating to the story contents, story length, word variety in story, story fluency, and story correctness An analysis of covariance(ANC0VA)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tilizing written expression pretest scores as covari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tory content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tory length, showing significantly long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word variety, showing significantly more various word use(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tory fluency, showing significantly more fluent performance(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5 In terms of story correct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percentage of correct word sequence, legible words, spelling, spacing words, and punctuation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four subskills In terms of grammar, however, mixed results were found that i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odifier and conjun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uxiliary words, concord( subject and predicate), tense, and word order In conclusion, the data generated by the present study iindicated that the instruction with story grammar-self evaluation strategy is an alternative 1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n written expression for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t the primary level

      • 아동행동특성에 따른 아동의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고혜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소비자들의 과시소비와 강박적구매 성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아동의 과시소비와 강박적구매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지역 아동소비자들이 건전한 소비 태도 및 올바른 소비가치관을 정립하고 건전한 소비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비생활 지도 및 소비자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제주도내 3개 초등학교, 전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일원분산분석, 쉐페 다중범위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이 이용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법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와 강박적 구매성향은 중하정도로 높지 않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아동소비자의 배경변수 중에서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학년이었으며, 아동소비자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이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과시소비성향이 높았으며 저학년보다 고학년의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4학년들이 다른 학년들에 비하여 강박적 구매성향이 높았다. 셋째, 부모의 관련변수 중에서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버지의 직업이었으며 부모의 배경변수는 아동소비자의 강박적 구매성향에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아버지 직업이 무직인 아동소비자들의 과시소비성향이 아버지가 직업이 있는 아동소비자들보다 높은 강박적 구매경향이 있었다. 넷째 아동소비자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가장 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이었다. 과시소비성향이 강박적 구매를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아동소비자의 자아존중감은 분산분석에서는 과시소비성향과 강박적 구매성향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와 강박적 구매성향은 아동소비자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소비자들은 과시소비를 통하여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상하는 경향이 있으며, 강박적 구매성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회귀분석에서는 통제가 되어 강박적 구매성향에서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과시소비성향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여섯째, 어머니의 소비성향이 아동소비자의 소비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과시소비성향과 강박적 구매성향이 높을수록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과 강박적 구매성향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어머니의 과시소비성향은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강박적 구매성향은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 다음으로 아동소비자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소비성향이 자녀의 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것은 어머니는 자녀의 소비행동에서 모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자녀의 소비자 사회화는 어머니의 소비행동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곱째, 위축, 불안/우울, 신체증상,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문제, 비행, 공격성,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문제행동 등 아동행동특성 관련 요인들은 모두 아동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과 강박적 구매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동소비자의 심리적, 행동문제가 많은 경우 과시소비성향과 강박적 구매성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아동의 정신건강문제가 소비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 consumption behavior depending on his/her behavior pattern, and to analyze relative effects of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factors which affect the disposition of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basic data for the instruction of consuming lives and the education of consumers to establish sound consumption attitude and right consumption value of children consumers and to form sound consumption culture.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students of all grade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Jeju Isl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10.0 program.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was analyzed with the Internal Consistency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in Jeju Island showed middle-low level, which was not so high. Second, among Individual, Family, and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the Childs Grade among individual variables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mpulsive buying, which the fourth grad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core. No parent-related variable affected the childs compulsive bu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Sex and Grade among individual variables, which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than male students and which the higher grade students showed the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Fathers Job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mong parent-related variables, which No Job showed the highest score. Third,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showed higher scores as the childs self-esteem was low. Diffidence, Anxiety/Depression, Physical Symptoms, Social Immaturity, Problems of Thought, Problems of Concentration, Misconduct, and Aggression among child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which showed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as the child had mental health problems. Fourth, as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 moth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on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ulsive buying, the child consumers showed high scores as his/her mothers were high. Fifths, the factors such as Self-esteem, Conspicuous Consumption, the Mothers Compulsive Buying, Problems of Internalization, Problems of Externalization, and Overall Problematic Behavior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mpulsive buying, and Academic Background of the child consumer, the Mothers Compulsive Buying, Problems of Internalization, Problems of Externalization, and Overall Problematic Behavior affected the chil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난 영혼에 관한 연구

        고혜정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의 초상화를 토대로 그의 영혼관을 검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흐의 자화상을 다루고 있는 타 논문들 대다수는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색채와 그 외 심리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논문은 고흐의 자화상에 주목하면서 동생 테오(Theodorus van Gogh; 1857∼1891)와의 서한집에서 드러나는 내용 중에 원형상을 시사하는 내용들을 검증함으로써 고흐의 영혼관을 해석하는데 그 차별성이 있다. 고흐는 자신의 정념을 자화상 속에 투사시킴으로써 색채, 터치, 그리고 원형이미지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표상하였으며 별의 이미지가 곧 희망적 메시지인 동시에 자신의 얼굴을 메타님 하였다. 본 연구는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미술텍스트 형식구조를 분석하여 색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토대로 해석함으로써 고흐의 영혼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제 Ⅰ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모더니즘과 후기인상주의 미술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았고 고흐의 작가적 성장 배경을 통해 그가 어떻게 미술을 접하고 성장하였는지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영혼의 개념을 고찰하고 영혼이 인간의 내면적인 삶 속에 존재하는 어떤 힘이나 생명의 원리로 이해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문제설정 및 연구방법론으로써 연구사개요 및 문제제기를 하고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의 무의식과 칼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집단무의식, 원형상 그리고 색채심리와 상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고흐의 영혼성에 대한 관계성들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제 Ⅲ장에서는 자화상의 검증 및 해석으로 먼저 고흐의 자화상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형식 구조를 파악하고 고흐의 자화상을 검증면과 해석면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다. 검증면은 색의 은유와 보색대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다루고 해석면에서는 동생 테오와의 서한을 바탕으로 그의 정념과 광기를 포착하고 무의식의 메커니즘과 희망의 역설적인 면들을 논의하였다. 위의 내용들을 토대로 결론을 함의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영혼관을 그의 정신세계와 성장배경 그리고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살펴봄으로써 고흐의 영혼이 프로이드의 무의식과 칼 융의 원형의식에 맞닿아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고흐는 자신의 정념을 색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통하여 그의 자화상 속에 투사시킨 정황들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독창적인 정신세계를 정립해 볼 수 있었다. 셋째, 고흐의 자화상을 그의 정신면인 정념과 광기, 무의식의 메카니즘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 등으로 나누어 검증해 봄으로써 밤하늘의 별이 곧 고흐 자신의 얼굴이자 희망의 메시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교육학적인 측면에서도 고흐의 자화상에 드러나는 원형상에 대한 검증과 해석면은 다른 많은 미술텍스트들의 의미해석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레고교육활동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고혜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arly children STEAM program by Using LEGO activities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five years old childre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40 children aged five years(2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20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ttending C and K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city, Jeonbuk province. early children STEAM program by Using LEGO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procedure of a preliminary test, tester training, a pre-test, LEGO education program contents and introduction and post-test. Total 12 sessions of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3 weeks, from April 9, 2018 to April 27, 2018. early children STEAM program by Using LEGO activities have a spinning top, make a wig, CD player, whisker, washer, elevator, hockey player, crane, wiper, helicopter, a bridge, play ground.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CCTYC)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est tool teachers was applied to teac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test the homogeneity of both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In conclusion, STEAM program by Using LEGO activities seem to b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but, imagination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 비영리기관 리더의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고혜정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더십에 관한 논문이나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보통 리더의 모습에는 명석한 두뇌와 높은 학벌 과감하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 혹은 성과를 강조하고 보상으로 부하의 동기를 유발하는 변혁의 리더십, 합리적인 사고로 이성에 호소하는 거래적 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의 모습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리더는 진정성이 있어야 하며 진정성 있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실수에 두려워하고 그 실수를 인정하고 이를 숨김없이 밝힐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현대 사회 조직은 영웅 같은 리더 보다는 스스로의 신념을 솔직하게 말하는 진정성 있는 리더를 원한다. 급변하는 세계의 경영 환경과 기업 간 치열한 경쟁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조직의 성과를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 뿐 아니라 조직원의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하며 진정성리더십을 통한 조직원들의 긍정적인 감정은 조직의 공동목표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성과 과정에서 조직원의 팔로워십이 진정성리더십과 조직성과를 매개로 하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방법으로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비영리기관에 근무하는 조직 구성원 314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둘째 문항 간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을 살펴보았고 셋째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고 넷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비영리조직에서의 리더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지닌 높은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 감을 가지고 있다. 자아 인식과 스스로의 참모습을 주변에 솔직히 보여줌으로써 신뢰를 얻는 관계적 투명성이 높은 리더 일수록 독립 · 비판적 사고의 조직원, 능동적 참여 조직원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비영리조직의 리더 일수록 더 높은 자기인식과 투명함으로 구성원들에게 신뢰를 주고 협업과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하여 한계점과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비영리기관의 리더십과 조직성과를 연구한다면 더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 of Nonprofit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mediary Effects of Followership- Ko, Hye Jeo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Employment and Career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A slew of new research papers or books on leadership are pouring out. We usually imagine various types of leadership such as the audacious and charismatic leadership that boasts a smart brain and strong educational background, the innovative leadership that emphasizes performance and motivates subordinates with compensation, an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at appeals to reason with rational thinking. However, future leaders must have sincerity, and someone who will be a sincere leader should be able to fear mistakes, admit them, and come clean and tell the truth. In modern social organizations, we need a sincere leader with the courage of one’s convictions than a hero-like leader.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in the midst of fierce competition among businesses, people have taken an interest in the new paradigm of leadership for sustainable growth.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not only the role of the leader but also the active participation by members matters, and the positive feelings that members have through sincere leadership make a crucial factor in fulfilling the organization’s common goal.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its purpose in identifying the influences that the sincere leadership, which lately piques public interest, exerts on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testing if the members’ followership is mediated in the process by since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nalysis for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a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surveyed 314 persons who were employe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Gangwon Province and data was collect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Second, th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the questions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ir reliability.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urth, the data was tested with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 leader in a non-profit organization, who has a positive self-concept, has high level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Leaders who have high levels of relational transparency in that they earn trust by frankly showing to others their self-recognition and their true image seem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independently and/or critically thinking members and actively participating members. The study shows that leade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higher levels of self-recognition and transparency, therefore, they can inspire trust to the members and greatly improve collaboration and teamwork.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researching the leadership and perform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will be able to generate more useful results.

      •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 태양광발전소, 수소충전소 중심으로

        고혜정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나날이 대두되자 기후변화 해결방안의 일환으로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확대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의 노력은 앞으로 모든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OECD 국가들의 원전 발전비중은 2000년 23%에서 2017년 18%로 감소하였고, 동기간에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17%에서 27%로 확대되었다. 우리나라도 2017년‘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설치를 적극 장려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만 채택하고 있는 ‘신에너지’라는 범주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등은 아직 재생에너지만큼 상용화되어 있지 않지만 2019년 1월 17일 발표된‘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같이 정부가 수소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과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9년 기준으로 총 에너지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은 약 6.5%에 그치면서 제대로 된 활성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신·재생에너지가 총 에너지발전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는 대표적으로 태양광발전과 관련해서는 REC 현물시장 가격의 하락으로 인한 발전사업자들의 수익감소, 전력계통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사업개시 및 전력판매 지연, 개발행위허가 상의 입지규제의 절차가 복잡하고 규제 범위 및 내용이 지자체별로 다르거나 모호한 경우가 많아 발전사업의 불확실성이 증가, 주민참여 배제·이익공유 방안 부재와 소음/환경파괴/생존권 침해/적절한 보상 부재 등으로 인한 발전사업자와 지역주민 간의 갈등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신에너지에서 수소에너지는 충전소 건설과 관련하여 관련 법령의 제도 미비로 인한 발전 저해가 있어 어려움을 겪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상 보완되어야 할 점을 살펴보고,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 분석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다.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들 중에서도 태양광에너지 발전소와 수소에너지 충전소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 발생하고 있는 사례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법적 해결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