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과 상호작용

        고지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은 어떠한가? 1-1.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사회적 놀이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1-2.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인지적 놀이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1-3.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놀이영역은 차이가 있는가? 2.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2-1.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2.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종일제 프로그램 실시 유치원 중 오후 재편성 종일제 유치원 1학급의 유아 18명과 독립된 종일제 유치원 1학급 유아 25명으로 모두 43명이었다.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과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아의 놀이행동은 장명림(1996), 신은수(1997)의 연구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은 안수연(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행동은 비놀이, 혼자놀이, 병행놀이, 집단놀이의 사회적 수준과 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규칙적인 게임의 인지적 수준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놀이영역도 함께 관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아-유아의 상호작용도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놀이행동을 살펴보았다. 종일반 유아들은 사회적 놀이수준 중에서 '집단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으며,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놀이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후 재편성 종일반은 독립된 종일반에 비해 '비놀이'를 많이 하였고, 독립된 종일반은 오후 재편성 종일반에 비해 '혼자놀이'를 많이 하였다. 종일반 유아들은 인지적 놀이수준 중에서 '구성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으며,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유아의 인지적 놀이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후 재편성 종일반은 독립된 종일반에 비해 '기능놀이', '극화놀이'를 더 많이 하였고, 독립된 종일반은 오후 재편성 종일반에 비해 '구성놀이', '규칙적인 게임'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독립된 종일제 학급의 유아들이 오후 재편성 종일제 학급의 유아에 비해 조작과 탐색의 수준에서 다른 놀이로 발전하는 등 그 범주 내에서 복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구성놀이를 더 많이 하였다. 또한 종일반 학급편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영역을 살펴보았는데, 종일반 유아들은 쌓기영역, 미술영역, 역할영역에서 놀이를 많이 하였고, 유아의 놀이영역은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오후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은 독립된 종일반 유아들에 비해 역할영역, 음률영역, 과학영역에서 놀이를 더 많이 하였고, 독립된 종일반 유아들은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에 비해 쌓기영역, 조작영역, 컴퓨터영역에서 놀이를 더 많이 하였다. 둘째,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종일반 교사들은 유아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시도하였으며 특히 도움주기를 가장 많이 하였고, 무응답·방관의 부정적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았다. 종일제 학급편성방법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없었다. 즉 긍정적 상호작용 중에서 오후 재편성 종일반 교사는 독립된 종일반 교사에 비해 시범·설명, 칭찬·격려·허락, 애정표현을 많이 하였고, 독립된 종일반 교사는 오후 재편성 종일반 교사에 비해 도움주기, 제안·요청, 개별대화를 많이 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정적 상호작용 중에서 오후 재편성 종일반 교사는 독립된 교사에 비해 '통제·지시'를 많이 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일반 유아들은 다른 유아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부정적 상호작용에 비해 더 많이 하였으며 그 중에서 특히 시범·설명을 가장 많이 하였고, 부정적 상호작용 중에서 거부·무시, 언어적 공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종일반 학급편성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은 독립된 종일반 유아들에 비해 '시범·설명을 많이 하였고, 독립된 종일반 유아들은 오후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에 비해 도움주기, 감정나누기를 많이 하였다. 유아-유아 부정적 상호작용에서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이 독립된 종일반 유아들에 비해 언어적 공격, 신체적 공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bout finding out children's playing behavior, and how the interaction of teachers versus children and children versus children is different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kindergarten all-day-class. There are definite theses for this research blew; 1. What is children's playing behavior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level of play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gnitive level of play according to management way of all-day-class?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playing patter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s of teachers versus children a nd children versus childre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childre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totally 43 preschooler, they formed 18 preschooler aged 4-5 in full from rearranged all-day-class kindergartens and 25 preschooler aged 4-5 in full from independent all-day-class kindergartens among all-day-class kindergartens in Seoul To analyze children's playing behavior and interactio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children's playing behavior referenced the research tools of Meung Lim Jang(1996) and Eun Su Shin(1997) after modifying their research tools, and the interaction of teachers versus children and children versus children referenced the study of Su Yeun An(2000) after modifying used category in her study. Children's playing behavior was classified into social level of (no-playing, playing-alone, parallel-playing and group-playing) and cognitive level of (functional-playing, formation-playing, dramatization-playing, regular game -playing and others), and also it was formatted to observe playing pattern at same time. The interaction of teachers versus children consisted of affirmative interaction and negative interaction, and also the interaction of children versus children consisted of affirmative interaction and negative interaction too. In analyzing data, χ² verification was executed to se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is; First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children's playing behavior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In no-playing and playing-alone, children's social playing level showed intentional difference among groups. Namely, while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more no-playing than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more playing-alone than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In functional-playing and formation-playing, children's playing level of cognitive showed intentional difference among groups. Namely, while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more functional-playing, dramatization-playing than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more formation-playing, regular game -playing than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and they did more higher level of playing, which was developed from level of searching and making into level of performing other playing.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ren's playing patter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role-playing, music-playing, and science-playing corner in order of frequency, on the other hand,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block-playing, manufacture-playing, computer-playing coner in order of frequency. Second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of teachers versus children and children versus children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of all-day-class. In the affirmative interaction of proposal & request and aiding, while interaction of teachers versus children showed no intentional difference among groups, it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among group in negative interaction. Namely, teachers of rearranged all-day-class used more affirmative interaction of show & explanation and affection & expression than teachers of independent all-day-class did. teachers of independent all-day-class used more affirmative interaction of proposal & request and aiding than teachers of rearranged all-day-class did. In the affirmation interaction of children versus children showed intentional difference among groups. Namely, while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group did more affirmative interaction of show & explanation than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group did,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group did more affirmative interaction of help-giving, sharing-emotion than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group did. also, children of rearranged all-day-class group did more negative interaction of language aggression, physical aggression than children of independent all-day-class group did.

      • 걸음마기 영아-어머니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고지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2. 영아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3.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2-1.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 의 인지는 어머니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 의 인지는 영아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중류층 가정의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이었다.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성의 수행과제와 관찰도구를 사용하였고,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질 측정도구와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에 대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은 모두 녹화되었고 녹화된 내용은 전사되었으며 분석은 통합적 방법과 구체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영아 간 상호작용에서 반응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는 영아에게 높은 수준의 반응성을 보였고 수행과제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관된 반응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어머니는 영아의 시도에 대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영아 또한 어머니에게 비교적 높은 수준의 반응성을 보였으며 수행과제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관된 반응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영아는 어머니에게 빈번하게 반응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어머니와 영아는 서로간의 생각이나 목표를 조율하며 양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어머니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는 영아의 부적정서에 상관없이 영아에게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리고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는 조절능력이 높은 영아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조절능력이 낮은 영아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였다. 한편 조절능력이 낮은 어머니는 부적정서가 낮은 영아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부적정서가 높은 영아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또한 자신이 힘이나 통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부적정서에 상관없이 영아에게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영아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적정서가 높은 영아는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조절능력이 낮은 어머니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리고 영아는 힘이나 통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어머니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과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어머니의 반응성이 높을 경우 영아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므로 반응적이지 못하고 영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반응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해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질과 힘(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에 대한 역할을 인식시켜, 어머니가 기질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양육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dissertation, I make an analysis about mother's responsiveness and their two-year-old child'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e analysis lies in exploring how to respond the demand of partner in the their interaction an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responsiveness and their two-year-old child's responsiveness in various contexts. Futhermore,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mother' temperature and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Here are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1. What is the mother-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1. What is a moth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2. What is a 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responsiveness and a 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2. What i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toddler's responsiveness? 1-1.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a mother's responsiveness? 1-2.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a toddler's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two-year-old toddler and their mother from middler class of seoul residence.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based on the criterion of parent'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Kochanska(2002), the variables was based on the component of toddler's temperature, mother's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and the responsiveness in various performance task was recorded and analyzed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mother's responsiveness revealed mothers are more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in their interactions and, in performance task, maintained consistent relatively high responsiveness. Particularly, mothers who are ver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interacted positively with the toddlers and toddlers also are very responsive to their mothers in their interactions and, in performance task, maintained consistent relatively high responsiveness. In particular, toddlers who are more responsive responded to their mothers's demand and interacted affirmatively. There's a close connection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responsiveness, so that they exercised a bidirectional effect harmoniously with partner's thought and goal. Second, as far as the effect of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on mother's responsiveness,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more acceptive regardless of the toddler's negative affective, more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On the other hand, while mothers who have lower effortful control are less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lower negative affectivity, they are more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higher negative affectivity. and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regulated toddler's behavior adequately in mediating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regardless of their sons or daughters negative affectivity. And that, as far as the effect of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on toddler's responsiveness,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affectivity were more responsive to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ness to moth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involved with mothers, and more affective to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more the perceived power. By means of looking into the result, I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f mothers were more sensitivel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encouraging sons and daughters to take an active part in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 toddlers would be more receptive, more cooperative to mothers and play a leading role in interacting with mothers, so that synchronous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could be increased, reciprocal interaction be promoted, and bilateral cooperative relationship be maintained. And it would be necessary for us to let mothers notice goodness-of-fit between their temperatures to affect positive responsiveness with each other and be aware of importance of perceived power and cheer them up to exercise a good power and control in looking after their toddlers.

      • 중국 예술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고지민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국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620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긍정심리자본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환경요인이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요인의 하위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은 예술적 창의성의 하위변수인 비동조성과 미적감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이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낙관주의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 중 낙관주의 변인의 경우에만 비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동조성의 총 변화량 중 37.5%가 낙관주의에 의해 설명되었다. 반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등은 미적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비동조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미적감수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예술적 창의성과 경쟁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의 긍정적 심리적 자본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가정환경 보다 학교환경이 증진될 수 있도록, 통제적인 분위기보다는 자유로움의 환경 속에서 성장해갈 수 있는 학교와 사회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작품 연구 : 샤샤발츠「Körper」, 마기마랭「May B」를 중심으로

        고지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제 3물결 페미니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서부터 시작되어 지금 현재까지 아우르는 페미니즘의 한 부분이라 말할 수 있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보편적인 여성이라는 개념을 정립하여 여성을 단일화된 하나의 목소리로 규정하는 경향에 반대하는 새로운 여성주의 이론이다. 그러나 남성 혐오, 여성 우월주의 등이 이루어지며 논쟁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성 자체를 하나의 집단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개개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다양성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해를 바탕으로 페미니즘의 이론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성격 즉, 성 역할에 분리를 시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공통된 분모를 가진 두 안무가, 샤샤 발츠(Sasha Waltz)와, 마기 마랭(Maguy Marin)을 선정하여 그녀들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성향을 연구하여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두 안무가의 안무성향을 고찰하여보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독일의 탄츠테아터(Tanztheater)와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샤샤 발츠는 그녀의 영원한 주제가 인간의 몸이고, 이를 탐구하여 다이나믹한 에너지를 가진 움직임으로 이끌어내면서 몸의 다양한 언어를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그녀의 춤에는 독일의 과거와 사회적 문제들을 이미지화시켜 인간의 아픔과 고통을 나타낸다. 이처럼 샤샤 발츠는 인간의 몸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과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받아 그녀만의 창조력을 발휘하는 작품세계를 형성해 나갔다. 인간의 몸을 주제로 한 샤샤발츠의 첫 작품인 <körper>는 몸에 대한 의미에 문제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사회성과 역사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외면으로 드러나는 몸 자체 속 내면에 담긴 육체적 고통을 해방시키면서 자유로운 육체적 이야기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탄츠테아터(Tanztheater)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또 한 명의 안무가 마기 마랭은 무용수 신체의 테크닉적 기능을 표현하기보다는 단순한 인간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그녀에게 신체는 물체화시키는 것이 아닌 주체적인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기 마랭의 작품에서는 평범한 동작과 일상의 움직임을 춤으로 표현함과 더불어 연극적 기법을 대입시켜 극적 연출을 시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기 마랭(Maguy Marin)의 작품<May B>는 존재하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베케트의 작품 「고도를 기다리며」를 무용으로써 풀어나갔다. 마기 마랭은 신체 움직임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과 시각적, 청각적 요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무용과 연극을 넘나드는 그녀만의 안무성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또한 억압된 상황에서의 감정들을 다루며 현시대의 사회적 문제와 정치를 반영하고 비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샤샤 발츠와 마기 마랭의 작품을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해석한 결과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이론의 영향이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두 안무가는 작품에서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과 더불어 남녀 구분이 없는 성역의 해체와 인종, 계급, 신분에 대한 경계를 허물며, 인간이라는 존재와 인간으로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표현해내었다. 본 연구자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샤샤 발츠와 마기 마랭의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현시대에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창조적인 예술 작품 활동을 위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Postmodern feminism, which can be described as a part of the feminism which has begun in the third wave of feminism in the 1990s and continued until now, is a new feminist theory which contradict the tendency to define women as one unified voice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universal women. However, I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postmodern feminism, which respects and understands individuals and emphasizes diversity, rather than looking at sexuality as a group at this point to debate on misandry and female chauvinism. Therefore, this study choose two choreographers, Sasha Waltz and Maguy Marin who hav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did not distinguish between sexual roles from the postmodern feminism. This study aim to study and derive the tendency of modern feminism which is seen in the two works. The inclination of the two choreographer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anztheater from Germany and the American postmodern had a strong effect on Sasha Waltz. She pursues various languages of the body while drawing them into dynamic energetic movements and her eternal motif is the human body. And her dancing shows human pain and suffering, visualizing German past and social problems. She has formed a world of her own creativity, being inspired by artists and architects of various genres and it is based on the theme of the human body. The first work <körper> of Sasha Waltz about the theme of human body suggests problems about meaning of body and describes sociality and history simultaneously. It illustrates the free and physical story that liberates from physical pain in the external body itself. Another choreographer, Maguy Marin who has a characterstic of Tanztheater, shows a simple human rather than expressing the technical skill of dancer body. Also, she uses the body as a way of independent expression, not an objectification. It is a characteristic of trying to dramatic interpretation to substitute theatrical skills with expressing ordinary motion and daily movements as dance in her work. Maguy Marin's work <May B> interpret Beckett's work "Waiting for Heights" based on the stories of people waiting for the non-existent 'altitude' as dance. It is a work that shows her unique choreographic tendency that goes beyond dance and theater by using diverse genres and fusion of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based on body movements. It also deals with emotions in oppressed situations and conveys messages that reflect and criticize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politic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works of Sasha Waltz and Maguy Marin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post-modern feminism theory appeared after the 1980 's. It is seen that the two choreographers expressed the emotions that can be felt as human beings and existence of human beings, with the fusion of diverse genres demolishing the sex and the boundaries of race, class, and identity, and the emotions that can be felt as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on their works. By studying the works of Sasha Waltz and Maguy Marin with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feminism, this researcher hope this study to be a chance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creative art works with diverse perspectives on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esent age.

      •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따른 통합학급내 상호작용 특징 연구

        고지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s by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imp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attitude in implementation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The subject we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6 inclusive classes. The 6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Three teachers from 3 classes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and the teachers from the other 3 classes had relatively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actions among the teache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observed an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s among them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ttempts to interact with the child with disability by teachers and the number of teacher's responses to attempts for interaction by the child with disability were greater in the classes of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compared with the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Second, the number of positive attempts to interact with the peer with disability b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as greater in the classrooms of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than in the classrooms of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Whereas, the number of negative attempts to interact with the peer with disability b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as greater in the classrooms of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than in the classrooms of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The numbers of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o the peer with disability presented similar patterns to the attempts for interaction among classrooms of teachers with different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ird, the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interacted with the child with disability in the way to expand the child's play, promote the child's interactions with typically developing peers, and facilitate prosocial behavior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Wheres, the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didn't effectively interven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nd didn't facilitate learning and play activities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Finally, the children of the classes of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presented spontaneous interactions with the peer with disability and facilitated learning activities of the peer with the peer with disability and facilitated learning activities of the peer with disability. Whereas, the children of the classes of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tended not to interact with their peer with disability. Even though they tried to interact with him/her, their presented inappropriate and negative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