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敎育施設 發展模型 探索 연구

        고영진 동아대학교 1996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review of policy marking concerning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This will include the examination of an equipment plan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plans and standards involed in selecting a school magazine. An examin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paractical use of space, and future societal nees will also be conducted. Three analytical methods were implemented. First, the changing processes and developmental tendencies of education facilities was examined. Second, the access method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facility model was looked at. Third, an analysis of the access model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studied. The intent of the research was to maintain a macroscopic viewpoint. A method was developed to anaalyze data derived from the research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essays of educational facility professionals, related literature, the Korean Development Institute of Education and equipment standards, Technical journals referenced were The Futurist, The American School Board Journal, and The Educational facility Planner of America. Additional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given to 1200 architects, educators, parents of students, and other related members of the population from the Gyeoung Nam district. Students were hired and trained to administer the surveys.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se surveys broke down into three categories: 1) The changing process and development tendencies of educational facilities a) The standard Decree of Educational facility Equipment, established on the 4th of December, was developed to examine existing problem in the standards of education facilities. It investigated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es and prescribed a method of improving the standards of kindergart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can be directly observed in the student population,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ning system, and the overall functionality of the schools. c) School facilities both accommodate and educate students. This is the educational mission of the school district. This relates to the openness of school facilities plan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chool district and the neighboring society. 2) The approach and model of educational facilities. a)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chool facility is important.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work environment was examined. b) Three aspects relating to the model of educational facilities that was examined are : 1. Expense-effective models. 2. Education-economic models. 3. Culture-various cultural model. 3) Analysis of the model of educational facilitie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ather information for the model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planning of school facilities and the selection of school locations.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each field as F=52.38 in the level of 0.1%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In analyzing the 18 fields presented provided an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planning of school facilities. The level of the lowest response is 3.78. b) Principles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chool facilities. Three are differences within each field as F=27.93 in the level of 0.1%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The lowest response, 4.10, is regarding the personal space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is among 13 total fields. c) The usage of space.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each field as F=26.55 in the level of 01.%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ion. The lowest response, 3.98, is regarding the design of larger classrooms in the future and is among 18 total fields. d) The essential part relative to technique.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each field as F=9.93 in the level of 0.1%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The lowest response, 4.00, is regarding the necessity of long distance communications and use of experimental technologies versus currently utilized methods. There are 14 total fields regarding this question. e) Service for the community.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each field as F=49.47 in the level of 0.1%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The lowest response, 4.06, is regarding the necessity of nursery facilities in future school designs and is among five total field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o improve the state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current standards must be modified according to changes in school curriculum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ommunity. 2) To better decide upon the location of school sites and the design of educational facilities, a full understanding of the society's educational needs must be achieved. 3) Concerning environmental issues, focus must be centered on the needs of the students. 4) To better make use of existing space, the facilities must be designed to be adaptable and flexible to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o promote experimentation in teaching methods. 5) It is essential to examine modern and experimental techniques relative to the methods currently implemented.

      • 매칭점수의 분포특성을 활용한 빠른 지문매칭 알고리듬

        고영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화시대에 생체인식기술은 보편성(Universal), 유일성(Unique), 영속성(Permanent), 정량성(Collectable)을 가진 생체특징을 가지고 지문, 손등, 얼굴, 정맥 등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지문은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모양이 개개인마다 다르고 태어날 때의 모습 그대로를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신뢰도와 안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효율적인 개인 인증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문에 대한 개인 인증분야는 매칭과 분류로 나눠지는 가운데 매칭은 식별(Identification)과 판별(Verification)로 구분된다. 식별은 범죄 현장의 유류지문과 같은 입력 정보를 이용해 대량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동일한 등록 지문을 찾는 것이며, 판별은 지문과 함께 개인의 비밀번호나 카드를 함께 입력하여 등록된 본인의 지문과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다. 매칭의 식별(Identification)에서는 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빠른 매칭과 정확도를 위해 개발이 되고 있다. 통상 지문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문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특징점간의 기하학적 유사성을 분석하여 매칭 점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기하학적 유사성으로 매칭을 할 경우, 하나의 지문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지문 데이터를 미리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는 정렬 결과에 따라 두 지문의 유사도가 달라지므로 보통 특징점 기반 매칭기법에서는 양방향 매칭을 통하여 최종 매칭 점수를 구해야 한다. 이때 이용한 양방향 매칭 기법은 단방향 매칭에 비해 매칭 신뢰도는 높아지지만, 매칭 시간이 단방향 매칭보다 두 배 이상 걸린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지문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양방향 매칭 점수의 분포를 이용하여 임계치에 따른 매칭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단위시간 내에 양방향 매칭보다 빠른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새로운 적응적(Adaptive) 임계치 Th'을 설정하여 주도록 한다. Th'은 대규모 지문 데이터 베이스의 양방향 매칭 점수의 분포가 가우스형태를 가진다는 점을 착안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선으로 Fitting 시킨 뒤, 예측구간을 설정하여 주어 상한 예측구간과 양방향 매칭을 수행할 임계치와 교차점을 찾음으로써 새로운 적응적(Adaptive) 임계치 Th'을 설정하여 주었다. 임계치의 값은 매칭 알고리듬에 따라 1500~3000으로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매칭의 임계치가 3000이라 가정하고 예측구간의 신뢰수준을 95%로 예측하였을 때, 기존의 양방향 매칭만을 수행하였을 시, 단위시간당 매칭 횟수는 75회만을 수행하였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인하여 같은 단위시간 내에 141.48회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즉 약 0.8초 내에 양방향 매칭의 수행결과 같은 매칭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양방향 매칭방법보다 약 1.88배의 빠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매칭보다는 오거부율 FRR은 약 1.43%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평균매칭횟수는 약 6%가 증가하였지만, 이는 전체적 매칭시간에 미미한 시간이며 약 6%의 매칭시간을 더 소요시켰을 시 기존 방법보다 효율적인 매칭을 이룰 수 있다.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matic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s using biometrics is actively being performed. Biometric features must be unique and immutable in each individual in order to be used in these systems. Among all the biometric indicators such as face, iris, retina and palm, fingerprints have one of the highest levels of reliability.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is widely used, and is important in forensic and civilian applications such as criminal identification, access control, financial security and ATM card verification, etc. In general,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is composed of the extraction algorithm, the matching algorithm, and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extraction algorithm is series of processes that extract characteristics of a scanned fingerprint image. The matching algorithm compares an inputted fingerprint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s to find a match based on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The matching algorithm finds out whether there is a match by comparing two templates which are extracted by the characteristic point extraction algorithm, specifically by comparing the positions of each characteristic point and the structure. This thesis presents two adaptive models. First, we experiment an adaptive threshold selection of 1:N matching system in order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matching score. Second, we propose a new adaptive threshold selection using fitting algorithm for high speed match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NITZEN database, which has 5247 sample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our suggested method can perform 1.88 times faster matching speed than the bidirectional matching speed. And, we prove that FRR of our suggested method decreases 1.43% than that of the unidirectional matching.

      • 미불의 서예관과 서풍에 관한 연구

        고영진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불의 학서과정을 통해 서에관과 그의 서풍울 분석하여보고 후세에 미친 영향과 현대에 던지는 메세지를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알루미늄 압출공장의 FMS 설비투자 경제성분석 연구

        高永珍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압출공장을 혁신하기 위하여 FMS을 도입할 경우 그 사업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용/수익 분석방법에 입각한 전통적 경제성모형을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적 경제성모형은 현 상황에서 추정된 화폐가치로만 평가하므로 잠재비용과 잠재수익을 간과하여 과소평가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순차적 의사결정모형의 한 형태인 Roberts모형을 수정한 SDP 경제성모형을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전통적 경제성모형에 따라 사업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사업의 순현가는 약 117억원, IRR은 15.1%로 추정되어 MARR 10% 기준으로 알루미늄 압출공장의 투자타당성은 적격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수익과 관련된 중요변수인 판매가격과 판매가능량에 대한 사업경제성의 민감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판매가격의 임계치는 3,211,309원/톤으로 추정되었으며, 판매가능량 시계열값의 임계치는 판매가능량의 97.6%로 산출되어, 판매가격과 판매가능량은 사업경제성에 매우 민감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비용과 관련된 중요변수인 초기투자비에 대한 사업경제성의 민감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기투자비의 임계치는 초기투자비의 141.8%로 산출되어, 초기투자비의 변동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용과 관련된 중요변수인 환율 변동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환율의 임계치는 1,112 원/$로 추정되어 사업경제성에 민감한 변수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알루미늄 압출공장의 사업경제성은 초기투자비의 규모보다 오히려 환율, 판매가격과 판매가능량의 변동에 민감하게 변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SDP 경제성모형에 따라 사업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투자유도가격 ()은 231만원/톤으로 산출되어 시장가격(P)인 329만원/톤에 비하여 톤당 약 98만원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분석되어 투자적격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두 종류의 경제성모형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알루미늄 압출공장의 FMS 투자타당성은 적격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된 결론은 여러 가지 가정 하에서 도출된 결과이기 때문에 해석상의 주의가 필요한 점에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we establish and analyze a classical economic feasibility model based on the cost/benefit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investments when an FMS is introduced for the innovation of an aluminium extrusion factory. In addition, as the classical economic feasibility model might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potential costs and profits by evaluating them only with the currently expected value at the present time, we establish and analyze an SDP economic feasibility model which is the modification of the Roberts model based on a sequential decision process. The results from the classical economic feasibility model are as follows. the net present value of the investment is estimated at approximately 11.7 billion won and the internal rate of return turns out to be 15.1%, which makes the investment in aluminium extrusion factory feasible since the minimum attractive rate of return is assumed to be 10%. By performing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price and possible sales amount, the critical value of the price, which makes the net present value of the investment zero, is estimated at 3,211,300 won/ton and the critical value of the time-series sales amount is calculated as 97.6% of the possible sales amount. So the price and sales amount are found to be very sensitive variables for the investments. The critical value of the initial investment cost is calculated as 141.8% of the initial investment cost and it turns out that the change in the initial investment cos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e critical value of exchange rate is computed as 1,112 won/$ and turns out to be a sensitive factor for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business. In conclusion, the investments for aluminium extrusion factory is analyzed to change more sensitively by the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rate, sales price and possible sales amount than by the volume of the initial investment. Through the analysis by an SDP economic model as proposed in this thesis, the market-inducing price, (), is calculated as 2,310,000 won/ton against 3,290,000 won/ton. So the investments is analyzed to be appropriate. Therefore, the FMS investments on an aluminium extrusion factory is analyzed as feasible according to our economic models. However, a careful interpretation of the conclusions would be needed since they are derived from various assumptions.

      •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거래특성 요인, 지식공유, 관계품질 및 성과 관계에 관한 연구

        고영진 경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거래특성 요인, 지식공유와 관계품질, 그리고 성과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것에 있다. 추가적으로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도 검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전국의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6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정을 위한 분석 도구는 IBM SPSS Win 21.0, AMOS 21.0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래특성요인을 거래특유자산과 기회주의 행동으로 측정하였고, 관계품질 요인은 선행연구에 의해 만족, 신뢰, 몰입의 세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1개 가설을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특유자산은 구매자-공급자의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해야 할 필요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회주의 행동을 줄이면 반대로 지식공유가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거래파트너 간의 기회주의 행동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기업은 거래특유자산을 증가시키고, 기회주의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통해 거래파트너 간의 관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구매자-공급자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를 활성화하여 상호 간에 관계의 만족과 신뢰 및 몰입을 높일 수 있으며, 지식공유의 활성화 노력을 통해 거래 관계에 있어 관계품질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조직의 관리자는 구매자-공급자 관계품질의 관리 및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공급사슬 성과를 포함한 조직의 전반적인 성과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관리자는 상이한 시장 상황마다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기업의 성과 제고를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

      • 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 논문 분석을 통한 국악교육의 연구 동향 :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고영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분석 및 파악 하여 균형적인 국악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악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국악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등학생이며, 분석 기간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설정하고, 국악교육과 관련된 석사학위 논문을 국회전자도서관과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전산목록에 근거하여 검색 및 수집 하였다. 수집된 352편의 연구물들을 외형적으로는 연도별, 대상별로 분류하고, 내용적으로는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 결과를 표와 그림으로 나타냈다. 연도별 분석 결과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32편이 연구되었다. 2006년에는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적은 양의 논문이 집계되었고, 2008년과 2010년, 2014년에는 40편이 넘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 10년 동안 연구 동향은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매년 평균 32편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상별 분석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42편으로 50% 이상을 차지했고, 고등학생 95편(27%), 중·고등학생 15편(8%)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한 비율은 다른 대상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지도방안 연구가 200편으로 57%를 차지하였고, 교과서분석 94편(27%), 조사연구 27편(7%), 기타 연구 22편(6%), ICT 활용 연구 9편(3%) 순으로 나타났다. 지도방안 연구와 교과서분석이 전체 연구에서 80% 이상 비중을 차지했고, ICT를 활용한 국악교육 관련 연구는 5%도 미치지 못했다. 지금까지 다양한 국악교육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향후에는 창작 영역과 ICT를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창작 영역의 연구는 국악 영역별 전체 논문에서 6%에 그쳤고, ICT를 활용한 국악교육 연구는 5%미만이다. 오늘날 현대 사회는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시대로, 학교 교육에서 ICT를 접목시킨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국악교육에서는 매우 저조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지도방안 연구와 교과서분석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 학교에서의 국악 수업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참신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학생들이 우리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국악교육의 양적, 질적 연구와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사용되길 바라며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악 교육이 발전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ill tell you how the Korean music education changed and how it was developed for 10 year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right through master's theses. And it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about information as well as have a balanced discrimination for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I researched master's theses, based on the data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Science research education service, about 352 researches result which were collected, it was classified by year and target subject, as a content, it was divided as a research theme then, it was shown with pictures and tabl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years of research from 2005 until August 2015, the study was researched around 32 per year. Among this, in 2006 researches were below the average of the study. But in 2008 and 2010, there were more than 40 studies that were accomplished. In 2014, there have been 41 studies conducted. As you can see, there was no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number of researches beyond average number of 32. When I analyzed the research, most of the target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 then High school student. Least of the target was the middle, high school. The research that target middle school student was over two times than other target, so that the study should be researched more to make a more balance study rate to revitalize among the studies to compare, research and analyze. Analysis result of theme could be divided as a way of instruction of the study, analysis text book, research study, utilization of ICT, and other research. The way of instruction of the study formed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other theme, particularly utilization of ICT study which formed below 5%. Therefore, th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themes for efficiency of research which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Similarly, recently for 10 years, the study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was researched constantly for efficiency study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way of instru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sis of text book by researchers.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one of the highlighted education is,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using utilization of ICT and ‘education in creation’, so tha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done in the creative area of Korean classical music. Also we need more researches about Korean music education in utilization of ICT, and it should be more creative in various object or theme.

      • 가사도 열수 맥상광상의 금·은 광화작용

        고영진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asado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south-western margins of Gyeongsang basin. The geology of the Gasado is composed of the late cretaceous volcaniclastic sedimentary rocks and acidic or intermediate volcanic rocks. Within the deposit area, there are a number of hydrothermal quartz and calcite veins, formed by narrow open space filling along subparallel fractures in the late Cretaceous lapilli tuff. The Gasado deposit is mining the Main Vein and Lighthouse Vein which generally strike N10°∼20°E (dip: 70°∼85°NW) and N20°∼30°E (dip: 70°∼80°NW) and can be traced for <750m and <250m along the strike, respectively. The width of veins ranges from dozens of centimeters to a few meters. Vein mineralization at Gasado is characterized by several textural varieties such as chalcedonic, drusy, moss, comb, bladed, crustiform and colloform. Most of the textures has been used as explorating indicator of the epithermal deposit. Vein mineralization at the Gasado Au-Ag deposit is divided into stage I, stage Ⅱ, by tectonic break. Stage Ⅰ veins display a paragenetic sequence in which three substages of mineralization can be defined in relation to time, textures and mineral assemblages: 1) the early mineraliz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massive quartz with Fe-sulfides as the main ore mineral; 2) the middle mineralization occurred after a local hydraulic fracturing of earlier-deposited vein materials and is marked by introduction of electrum and uytenbogaardtite with base-metal(mainly Cu and Zn) sulfides; and 3) the late mineralization fills the new fractures of early and middle minerals and is characterized by deposition of silver-bearing minerals, such as argentite, lenaite and native silver. Most of fluid inclusions are type I(liquid-rich inclusions) through early studied, homogenization temperatures and salinity vary from 314° to 158° and from 3.9 to 0.9 equiv. wt % NaCl,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ype of fluid inclusions, homogenization temperatures, it is indicated that the Gasado deposit is epithermal deposit which is analogous to Eunsan, Moisan deposit in Haenam-Jindo basin. Based on mineral assemblage, paragenesis and microthermometric data, early mineralization of the Main vein related to precipitation of electrum occurs sulfur fugacity from 10-9.7 to 10-9.6 atm with oxygen fugacity from 10-35.1 to 10-31.4 atm at 300℃. Middle mineralization of Main vein and Lighthouse vein concerned with precipitation of electrum occurs sulfur fugacity from 10-11.9 to 10-11.8 atm, from 10-13.2 to 10-12.9 atm, oxygen fugacity from 10-38.4 to 10-35.6 atm, from 10-38.4 to 10-37.3 atm, at 250℃ respectively. Sulfur fugacity of Main vein ranges from 10-14.5 to 10-14.4 with oxygen fugacity from 10-42.6 to 10-40.6 atm during late mineralization, at 200℃. 가사도 광상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위치하며, 지체구조적으로 경상분지 외각부에 위치한다. 가사도 광상 주변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 유천층군인 화산쇄설성 퇴적암류와 산성 내지 중성의 화산암류 등이 분포한다. 화산쇄설성 퇴적암류는 응회각력암과 화산력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이를 관입한 화산암류는 석영안산암, 중성 내지 염기성 암맥 등으로 구성된다. 가사도 광상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 유천층군인 화산쇄설성 퇴적암류 내 열극을 충진한 함 금ㆍ은 열수 맥상 광상이다. 주맥의 주향과 경사는 N10°∼20°E, 70°∼85°NW이며, 맥폭은 수십 cm∼수 m, 연장은 약 750m이며, 등대맥의 주향과 경사는 N20°∼30°E, 70°∼80°NW이며, 맥폭은 수십 cm∼수 m, 연장은 약 250m이다. 주맥과 등대맥에서 나타나는 맥의 산상은 판상과 망상 특성을 보여주며, 맥의 조직은 칼세도니조직, 정동조직, 모스조직, 빗살조직, 블레디드조직, 호상조직 및 콜로폼조직 등이 관찰되는데, 이러한 조직들은 천열수 광상에서의 전형적인 조직들이다. 가사도 광상 내 열수변질에 의해 형성된 변질대를 광물조합에 의해 분류하면, 석영맥 중심으로 점토대, 견운모대, 프로필리틱대와 석영맥과 거리에 관계 없이 변질대 최상부를 이루는 고점토대로 분류한다. 고점토대는 고온형과 저온형으로 분류되며, 고온형은 납석, 딕카이트 및 석영으로 구성되는 반면, 저온형은 명반석, 딕카이트 및 석영 등으로 구성된다. 점토대는 딕카이트, 석영, 견운모, 황철석 및 정장석 등으로 구성되며, 견운모대는 견운모, 석영 및 황철석 등으로 구성되며, 프로필리틱대는 녹니석, 방해석, 녹염석, 석영, 장석 및 휘석 등으로 구성된다. 가사도 광상 광화시기는 지구조적 운동에 의하여 광화 Ⅰ기와 광화 Ⅱ기로 구분된다. 광화 Ⅰ기는 공생관계, 산출되는 광물 조합 특성에 의해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황철석(pyrite), 자류철석(pyrrhotite)과 같은 함 철 황화광물 침전이 우세하며, 중기에는 황동석(chalcopyrite), 섬아연석(sphalerite) 및 방연석(galena)과 함께 함 금ㆍ은 광물인 에렉트럼(electrum), 우요텐보가르타이트(uytenbogaardtite)가 주로 산출된다. 개발광체인 주맥과 등대맥 대상으로 에렉트럼 및 섬아연석 내 미량원소 분석을 위해 전자현미분석(EPMA)을 실시하였으며, 광화 Ⅰ기 주맥 에렉트럼의 화학조성 변화는 51 내지 20 atomic % Au 범위인 반면, 등대맥 에렉트럼의 화학조성 변화는 30 내지 21 atomic % Au 범위를 보여 주맥과 다소 차이가 있다. 에렉트럼 이후에 산출된 섬아연석의 전자현미분석 결과, 주맥 섬아연석의 화학조성 변화는 7.0 내지 0.7 mole % FeS 범위인 반면, 등대맥 섬아연석의 화학조성 변화는 20.6 내지 14.5 mole % FeS 범위를 보여 주맥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후기에는 함 은 광물인 휘은석(argentite), 레나이트(lenaite) 및 자연은(native silver)이 주로 산출된다. 한편, 광화 Ⅱ기는 금ㆍ은 열수광화작용 이후 발생한 지구조적 운동에 의해 형성된 균열부에 방해석이 형성된 시기로서 금속광화작용이 진행되지 않은 시기이다. 광석광물의 공생관계에 근거하여 확인된 가사도 광상의 광화작용은 초기 열수 석영맥과 함께 황철석, 자류철석의 산출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황동석-섬아연석-함 금ㆍ은 광화작용→함 은 광화작용으로 진행되었다. 가사도 함 금ㆍ은 열수계 광화작용을 야기한 광화유체 온도 조건 규명을 위해 과거에 수행된 유체포유물 가열ㆍ냉각 실험 결과, 광화유체의 균일화온도 범위는 약 314 ~ 158℃이며, 염 농도는 약 3.9 ~ 0.9 equiv. wt % NaCl의 조성범위를 보인다. 이러한 유체포유물의 산출 유형 및 균일화 특성을 종합해보면 가사도 함 금ㆍ은 열수계는 인근의 해남-진도 분지에 위치한 모이산, 은산 광상과 유사한 천열수 금ㆍ은 광상 유형으로 해석된다. 가사도 함 금ㆍ은 열수광체에서 함 금ㆍ은 광물인 에렉트럼은 주된 광화시기 초기 온도인 300℃에서 황화광물의 공생관계에 근거하여 주맥의 황 분압조건은 ≈10-9.7 ~ 10-9.6 atm, 산소 분압조건은 ≈10-35.1 ~ 10-31.4 atm의 범위에서 초기 광화작용이 진행되었다. 중기 온도인 250℃에서 황화광물들의 공생관계에 의해 주맥의 황 분압조건과 산소 분압조건은 각각 ≈10-11.9 ~ 10-11.8 atm, ≈10-38.4 ~ 10-35.6 atm인 반면, 등대맥의 황 분압조건과 산소 분압조건은 각각 ≈10-13.2 ~ 10-12.9 atm, ≈10-38.4 ~ 10-37.3 atm의 범위에서 중기 광화작용이 진행되었다. 주 광화시기 후기 온도인 200℃에서 황화광물의 공생관계에 의해 주맥의 황 분압조건과 산소 분압조건은 각각 ≈10-14.5 ~ 10-14.4 atm, ≈10-42.6 ~ 10-40.6 atm에 이르는 범위에서 후기 광화작용이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