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全南地域 部品素材 産業發展을 위한 클러스터 政策硏究

        고영윤 全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지금 디지털 지식경제시대의 도래와 함께 산업집적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클러스터 구축에 힘쓰고 있다. 21세기 경쟁의 페러다임이 기업간 경쟁의 시대에서 산업클러스터간 경쟁의 시대로 바뀌고 제품생산방식도 완제품생산에서 부품소재 생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에 있어서도 최근에는 지역 산업 특성에 걸맞는 지역 특화산업의 선정과 이를 육성 발전시키려는 정책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전남지역에서도 동북아 경제중심국가를 건설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생물산업 및 소재산업의 육성과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전남지역의 소재산업은 광양만권의 철강산업과 여수산단의 석유화학산업, 광주지역의 광산업 등을 바탕으로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으나 아직 열악한 상태에 있으므로 우리나라 산업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소재 산업의 위상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남지역을 비롯한 전라권의 부품소재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산업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계 산업과 연관된 클러스터 정책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미 선진국에서 시도된 성공된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남지역은 어떠한 클러스터 정책을 구상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전남과 인접 광주, 전북지역의 클러스터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이며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은 제 1 장에서 연구과제의 개요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연구목적과 연구 필요성 및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 2 장에서는 1절과 2절에서는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개요와 유형을 검토하였으며 3절에서는 해외 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사레에 대하여 4절에서는 국내산업클러스터 사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주체와 추진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1절에서는 구성주체에 대하여, 2절은 추진전략을, 3절은 구성 주체의 책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초광역 부품소계 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1절에서는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의 위상과 육성방안을, 2절에서는 부품·소재 산업 클러스터의 구축 배경을 설명하고, 3절에서는 초광역 클러스터의 구성요소를 분석 파악하였고, 4절에서는 광주·전남·전북지역의 초광역 부품소재산업 클러스터의 구축방법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결론을 맺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라남도 지역의 부품·소계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해외 산업클러스터와 국내 산업클러스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부품·소재 산업 클러스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산업클러스터 추진유형의 선진국 사례를 분석해 볼 때 전남지역에서 추진하려고 하는 소재 산업의 클러스터는 자기 창출형 클러스터의 유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클러스터의 구성주체는 비전제시자와 시스템통합자, 전문공급자로 구성되며 이들의 역할중에서 비전제시자는 원천기술을 개발해야하고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인재공급과 벤처창업을 유도해야 한다. 시스템통합자는 원천기술을 상업화하고 요소기술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전문공급자인 중소부품업체, 전문중소기업, 전문서비스 업체는 비전제시자와 시스템통합자의 지원을 받아 벤처기업을 창업하고 신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전남지역 경제 발전을 위하여 산업클러스터 구축은 전남지역의 산업여건이 너무 열악하기 때문에 인접 지역인 광주와 전북을 포함한 초광역 산업클러스터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초광역 클러스터는 초기단계에는 중앙정부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조정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지방정부는 지자체간 상호협의를 통해 클러스터구축을 위한 업종과 규모, 범위를 선정하고 추진방식도 대규모 보다는 중소 규모의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클러스터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With the advent of digital knowledge economy era, the world has increased interest in industrial cluster area and is making efforts to build clusters to secu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ompeting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is changing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to the competition between industrial clusters and the method of production is changing from the production of complete products to the parts and materials production. And recent policies for such industrial development focus on selecting specialized local industries that match loc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fostering and developing them. In order to build Korea as the central nation of economy in Northeast Asia and activate the local economy, Jeollanam-do is discussing methods in detail to foster bio-industry and materials industry and establish clusters. In particular, materials industry in our region are equipped with industrial infrastructure based on the steel industry of Gwangrang Bay area, petrochemical industry in Yeosu Industrial Complex and photonics industry of Gwangju area but they are at poor stages. Considering the industrial future of Korea, the status of materials industry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Therefore we have to foster and develop parts materials industry in Jeolla area including Jeollanam-do. For such industrial development, we have to try cluster policies related to materials industry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concrete plan to establish polic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ccessful cases already tried in advanced countries and suggest cluster policies suitable for Jeollanam-do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composing elements of Jeollanam-do and the neighboring Gwangju and Jeollabuk-do areas: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how to activate clusters. Regarding research contents, Chapter 1 gives an outline of this study and explains the study purpose and necessity. In Chapter 2, Clause 1 and 2 review the outline and types of industrial clusters: Clause 3 examines the types and cases of overseas industrial clusters and Clause 4 examines the cases of domestic industrial clusters. Chapter 3 examines constituent subjects and promotion strategies: Clause 1 examines constituent subjects: Clause 2 examines promotion strategies: and Clause 3 examines the responsibilities of constituent subjects. Chapter 4 is about a plan to build a superwide area parts materials industrial clusters: Clause 1 explains the status and promotional plans: Clause 2 explains the background of building parts & materials industrial clusters: Clause 2 analyzes the constituents of superwide area clusters: and Clause 3 examines constituent methods of superwide area parts materials industrial cluster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area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inally, Chapter 5 mo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overseas industrial clusters and domestic industrial clusters are analyzed in order to promote parts and materials industries in Jeollanam-do region and based on the analysis, a plan to promote parts and materials industrial clusters is drawn out. In particular, in analyzing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in cluster promotion type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self-creating cluster types to the materials industrial cluster that Jeollanam-do tries to promote. The main constituents of cluster consist of a vision presenter, a system integrator and a expert supplier. The role of a presenter is to develop source technology, present the direct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provide human resources and induce the establishment of venture companies. The role of a system integrator is to commercialize the source technology and produce goods through component technology. Expert suppliers such as small & medium-sized parts companies, expert small & medium-sized companies and expert service companies establish venture companies supported by visitor presenters and system integrators and develop new products. In order to build a cluster for economic development of Jeollanam-do reg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uperwide area cluster including the neighboring areas such as Gwangju and Jeollabuk-do because of inferior conditions of regional industries of Jeollanam-do. The central government need to provide positive support and efforts of mediation at the beginning stage of superwide area clusters. And local autonomous bodies choose business types, scales and ranges through the discussion with one another and the clusters should be promoted to produce a synergy effect through interaction by building cluster networks on a small or medium scale rather than on a large scale.

      •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고영윤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2018년 1월 27일 부터 2월 22일까지 서울․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398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살펴보기 위해 김진숙(2009)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을 위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신혜영(2004)이 사용한 교사 효능감 척도,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측정을 위해서는 이종각(2013)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보육교사들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혀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을 위해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다수의 보육교사들은 아동권리 협약과 주요 원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들은 아동권리협약 주요 원칙 중 아동의 의사 존중의 원칙을 가장 잘 실행하고 있음과 동시에 실행하기 가장 어려운 원칙으로 조사되었다. 보육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교사 대 영유아의 비율과 과중한 업무를 제시하였고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을 위해 교사의 교권이 보장되는 현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결혼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 효능감에서는 연령, 경력, 결혼 여부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심리적 소진에서는 연령, 기관유형, 결혼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과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인 상관관계, 교사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심리적 소진이 낮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영향을 주는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 심리적 소진에 관심을 가지며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지원 방안을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3.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4. What ar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0 teachers who work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from January 27 to February 22, 2018, and 398 copi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data. In this study, to look into the childcare teacher's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we used th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Kim Jin-Sook (2009) for childcare to respect rights for infant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we used teacher efficacy scale that Shin Hye-young (2004) used, an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we used the scale of psychological burnout that Lee Jong-gak used for childcare teachers as a targe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Win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 - test, ANOVA test were conducted as well as Scheffé validation for posteriori test. Pearson 's ratiometric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First, the majority of daycare teachers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its main principles. Among the main principles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hildcare teachers were able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respecting child's opinion the best. At the same time, it was selected as the hardest principle to carry out as well. Childcare teachers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of teachers verses infants, heavy workload were obstacle factors, and recognized that the site which ensures educational authority of teachers should be preceded for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Second,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of gener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and in case of teacher's efficacy, age, work career, and marital status had differences. Also in case of psychological burnout, age, institution type, and marital statu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teacher's efficacy,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teacher efficacy also had a negative correlation. Fourth, the higher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was, the more positive influences existed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while the lower the dgree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the more negative impacts existed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give interests i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at affect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program and to find a support plan to help child care teachers for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 칼빈과 어거스틴의 경건에 관한 비교연구

        고영윤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영성 개념을 개혁주의 입장에서 칼빈과 어거스틴이 사용했던 ‘경건’을 통해 조명해 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당연히 개혁교회의 신학을 대표하는 칼빈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칼빈이 제일 영향을 많이 받은 어거스틴과의 비교 연구를 시도함으로 경건에 관한 좀 더 확대된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들이 신학을 세우는데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성경과 역사를 배경적 연구로 시도하였다. 구약 성경이 말하는 경건이란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 속에서 인격적 관계를 맺어 하나님을 예배하며, 하나님께 충성을 다하며, 하나님의 언약을 충실히 지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경건이란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정직하게 공의를 행하며, 실존적 상황 속에서 하나님을 의지하여 살며, 겸손하게 다른 사람들에게 받은 은혜를 베풀며 사는 것을 의미했다. 신약에 나타난 경건은 사도행전이 기록될 당시에는 아직 그리스적 영향으로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보다는 신적인 능력이나 신적인 보호를 받기 위해 질서를 존중하는 태도 정도로 이해되었다. 목회서신에 와서 경건은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으로 이해되었는데, 경건은 지식과 실천 사이에 균형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베드로후서에서 경건은 그리스도인이 실천할 덕목의 총화로써 종말론적인 성격을 지녔다. 역사적으로 경건이란 사람에게 있어서 친구의 우정, 부모에게 효도, 국가에 대한 충성과 공공의 안녕을 위해 법을 지키는 것이었다. 그리스 로마 사회 이전에는 주로 인간에 적용되었으나 그리스 로마 시대에 들어와 인간과 신에게 동시에 적용되다가 그 후 어거스틴이 경건을 하나님께 적용하여 경건이란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거스틴은 경건을 “하나님을 예배함”으로 한정하여 사용하였다. 칼빈도 경건을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연관시켜 말하였다. 칼빈과 어거스틴은 경건과 종교를 거의 동의어처럼 교호적으로 사용하였다. 경건과 종교에 하나님을 예배함 즉 하나님을 경외함이라는 일맥상통(一脈相通)함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 밖에도 경건은 지혜, 헌신, 의 등과 동의어처럼 사용되었다. 칼빈은 경건을 pietas를 해석하는 차원에서 설명할 때는 어거스틴과 별 차이가 없지만 경건의 의미를 어거스틴 보다는 훨씬 더 확대 적용하였다. 경건을 하나님과 이웃, 자아 그리고 자연에 까지 확장하여 적용하여 정치, 생태, 문화 등 삶의 전 영역에 영성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칼빈의 큰 공헌이라고 할 것이다. 칼빈은 경건을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하나님을 예배함이라고 하였지만 그리스도와 연합 속에서 성화되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어거스틴도 신자의 삶을 순례자의 삶 즉 영혼의 여행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순례자를 이방인과 나그네로 묘사함으로 본향 즉 목적지에 치중하는 내세지향적인 느낌을 준다. 칼빈과 어거스틴은 모두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통해 시작된 경건은 일생을 두고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았다. 어거스틴은 영혼의 여행 단계를 복잡하고 사변적으로 표현하지만, 칼빈은 경건의 과정을 여러 단계로 표현하지 않고 부단한 연속으로 단순하게 보았다. 칼빈과 어거스틴은 경건의 원천을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믿음의 반응이라고 한다. 경건의 과정 속에서 어거스틴은 그리스도를 모범이자 모델로 보는 반면 칼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하에 교제를 강조하였다. 어거스틴에게도 그리스도의 신비에 대한 언급이 있기는 하지만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칼빈에게서 볼 수 있는 독창성이다. 칼빈과 어거스틴 모두 경건을 은혜의 작용에 의한 열매로 보지만 인간의 책임성을 전혀 도외시 하지는 않았다. 어거스틴은 경건의 목적을 인간의 행복에 두었으나 칼빈은 경건의 목적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고 하였다. ‘하나님의 영광’의 신학은 칼빈의 독특함으로써 어거스틴에서 그 개념은 자주 나타나지는 않는다. 우리는 어거스틴이 말하는 행복을 자신의 안녕을 위한 이기적인 것이 아닌 공리주의적 차원의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칼빈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행복도 동시에 강조하여 하나님께 영광 돌림이 결국 인간을 행복하게 한다고 보았다. 칼빈과 어거스틴에게 있어서 경건의 목적이 차이가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용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 어거스틴은 경건의 완성을 영혼의 안식에 둔 반면에 칼빈은 경건의 완성을 영화에 둔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영혼의 안식이 완성되고, 성화가 완성되는 것을 미래의 일 즉 종말론적인 것으로 보았다. 경건의 외현에 있어서 어거스틴은 원리적인 측면에서, 칼빈은 상당히 실용적인 측면에서 언급하고 있다. 경건의 방편으로 어거스틴은 ‘정화’, ‘진리에 대한 열망’, ‘헌신’등 원리적인 측면을 강조한 반면에 칼빈은 ‘말씀’, ‘기도’, ‘성례’와 같은 실천적인 방법에 강조를 두었다. 어거스틴은 사랑을 경건의 증표이자 열매로 강조한다. 그는 경건한 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해야

      • 칼빈의 삼위일체론적 신인식 원리

        고영윤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칼빈의 신인식론을 삼위일체론적 원리를 따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칼빈의 신인식론을 삼위일체론적으로 살펴보려는 이유는 첫째, 칼빈의『기독교 강요』가 삼위일체론적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칼빈이 신앙을 삼위일체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칼빈의 신인식론 역사에서 대두된 칼빈신학의 중심 구조와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하나님의 관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삼위일체론에 있기 때문이다. 칼빈은 중세 후기 스콜라주의와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중첩한 시대의 인물이다. 그 시대는 유명론과 인문주의로 인한 회의주의의 대두로 인식론적 전환기였다. 그럼에도 칼빈은 중세 스콜라주의뿐만 아니라 인문주의와는 다른 인식론을 형성했다. 그 이유는 그가 하나님 중심주의, 하나님의 영광, 성경의존사고에 의해 인식론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그는 지적 호기심에 의한 사변적이거나 추상적으로 하나님을 논하는 것을 비판하였으며, 신인식의 목적을 인간 구원과 경건에 두었다. 본 논문은 칼빈의 신인식론을 삼위일체론적 원리로 접근한다. 칼빈신학의 중심 원리와 구조를 따라 칼빈의 신인식론을 하나님과 인간의 지식으로 구분하고, 하나님은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하나님의 관점으로, 인간은 타락 전 인간, 타락 후 인간, 회복된 인간의 관점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님과 인간의 상응 관계로 파악하면 자연스럽게 창조주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 구속주 하나님의 계시와 중보 사역, 성령의 내적 증거와 신앙의 확신이라는 삼위일체론적 원리가 성립된다. 칼빈의 신인식론을 삼위일체론적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해서 먼저 그의 삼위일체론을 이해해야 한다. 칼빈의 삼위일체론은 한 마디로 한 분 하나님은 삼위로 계시는데 본질과 영광 그리고 권능에서 동등하시다는 사실이다.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로 구분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는 경륜적 삼위일체의 존재론적 근거이며, 경륜적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를 이해하기 위한 인식의 근거가 된다. 그러나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는 상호 지향한다. 하나님 편에서 내재적 삼위일체의 뜻과 경륜적 삼위일체의 사역은 일치하며 감춰지지 않는다. 인간 편에서 내재적 하나님의 뜻은 감춰지며, 인간은 경륜적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을 인식한 후 신앙을 통해 내재적 삼위일체를 이해한다. 내재적 삼위일체의 뜻은 삼위가 공유하고, 경륜적 삼위일체 사역은 삼위가 공동으로 행사한다. 그러나 인간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을 분석적이고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다. 인식론적 차원에서 하나님은 계시하고 인간은 인식한다. 따라서 인간이 신지식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인식과 신앙은 필수적이다. 칼빈의 신인식의 원리는 성부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와 중보, 성령의 내적 증거와 신앙의 유발 사역인 경륜적 삼위일체적이다. 성부 하나님께서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하사 그 영혼에 신의식을 심어 놓으시고 자연과 섭리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신다. 인간은 타락하여 자연과 섭리를 통해 하나님을 알 수 없게 되었다. 하나님은 자신을 인간의 수준에 맞추시고 인간의 언어로 계시인 성경을 주셨다. 그러나 객관적 진리인 성경만으로 신지식에 이를 수 없고 성령의 내적 증거가 있어야 개인에게 인식이 일어난다. 객관적 진리인 성경과 성령의 역사로 인한 주관적 진리인 신앙 사이에 그리스도의 중보가 필요하다. 신자는 말씀을 신앙을 통해 수납함으로써 신인식을 한다. 신앙은 성령의 내적 증거에 의해 생성되지만 신앙은 개인적 결단에 의해 발생하는 개인적 사건이다. 결과적으로 신인식은 성부, 성자, 성령의 주관적 사역과 인간의 신앙적 응답으로써 경험적 사건을 통해 발생한다. 믿음이 인식적으로 정당한 이유는 첫째, 신앙을 통해 얻은 지식이 확실한 지식이기 때문이다. 둘째, 신앙의 확실성 때문이다. 신앙은 하나님의 실재성과 성령의 사역을 통해 주어졌기 때문에 확실하다. 셋째, 믿음의 생명성 때문이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바로 생명이요 구원이다. 성령께서 끝까지 성도를 책임지시는 것을 경험적으로 인식한다. 칼빈의 신인식론은 삼위일체론적이다. 삼위일체론적 신인식론은 삼위 하나님이 구원협약 하에 움직이고, 인간과의 관계를 언약 속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언약적이다. 삼위 하나님의 경륜 사역의 목적은 결국 구원에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론적이다. 다른 인식론들과 비교를 통한 독특성은 철학적 인식론과 비교할 때 신학적 신인식론이며, 어거스틴의 인식론과 비교할 때 하향식 구조의 부정의 신인식론이며, 스콜라주의와 비교할 때 성경적이며,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신인식론이다. 개혁주의는 칼빈의 변증 태도를 따라 전제주의적 변증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모든 사람이 복음을 들을 수 있도록 민주적 정당성과 모든 사람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합리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언약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태도는 하나님

      • 오버행 및 노치 구조의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특성해석을 위한 혼합형 해석적 기법 연구

        고영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dissertation, I proposed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a 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PMSM) with an overhang structure. Furthermore, the analytical method was presented for calculating the air-gap magnetic field of the notch effect and skew effect.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s, the no-load results obtained by the analytical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2-D and 3-D finite element method (FEM). Finally, for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with overhang effect, two types of SPMSM models with the overhang structure were fabricated and experimented. The rotor overhang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or stack length is longer than the stator stack length. It usually utilizes the empty space of the rotor corresponding to the end-winding of the stator coil. Especially, it is mainly applied to electric motors requiring high power density in a limited space.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magnetic field properties of such an overhang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3-D FEM with a long analysis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the 3-D FEM every time in the motor design stage because of the analysis time. Therefore, I proposed conformal mapping in the axial direction. This analytical method can quickly and accurately calculate the overhang effect. In this dissertation, I mainly dealt with SPMSM among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s (PMSM). The space harmonic method (SHM) with conformal mapping was used for the 2-D analysis of the SPMSM model by calculating the air-gap magnetic flux density. Moreover, for the overhang structure, the increased magnetic flux at both ends of the stator due to the overhang effec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onformal mapping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3-D air-gap flux density wa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2-D analysis and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The no-loa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the post-processing process. Finally, the accuracy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3-D FEM results, back-EMF and cogging torque. In this Paper, an magnetic field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the skew effect and the notch effect, respectively. A method of applying a skew structure to a rotor or a method of applying a notch structure to a stator can effectively reduce cogging torque and torque ripple, which are the causes of noise and vibration of motor. Firstly, the rotor skew structure is divided into step skew and continuous skew. The final air-gap flux density of the skew model i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air-gap flux distributions of the 2-D analytical method according to the skew condition. Secondly, the stator notch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electrical steel is cut into a specific shape at the stator. Thanks to the notch structure, the cogging torque is reduced by changing the air-gap permeance. The SPMSM model with the notch structure can be analyzed by combining the SHM with conformal mapping and the SHM with sub-domain. The SHMs with conformal mapping and sub-domain were applied to the slot region and the notch region, respectively. Especially for the notch region, this air-gap flux density calculated through SHM with sub-domain was converted into a complex relative ar-gap permean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HM with conformal mapping. The skew and notch analytical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ults of each 2-D FEM.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SPMSM model with overhang and notch structures were analyzed using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s of the overhang effect and the notch effec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3-D FEM results for accuracy. To verify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of this overhang effect, two types of test motor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nalytical method with the 3-D FEM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validity of the analytical method was verified. Moreover, the SPMSM with an overhang structure for air compressor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analytical method to the design process. 본 논문에서는 오버행 구조의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SPMSM)에 대한 특성해석을 위해 해석적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노치 효과의 전자계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석적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해석적 기법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2차원 및 3차원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버행 효과에 대한 해석적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오버행 구조의 SPMSM 모델 2종을 제작 및 실험하였다. 회전자 오버행은 회전자 적층 길이가 고정자 적층 길이보다 긴 구조이다. 고정자의 코일 엔드턴(End-turn)에 대응하는 회전자의 빈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고출력밀도를 요구하는 전동기에 주로 적용된다. 이러한 오버행 구조의 전자계적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석시간이 긴 3차원 FEM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설계 단계에서 3차원 FEM을 매번 반영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신속・정확하게 오버행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해석적 기법인 축 방향 등각사상(Conformal Mapping)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중 SPMSM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며, SPMSM 모델에 대한 2차원 해석은 ‘등각사상 기반 공간고조파법(Space Harmonic Method(SHM) with Conformal Mapping)’을 적용하여 공극자속밀도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오버행 효과로 고정자 양 끝단에 증가된 자속은 축 방향 등각사상을 통해 공극자속밀도 변화량으로 파악한다. 이에 따라 2차원 해석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해석적 기법을 결합하여 3차원 공극자속밀도를 계산하며, 후처리 과정을 통해 무부하 특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큐 효과와 노치 효과에 대한 해석적 기법도 연구 및 개발하였다. 전동기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코깅토크와 토크리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방법에는 회전자에 스큐를 적용하는 방법이나 고정자에 노치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회전자 스큐는 다단 스큐와 연속 스큐로 구분되며, 스큐 조건에 맞춰 2차원 해석적 기법의 공극자속 분포를 스큐 각도만큼 회전시켜 최종 공극자속밀도를 계산한다. 고정자 노치는 고정자 내경에서 특정 형상으로 강판을 잘라낸 구조로, 공극 퍼미언스 변화를 통해 코깅토크를 저감한다. 노치 구조를 갖는 SPMSM 모델은 슬롯 영역의 ‘등각사상 기반 SHM(Conformal Mapping Method, CM)’과 노치 영역의 ‘하위영역(Sub-domain) 기반 SHM(Sub-domain Method, SM)’이라는 두 가지 해석적 기법을 결합하여 노치 효과를 분석한다. 노치 영역에서는 SM을 통해 계산된 공극자속밀도를 CM에 적용할 수 있는 복소 상대 공극 퍼미언스(Complex Relative air-gap Permeance)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큐 및 노치 해석적 기법은 각각 2차원 FEM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해석적 기법인 오버행 효과와 노치 효과의 해석적 기법들을 이용하여 오버행과 노치 구조를 갖는 SPMSM 모델의 전자계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3차원 FEM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오버행 효과의 해석적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시험용 전동기 2종을 제작하고 무부하 역기전력을 측정하였다. 해석적 기법의 결과를 3차원 FEM 및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해석적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된 해석적 기법을 설계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오버행 구조의 공기압축기용 SPMSM 모델을 설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