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혼 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과 가족생활 만족도의 관계

        고순자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quality of a personal life, and this quality is in close connection to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 family in modern society does not maintain its traditional form but continues to change in various ways. In this aspect, anticipation of family member’s roles has changed, and each individual’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s not likely to be shared in a uniform way. As women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have mo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cultural life, family members have less time to spend together. Since there are more social activities than life in family tie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s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members of family. Th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ye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effect religious activities have on family ties in modern society.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can vary according to the ages of married women and family members, an income level, the unity of relig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support, and the degree of religious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s the basis of social welfare. It shall also examine how their religious activities should be faring to improve such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all define the way in which both the unity of religion and religious support ha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o solve the suggested research problems, it shall suggest hypotheses by analyzing theoretical data from precedent studies that are relevant to the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For experiential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hypotheses,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married women with Christian fait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14 married women, regardless of their ages, of churches in Seoul, Euijeongbu, Yangju, Dongducheon, Yeoncheon, and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analysis were suggested through us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at are necessary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is found a plus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s religious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erefore, as there is much involvement in religious activities, there is also much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t is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more actively for an improvement in such satisfaction. Secon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when there is religious unity among family members. It is thus significant to remove disunity in religion among them, in order to allow the women’s religious activities to make a direct contribution to an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ir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uch satisfaction,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religious support from the family members. Their support is thus most important to have this plus relationship.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all be more generalized through extensive and in-depth studies, which take more diverse variables to support the outcomes. 사회복지는 개인의 삶의 질을 바탕으로 하며, 개인의 삶의 질은 가족생활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현대사회의 가족은 더 이상 전형적인 형태의 모습을 유지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구성원들의 역할기대 또한 변화되었고 구성원 개인들의 가족생활 만족도도 획일적으로 공유된다고 볼 수 없다. 오늘날 여성의 사회활동에의 참여가 활발해졌고,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 이외에도 교육이나 문화생활의 기회가 많아져서 가족구성원들이 함께 하는 시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었다. 가족 내의 생활보다는 사회활동이 많아져서 상대적으로 가족생활에서 느끼는 만족도 또한 가족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있어서 다를 수밖에 없다. 가족생활 만족도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신앙 활동이 현대사회의 가족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혼여성과 가족구성원들의 연령이나 소득수준, 가족 상호간 신앙의 일치성 여부와 가족의 지지도, 그리고 신앙 활동의 정도에 따라 가족생활만족도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의 정도와 사회복지의 기반을 이루는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더 나아가 가족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의 신앙활동 일치도와 신앙활동 지지도가 그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제시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과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로부터의 이론적 자료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가설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가설들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위해, 기독교 신앙을 가진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자료 수집을 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서울, 의정부, 양주, 동두천, 연천, 기타지역의 교회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나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5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가설검증에 필요한 correlation, regression 등으로 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정도와 가족생활만족도는 서로 정(+)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 정도가 클수록 가족생활만족도 또한 크기 때문에, 가족생활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라도 신앙 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생활의 일치도가 있는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가 보다 직접적으로 가족생활만족도를 고양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족들 간에 신앙의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 활동 지지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가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신앙지지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후속연구들에서는 좀 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폭 넓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들이 더욱 일반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운지버섯 열수 추출액이 Sarcoma-180 복강암세포에 대한 NK 활성도 및 백혈구의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

        高順子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Water-Soluble Extraction from Coriolas versicolor on the growth of tumor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immunocytes in vivo. The lymphocytes were seperated from the spleen of tumor-bearing mice administrated orally Coriolus versicolor extrat. Cytotoxicity of NK cells was observed by using the method of four-hours ^(51)Cr-release. Chemotaxis of leukocytes seperated from peripheral blood was measured using Modified Boyden chamb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The cytotoxicity of NK cells from normal saline treated tumor-bearing mic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cytotoxicity of NK cells from Coriolas versicolor treated tumor-bearing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25) 2.The chemotaxis of leukocytes from normal saline treated tumor-bea ring mic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chemotaxis of leukocytes from Coriolas versicolor treated tumor-bearing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25)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Water-Soluble Extraction from Coriolas versicolor could inhibit the growth of mouse tumor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cytotoxicity of NK cells and the activation of chemotactic leukocytes.

      • 자원봉사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순자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자원봉사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원주시 문막읍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결과 및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문막읍의 자원봉사활성화 방안을 모색함과 함께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기관에서도 자원봉사자를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자원봉사기관의 관리과정 · 관리자의 태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169부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지역내 기업체 직장인과 학생들, 의료기간 종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와 모집 방법의 필요하고 그 방법으로 자원봉사자의 주위의 사람들에게 참여를 유도하는 비공식적 홍보와 문막읍사무소와의 연계를 통한 공식적 창구를 이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로 조사결과 지역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독거노인에 대한 자원봉사 활동의 필요성이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노인과 관련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심리적 지지를 위한 프로그램과 함께 생활안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조사결과 문막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간 개별적으로 진행해오던 자원봉사활동을 단체 간의 지역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프로그램의 공동개발과 자원봉사활동을 계획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로 사전교육이 실제 봉사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많이 나타나고 있고, 실무교육을 포함한 사회문제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이러한 교육적 욕구를 해소할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로 봉사활동 업무와 관련하여 피드백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평가를 통한 피드백 부분을 강화할 필요하다. 여섯째로 인정과 보상이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하기위한 중요한 수단은 아닐지라도 자원봉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최소한의 인정 · 보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ing Strategies for Voluntary Koh, Soon-j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Policy Sangji University, Won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Ryu, Man-hee) This study aimed to find problems of voluntary work by examining surveys and analysis of voluntary workers in Munmak-eup, Wonju-si, search activation methods for voluntary work in Munmak-eup, and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continuou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voluntary workers by organizations utilizing voluntary worker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activate voluntary work activities. The survey included present conditions of voluntary work activities, management procedures and managers' attitudes of voluntary work organizations, satisfaction on voluntary work activities and knowledge about the local community. 169 vali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to activate voluntary work activities. First, various ways of advertising and collecting methods that attracts participations of local workers, students and medical care providers are necessary. Also, unofficial advertisements attracting participations of people close to voluntary workers and uses of official counters of Munmak-eup Office are needed. Second, the most urgent problems of the region were needs of voluntary work activities for seniors who lives along. It was 24.4%. The voluntary work programs for them should be planned to include psychological supports and stabilization of livelihood. Third, the research showed there were high interest in Munmak area. The problems should be solved efficiently by forming local networks of individual voluntary work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co-develop programs and plan voluntary work activities. Fourth, the research showed that prior education for voluntary work activities are actually helping voluntary work activities, and there are needs for educations on social issues including actual work educations. Various ways to solve such educational desires shall be prepared. Fifth, the feedbacks related to voluntary work activities are relatively low. The feedbacks through evaluations should be enhanced. Sixth, recognitions and rewards may not be the significant means for activation of voluntary work activities, but they can be attraction factors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voluntary work activities. Therefore, the least extension of recognition and rewards are necessary in order to activate voluntary work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