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의무기록 사용자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간의 연관성

        고수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조사하고, 만족도와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이 도입된 일개 종합병원의 보건의료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직무스트레스(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의사 108명, 간호사 176명, 기타 직종 9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 전자의무기록 사용자만족도는 여자에서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연수가 길수록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타병원에서의 EMR 시스템 사용기간별로 보았을 때는 1년이상-2년 미만의 경우가 “표준화 및 정보활용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서는 의사가 대부분의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기타직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근무형태별로 보았을 때는 정규직의 경우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자율성”, “보상부적절”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자율성”과 “보상부적절”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줄어들었고, 특히 40세 이상 에서는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관계갈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근무년수가 1년 미만인 경우 “조직적 관리체계”에서 낮은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고, 5년 이상인 경우 “직장문화”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병원에서의 EMR 사용기간과 타병원에서의 종이의무기록 사용 여부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직종별로는 의사에서 “직무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간호사에서 “조직적 관리체계”와 “보상부적절” 항목에서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별로는 비정규직에서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가 현저히 높으며, 정규직에서 “직무요구도”, “조직적 관리체계”, “보상부적절" 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및 EMR 사용자 만족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EMR시스템에 대한 전체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EMR 교육 등 적절한 관리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쌍곡형 쉘의 형태를 지닌 냉각탑의 진동 연구

        고수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three-dimensional (3-D) method of analysis is presented for determining the free vibration frequencies of hyperboloidal shells free at the top edge and clamped at the bottom edge like a hyperboloidal cooling tower by the Ritz method based upon the circular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instead of related 3D shell coordinates which are normal and tangent to the shell midsurface. The Legendre polynomials are used as admissible displacements. Convergence to four-digit exactitude is demonstrated. Natural frequencies from the present 3-D analysis a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straight beams with circular cross section, complete (not truncated) conical shells, and circular cylindrical shells as special cases of hyperboloidal shells from the classical beam theory, 2-D thin shell theory, and other 3-D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쌍곡형 냉각탑과 같이 상단 모서리가 자유이며 하단 모서리는 고정되어 있는 쌍곡형 쉘의 고유 진동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삼차원 (3-D)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좌표축은 쉘 중간 면에 수직이고 접하는 삼차원 (3-D) 쉘 좌표 대신 원기둥 좌표가 사용된다. 해석법으로는 리츠법(Ritz Method)이 적용되었으며, 변위함수로는 르장드르 (Legendre) 다항식이 사용된다. 결과값들은 유효숫자 네 자리까지 수렴된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본 3-D 분석을 통해 구해진 고유 진동수는 타 이론 (기존의 보 이론, 2-D 얇은 쉘 이론, 또 다른 3-D 이론)으로 해석된 원형 단면을 갖는 보, 원뿔형 쉘, 원통형 쉘의 진동수와 비교하여 본 연구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 Buchwald 리간드-Pd 촉매화 선택적 C-N 커플링 반응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및 형광 나노프로브 합성

        고수민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Buchwald-Hartwig amination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할로겐의 Oxidative addition 속도에 따른 반응성 차이와 MIXED 된 촉매 시스템(Brettphos ligand + Ruphos ligand) 으로 한 스텝에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PTAA 합성법 개발을 진행하였다. PTAA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electrochromic deivce, battery cathode coating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핵심 물질로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 제조는 반응 후 발생하는 부산물 처리와 고분자 전구체 준비에 있어 반응 스텝과 정제의 번거로움이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diversity-oriented polymerization 전략을 기반으로, 아릴 및 아민 단량체를 보유하는 쉽게 접근 가능한 전구체 중합을 사용하여 Pd-촉매로 Multicomponent Amination Reaction을 이용한 alternating 고분자 합성을 보고한다. 이 전략을 기반으로 PTAA 폴리머 24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GPC 측정과 13C NMR 및 MALDI-TOF 분석을 통해 높은 반응성과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된 고분자 합성법 기반으로 기존의 BTDAN 기반의 형광프로브를 고분자 형광프로브로 만들기 위해 두 개의 할라이드기를 가지고 있는 BTDAN 화합물과 amine 화합물을 이용한 coupling 반응을 디자인 하였다. 그 후 PL측정과 DLS 및 HeLa Cells 세포실험 진행을 통해 세포 내 침투가 개선되었고 형광 세기가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 Evaluation of L-tryptophan associated Eosinophilia-Myalgia Syndrome in Rat 90-Day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고수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산구증가근육통증후군(Eosinophilia-myalgia syndrome, EMS)은 1989년에 뉴멕시코에서 L-트립토판(L-tryptophan)을 보조제로서 섭취한 사람에서 처음 발병한 희귀한 질환이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서도 L-트립토판은 필수 아미노산이며,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되지 않아 동물에서도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EMS 발생 이후, L-트립토판과 다른 아미노산들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규제기관에서 필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건조 L-트립토판은 대사공학적으로 변형된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발효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Sprague Dawley (SD) 랫드를 이용하여 90일 반복투여 아만성 독성 시험을 통해 L-트립토판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매일 0, 500, 1000, 그리고 20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투여군은 군당 수컷 10마리, 암컷 10마리로 13주간 투여하였다. 0 및 20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 대해서는 13주 투여가 끝난 후 관찰된 변화의 가역성을 확인하기 위해 4주간의 회복기간을 두었으며, 군당 수컷 5마리, 암컷 5마리를 통해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0 및 2000 mg/kg 투여군의 전체 개체에 대하여 L-트립토판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EMS의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몇 개의 관련된 조직에 특수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시험기간 전체 기간 및 회복 기간동안 모든 용량에서 L-트립토판과 관련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수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시행한 분석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의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는 최대무독성량(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은 2000 mg/kg인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시험에서 사용된 L-트립토판에서는 EMS에 대한 우려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Eosinophilia-myalgia syndrome (EMS) is a rare disease that was observed in the human who took L-tryptophan as a dietary supplement in 1989 in New Mexico. Since the L-tryptophan is an essential amino acid for not only humans, but also in animals, L-tryptophan had used as a feed additive in livestock.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EMS, the safety evaluation of L-tryptophan and other amino acids has been required by the regulatory. Dried L-tryptophan fermentation product is a part of materials of feed additive produced by fermentation with metabolically engineered Corynebacterium glutamicum. The safety of the dried L-tryptophan fermentation product was evaluated by a subchronic toxicity study in Sprague Dawley (SD) rats. The product was administered daily by oral gavage at dose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to groups of 10 male and 10 female SD rats for 13 weeks. For the groups that were administered doses of 0 and 2000 mg/kg/day, an additional 5 male and 5 female SD rats were tested as a recovery group.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L-tryptophan-associated EMS on selected organs. No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the test substance were observed in male or female SD rats after 13 weeks of administration at dosage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and 4 weeks of recovery at dosages of 0 and 2000 mg/kg/day. Furthermor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in both sexes of administration groups given 0 and 2000 mg/kg/day. Therefore,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of the dried L-tryptophan fermentation product was determined to be 2000 mg/kg/day in both sexes and significant histopathological evidence on EMS was not observ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dried L-tryptophan.

      • SNS 마케팅 특성이 MZ세대의 외모관리행동과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수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Z세대를 대상으로 SNS 마케팅의 특성이 외모관리행동과 구매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SNS 마케팅을 진행하는 기업과 기관 등이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더욱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SNS 마케팅의 전 략적인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내용은 1981∼1996년생인 M세대와 1997∼2004년생인 Z세대를 대상으 로 외모관리행동과 구매만족도, 지각된 유용성 항목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356부의 설문지를 본 논문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SPSS와 AMOS Version 28.0 통계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 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Cronbach’s α) 분석, 구조방정식모델검증 (SMA :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부트스트레핑(bootstraping) 기법을 사용하 였다. 가설 검증 결과 SNS 마케팅은 지각된 유용성과 외모관리행동, 구매만족도에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구매만족도와는 정(+) 의 관계를 가지지만 외모관리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SNS 마케팅 특성이 MZ세대의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용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SNS 마케팅 특성이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H4과 H6를 제외한 나머지 H1, H2, H3, H5, H7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SNS 마케팅의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 4가지 특성은 MZ세대의 지각된 유용성과 외모관리행동, 구매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쳤으며 SNS 마케팅 특성이 외모관리행동과 구매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는 구매만족도에만 부분 매개효과 를 보였다. SNS 마케팅 특성 중 정보제공성이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에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체형관리행동과 구매만 족도에서는 유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과 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SNS 마케팅을 진 행할 때는 이용자에게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지 속적인 SNS 방문을 유지하기 위해 흥미 유발 요소를 적극 이용하도록 하는 것 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용자의 지각된 유용성의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이용자들 특성에 따라 각각 다양하고 의미 있는 콘텐츠 제작과 마케팅 전 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NS marketing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the MZ gener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In this study, the final 35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or this paper by conducting a survey online and offline for Generation M born in 1981-1996 and Generation Z born in 1997-2004,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Version 28.0 statistical programs. As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s α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SMA),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us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t was found that SNS marketing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perceived useful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purchase satisfaction, but not wit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the MZ generation,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effect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equently, the remaining H1, H2, H3, H5, H7 except for H4 and H6, were adopted.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NS marke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ly on purchase satisfa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marketing, information provis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hair management behavior, makeup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management behavior amo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playfulness had the most influence on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ost important to convey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to users when conducting SNS marke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companies and institutions,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actively use interest-inducing factors to maintain continuous SNS visit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sers' perceived usefulnes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and meaningful content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users' characteristics. Keywords: SNS marketing, MZ genera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urchase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 조직지원인식, 직원몰입, 지식공유의도,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 :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고수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찰공무원의 적극적인 치안업무 수행을 위하여 경찰 개개인의 직무수 행 능력과 적극성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 는 외부환경과 예측 불가한 범죄 상황에서 경찰공무원의 현장대응력은 늘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의 현장대응력 강화를 위해 조직의 지 원을 통한 직원몰입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조직지원인식, 직원몰입, 지식공유 의도,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경찰공무원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설문조가 결과에 대한 실증연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조직지원인식과 직원몰입, 지식공유의도, 적응수행 간 의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변인 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둘째, 변인 간 직접적 영향 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직원몰입과 지식공유의도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공무원 2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 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조직지원인식은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 을 미쳤으며, 직원몰입은 지식공유의도와 적응수행에 각각 정(+)적인 영 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식공유의도는 적응수행에 정(+)적 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과 지식공유의 도의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직지 원인식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직원몰입과 지식공유의도의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지원인식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직원몰입과 지식공 유의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 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bility and activeness of individual police officers to perform their duties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ctive performance of policing. However, the field responsiveness of police officers in the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unpredictable crime situation is always discus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be engaged and share knowledge through organizational support to strengthen the field response capability of police offic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employee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linear research analysis, focusing on police officers, and derived the following finding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ffects adaptive performance by enhancing employee commitment and increasing knowledge sharing, and to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Specifically, the study first establishes a research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mployee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formulates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s examined. Third,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 commitment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daptiv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72 police officials, and based on the collected sample,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commitment and an inhibitory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path was deleted. Employe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was significant,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ommitment on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daptive performance was also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 commitment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Efficient channel state feedback schemes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in OFDMA systems

        고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dissertation, we study a channel state feedback reduction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s. Opportunistic scheduling can increase the system throughput by allocating resource to the user with the most favorable channel state. Since the transmitter requires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state in advance of scheduling, each user needs to feed back its channel state (i.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 to the base station (B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dopting OFDMA which divides bandwidth into multiple subchannels, feedback load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ubchannels. Since the total resource is limited, the amount of radio resource dedicated to the data traffic decreases as feedback load increases. Thus, feedback load reduction becomes a very active research topic in the OFDMA systems. In the first part of the dissertation, we formulate a channel state feedback scheme that efficiently trades off the quality (i.e., the number of subchannels that are fed back) and the quantity (i.e., the accuracy of the feedback with respect to the real subchannel condi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feedback load is determined by two factors, one is the quantity of feedback and the other is the quality of feedback. Thus, if one wants to reduce the feedback load he/she can take two different approaches -- reducing the quantity of feedback information or reducing the quality. Noting that it is obviously desirable to adaptively balance between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bchannel conditions of the users, we propose a new feedback scheme called mode selection-based feedback (MF) that efficiently trades off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This scheme is designed to select the more preferable feedback mode between selective feedback (SF) mode which is suitable for quality-friendly environment and bitmap-based feedback (BF) mode suitable for quantity-friendly environment. As a result, the MF scheme can improve the average total throughput significantly over that of the existing feedback schemes with the same feedback load. In the second part of the dissertation, we formulate a channel state feedback scheme that maximizes the scheduling opportunity. The feedback of a subchannel by a user only wastes the uplink resource if the subchannel is not allocated to the user. Thus, an ideal feedback scheme with the maximum feedback efficiency is nothing but a scheme that makes each user feed back the state of a subchannel only if the user knows a priori the BS will allocate the subchannel to the user. However, the ideal scheme is not realizable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a user to know the scheduling result a priori. As a good emulation of the ideal feedback scheme, we design a new feedback scheme called mode selection-based feedback by scheduling probability prediction (SPP-MF) to maximize the scheduling opportunity. Specifically, in the SPP-MF scheme, each user first calculates the scheduling probability of each subchannel (i.e., the probability that the user wins the competition for the subchannel) and then reports the states of the subchannels with higher scheduling probability. Nume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SPP-MF scheme gets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e existing feedback schemes which report the subchannels with higher MCS level,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MCS levels of subchannels do not coincide with their scheduling probabilities.

      •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2023) 흥행 요인 연구 : 30~40대 밀레니얼 세대의 슬친자 신드롬을 중심으로

        고수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近期,電影消費趨勢呈現新趨勢。韓國戲院的韓國電影產業正面臨票房危機。 本文探討了成為票房冠軍的電影《灌籃高手》(2023)聚焦於上映初期的'30多歲和40多 歲千禧一代的‘灌籃高手狂迷症候群’現象,可用於分析本片觀眾的懷舊營銷,包括快 閃店、加油放映、N次觀影(活動)、舞台問候等體驗式內容,製作及放映科技的發 展,敘事與導向因素。 本文根據世代特徵對票房成功因素進行了分析,以確定哪些 因素影響了這一代人的票房成功。本研究基於分析韓國電影面臨戲院票房危機時電影與觀眾之間的互動,旨在因 應未來韓國電影產業在韓國戲院的票房危機。 同時目的是在製作者和觀眾之間建立 共識,激發觀眾的持續參與和興趣。 鑑於目前還沒有從文化創意產業(文化內容) 角度分析電影票房因素的學術研究,本研究可以作為韓國對電影《灌籃高手》(2023) 展開討論的先例, 這點是具有重要意義。從貫穿古今的角度分析特定世代的電影消 費傾向,對於理解特定世代的社會現象、理解文化內涵提供有意義的啟示。 由於在韓國戲院比韓國電影以外國電影為主票房熱潮,之所以選擇外國電影作 為分析對象。本文通過對30多歲~40多歲的千禧一代假定的灌籃高手狂迷的留言, 客觀地考察了灌籃高手狂迷的一般模式,並重點關注運用於菲斯克·約翰的接受者理 論、哈布瓦克斯·莫里斯的集體記憶理論和亨利·詹金斯的粉絲圈理論來進行了研究。根據CGV統計,基於上映初期票房主導的年齡段和性別為30多歲~40多歲的 男性,聚焦世代特徵,通過深度訪談法嘗試分析電影票房的影響因素。 通過對少數 人隨機選擇的受試者來進行密集和深入的訪談並得出共同的世代特徵,能夠獲得有 意義的研究結果。 由於他們是90年代灌籃高手世代的活的見證人和該領域的專家, 因此本文提示他們的答案對於反映票房現像很有價值。此外,本文顯示理解文化創 意產業(文化內容)中所包含的人文價值的一個重要領域,因為它是改善我們生活 的重要因素。30多歲和40多歲的千禧一代會對記憶做出反應,但最終,僅僅因為所有作品都 能喚起記憶並不會在很長一段時間內對流行產生影響。《灌籃高手》所獨有的熱情、 努力、友誼等特質, 激發了人們觀看和解讀文本的慾望,並通過將其應用到個人社 會體驗中來創造意義。30多歲~40多歲的千禧一代會對記憶做出反應,但最終,僅 僅因為所有作品都能喚起記憶並不能在很長一段時間內對流行產生影響。《灌籃高 手》所獨有的熱情、努力、友誼等特質,激發了人們觀看的慾望,並通過將其應用到 個人社會體驗中來解讀文本而創造意義。特別是,真誠的敘述為當今掙扎的現代人 創造了‘同理心’。由於動漫的性質,主角在30年後依然是學生,這給人們帶來了完 美的回憶,這也是與其他懷舊電影續集的不同之處。由於動漫的性質, 主角在30年 後依然是學生, 這給人們帶來了完美的回憶,這也是與其他懷舊電影續集的不同之 處。30~40多歲的千禧一代主要通過觀看電影來消費電影的傾向是由於“原創的力 量”,儘管他們是位於經濟活動中的地位,但他們就喜歡熟悉的東西而不享受購買商 品、參加快閃店、以及舞台問候等體驗內容,這是一種不喜歡新奇獨特事物的'世代 傾向'。 通過結合 2D和3D的生產技術,巧妙地實現了電影裡面人物的動作。 過去M一代的“傑作”,與當前Z一代的技術因素相結合,進行了重新製作,成為可以覆蓋 所有世代的內容。這就是文化創意產業(文化內容)所追求的賦予跨越過去和現在 的當代性的意義。 Recently, movie consumption trends are showing a new trend. This paper analyzes the ‘Crazy for Slam Dunk syndrome’ Focusing on millennials in their 30s and 40s' in the early days of the release of the movie <The First Slam Dunk>(2023), which ranked first at the box office during Korean film industry is facing a box office crisis in Korean theaters,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audience of this film, which factors among nostalgia marketing that experiential content including pop-up stores, cheering screenings, N-th viewings (events), stage greetings, etc., development of production and screening technology, narrative and directing, The box office success factor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fluenced this particular generation to lead the box office hit. This study is based on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movies and audiences at a time when Korean movies are facing a box-office crisis in theaters, and aims to respond to the future box-office crisi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Korean theaters. The goal is to construct bond of sympathy between producers and visitors and to stimulate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visitors. This film can serve as a precedent study in Korea to start a discussion on the film <The First Slam Dunk> (2023), given that there is no existing academic research that analyzes movie box office factors from a cultural content(creative industry) perspective.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Analyzing the tendencies contained in the film consumption of a specific generation from a perspective that penetrates the past and present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ultural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the social phenomenon of a specific gener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because foreign films are more popular than Korean films in Korean theaters. This paper objectively examines the general pattern of ‘Crazy for Slam Dunk’ through a review of presumed ‘Crazy for Slam Dunk’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their 30s and 40s, and Research was conducted focuses on Fiske John's recipient theory, Halbwachs Maurice's collective memory theory, and Jenkins Henry's fandom theory. According to CGV statistic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ge and gender that led the box office in the early days of release were men in their 30s and 40s, we focused on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movie's box office suc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were able to obtain meaningful research results by conducting intensiv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ew interviewee but randomly selected group of subjects and deriving common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Since they responded as living witnesses to the slam dunk generation of the 90s and as experts in the fiel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ir answers are valuable in reflecting the box office phenomen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an important area to understand the humanistic value contained in cultural content because it is an essential element in life that improves our lives. Millennials in their 30s and 40s respond to memories, but ultimately, just because all works evoke memories does not have an effect on popular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lam Dunk, such as passion, effort, and friendship, stimulate people's desire to watch and interpret the text and create meaning by applying it to individual social experiences. In particular, authentic narratives have created ‘empathy’ for modern people who are struggling today. Due to the nature of animation, the main character remains the same as a student even after 30 years, which brings back perfect memories and serves as a difference from other nostalgia movies produced as sequels. The tendency of Millennials in their 30s and 40s to consume movies mainly through watching movies is due to the 'power of the original', and despite their economic status, they prefer familiar things over experiential content such as purchasing goods, pop-up stores, and stage greetings. A ‘generational tendency’ to not enjoy new and unique things has emerged. Movement was sophisticatedly realized through production technology that combined 2D and 3D. The ‘masterpieces’ of the past M generation were remade by combining them with technical elements for the current Z generation, becoming content that can encompass all generations. This is the meaning of giving the contemporaneity that crosses the past and present that cultural content aims for. 최근 영화 소비 트랜드는 새로운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극장 내 한국영화 산업의 흥행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이 시기 박스 오피스 1위를 기 록한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2023)의 개봉 초창기 ‘30~40대 밀레니얼 세대 의 슬친자 신드롬’에 주목하여 이 영화의 수용자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노스 탤지어 마케팅과 더불어 팝업스토어, 응원상영회, N차 관람(이벤트), 무대인사 등을 포함한 체험형 콘텐츠, 제작·상영 기술의 발전, 서사 및 연출 요인 중 어 느 요인이 이 특정 세대로 하여금 흥행주도에 영향을 끼쳤는지 세대적 특성과 연관지어 흥행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영화의 극장 내 흥행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영화 와 관람객의 사이의 영화 흥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기반이 되어 한국극장 내 향후 한국 영화산업의 흥행 위기에 대응하고자 하며, 동시에 제작자와 관람 객 사이에 공감대를 구축하고, 관람객의 지속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이 영화는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영화 흥행요인을 분석하는 기 존의 학문적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다는 점에서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 크>(2023)라는 영화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한국의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관점에서 특정 세대의 영화 소비 속에 내포된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은 특정 세대의 사회현상을 이해함으로써 문 화적 함의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극장 내에서 주로 한국영화보다 외화(外畵) 위주의 흥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외화(外畵)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다. 본 논 문은 30~40대 밀레니얼 세대 슬친자로 추정되는 리뷰를 통해 일반적인 슬친자 의 양상을 객관적으로 살펴본 후, 존 피스크의 수용자 이론과 더불어 모리스 알박스의 집단 기억 이론, 헨리 젠킨스 팬덤 이론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했다. CGV통계에 따르면 개봉 초창기 흥행 주도 연령과 성별이 30~40대 남성인 점에 근거하여 세대적 특성에 주목해 심층면접을 통해 영화 흥행요인 분석을 시도했다. 소수이지만 임의로 선정한 대상자들을 통해 집중적이고, 심층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세대적 특성들을 도출해냄으로써 유의 미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들은 90년대 슬램덩크 세대의 산증인이자 그 분야의 전문가로서 응답하였기에 그들의 답변이 흥행 현상을 반영하는데 있 어 가치 있음을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바이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내포하는 인 문학적 가치란 우리의 삶을 제고하는 인생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그 가치 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임을 제시한다. 30~40대 밀레니얼 세대 슬친자는 추억에 반응하지만 결과적으로 모든 작품이 추억을 소환한다고 해서 오랜 시간 인기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열정, 노력, 우정 등 슬램덩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관람 욕구를 자극하고, 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대입해 텍스트를 해석하고 의미를 생 성하는 것이다. 특히 진정성 있는 서사가 오늘날 고군분투 하며 살아가는 현대 인들에게 ‘공감’을 형성한 것이다. 애니메이션 특성상 주인공이 30년이 흐른 시 간에도 변함없는 학생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완벽한 추억을 소환하는 것으 로 속편으로 제작된 다른 노스탤지어 영화와의 차이점으로 작용한다. 30~40대 밀레니얼 세대 슬친자의 영화 관람 위주로 영화를 소비하는 경향성은 바로 ‘원 작의 힘’에 있었고, 그들은 경제적 위치에 있음에도 굿즈 구입, 팝업스토어, 무 대인사 같은 체험형 콘텐츠보다 익숙한 것을 선호하고 새로운 독특한 것을 즐 기려 하지 않는 ‘세대적 경향성’이 나타났다. 2D와 3D를 결합한 제작기술을 통 해 움직임을 세련되게 구현했다. 과거 M세대의 ‘명작’을 현재 Z세대에 맞게 기 술적 요소와 결합하여 리메이크해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콘텐츠가 되었다. 이것이 문화콘텐츠가 지향하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동시대성을 부여하는 의미다.

      • 평생교육으로서 발레가 성인학습자의 문화향유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수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성인들은 문화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형의 문화소비자와 여가 활동자로서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성인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발전과 문화향유 증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분야 가운데 무용 장르가 신체, 정서, 인지, 사회적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성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제 무용교육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교육이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 문화향유와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발레가 문화향유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발레교육이 평생교육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사설 발레학원에서 발레 강좌에 참여하고 발레교육에 1개월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학습자 14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발레교육 전과 후의 문화향유 태도의 차이 분석 결과 발레교육 경험 전 집단에 비해 발레교육 경험 후 집단이 문화향유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레교육 경험 기간에 따른 발레교육 만족도는 발레교육 경험 1년 미만 집단과 1년 이상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직업과 소득에 따른 발레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레교육 경험과 참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인터넷을 통하여 사설 무용학원에서 Basic Class를 주 2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섯째,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 경험과 소비 현황을 살펴보면 발레교육 참여 전보다 발레교육 참여 후 무용공연의 직접 관람 및 매체를 통한 영상 관람 경험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발레를 직접 체험하고 경험함으로써 문화향유를 즐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으로서 발레를 통해 문화향유 태도의 변화와 향유의 범위가 증가했고 그들의 삶에서 발레를 하나의 문화로 향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인학습자들은 발레교육 활성화를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무용 시장의 한 소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용 장르에서의 문화향유 증대의 가장 중요한 본질은 발레교육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성인학습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발레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며, 이와 함께 교육기관과 문화향유가 함께 연결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