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고성실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문초록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1년 12월) 고 성 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위기 속에 살아가고 있다. 위기는 어느 누구에게나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다. 본 논문은 위기 상담자들이 위기의 대처 방법과 원리를 잘 습득, 훈련하여 피상담자들을 슬기롭게 대처하게 돕고, 같은 상황에서라도 희생을 최소화하려는 목적뿐 아니라 내담자가 위기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깨달아 구원받고, 변화하여 성화의 단계에 이르게 하는데 있다. 특별히 본 논문은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하여 고찰함으로 피상담자의 전체의 삶이 성부 하나님, 성자 예수님, 성령님의 사역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고 변화, 성장하여 성화의 삶을 살아 성경적인 전체적 구조화의 온전한 기독교인이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Ⅲ장의 영역이 바로 본 논문의 주요 장으로서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이 제시된다. Ⅲ장에서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을 제시하기 위해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의 의미, 위기상담의 목적, 위기상담의 특성을 살펴보고, 위기상담의 활용 원리와 방법을 적용하여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의 단계와 위기상담자의 행동양식 그리고 위기상담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6단계인데, 1단계는 경청과 격려로 신뢰관계 형성, 2단계는 소망과 문제의 신속한 진입, 3단계는 자료수집과 피상담자의 탐색, 4단계는 피상담자의 변화를 위한 직면, 5단계는 피상담자의 새 생활화, 6단계는 성령의 열매 맺는 생활이다. 위기상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성경을 적용하며 성경의 원리와 방법으로 상담하는 특성이 있다. 왜냐하면 권면적 상담은 성경적인 상담이 되어야만 하며 권면적 상담은 성경의 원리와 방법으로 상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성령을 전적으로 의지하여야 하는 특성이 있다.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는 상담이란 성령의 중생케 하시는 사역과 성화시키시는 사역의 조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죄를 지적하고 회개시키는 특성이 있다. 권면적 상담은 내담자에게 죄에 직면하게 하여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여 옛 습관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유형의 삶을 살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넷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어느 부분적인 문제에만 치우치는 상담이 아니라 전체적 삶의 구조화에 관심을 갖는 특성이 있다. 왜냐하면 문제는 모든 영역에 영향을 주며 모든 영역이 하나님과 적절한 관계를 가질 때에는 그 문제가 언제나 해결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전체의 구조화를 위해 자료를 사용하는 특성이 있다. 왜냐하면 피상담자를 더 잘 알기 위해서는 자료를 통하여 모든 요인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영혼을 구원시키는 복음전도의 사역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기독교인들은 불신자를 상담할 때에도 복음을 전도해야 하는데 그것은 상담을 구원하는 사역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여섯 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은 피상담자들이 예수님을 통해 변화, 성장하여 옛 습관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유형인 성경적인 습관으로서의 성화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단어와 목소리의 성별 합치가 어휘 접속에 미치는 영향

        고성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연령에서 검증된 단어-화자 합치 효과가 다른 사회적 범주인 성별로의 일반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단어와 화자의 성별이 일치할 때 어휘접속이 촉진된다는 것을 연구 가설로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 총 15명(여성 8명, 남성 7명)이 연구에 참가하였고, 참가자들은 선행 연구를 통해 구성된 잠재적인 성별 편향 단어 242개(여성 단어 113개, 남성 단어 129개)를 제시받고 두 가지 문항에 응답하였다. 사용 빈도를 측정하는 ‘해당 단어를 얼마나 자주 실제 대화에서 사용하십니까’라는 문항과 고정관념을 측정하는 ‘해당 단어를 누가 더 많이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의 두 문항이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의 성별과 상관없이 모두 여성 단어를 여성이 더 많이 사용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나타났고, 남성 단어에 대해서는 여성이 더 적게 사용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나타났다. 사용 빈도에서는 남성 참가자보다 여성 참가자가 유의미하게 여성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남성 단어에 대해서는 참가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참가자 성별과 상관없이 여성 단어를 남성 단어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단어와 남성 단어, 중립 단어 각 36개를 실험 자극으로 선정하여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 총 20명의 여성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실험에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은 실험 자극을 헤드셋을 통해 제시받고 제시된 음절이 단어인지 비단어인지 판단하는 어휘판단과제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반응 시간과 정확도에서 모두 화자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남성 단어보다 여성 단어와 중립 단어에서 더 빠르게 정확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화자 성별에 상관없이 여성 고정관념과 여성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정확도가 높았다. 반응 시간은 여성 단어와 남성 단어에서 화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중립 단어에서는 남성 화자가 발화했을 때 여성 화자가 발화했을 때보다 반응 시간이 더 유의미하게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정확도와 반응시간 모두 연구에서 예상한 결과와 다른 상호작용 양상이 관찰되어 연구 가설을 기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서의 단어-화자 합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사용 빈도 조사를 통해 성별어의 사용 빈도 및 고정관념을 수치화하였다. 이를 통해 이후에 있을 성별어에 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단어의 고정관념과 사용빈도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현대 사회에서 단어의 고정관념과 사용빈도가 일치하지 않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며 단어-화자 성별 합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e word-voice congruence effect verified by age through previous studies to gender, which is a different social category. It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hypothesis that lexical access is facilitated when the gender of words and voice matched.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is. In Study 1, a total of 15 people (8 females, 7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242 potential gender-biased words (113 female words, 129 male words) constru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wo answered several questions. There were two questions: ‘How often do you use the word in actual conversations’ to measure the usage frequency and ‘Who do you think will use the word more often’ to measure stereotyp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stereotypes that female would use more female words regardless of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and that female would use fewer male words. In usage frequency, female participants used significantly more female words than male participant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participants’ gender for male word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words were used more than male words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36 female words, male words, and 36 neutral word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and a lexical decision task was performed. In Study 2, a total of 20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the experimental stimuli through a headset and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ted syllables were a word or a non-word.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peaker’s gender in both reaction time and accuracy, and there was a tendency to respon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n female and neutral words than in male words. Also, regardless of the speakers’ gender, the higher the female stereotype an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female use, the higher the accura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action time between female and male words according to the speakers’ gender, but in neutral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faster when the words were spoken by the male speaker than by the female speaker. The research hypothesis was rejected because an interaction pattern different from the expected results of the study was observed for both accuracy and reaction time. Although the effect of word-speaker congruence in gender could not be confirmed in Study 2, the usage frequency and the stereotype of gender words were quantified through the surve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follow-up studies on genderlec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tatistically proves that the stereotype and usage frequency of words do not match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stereotypes and usage frequenc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to confirm the effect of word-speaker gender congr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