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풍력발전 계통연계 사례 분석 및 연구

        고상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즈음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국제유가 변동으로 인한 에너지 수급의 불안감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이며, 그것 이외에도 화석연료 고갈에 대비한 에너지의 다변화, 교토의정서로 대표되는 국제기후변화 협약등에 능동적인 대처라 할 수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 하여왔다. 현재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세계적으로 급성장하여 IT, BT 산업 등과 함께 21C 첨단산업으로 급신장할 것으로 예측된다.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풍력발전설비와 기존의 배전계통의 연계시 원활한 연계운전을 위한 기존계통의 보호방식과 연계지점의 플리커, 고조파 영향에 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하여 풍력발전설비의 확대·보급에 영향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계통 연계형 풍력발전 시스템이 상용전원 계통과 연계시 요구되는 계통의 안정도 향상을 위한 기존계통의 보호방식 및 전압변동 등 최적운전 요건을 갖추기 위한 기술적 요건을 검토하였다.Recloser 후단 보호구간 최소부하와 풍력발전량의 검토결과 보호구간의 최소부하가 풍력발전량 보다 적으므로, 협조가 불가능하여 Recloser을 이설하거나 철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검토결과 확인하였다.단독운전 방지는 기본적으로 저전압계전기, 과전압계전기, 저주파수계전기 및 과주파수계전기 설치가 기본이 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단독운전 계통내의 풍력발전설비의 발전출력과 부하가 대체적으로 평형을 이룰 때는 분리개소의 전압특성변화량이 적어, 전술한 계전기로는 단독운전을 방지할 수 없게 되므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배전용 변전소와 풍력발전설비 사이에 통신선을 이용한 전송차단장치를 설치하거나 풍력발전설비 측에 단독운전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전력계통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양전원 계통이 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보호방식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그리고 조류방향, 전압변동 등에 대한 최적운전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되었다.그렇지만 앞으로 계통연계형 풍력발전의 보 확대로 발전설비가 급신장시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이 도출되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도 풍력발전설비의 계통연계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요구된다.그리고 친환경적인 풍력발전기술은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지구환경 보전, 미래에너지원 및 신재생발전기술의 확보차원에서 시장 및 보급확대 요구에 대한 능동적이고 실용적인 대응기술이라 생각한다. Interest and investment for renewable energy is growing these days, because of unstable demand and supply of energy due to high oil price. Many countrie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renewable energy to deal with an exhaustion of fossil fuels and Kyoto Protocol on climate change. Some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en investing lots of money in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ince 1990s. It is certain that renewable energy industries such as solar energy and wind energy will be fast growing business sector like IT, BT industries.They are, however, not growing as fast as expected because when wind power plant is connected with the distribution system of electricity, there might be some glitch current, flicker and harmonic distortion. Therefore, appropriate research on those problems is required, in fact that have influence on extension and spread of wind power devices.This thesis examines technical factors to enhance stability required when system-connected wind power plant and the distribution system are linked.This thesis also confirms that it is appropriat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closer or remove it because the least load within protection area of recloser is less than power amount produced by wind power plant system.This thesis could find that prevention of independent operation should be based on installation of the under voltage relay, the over voltage relay, and the low frequency relay, and that the automatic separation of independent generators from the power system by installing transmission cutout devices using communication line between substation and wind power plant or by installing detection devices on the side of wind power plant is necessar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prevent independent operation by using formerly stated relays in case that generation output of wind power plant in an independent operation system and capacity of load are approximately balanced so that voltage characteristic variations are small.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an optimal protection method which can cope with problems that happen because of both source power system. Also an optimal operation method about current direction and voltage change is examined.But it is predicted that unpredictable problems will arise when generation devices develope rapidly according as spread of system-connected wind power is increased. Accordingly, it is needed to continue study to find a way out of problems as a result of system conne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Finally, eco-friendly wind power generation technique is thought of as active and practical correspondence technique against demand for extension of market to conserve earth environment and to guarantee future energy source and renewable energy technique as clean energy source.

      • 일원론적 인간론에 대한 개혁 신학적 비평 : 낸시 머피와 코르넬리스 반 퍼슨을 중심으로

        고상식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rationalism and modern neurobiology, it seems that modern people are doubting the substance of the human soul that was traditionally accepted. These changes are now affecting even christian theology. Some people, such as christian monistic physicalists, even try to explain the doctrines of the Bible without the concept of human soul. Denying the substance of the soul, christian physicalists argue that physicalism is more biblical than traditional dualism. Physicalists claim that Calvin and other reformers misinterpreted the Bible. As a result, the dualistic anthropology became predominant in christian theology. These claims are a serious challenge and threat to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Still, there are not many papers in Korea that attempt to approach this matter and defend the substance of human soul and biblical dualism. The following will provide evidence that traditional dualism is more biblical than monistic physicalism. To do so, first monistic physicalism will be carefully examined by looking into the claims of the two known physicalists, Nancy Murphy and Van Peursen, Then, their statements will be countered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Chapter Ⅱ will introduce in detail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of Nancy Murphy, then contradict her theory in multiple ways. According non-reductive physicalism of Nancy Murphy, the substance of human soul is not necessary in explaining human beings. The existence of intellectual, moral, and spiritual capacity in human beings can be briefly explained by the function of the brain, but more precisely by also looking into humans’ social and cultural life, and most importantly b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In other words, human beings can be fully defined intellectually, morally, and spiritually without accepting the existence of the human soul. Nancy Murphy states that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can support theology, science, and philosophy overall. But Nancy Murphy’s anthropology,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faces the following problems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First,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shows flaws by failing to interpret the bible correctly. Murphy tends to uniformly generalize the term of ‘nephesh’, ‘psyche’ and ‘pneuma’ into ‘life.’ But the term of ‘nephesh’, ‘psyche’ and ‘pneuma’ in the Bible so often represent the human soul after death as a concept of non-material composition of man. Therefore, we can not deny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fter death. Second,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 such as christology. Murphy's anthropology breaks away from orthodox christology and turns toward physical christology. These claims are not supported by the bible nor by reformed theology. Third,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implies emergent evolution based on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But the Bible does not endorse any form of evolution. Fourth,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denies the intermediate state, a significant doctrine sustained and emphasized on the reformed theology. Lastly,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has a problem about personal identity after death. Denying the substance of the soul, Murphy depends on the theory of immediate resurrection and extinct-recreation to explain personal identity, but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support the theory of intermediate state-final resurrection. The claim that personal identity is guaranteed on the basis of his own soul is most reasonable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Therefore,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has serious problems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Chapter Ⅲ will analyze the monistic anthropology of Van Peursen, then disprove his theory. Van Peursen states that the unity of body and soul is revealed in most of history of philosophy: such as in the world view of primitive man, in ancient Greece ideology, and even in the Bible. Redefining the term ‘soul’ into ‘man itself’, Van Peursen presents the monistic anthropology of his own. But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First, to prove his point, Van Peursen continuously interpretate the terms about ‘man’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a way that will support his theory, ‘the unity of body and soul.’ This seems to overly one-sided and unfair. Second, Van Peursen interprets most terms related to man in the Bible holistically and monistically. He tends to interpret not only the term ‘nephesh’, ‘basar’, and ‘ruach’ in The Old Testament, but also the term ‘soma’, 'sarx, ‘pneuma’ in The New Testament holistically and monistically. However, ‘nephesh’ and ‘pneuma’ in the Bible often represent the human soul after death as a concept of non-material composition of man. Third, Van Peursen actively accepts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e Bible can not be harmonized with the theory of evolution. And Van Peursens’ position to accept the theory of evolution is a great threat to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finally,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tends to physicalism, denies the substance of the human soul, and conflicts with reformed eschatology. Therefore,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has serious problems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In conclusion,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and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conflict with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철학적 합리주의와 급속한 신경생물학의 발달로 인해서 현대인들은 그간 전통적으로 여겨졌던 영혼의 실체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이제 신학에도 영향을 미쳐서 영혼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성경의 교리를 설명해 보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시도가 바로 일원론적 물리주의의 시도이다. 기독교 진영의 물리주의자들은 자신들의 견해가 더 성경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오히려 칼빈을 비롯한 개혁신학자들이 성경을 잘못 해석한 결과, 이원론적 인간론으로 기울어지는 오류를 범했다고 비평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주장들은 성경과 개혁신학에 대한 강력한 도전이요 위협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기독교 물리주의를 다루고 그 문제점을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비평하는 신학적인 논문이 희박한 상황이다. 필자는 물리주의 일원론이 성경적이지 않으며, 개혁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전통적 이원론이 성경적이라고 믿는다. 본 논문을 통하여 왜 물리주의 인간론이 그릇된 것이며, 왜 이원론적 인간론이 옳은 것인지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에 비교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두 인물로, 낸시 머피와 반 퍼슨의 물리주의 인간론을 자세히 소개하고,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그 문제점을 비평해 봄으로써 개혁신학을 변호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낸시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를 자세히 소개하고 그 문제점에 대하여 개혁신학적인 비평을 가해보고자 한다. 비환원적 물리주의 개념에 따르면, 영혼이 결코 존재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지적, 도덕적, 영적 능력들은 어느 정도는 두뇌의 작용으로 설명 가능하지만, 이를 완전히 설명하려면 인간의 사회적 관계, 문화적 요인,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주목해야한다는 것이다. 즉, 영혼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서도 인간을 지적, 도덕적, 영적인 존재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낸시 머피는 비환원적 물리주의가 신학, 과학, 철학에 걸쳐 모두 조화를 이루는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신학의 영역에서는 성경과 신학의 교리가 자신의 비환원적 물리주의와 잘 조화된다고 설명한다. 낸시 머피는 구약 성경에서 인간의 개념이 현대적 물리주의 일원론에 가까운 것이었지만, 그리스 철학이 가미된 성경의 잘못된 번역의 문제로 인해서 그것이 그릇된 이원론적 견해로 왜곡되었다고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신약성경 역시 그리스 철학의 배경 아래서 읽혀져 왔기 때문에 ‘영혼’과 같은 인간의 영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잘못된 해석이며, 인간을 영과 육으로 구성된 형이상학적인 구성물로 이해하는 신약의 방식도 합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신학에 있어서는 신론, 기독론과 삼위일체론, 구원의 역사에 대해서도 비환원적 물리주의에 따라 수정을 가할 것을 요구한다. 둘째로, 과학의 영역에서는, 보다 더 고등한 생물체로 갈수록 자기 초월의 능력과 메타로 향하는 능력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능력들이 더욱 개발되어 획기적인 진전이 이루어지며, 우둔한 행동에서 세련된 행동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역시 낸시 머피는 과학 이론들에 비추어 볼 때에도 비환원적 물리주의의 설명방식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더 적절하다고 설명한다. 셋째로, 철학의 영역에서는, 여러 쟁점들이 있지만 비환원적 물리주의가 철학적인 문제와도 잘 조화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낸시 머피의 인간론은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성경해석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머피는 신/구약 성경에서 ‘네페쉬’와 ‘프쉬케’, ‘프뉴마’를 전인적 생명으로 일반화시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네페쉬’와 ‘프쉬케’, ‘프뉴마’가 생명을 지칭하는 용례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의 ‘영혼’을 지칭하는 용어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사후 인간 영혼의 존재를 부인할 수 없다. 둘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신학적인 교리에도 전통적인 교리와 충돌한다. 머피는 정통적 기독론에서 이탈해 물리주의적 기독론으로 전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성경과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벗어난 주장들이다. 셋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창발적 진화론을 함의한다. 그러나 창발적 진화론의 근본 뿌리는 역시 다윈주의 진화론이다. 그러나 성경은 어디에도 진화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넷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는 중간상태를 부인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중간상태의 교리는 부활과 연결된 한 국면으로 성경에 근거한 개혁주의 신앙에서 강조하는 교리중의 하나이다. 다섯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는 부활 전후의 인격 정체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머피는 부활 전후의 인격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혼의 실체를 배제한 채, 즉각적 부활설과 멸절 재창조설에 동조한다. 그러나 성경은 즉각적 부활설과 멸절 재창조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