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스마트러닝 기반의 대학 중국어 독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연구

        고권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analyze the status of smart learning in the field of Chinese education and its use in order to develop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a smart learning method and it is in planning and envisioning a Chinese-language-reading learning application for college Chinese education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pplication and full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n addition, for Smart Learning in Chinese educati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were first studied and the study related to Chinese education based on smart learning was analyzed. The learning theory and its principles, which are key to the applications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constructivism,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interaction. Through this study, a new application development plan was devised and presented to maximiz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learning effects by using Chinese education applications as instructional design means, referring to the prior study that smart learning environment can lead learners to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mart learning in the field of Chinese education was relatively ongoing. Further, more than 50 percent of Chinese-related applications currently developed were organized based on expressive learning, relatively few of them were used, and the reading-related applications lacked more difficult contents than middle-level or hig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struct a learning model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Chinese-language reading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ed introduc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to Chinese-readed application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s currently develop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re not actual development of Chinese reading applications but development proposals, which can result in various errors in actual use.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related applications, and that the research will help develop and operate smart learning-based Chinese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Korean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러닝 방안으로 활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 스마트러닝 관련 현황과 사용 실태를 정리 및 분석하고,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차별성 있고 학습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학 중국어 교육용 중국어 독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기획 및 구상하는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중국어 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활용 가능성과 앞으로의 전망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성을 연구하고 스마트러닝 기반 중국어 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핵심이 되는 학습이론과 그 원리를 구성주의, 자기주도학습, 온라인 교육 환경, 상호작용의 순서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러닝 환경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이끌 수 있는 환경이라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교수-설계 수단으로 활용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방안을 구상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중국어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50%이상이 표현학습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회화학습 애플리케이션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독해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중급 이상의 난이도의 콘텐츠도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어 독해 애플리케이션 개발 절차와 학습 모형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을 중국어 독해 애플리케이션에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여 현재 개발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차별성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중국어 독해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개발한 것이 아니라 개발제안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활용 시에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후속 연구로 남기며,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러닝 기반 중국어 교육 관련 연구와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맞춤형 중국어 학습을 위한 ICT 활용 방안 설계 및 개발 연구 : 챗봇을 중심으로

        고권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COVID-19로 인한 갑작스러운 온라인/비대면 수업의 활성화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이 중심이 되는 중국어 학습에 제약이 많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비대면 상황에서 중국어 학습자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적합한 교수-학습법인 ‘개별화 맞춤형 학습’과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ICT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법과 외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 중국 내에서의 챗봇 관련 연구 또한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과 관련된 챗봇 연구가 전무하였기 때문에 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챗봇을 활용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여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맞춤형 학습법과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활용하였고,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인 교수자들이 다양한 챗봇 플랫폼을 사용하여 쉽게 중국어 교육용 챗봇 개발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챗봇을 활용하기 적합한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기존의 ICT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안은 무엇인가, 그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외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사례는 무엇인가, 그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내에서 챗봇을 활용한 교육 사례는 무엇인가, 어떤 추세로 나타나고 있는가? 다섯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설계 원리와 개발 절차는 무엇인가? 여섯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기능과 대화 모델 유형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일곱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개발 및 구현 방안은 무엇인가? 여덟째, 개발한 챗봇의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절차 모형은 무엇인가? 아홉째, 개발한 챗봇의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교수-학습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개발한 챗봇의 프로타입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 세부 계획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토대로 한 연구 진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미래 외국어 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이어야 한다, 학습자 개인이 좋아하고 즐기는 분야를 찾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개인적 기호를 반영하여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 중심의 언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학습을 위한 챗봇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 프로토타입의 개발 절차는 ‘개발에 관련된 선행 연구 고찰, 선행 연구를 통한 기존 챗봇의 특징과 장단점 분석, 교과 과정을 기반으로 한 챗봇 기능 구성, 챗봇의 기반이 될 서책 분석, 챗봇 개발, 챗봇 프로토타입 완성, 챗봇 프로토타입 수정 및 보완, 챗봇 프로토타입 테스트’ 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챗봇 프로토타입의 설계 원리는 기존의 대화형 챗봇 개발 원리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중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고려하고, 챗봇 개발 목적에 부합하는 알고리즘의 선택하였고, 그리고 외국어 학습의 관점에서 개발할 챗봇의 유형을 선택하고, 관련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챗봇 개발에 유의한 플랫폼을 ‘카카오톡’, ‘Closer.ai’, ‘Google Dialogflow’로 선정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코딩을 하지 않고도 직관적이고 쉬운 챗봇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 그 구현한 결과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 언어기능별로 구현 결과를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을 설계할 때 활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구현 결과물과 함께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수자가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할 때 언어기능별로 도입부에 대한 예시를 보고 챗봇과 학습자가 간의 대화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챗봇들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방안을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중심으로 수업 절차 모형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프로세스를 수립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한 세부계획안을 1차시-2차시로 나누어 상세히 서술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을 예시로 구현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중국어 전공 회화 수업 중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챗봇을 활용한 과업중심 수업 절차 모형이 어떻게 적용되고 운영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제 국내 대학의 초급 중국어 회화수업을 예시로 들어 상세 교수 학습과정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국어 학습 목적형 챗봇을 활용하는 교수학습방안과 세부 교육계획안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영어 교육에 비해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에서 ICT 활용방안 연구의 시작점이 되어 향후 활발한 연구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In line with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sudden activation of online/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putting a lot of restrictions on Chinese learning, center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n online/non-face-to-face situations. To this end, we tried to design a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plan using chatbots by applying 'individualized customized learning' and 'task-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are suit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First,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ICT and cases using chatbo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 on chatbots in China was also examined. Since there was no chatbot study related to Chinese education,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signed by analyzing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chatbots centered on English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customized learning methods and task-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designed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plans using chatbots. Finally, non-experts instructors introduced how to easily develop chatbots for Chinese education using various chatbot platform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a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 suitable for using chatbots? Second, what are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lans using existing ICT,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ird, what are the examples of using chatbo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is the current status? Fourth, what are the examples of education using chatbots in China and what trends are emerging? Fifth,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chatbots? Sixth, how can the functions and conversation model types of chatbots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be organized? Seventh, what are the ways to develop and implement customized Chinese language education chatbots? Eighth, what is the Chinese class procedure model using the prototype of the chatbot developed? Ninth, what is the Chinese teaching-learning process using the prototype of the chatbot you developed? Finally, what is the detailed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using the chatbot's profile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such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was designed and developed. Future fore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learners, helping individual learners find areas they like and enjoy, and through this, task-oriente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apply, and solve problems by reflecting personal preferences. As a way to implement thi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learning using chatbots. In this study,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is It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development,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ros and cons of existing chatbots through prior research, composition of chatbot functions based on the curriculum, book analysis based on chatbot, chatbot development, chatbot prototype completion, chatbot prototype revision and chatbot prototype test." First, the design principle of the chatbot prototype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existing interactive chatbot development principl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hinese education were considered, algorithm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atbots were selected, types of chatbots to b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related development principl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significant platforms for chatbot development were selected as 'Kakao Talk', 'Closer.ai', and 'Google Dialogflow'. Using this, we tried to present an intuitive and easy chatbot production method without complicated and difficult coding and explain the implementation result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results for each language function were explained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results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Chinese classes using chatbots. Through this, when the instructor designs a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ow of conversation between the chatbot and the learner by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introduction for each language function. Finally, a Chinese teaching method using chatbots developed in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developed focusing on the task-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stablish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established. In addition, detailed plans using this were divided into 1st and 2nd sessions and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this study implemented actual classes as an example, and presented how the task-oriented instructional procedure model using chatbots is applied and operated in classes for beginner-level learners during conversation classes in Chinese majors at domestic universities. In fact,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as produced using beginner Chinese conversation classes at domestic universities as an example. This study examin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tailed education plans, and utilization plans using chatbots for Chinese learning purposes that can be used in the Chinese education field of universities. Research using chatbots in Chinese education is still only in its infancy. Compared to English education, interest and research on Chinese education using chatbots were not activat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how to use ICT in Chinese education, and an active research environment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