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게렐토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underlying customer's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Mobile banking adoption is studied from information system acceptance point of view. Mobile banking customers use the information system to make financial transaction by smart phone and henc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ocial norm, security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ustomer's adoption of mobile banking.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survey method is employed. The result of th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ll of the hypotheses supported except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 몽골에서의 법인 파산 및 회생절차에 관한 연구 : 한국 도산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게렐토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법인은 특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 범위 내에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되어 권리능력을 부여받은 일종의 조직체 또는 단체이다. 법인은 법률에 의하여 법인격이 생겨 조직적인 활동을 하며 개인의 경제활동보다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이에 따라 법인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 즉 파산에 따른 사회적 영향력과 그 손실은 자연인의 파산과는 비교가 될 수 없다 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법인이 부실하게 되면 그에 관한 법적 처리방식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법인의 파산 및 회생절차에 관하여 한국의 경우에는 과거의 도산3법을 통합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규율하고 있다. 한국의 이런 법제도는 파산보다 회생을 중요시하며, 무엇보다 파산이나 회생절차 진행 중에 당사자한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분쟁의 해결규정을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율하고 있다. 한편 몽골의 경우 법인의 파산 및 회생절차에 관하여 개혁·개방정책이 실시된 이후 제정된 「파산법」을 적용한다. 법인은 지급불능 상태에 이르러 채권자에 대한 채무를 이행하지 못한 때에 부채의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파산법」상 파산절차와 회생절차를 통하여 채무조정을 하여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1997년 제정된 몽골의 현행법은 법인에 대한 회생절차를 새로 도입하여, 이 절차를 통해 파탄사태에 이르면 시장에서 퇴출만 당했던 기업들이 회생계획을 통해 채권을 변제하고 절차 종결 시 기업을 유지한 상태로 새 출발을 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현행법은 이와 같이 법인의 파산 및 회생에 관한 법제도가 어느 정도 갖추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급불능 및 도산절차의 개시요건인 도산원인, 파산채권의 순위, 채권의 확정 절차, 도산신청의 지연, 채권자 및 채무자의 보호, 파산관재인의 자격 및 보수 등과 관련한 문제 해결과 관련한 실무상의 많은 법적 불비가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몽골과 유사한 법제도를 구비한 한국의 관련 법제도와 국제적 법원(法源)으로 인정되는 UNCITRAL의 「도산법 입법지침」에서 그 개선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국의 경우 1997년에 외환위기로 인하여 국가 부도 사태에 빠졌을 때 이를 위한 해결방안의 하나로 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아 그 대가로 도산법 제정을 약속하였다. 몽골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1991년과 1997년에 IMF으로부터 금융지원을 받았다. 현행 「파산법」의 초안도 IMF의 지원을 통해 미국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미국의 연방파산법을 모델로 삼아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양국 다 IMF에서 받은 구제금융으로 인해 도산법 개선을 시도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몽골과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도산법의 역사를 검토해보면 도산법은 초기에 정상적인 경제상황이 아닌 공황의 도래에 따라 제정되고, 공황이 해소되면서 도산법이 폐지되는 일이 반복되었다가 점점 신용거래가 확대되며 도산이 경제현상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산법을 초기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 수단이 아니라 신용사회의 산물로 판단하여, 이를 몽골이 인정하고 받아들여 법인의 파산 및 회생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몽골에서 법인의 파산과 회생에 관련한 사건 수가 정기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 도산절차 환경의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점, 현재 실행중인 「파산법」은 도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몽골과 한국의 법인 파산 및 회생절차에 관하여 먼저 개관하고, 그와 관련된 주요내용을 살펴본 다음, 몽골 실무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한국의 관련제도와 「도산법 입법지침」에서 찾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논의 중인 몽골 도산법안의 주요내용도 검토할 것이다. Legal person is an organization that becomes a subject of rights and duties within the scope in order to achieve a particular purpose. As an organization that its legal capacity become available in accordance with provision of Acts, it has a great impact on both society and economy. Therefore, the impact and loss of a legal person when it encounters financial difficulty is large compared to an individual. That is the reason why insolvency issue is important when it comes to a legal person. This study discusses issues about both bankruptcy and reorganization proceedings of a legal person. And it focuses on legal framework of Mongolia and Korea. In the case of Korea, this kind of procedure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three previous Acts of Insolvency. The Act places more importance on reorganization than bankruptcy and most of all, dispute settlement regulations which arise between parties are regulated in very detailed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ongolia, 「Law on Bankruptcy」 governs relations about Legal person bankruptcy and reorganization. With the enactment of Mongolia’s current law of 1997, reorganization system was introduced as a new framework and through this process, legal persons which were forced out of the market, when they are unable to pay its debts as they become due, now can maintain to stay in the market as they pay debts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plan and can start fresh when the reorganization procedure comes to end. However, despite having legal system for legal person insolvency issue, Mongolia still faces many problems such as commencement standards, priority claims, secured creditors, qualification and remuneration of the insolvency representative etc. The focus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s upon providing guidance to actual issues arising from court cases. These cases provide detailed background information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would be desirable to find methods from Korean legal system and 「Legislative Guide on Insolvency Law」 by UNCITRAL. About Korea, government accepted a bailout package from IMF in 1997 to make financial crises stop. Mongolia, at the same time, received support from IMF and even current Bankruptcy law draft was made through the IMF’s support. Not only this, through this study, we also learned that the previous Korean legal system of insolvency was much similar to the current legal system of Mongolia. On the other hand, about Legislative Guid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ist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nd effective legal framework to address the financial difficulty of debtors, which just proves its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methods from above sources. Mongolia needs to adopt Korean inspection and confirmation system of claims in order to solve problems about disputed claims. Also Mongolia needs to distinguish commencement standards between bankruptcy and reorganization, which means making reorganization commencement standard more flexible than bankruptcy, so that the debtor does not have to wait until it has ceased to make payments and can address its financial difficulties at an early stage and give less loss to credi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many more methods than above ones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Mongolian Insolvency system. It is hoped this study will inform both Mongolian and Korean insolvency legal framework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ongolian problems and its solution so that the debtors’ financial difficulty and creditors’ claim can be solved as quickly and efficiently as possible.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게렐토야 개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을 개인요인(거주기간, 경제활동상태,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배우자요인(배우자와의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 부부갈등), 기타가족요인(시부모와의 관계만족, 자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 지향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사회요인(가족외 사회적지지, 사회적 참여, 차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 며, 모든 문항에 대한 결측을 제거하여 총 675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SPSS 21.0 통계프로그램 패키지를 사용해 확인하였으며, 결혼이주여성 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 였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대화시간은 PROCESS macro 모델 4 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외 생태체계적 변인들은 PROCESS macro 모델 1을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를 개인요인, 배우자요인, 기타가족요인 및 사회요인으로 구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에서는 거주기간, 심리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으나, 경제활동상태와 신체적 건강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건강상태는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배우자요인에서는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갈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화시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배우자와의 관계만족은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 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문화차이 역시간 한국어 능력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 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기타가족요인에서는 시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 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지향성 및 사회경제적 수준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시부모와의 관계만족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요인의 경우 사회적 참여와 차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으나 가족 외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참 여와 차별의 경우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거주기간에 따른 차별적 접근, 심리정서적 안정을 도 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구축, 배우자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부부교육 강화, 멘토링 지원사업 확대, 다문화 이해 교육, 인식개선 교육 의무화 등의 방안 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upon the effect o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o do so, the ecological systemic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analyzed as individual factors (period of residenc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f physical health,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regarding their spouse (conversation time with spouse,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spouse, cultural differences, marital conflict), other family factors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socioeconomic level), and social factors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social participation, discrimin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data was used after removing all missing items and a total of 6759 people were analyzed from th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each variable was confi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package. To verify the regulatory and mediating effects, the SPSS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2013) was used. In detail, PROCESS macro model 4 was utilized to conduct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regarding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 spouse. Other ecolog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to conduct analysis of regulatory effect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spouse factors, other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as follows. First, period of residence and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ctors while economic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sidenc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skills had a moder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conversation tim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and cultura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spouse factor while marital confli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ation time, howev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Cultural difference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other family factors whil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and socioeconomic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parents-in-law, it was found that i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ocial factors, however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reflected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ried approaches following the period of residence, establishment of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for promo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reinforcement of marital education to build a positive husband wife relationship, expansion of mentoring support programs, education regard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troduction of mandatory education for awareness improvement, were presented as a solution.

      • 몽골의 여권발급 업무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야 게렐토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58

        국제사회에서는 국민을 명확히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주민등록 시스템을 전산화하고 체계적으로 만들어 사회보장 및 복지서비스(국민연금, 의료보험, 복리후생 등)를 제공하며, 실수요자에게 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다방면으로 시도 및 추구해왔다. 몽골정부도 국제사회의 분위기에 맞추어 여권발급업무의 개선방안으로 1921년부터 내국인파악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시행해 왔지만 주민등록이 잘 이뤄지지 못하여 서비스 수요파악과 계획 및 시행에 있어 효율적인 운영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1990년부터 몽골국민의 자유로운 해외방문이 허용됨에 따라 출장업무, 여행 및 유학 등 여러 목적의 해외 방문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매년 그 증가폭이 커지고 있다. 몽골 정부는 출국수요의 증가로 인해 드러나는 여권발급제도와 절차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꾸준히 개편하고 있다. 몽골의 ‘국가인구등록청’은 ‘국가안전법’에 기반을 두고 ‘국립정보시스템’에 주민을 등록한다. 정부는 자국민 파악이 목적인 ‘국립정보시스템’을 국가기밀로 설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 중요성과 책임성을 살펴볼 수 있다. ‘국립정보시스템’상의 정보는 여권이 발급될 때도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국가의 기밀이 여권에 사용되는 까닭을 보자면 여권은 국적을 증명하며, 타국 내 자국민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해외에 출입국 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 준다는 점에서 외교 및 정치, 사회에 중요한 의미가 있고, 타국과 외교 관계를 맺으며,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에게 그 나라의 기준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위와 같은 제목으로 논문을 쓰게 되었다. 몽골인의 해외 방문 현황을 파악하며, 해외 방문 시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투무르바타르 게렐토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58

        한국 대학교들은 2000년대 들어와서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도탈락 현상은 단순히 대학 내 학업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이 교차되는 복합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중도탈락은 대학별로 뿐만 아니라 지역적인 특성과도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 교육 환경에서 외국 유학생들의 적응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환경과 몽골 유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몽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이 문화적적응스트레스를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몽골 유학생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대학생활 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50부를 회수했지만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후 연구 분석에는 총 238부가 사용 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이 중도탈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활 적응이 높을수록 중도탈락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중도탈락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 결과를 확인해 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몽골유학생의 중도탈락의도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생활 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 시스템 마련과 관련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 growing concern regarding student dropout rates, this study delves into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is phenomenon, exploring beyond purely academic factors to encompass soci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and cultural nuances in students' experiences, particularly for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educational setting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dropout intentions, mediated by acculturation stress. This study gathered responses from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focusing on factors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college life adjustment, acculturation stress, and intentions regarding dropout. A total of 238 responses were analyzed and key findings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aspects: First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 decreased intention to drop out. Higher levels of college life adaptation corresponded to reduced dropout intentions. Secondly, acculturation stress exhibited a positive influence on dropout intentions. Elevated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were associated with a heightened inclination towards dropout intentions. Thirdly, the mediation analysis uncovered that acculturation stress served as a complet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intention to drop out. Conclusively, to address the challenges surrounding Mongolian students' intentions to drop out,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support systems and tailored programs aimed at alleviating adaptation stress and acculturation issues becomes impe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