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白磁 달항아리 製作技法 硏究

        강태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study of technical soc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White Porcelain Moon Jar' through its manufacturing procedure and a sense of beauty. As it can be known from former studies and documents,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and accuracy of White Porcelain Moon Jar despite its periodical closeness. Despite this fact, White Porcelain Moon Jar is still loved by ceramic artists along with the general public as it becomes transformed in different field. Ever since the Chosun dynasty, exactly where the beauty of the Moon Jar came from was a question that ought to be answered. The research was conduced to understand how the Moon Jar has captivated the people ever since the Chosun dynasty by looking at its manufacturing process, especially the 'Top-Bottom Joining Technique', a unique ceramic process To begin with, I arranged the organization process of the term 'White Porcelain Moon Jar', its birth,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rocess. In today's word, 'White Porcelain Moon Jar' represents the 17~18th century Chosun Dynasty white porcelain jar that is about 40cm in height with white colors and a round shape like a full moon. It has its widest diameter in the middle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diameter and height is around 1:1. The name "Moon Jar" was created by famous modern age artists like Kim Hwan Ki and Choi Soon Woo. The phrase porcelain moon jar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first exhibition of National Ancient Palace Museum in 2005, and in 2011 the name was changed from White Porcelain Big Jar to White Porcelain Moon Jar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exactly how the Moon Jar came about, but it is possible to assume by the similar name change procedure. Especially if you focus on the formal changes of the part of lip, it changed from a 45 degrees curved [>] shape to a longer and 90 degrees curved vertical shape. The importance of the white porcelain is assumed to have gained notice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at time, white porcelains were simply overlooked as household appliances or stolen goods from colonization. However, the porcelains started to rise in its importance as Japanese scholars such as Asawaka brothers, Yanagi Muneyoshi and Chosun artists, influenced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started to take interest and discuss it as an artwork. Kim Hwan Gi and Do Sang Bong were renowned collectors of the white porcelain, and used it as the main subject of their works. This flow continued until the 60s and 70s, allowing Choi Sun Woo and Jung Yang Mo to give interpretations from a non-colonized view and activities centering the white porcelain such as the <The Exhibition of Lee Dynasty White Porcelainn Moon Jar>. This flow contributes in expanding the domain of art which leads to the re-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the Moon jar. This has been observed through Kim Hwan Ki along with Do Sang Bong who fell in love with white porcelain jars during the modern age, and also Choi Young Wook and Gu Bon Chang who try to capture moon jars in different points of views in paintings and pictures. Also, as it can be seen in 2018 Gwang Ju international art fair, which shows the most recent artistic trend, the moon jar is being renewed in different ways. The beauty of the Moon Jar is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necessary coincidences from its manufacturing procedure. Therefore, I looked into its manufacturing procedure, starting from soil gathering to reheating process by going through Choson Dynasty documents. Gathering the right soil with appropriate viscosity, white light degree was an fire-resistance capacity, and immensely important phase. According to 『Yukjeonjorye』 and 『Sokdaejeon』, white soil from Gwang-Ju, Jin-Ju, Yang-Gu, and Gon-Yang province was considered the best. After soil gathering, it goes through a filtering process to get rid of impurities. Then the ceramic surgery procedure to structure the shape follows. Usually the ceramic surgery is done at the potter's wheel, and even though there is no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Chosun Dynasty potter's wheel, it can be inferred from genre paintings by Kim Joon Geun that pottery artists used foot-based wheels. Also, since the Moon Jar is rather big, using the top-bottom joining technique—normally not used in white porcelain jars—is a noticeable procedure. This technique requires joining the top and the bottom part after molding them separately, and the origin of such a technique is unknown but it is mentioned in the book 『Cheongonggaemul』 written during the Myeong Dynasty of China by Son Eung Sung. The joined marks can be seen on the national treasure white porcelain moon jar and white porcelain jar excavated from Geum-Sa-Ri. After the ceramic surgery, set the form without any additional decoration and dry it long enough before burning it at about 800~900 celsius. Later on, the glaze is applied on to the pottery.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glaze was composed of three elements: Glaze stone, ash, limestone.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from excavated shards, it shows that ever since 18th century when the moon jar was created, Kaliyu. was used instead which has less than 10 percent of calcium content. It is assumed that this was to use the talcum constituent to make snow-white and milky-white porcelain. The final stage is to reheat the porcelain in a high heat. . Furthermore, I looked into present ceramic artists such as Shin Bong Kang, Jong Young Kim, Soo Jong Lee, Soo Gul Jeon and examined present day moon jar manufacturing process and techniques, and the artists's philosophy contained within the moon jar. By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Moon Jar, which went through these processes, we advance from the simple idea of a porcelain to the qualities the piece holds in terms of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ense of beauty was formed and the cases in which these have been applied. Hopefully this study will play an essential role in understanding white porcelain moon jars more deeply and widely. Furthermore, it is my wish that the white porcelain moon jar will be studied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본 논문은 백자 달항아리의 제작기법의 실제와 달항아리가 갖는 특징적인 제작기법인 ‘상하접합’ 기법을 속성적·기술적·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한 고찰이다. 선행연구나 기존 문헌사료와 발굴자료 등에서 알 수 있듯 백자 달항아리는 비교적 그 시기가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양이나 정확성이 부족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항아리는 도예가는 물론이고, 수많은 분야에서 재해석되어 새로이 변모하고 있으며 대중에게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조선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은 달항아리의 아름다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달항아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특히 달항아리의 특징적인 제작 기법인 ‘상하접합’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오늘날의 ‘백자 달항아리’는 높이 40㎝ 내외의 보름달처럼 희고 둥근 17~18세기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로서 몸체 중앙부에서 최대경을 이루고 몸체최대경과 높이가 약 1:1의 비례를 이루는 기형을 말한다. 그러나 백자 달항아리를 지칭하는 명칭은 시대별로, 분야별로 혼재되어 있었으며 그 흐름은 백자 달항아리 미감의 형성 과정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때문에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백자 달항아리’의 미감 형성과 용어 정립 과정을 살펴보고 달항아리의 현황 및 형태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백자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로 추정된다. 당시 백자는 생활품 혹은 식민지의 약탈품으로 여겨지는 것이 전부였다. 이는 아사카와 형제, 야나기 무네요시 등의 일본인 학자와 이에 영향을 받은 조선인 문화예술인들의 관심과 논의를 통해 예술품으로서 그 중요성이 주목되었다. 특히 대표적인 백자 수집가이자 애호가였던 화가 김환기와 도상봉은 달항아리를 작품의 주된 소재로 삼기도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60, 70년대까지 이어져 최순우, 정양모 등의 미술사가 내에서도 식민지적 관점을 탈피한 해석과 ≪이조백자달항아리전≫ 등 조선 백자를 중심으로 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달항아리’라는 명칭 또한 1950년대 당시 김환기, 최순우 등 근대기 미술계 인사에 의해 붙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2005년 문화재청의 ‘백자대호 일괄 문화재 지정’과 국립고궁박물관의 첫 기획전인 ≪백자 달항아리전≫을 계기로 달항아리의 가치와 그 명칭이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리고 2011년 문화재청의 ‘국가지정 동산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공고’를 통해 국보 및 보물의 문화재명 또한 백자대호에서 백자 달항아리로 변경되었다. 현전하는 달항아리는 지정문화재 7점(국보 제262호·309호·310호, 보물 제1437·1438·1439·1441호), 비지정문화재 17점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달항아리 자료로는 출현배경과 정확한 원형을 찾기는 어렵다. 때문에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백자 원호의 변천과정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특히 유의미한 변화를 갖는 구연부를 보면 초기에는 45도로 외반되어 「>」모양으로 깎였던 것이 점차 길어지고 90도에 가까운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변화하며, 이러한 특징은 지정문화재에서도 확인된다. 먼저 달항아리의 제작 과정을 조선시대 문헌사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태토의 선정과 굴취는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중요한 단계였으며 금사리 시기의 성분을 보면 철과 티타늄의 함량이 낮아 높은 백색도를 보이는 양질의 태토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정제과정, 즉 수비 단계를 거쳐 발물레를 사용한 자기물레로 성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 달항아리의 제작에는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들어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별도의 장식 없이 최소한의 정형을 거쳐 초벌과정을 거친다. 이어 시유는 크게 물토(수을토), 재,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유약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사리 시기의 유약은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점착성과 내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 1250℃에서 환원염 재벌과정을 통해 완성한다. 문헌사료와 더불어 그리고 사기장 김정옥을 비롯하여 현재 달항아리 작업을 하고 있는 강신봉, 김종영, 이수종, 전수걸 총 다섯 명의 도예가와 본인의 제작사례를 통해 오늘날의 제작 기법과 그에 담긴 제작자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작가마다 작업습관 및 방식이 다르다는 차이가 있지만 핵심은 상하접합 기법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달항아리의 특징적인 제작 기법인 ‘상하접합’ 방식을 사용한 이유를 속성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당시 수비법의 진전으로 인한 태토의 개선 및 가소성 저하 등 백자 속성의 한계점의 극복, 무접합 제작 시 조형상의 차이점 및 숙련도와 소요시간 등 기술적 문제의 해결, 전통기법으로 인한 미감이 갖는 예술품으로서의 가치 확보 등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가 우리 고유의 백자 달항아리를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나아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측면에서 백자 달항아리가 연구되고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