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經濟行政法上의 規制緩和에 관한 硏究

        강주영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韓國의 특수한 사정으로 인한 정부주도의 經濟發展優先政策은 필연적으로 수많은 규제법규들을 입법케 하였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경제체질은 규제받는 것에 익숙 해 있다. 그러나 세계경제체제가 開放化·國際化·脫規制化·非關稅化되는추세에서 더 이상의 이러한 체제로서는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민간부문의 자율적이면서도 탄력적인 역할증대가 불가피하게 되었는데 그 要諦는 이른바 規制緩和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경제행정규제는 무조건 완화되고 철폐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개별 규제행정의 분야에서는 획일적으로 말하기가 곤란하다. 특히 소비자와 근로자 그리고 환경 등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규제를 확장 할수록 각각의 이익을 보장하는 관계이다. 그러므로 헌법상의 영업의 자유와 경제적 창의(initiative)를 존중하면서도 헌법상의 소비자와 근로자 그리고 환경에 대한 권리도 최대한 보장하는 가운데 規制法規가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규제법규의 제정은 행정절차적이면서도 행정과정적인 것이므로 개인과 기업 등 민간부문에 대한 규제법률은 일종의 權利制限이라 할 수 있으므로 국민모두에게 납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한 예견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행정규제의 근거가 되는 법령이 투명하여야 하는데 이는 규제를 하기 위해서는 행정부의 恣意로 할 것이 아니라 법령에 근거가 있어야 할 것과 규제근거가 되는 법령이 구체적이고 명확하여야 함을 말한다. 規制權行使로 인한 권익침해의 경우가 발생했을 때 일반적으로 사전적 구제와 사후적 구제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경제규제행정에 있어서는 행정청에게 광범한 재량이 인정되는 경우가 맣고 또한 경제규제처분의 성질상 사후적 구제는 규제작용에 의하여 이미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행정절차와 청문 및 옴부즈만 등의 수단을 통하여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전적 구제가 더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규제하는 입법의 사법판단시 그 심사기준이 되는 것은 법률자체가 열거하는 목적과 법률의 전체구조와 기능으로부터 도출되는 목적으로부터 그 목적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가 물어져야 할 것이고, 그리고 규제법규가 제정되더라도 그 규제가 필요한 것이며 최소한의 규제를 하고 있는 것인가가 물어져야 할 것이다. Economy administration regrlation had contributed much. That is to say, when nin-phblic economy system is underdevelpored, less matured and inefficient, govern leading economy policy which accomparied regulttion had gare us rapid development and it is affirmative aspect. But under the new charge of warld economy system, which means WTO, Korea joined OECD and it is hard for our country's economy system which is accustomed to regulation to conform to these change. We can say that the relief of economy administrative regulation connect directly to comtitive ability of companys and nations, in the view point of law, in which way we can bring the effect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relief, that is the point of this text. As described, usually we recognize economy administrative regulation should be reieved and terminated, but in individual regulation administration field it is hard to say uniformly. In the point of the protection of employee, consumer and environment, the more we regulate companys, at the point of virture and company the higher the production cost, arid it can weaker competitive ability. But these consumer, employee and enviromem is importan factor, so we cann't think slightly reglating law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condition of both respecting constitutiond freedom of busine and economic initiative and securing the right of consumer, employee and environment maximally. The establish of regulation law is both administrational process and administrational course, we can say that regulation law against non-public part which include individuals and companys is a kind of limitation of right so it should be able to be persuaded to all people and also it shoud be predictible. In the rarg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is proceeding, to obstain these object, the transparency of regulration should be obtained. When right and interest is violated due to regulation right exercise, relief can be dirided into prior relief and post relief, post relief is the case that property loss already occured due to regulative action so to prevent property loss we should utilize prior relief which has means of administrative process, hearing and ombusman.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배지의 검출효율 및 정확도 비교

        강주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tection efficiency and accuracy of Baird parker agar(BPA) and MC-Media Pad SA(MMPSA) with Staphylococcus aureus reference strains, wild strains and monitoring fo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pecificity of BPA and MMPSA, S. aureus reference strain and wild strains produced typical colonies on BPA and MMPSA, but non-S. aureus showed atypical colonies or did not grow on BPA and MMPSA. The recovery of reference strain from artificially inoculated foods was 2.8 ± 1.2 log CFU/g in BPA and 2.9 ± 1.1 log CFU/g in MMPSA.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recovery rates between BPA and MMPSA was 0.986. The detection efficiency of monitoring foods was 53.3% in BPA and MMPSA.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food monitoring were 2.0 ± 0.8 log CFU/g in BPA and 2.0 ± 0.7 log CFU/g in MMPSA.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quantitative accuracy was 0.980. The qualitative accuracy of food monitoring were 97.7% in BPA and 96.4% in MMPSA. The detection efficienc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ccuracy for selective medi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o it was judged that MMPSA, along with BPA, could be used for isolation,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S. aureus in various foods.

      • 오픈하우징 개념을 이용한 공동주택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인필요소에 기반한 가변형 주택의 개념을 중심으로

        강주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우리나라의 도시 인구집중 현상은 1960년대 이후 지속된 경제개발로 인하여 대량의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주함으로써 가속화되었다. 서울, 부산 등의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진행된 인구집중과 도시화에 따른 주택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서울, 부산, 대구 등의 7대 도시권에 속하는 인구 비율이 전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까지 이르렀다.이와 같은 도시의 인구집중에 따른 주택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가 건설되었으며, 1990년 50만 호를 넘어서면서, 1997년까지 해마다 50여만 호 내외의 공동주택이 공급되는 등 주택의 보급이 단기간에 대량으로 이루어졌다. 이렇듯 단기간에 형성된 공급 중심의 고층, 고밀도의 공동주택은 결과적으로 도시화, 집중화, 과밀화와 주민간의 익명성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단절과 고립, 계층 소외현상, 범죄증가 등의 부작용을 낳게 되었고, 공급자의 경제적 가치와 정부의 공급 우선의 주거정책은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공동주택을 양산해내는 결과로 나타났다.또한 건축물의 구조적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내구연한(life-time)을 갖는 건축 구성재들을 일체화시켜 공동주택 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비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했으며, 이는 주거의 질을 저하시키고, 공간의 임의적 용도변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주거환경의 사막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공동주택의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오픈하우징(Open-Housing)의 개념은 서포트(Support)와 인필(Infill)의 분리를 통해 공동주택의 장수명과 리모델링에 대응할 수 있고, 거주 특성과 거주자의 요구에 대한 대응을 통해 공동주택의 가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개념으로 미래 주거에 적합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가족특성의 변화와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인필과 서포트의 가변은 내부공간에 대한 외부공간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므로 실내건축에 대한 대응성이 높은 개념이라 하겠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픈하우징의 개념을 활용하여 공동주택 거주자의 거주특성과 가족생활주기 등의 가족 특성을 고려한 성장개념의 가변형 평면 개발을 통해 새로운 공동주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공동주거는 특정 계층을 위한 주거가 아닌 다양한 계층과 연령층을 수용할 수 있으며, 주민들 스스로 주거의 방향과 목표를 잡아가는 주거공동체라는 내용적 전제를 갖는다 영문초록: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towards cities in Korea speeded up as the massive rural population migrated to cities due to sustained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1960s. With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and urbanization around the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Busan and the like, the housing problem became the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belonging to seve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Busan, Daegu and the like has amounted to half of the national population. To resolve the housing shortage resulting from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towards cities like this, the large-scale apartment housing complexity have been built, and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exceeded 500,000 in 1990 and 500,000 apartment houses were provided for people annually until 1997. As a result, housing was massively supplied to many households in a short-run period. The supply-centered high-rise, high-density apartment housing formed in a short-run period like this came to result in side effects such as urbanization,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overcrowding, discontinuation and isolation of neighbors due to residents' anonymity, class alienation, increased crimes and the like. The economic value on the part of suppliers and the supply-side residential policy on the part of government resulted in the mass-production of uniform and monotonous apartment housing. And the un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with different life-time caused the non-economic problem of shortening the overall life of apartment housing, which resulted in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residence and the desertific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economic loss caused by the voluntary change in use of space. The concept of Open-Housing presented as one alternative to resolve these problems of apartment housing can be said to be the concept appropriate to future dwelling as the concept that may respond to the long life and remodelling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separation of support and infill and to the variability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response to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residents' demand. Especially, the Open-Housing concep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family characteristic and residents' diverse needs, and the separation of support and infill can be said to be the concept of high response to interior architecture as it makes the diverse expression of exterior space to interi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new possibility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variable plane development of the growth concept taking into consideration famil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ing inhabitants and family life cycle and the like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ncept of Open-Housing. This type of apartment housing can house diverse social strata and age groups as it is not the dwelling for a particular stratum, and is premised on the content of the residential community that apartment housing inhabitants may set the direction and objective of residence

      • 청소년들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 및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주영 삼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 및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강원도 지역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그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총 25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115명(44.4%), 여학생이 144명(55.6%)이었으며, 중학생이 127명(49%), 고등학생이 132명(51%)이었다. 측정도구는 외모만족도 척도, 자기표현 척도, 가족건강성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자기표현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자기표현이 유의하게 높았고, 학교생활적응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 가족건강성 및 학교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는 자기표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자기표현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긍정적인 자아상 형성과 적절한 자기표현 및 건강한 가족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 연구 : -현상윤·양건식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강주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10년대는 조선의 멸망이라는 명제와 함께 시작되었다. 몰락한 왕조는 여전히 그 뿌리를 발 담그고 있었고 봉건의 잔재가 유지되고 있는 채로 신문물의 유입이 이루어 졌으며 자본은 올바른 경로가 아닌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굴절된 채로 흘러들어왔다. 이러한 때에 신지식인들이 현실에 대응하는 자세는 저마다 달랐다. 본 논문에서 현상윤과 양건식을 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자주적으로 실력을 양성하여 서구의 문물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상적 견지가 같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품에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는 점도 이들을 한데 묶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현상윤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의 일환으로 현실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행동유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양건식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을 넘어 불교로써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가장 중요한 공통점은 바로 이러한 모색의 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로 그들의 문제의식이 귀결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러한 실천적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근대화를 이끌어가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였고 작품에서 현실의 모순점을 가감 없이 드러냄으로써 봉건적 잔재 청산이 그 무엇보다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있어 왔던 기왕의 연구들은 1910년대 단편소설 작가를 여러 군으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폭넓게 다루다보니 현상윤과 양건식의 1910년대 소설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고 이들 작가가 1910년대의 신지식인의 표상이었음을 밝히는 데도 부족함이 있었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 내용은 1910년대에 다수의 작품을 남긴 현상윤과 양건식의 단편소설 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들 소설에서 보이는 두 작가의 의식을 토대로 작품에 내포된 당시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의 양태를 밝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바 두 작가의 시대 인식은 당대를 대표할 만한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두 작가의 시대 인식의 양태로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 양태를 규정하는 것에 큰 무리가 없음 또한 분명하다. 그러므로 현상윤과 양건식으로 대표되는 1910년대 신지식인의 시대 인식은 현실을 타개할 방법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실천적 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1910s begins with the proposition of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With a vestige of feudal society remained, the influx of new culture was made. Capital was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with being distorted by Japanese imperialism not valid paths. The attitudes of new intellectuals dealing with reality was different respectively at the time. The reason why this paper chooses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as main object of research is that they had a same ideological standpoint of independently receiving western culture with autonomous ‘ability cultivation’. The fact that they made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reality was acted on tying these two people. Hyeon, Sangyun variously presented behavior patterns of characters to deal with reality as a course of groping to overcome reality. Beyond the process of groping to overcome reality, Yang, Geonsik proposed alternatives as buddhism to overcome reality. The most important common point of these two people, however, is that their critical mind is down to a problem of practice through the groping mentioned above. They tried to lead moder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ir practical recognition like this. By revealing contradiction of reality without making any kind of adjustments, they emphasized that liquidation of the feudal vestige is the most urgent. Existing researches divided writers of 1910s into various groups and dealt with them generally and broadly. They did not intensively analysed the short stories of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in 1910s and lacked in revealing that these two writers were representation of new intellectuals in 1910s. The goal of the paper is to carefully analyse the short stories of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who left most of their literary work in 1910s and is to reveal patterns of ‘recognition of the age of new intellectuals’ at the time which was connotated in work based on consciousness of these two writers shown in their short stories. As the paper shows, recognition of these two writers can be judged as representation of the time and, in turn, it is certain that stating patterns of new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the age in 1910s as those of ‘recognition of the age’ of these two writers is not unnatural. Consequently, we can say that recognition of the age of new intellectuals represented by Hyeon, Sangyun and Yang, Geonsik in 1910s is practical recognition seeking and presenting how to overcome reality.

      • 꾸지뽕나무 잎의 Chlorogenic acid, Rutin, Isoquercitrin 분석을 위한 HPLC-DAD 정량 분석법 개발 및 평가

        강주영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study, we attempted to establish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analysis method with diode array detector(DAD) for standard quantification of chlorogenic acid, rutin, isoquercitrin which are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in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The major compounds of C. tricuspidata leaves were identified by MS/MS analysis, comparison retention time, and UV absorbance. HPLC method was validated by specificity, accuracy, precis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The HPLC method showed that calibration curves for each of the three compounds have high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 0.99%. The total recovery rate of chlorogenic acid was 101.63%, the recovery section was 101.04-102.68%, the total recovery rate of rutin was 101.81%, the total recovery section was 100.28-102.76%, the total recovery rate of isoquercitrin was 102.185, and the recovery section was 100.30–104.43%. The limits of detection(LOD) for chlorogenic acid 0.286㎍/ml, rutin 0.411㎍/ml, isoquercitrin 0.201㎍/ml, respectively. Daily precision of chlorogenic acid was 0.236%(RSD%), rutin was 0.559%(RSD%), and isoquercitrin was 0.256%(RSD%). This was within 6% of the daily precision (reproducibility) standard of 0.1-1% of the indicator material according to the repeatability test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ealth Functional Food Indicator Substance Identification Guidelines. All tested parameters met the appropriate ranges designated in the guideline. Therefore, the HPLC analy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related functional products or medicines derived from C. tricuspidata leaves extract.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chlorogenic acid, rutin, isoquercitrin의 표준정량화를 위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DAD)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꾸지뽕나무 잎에 함유된 주요화합물은 MS/MS 분석, UV 흡광도, 물질의 유지시간 등을 통하여 동정하였으며, chlorogenic acid, rutin, isoquercitrin을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HPLC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및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chlorogenic acid, rutin, isoquercitrin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HPLC 분석법은 0.99% 이상의 상관계수(R2)로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Chlorogenic acid의 전체 회수율은 101.63%였고, 회수율 구간은 101.04-102.68%이었고, rutin의 전체 회수율은 101.81%였고, 전체 회수율 구간은 100.28-102.76%이었고, isoquercitrin의 전체 회수율은 102.185였고, 회수율 구간은 100.30-104.43%였다. 검출한계(LOD)는 chlorogenic acid 0.286㎍/ml, rutin 0.411㎍/ml, isoquercitrin 0.201㎍/ml이었다. 일간정밀도는 chlorogenic acid의 상대표준편차(RSD%)는 0.236%이었으며, rutin의 상대표준편차(RSD%)는 0.559%이었으며, isoquercitrin의 상대표준편차(RSD%)는 0.256%이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지표물질 확인 가이드라인의 반복성 시험에 따른 지표물질 0.1-1%의 일간정밀도(재현성) 기준인 6% 이내에 속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이 일간정말도(재현성)을 평가하는 기준에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PLC 분석법으로 확인한 모든 매개변수는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은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유래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 또는 의약품 개발 등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사이버공격에 의한 개인정보 침해사고로부터 정보주체 보호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강주영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사이버공격은 지능적이고 지속적인 위협의 모습을 띠고 있으며, 그 공격의 형태는 제로데이(Zero Day)를 넘어 제로아워(Zero Hour)가 실현되고 있다. 사이버공간과 현실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져가고 있는 오늘날의 정보사회에서 이러한 사이버공격의 진화는 일반 개인, 기업, 더 나아가 국가에 대하여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여 정보침해사고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과 같은 개별법이 입법화되었으나, 이용자 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제도들이 마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용자의 정보는 대형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들의 과실로 인해 유출되고 있고, 이에 대한 구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정보주체인 개인에 대한 구제방안으로써 가장 대표적인 방안은 손해배상이다.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률이 개정되면서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정 손해배상도 명문화되었으나 기본적인 손해배상조차 잘 인정되고 있지 않은 분위기에서 과연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정 손해배상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기본적인 손해배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가 인과관계의 입증의 어려움 때문이다. 이용자로서 개인은 정보주체이기는 하나 정보의 이용과정에서 거의 관여하지 않고, 정보시스템 등의 운영에 대하여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가 유출된 경우에 어디에서 유출이 되었고, 누구의 과실이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 하지만 기존의 입증책임의 분배이론 중 통설과 판례가 따르고 있는 법률요건분류설에 의하면 이에 관한 입증은 원고인 정보주체가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입증할 수 없는 원고는 패소할 수밖에 없다. 한편, 동일한 위법(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의 과실)을 이유로 하여 행정청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보침해사고가 발생한 ISP를 상대로 과징금 처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징금 역시 ‘위반행위와 관련한 매출액’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최소한으로 부과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 국민들에게 행정청의 솜방망이 처벌로써 인식되고 있다. 또한 정보주체인 개인은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 국가는 동일한 위법을 이유로 과징금을 부과하여 금원을 취득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용자 보호차원에서 과징금을 부과하지 않는 방안보다는 과징금을 정보주체의 피해구제의 한계를 보완하는 공적 장치로서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주체의 보호방안을 위한 현행법제의 개선방안으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의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를 강화하고, 입증책임을 재분배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국민보호의 책무를 가지고 있는 국가의 책무도 강화하여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이행점검과 정보보호산업의 성장을 위한 환경조성, 그리고 과징금의 기금활용을 제시하였다.

      • 30-40대 기독교 비혼 여성의 심리적 현상

        강주영 백석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non-marriag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 phenomenon of non-marriage life among the unmarried Christian women in their 30s and 40s from an in-depth perspective.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with 8 unmarried Christian women residing in Seoul and aged from 37 to 4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derived into 90 construction meanings, 35 themes, and 11 subject groups. The derived subje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regret that they missed the marriageable age.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confused feelings towards the choice of spouse in the background of unhappy growth. Third, the participants had a strong aversion to men. They had the aversion to men when men treated women lightly, and did not have healthy image of men. In addition, they had complaints towards men. Four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still have expect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marriage. Specifically, they had a desire to marry men with the same religion and had an expectation for spouse with good inner quality than outward appearance. Fif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fear of deferred marriage.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become powerless when they could not choose the men for marriage and were disheartened to think that they were old women who had not been selected. Six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a confused state of mind as old maid. Particularly, they felt lonely when they thought that they became old as old maids. The participants has a mixed emotion towards their status as they felt guilty towards their parents for not having married and not fulfilling the filial piety while feeling hatred against their parents for their old maid status. Moreover,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hesitated to marry when their parents were older. Seven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deepening feeling of self-contempt towards their situation in which they are deferring the marriage. The participants felt sorrow when they saw themselves changing negatively, and were worried about their future life and fell into despair. Furthermore, they blamed themselves and regretted for not having married thus far. Eigh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suffer pain from sexual and physical symptoms. In particular, they were satisfying their sexual desire through masturbation or indirect experience. Additionally, they felt sorrow at their physical changes such as menopause and climacterium. Ninth,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scomfor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th, the participants took their works as higher priority compared to marriage and put greater emphasis on financial independence than marriage. Eleventh,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adapting themselves to non-marriage. Particularly, they were satisfied with and accustomed to single life which they considered as the golden age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into the deep-rooted phenomenon in the inner psychology and mentality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As the qualitative research will fully reflect the inner psychology of human, the candid confession of subjects would provide meaningful basis for understanding them. Seco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important data for the ministry of pastor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reveal the positive aspects that participants found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from their works and enjoyed free life despite psychological difficulty arising from non-marriag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Christian workers, as well as the counseling studies,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30-40대 기독교 비혼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혼의 원인, 심리적 특성 그리고 그들에게 나타난 비혼의 삶의 적응현상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37-45세의 기독교인 비혼 여성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으로 자료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90개의 구성의미와 35개의 주제, 11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군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결혼적령기를 놓친 것을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불행한 성장 배경으로 배우자 선택에 혼란스러운 심정을 갖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남성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남자가 여자를 가볍게 여길 때 반감을 갖게 되었으며 건강한 남자상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남성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결혼 가능성에 대해 여전한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동일한 종교를 가진 남성과 결혼하고 싶어 하였으며 외관보다는 내면이 좋은 배우자를 기대하였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만혼에 대한 두려움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여자들은 결혼 대상자를 선택하지 못할 때 무기력해 진다고 하였으며 선택 받지 못한 나이 든 여자인 것 같아 속상해하였다. 여섯째, 참여자들은 노처녀로서 심정이 혼란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노처녀로 늙어 가는 것을 외로워하였다. 참여자들은 결혼하지 않아서 부모님께 불효하고 있다는 마음과 부모님 때문에 결혼하지 못했다는 미움의 마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모님이 나이가 드실수록 부양에 대한 책임감이 느껴져 결혼을 망설이고 있었다. 일곱째, 참여자들은 만혼의 처지에 대한 자기비하의 심정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부정적으로 변하는 자신의 모습을 슬퍼하고 미래의 삶을 걱정하며 절망스러워 하였다. 또한 이들은 아직까지 결혼하지 못한 자신을 자책하고 후회하였다. 여덟째, 참여자들은 성적·신체적 증상으로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성적인 욕구를 자위나 간접경험으로 해소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폐경, 갱년기 같은 신체적 변화에 슬퍼하였다. 아홉째, 참여자들은 대인관계에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열째, 참여자들은 자신의 일을 결혼보다 우선시 하였고 결혼 보다는 경제적 독립을 중요시하였다. 열한째, 참여자들은 비혼에 적응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싱글인 지금이 황금기라고 생각하고 만족하며 익숙해지고 있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본 연구는 30-40대 비혼 여성의 심리 내면의 심층적인 현상들을 다루었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질적 연구가 인간 내면의 심리를 충분히 반영하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솔직한 고백자체가 이들을 이해하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발견된 30-40대 비혼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은 상담의 기초자료와 목회자들의 목회사역에 중요한 자료제공의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가 참여자들이 비혼으로 심리적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자신의 일에서 존재감을 발견하고 자유로운 삶을 즐긴다는 긍정적인 부분을 드러낸 점에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상담학 뿐만 아니라 기독교 종사자들에게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 30-40대 비혼 여성들을 이해하는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효과적인 교회 말씀 교육을 위한 교회 교육자의 목소리 연구 : 발성법을 중심으로

        강주영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 교육의 핵심은 ‘말씀’ 교육이다. 이러한 말씀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말씀을 어떻게 잘 전달하는가, 효과적으로 전달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교회 말씀 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설교와 성경공부 등은 모두 음성언어, 즉 목소리를 주로 사용하는 교육이다. 그러나 정작 교회 교육에서는 교육의 중요한 도구가 되는 목소리에 관한 관심도가 저조하고 그에 대한 교육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회 교육에서의 음성언어를 통한 말씀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짚어보고, 교회 교육자의 좋은 목소리가 갖는 교회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교회 교육자의 발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