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經濟行政法上의 規制緩和에 관한 硏究

        강주영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韓國의 특수한 사정으로 인한 정부주도의 經濟發展優先政策은 필연적으로 수많은 규제법규들을 입법케 하였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경제체질은 규제받는 것에 익숙 해 있다. 그러나 세계경제체제가 開放化·國際化·脫規制化·非關稅化되는추세에서 더 이상의 이러한 체제로서는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민간부문의 자율적이면서도 탄력적인 역할증대가 불가피하게 되었는데 그 要諦는 이른바 規制緩和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경제행정규제는 무조건 완화되고 철폐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개별 규제행정의 분야에서는 획일적으로 말하기가 곤란하다. 특히 소비자와 근로자 그리고 환경 등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규제를 확장 할수록 각각의 이익을 보장하는 관계이다. 그러므로 헌법상의 영업의 자유와 경제적 창의(initiative)를 존중하면서도 헌법상의 소비자와 근로자 그리고 환경에 대한 권리도 최대한 보장하는 가운데 規制法規가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규제법규의 제정은 행정절차적이면서도 행정과정적인 것이므로 개인과 기업 등 민간부문에 대한 규제법률은 일종의 權利制限이라 할 수 있으므로 국민모두에게 납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한 예견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행정규제의 근거가 되는 법령이 투명하여야 하는데 이는 규제를 하기 위해서는 행정부의 恣意로 할 것이 아니라 법령에 근거가 있어야 할 것과 규제근거가 되는 법령이 구체적이고 명확하여야 함을 말한다. 規制權行使로 인한 권익침해의 경우가 발생했을 때 일반적으로 사전적 구제와 사후적 구제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경제규제행정에 있어서는 행정청에게 광범한 재량이 인정되는 경우가 맣고 또한 경제규제처분의 성질상 사후적 구제는 규제작용에 의하여 이미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행정절차와 청문 및 옴부즈만 등의 수단을 통하여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전적 구제가 더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규제하는 입법의 사법판단시 그 심사기준이 되는 것은 법률자체가 열거하는 목적과 법률의 전체구조와 기능으로부터 도출되는 목적으로부터 그 목적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가 물어져야 할 것이고, 그리고 규제법규가 제정되더라도 그 규제가 필요한 것이며 최소한의 규제를 하고 있는 것인가가 물어져야 할 것이다. Economy administration regrlation had contributed much. That is to say, when nin-phblic economy system is underdevelpored, less matured and inefficient, govern leading economy policy which accomparied regulttion had gare us rapid development and it is affirmative aspect. But under the new charge of warld economy system, which means WTO, Korea joined OECD and it is hard for our country's economy system which is accustomed to regulation to conform to these change. We can say that the relief of economy administrative regulation connect directly to comtitive ability of companys and nations, in the view point of law, in which way we can bring the effect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relief, that is the point of this text. As described, usually we recognize economy administrative regulation should be reieved and terminated, but in individual regulation administration field it is hard to say uniformly. In the point of the protection of employee, consumer and environment, the more we regulate companys, at the point of virture and company the higher the production cost, arid it can weaker competitive ability. But these consumer, employee and enviromem is importan factor, so we cann't think slightly reglating law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condition of both respecting constitutiond freedom of busine and economic initiative and securing the right of consumer, employee and environment maximally. The establish of regulation law is both administrational process and administrational course, we can say that regulation law against non-public part which include individuals and companys is a kind of limitation of right so it should be able to be persuaded to all people and also it shoud be predictible. In the rarg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is proceeding, to obstain these object, the transparency of regulration should be obtained. When right and interest is violated due to regulation right exercise, relief can be dirided into prior relief and post relief, post relief is the case that property loss already occured due to regulative action so to prevent property loss we should utilize prior relief which has means of administrative process, hearing and ombusman.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배지의 검출효율 및 정확도 비교

        강주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tection efficiency and accuracy of Baird parker agar(BPA) and MC-Media Pad SA(MMPSA) with Staphylococcus aureus reference strains, wild strains and monitoring fo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pecificity of BPA and MMPSA, S. aureus reference strain and wild strains produced typical colonies on BPA and MMPSA, but non-S. aureus showed atypical colonies or did not grow on BPA and MMPSA. The recovery of reference strain from artificially inoculated foods was 2.8 ± 1.2 log CFU/g in BPA and 2.9 ± 1.1 log CFU/g in MMPSA.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recovery rates between BPA and MMPSA was 0.986. The detection efficiency of monitoring foods was 53.3% in BPA and MMPSA.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food monitoring were 2.0 ± 0.8 log CFU/g in BPA and 2.0 ± 0.7 log CFU/g in MMPSA.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quantitative accuracy was 0.980. The qualitative accuracy of food monitoring were 97.7% in BPA and 96.4% in MMPSA. The detection efficienc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ccuracy for selective medi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o it was judged that MMPSA, along with BPA, could be used for isolation,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S. aureus in various foods.

      •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활동 사례 분석

        강주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무용공연예술은 무용전공자에 의한 전문무용단의 공연뿐만 지체장애인 무용단의 활동 사례가 화제가 되고 있다. 지체장애인에 있어서의 무용의 개념은 치료의 의미를 넘어 예술의 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체장애인의 무용 활동은 단순 향유를 넘어 정신적·신체적인 면이 향상되어 문화·예술 주체자로서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행동으로 변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과거와 달리 장애인의 여가활동의 확대 차원에서 장애인 무용 활동의 장점에 대해 인식함은 물론, 장애인의 다양한 무용 활동과 높은 관심을 살려 장애인들이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는 특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식을 배경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활동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활동 참가에 따른 즐거움 요인과 휠체어무용 활동 참가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을 알아보았다. 현재 지체장애인 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무용수 4명을 유목적표집 후 대표하는 4명의 장애인무용수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수집 등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와 항시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및 해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활동 참여에 따른 즐거움 요인은 휠체어무용 활동 및 공연활동에 대한 즐거움, 교류에 대한 즐거움, 성격의 변화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무용수는 휠체어무용 활동의 시작과 활동과정에서 적극적인 태도가 형성이 되어 이에 따른 즐거움을 갖고 있었으며, 휠체어무용 활동은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과 동시에 비장애인들보다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체장애인들은 공연활동을 통해 얻어진 자신감이 좀 더 전문영역에 도전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등 높아진 성취감으로 인해 휠체어무용 활동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의미는 지체장애인 무용수 개개인에게 재활의 개념에서 건강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자기개념 즉, 삶의 즐거움에도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체장애인은 휠체어무용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신체능력을 발달시켜 행위의 종류는 다르지만 비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에서 같이 휠체어무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과거와는 달리 비장애인과의 사회적 교류를 통하여 삶의 즐거움을 갖고 있는 것을 엿 볼 수 있었다. 또한 무용을 통해 성격이 과거 내성적인 성격에서 활발한 성격으로 변화되어 무용 활동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었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참여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에서는 책임감 부여, 경제적 부담, 열악한 환경조건에 따른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 무용수들은 지체장애인의 특성으로 인한 신체적 어려움과 무용 활동을 하기 위한 고가의 장비구입의 어려움, 그리고 사회의 부족한 인식이 지체장애인 휠체어무용 참여에 따른 부담감을 갖고 있는 것을 엿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부담감은 후배양성과 휠체어무용 분야의 저변확대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무용 활동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장애인 스스로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나 관련기관의 폭넓은 지원 등 사회제도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보다 나은 환경에서 많은 지체장애인들이 휠체어무용을 접할 수 있게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eelchair dance activity of Physically Disabled comprehensively and multi laterally. To achieve this goal, four disabled dancers who currently active in are non-probability sampled in order to conduct qualitative case study and collect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depth interviews, document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using data coding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 reliability of research and validity and morality were confirmed. Wheelchair dance activity in case of disabled were identified by fun factor in participation of dance class and psychological burden to participate. First, the main factors of enjoyment in participating of the handicapped in wheelchairs dancing activity are wheelchair dancing activity, enjoyment of dancing performance, exchange for the pleasure and the change of the nature. It has been a pleasure by the formation of a positive attitude based on starting and the process of wheelchair dance activities of physically Disabled. They are more meaningful for physically disabled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it takes up an important part of life for them, because physically disabled has more constrained of the variety of activitie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lso, they feel the joy of dance activity due to increased achievement which desire to challenge in the professional area through the confident that get from the dancing performance activity. This means that effects to self concept, which is enjoyment of their life as well as to the concept of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dancers on their health. In addition, we can see that the physically disabled has the enjoyment of life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unlike the past through dance activity in a wheelchair for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physical ability although the type of activity are different with normal people at the same level. Through the dance activities, performance and social interaction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nature of physically disabled has changed from the past introvert personality to the active which result in more active role in the dance activity. Second, for the psychological burden in participation of wheelchairs dancing, responsibility given, the financial burden and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appeared. The physically disabled has difficulty of physical challenge due to the nature of the handicapped, the difficulty of buying expensive equipment, and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society to participate in wheelchair dance activities. These burdens are major barrier of training the juniors and the expansion in the field of wheelchair dance. Although it is very important for disabled peopl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wheelchair dance activity, but it was identified that required government support and change of social institutions. furthermore, need social attention for many handicapped people to exposure wheelchair dance in better environment.

      • 글로벌 ESG 공급망 실사 확대에 따른 협력 중소기업 ESG 지원방안 연구 : 동반성장위원회 협력사 ESG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강주영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ESG 정보공시 관련 규제가 세계화됨에 따라, 많은 기업이 ESG 경영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30년까지 모든 코스피 상장사의 ESG 정보공시가 의무화된다. 나아가 최근 ESG 관련 공급망 실사(Supply Chain Due Diligence)가 확대되고 있으며, 상장사와 거래하는 1차 이하의 협력 중소기업의 경우 ESG 경영이 사실상 의무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재 ESG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ESG 경영 확산의 원인 분석, 상장사의 ESG 평가등급과 재무가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ESG 공급망 실사에 관한 주요 공시기준의 동향을 알아보고, 동반성장위원회의 협력사 ESG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ESG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공급망 실사 및 ESG 글로벌 공시와 관련하여, IFRS 재단의 ISSB 공시기준, GRI 공시기준, EU의 CSRD(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와 이에 대한 실행지침인 ESRS(기업 지속가능성보고 표준,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 공시 의무화 규칙안(Rules to Enhance and Standardize Climate-Related Disclosures for Investors)이 주요한 ESG 글로벌 공시기준으로 파악되었으며, 공통적으로 공급망의 ESG 경영관리를 요구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동반성장위원회의 2021년도 협력사 ESG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결과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관련한 전지 업종의 사업별 환경(E)지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ESG와 관련한 금융지원·약점 항목 개선 지원(설비·인증·컨설팅 등)·ESG 보고서 작성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많았고, ESG 경영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ESG 대응 인력 부족이었다. 전지 업종의 환경(E)지표 사업별 결과분석의 경우, 종업원 수 및 평균 매출액 등 기업의 규모에 상관없이 중소기업은 전반적으로 ESG 경영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환경경영 목표 수립·에너지 사용관리·온실가스 배출관리 등과 관련한 지원이 시급하였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ESG 경영 내재화를 위한 수단으로 ESG Data 관리지원을 위한 지속가능경영(ESG)보고서 작성 지원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후속적인 지원방안으로 정부 및 고객사(대·중견기업)의 ‘ESG 관련 금융지원, 약점 항목 개선 지원(설비·인증·컨설팅 등)’이 필요하고, ESG 전담 인력을 지정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정부 차원의 인건비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추가로 공급망 실사와 관련하여, 협력사의 에너지·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를 위한 정부와 고객사(대·중견기업)의 지원역할을 제시하였다. As regulations related to ESG information disclosure become more globalized, many companies are disclosing ESG management information. In Korea, ESG information disclosure of all KOSPI listed companies will be mandatory by 2030. In addition, supply chain due diligence related to ESG has recently been expanded, and ESG management will be virtually mandatory for first-tier or less cooperative SMEs that do business with listed companies. In line with this trend, many studies related to ESG have been conducted, but most of them have analyzed the causes of the spread of ESG management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SG ratings and financial values of listed compan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ess research on ESG management of SM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examined trends in key disclosure standards related to global ESG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Focusing on ESG support projects of cooperative company of KCCP(Korea Commission for Corporate Partnership), we sought ways to support ESG for SMEs. Regarding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ESG global disclosures, the IFRS Foundation's ISSB Disclosure Standards, GRI Disclosure Standards, the EU's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 (CSRD), the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ESRS), and the SEC's Climate Disclosures Mandatory Rules for Investor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ESG global disclosure standards. These disclosure standards commonly required ESG management of the supply chain. Next, KCCP's 2021 ESG support projec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and the environmental (E) indicators of suppliers in the battery industry related to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SMEs wanted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ESG, support for improvement of weak points (facilities, certification, consulting, etc.), and support for ESG report writing, and the biggest difficulty in ESG management was the lack of ESG response personnel.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 indicators by business of suppliers in the battery industr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mpany, such a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average sales, SMEs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ESG management overall. In addition, suppor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goals, energy use managem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management was urgently needed. Accordingly, as a way to enhance ESG management for SMEs, a plan was proposed to support the preparation of ESG Sustainability Management(ESG) reports to support ESG data management. In addition, as a follow-up support measure, the government and Client company(large company and Middle Market Enterprises) should provide ESG-related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for improvement of weak points (facilities, certification, consulting, etc.). And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s labor cost support policy for SMEs with dedicated ESG personnel. In addition, with regard to supply chain due diligence, the support role of the government and Client company(Large company and Middle market enterprises) was presented for managing energy, greenhouse gas, and air pollutant emissions of suppliers.

      • 초등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 계발을 위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강주영 부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였다. 정부에서는 사회·경제 전반의 혁신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핵심 교육 중의 하나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Convergence) 수업에도 주목하고 있다.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상호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수학교육에서 프로그래밍을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창의성, 컴퓨팅 사고를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이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ython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9차시의 융합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수업 적용을 통해 발현되는 초등 수학 영재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를 분석하는 탐구적, 발견적인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J초등학교 수학·과학 영재학급 학생 16명(초등학교 4학년 11명, 5학년 5명)이고, 9차시의 Python 융합 수업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 장면 녹화, 태블릿 화면 녹화, 오디오 녹음, 실험 수업의 관찰 자료, 학생들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형 모델과 이야기·동화 모델, 문제해결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업 내용은 변수와 자료구조의 활용, 제어문(반복문, 조건문), 함수의 순서로 구성하였으며, 수업의 적용과정에서 명령어의 단계적 교육을 통해 결과물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Python의 기초 문법 및 명령어들을 예제들을 통해 익히게 한 뒤,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다. 교육 주제는 프로그래밍의 난이도와 초등 영재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총 9차시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설계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집중력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수업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인 편이었다. 소감문을 보면,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향상된 점으로 창의력, 사고력, 집중력과 같은 단어를 기술하였고, 다양한 명령어와 재밌거나 더 어려운 프로그래밍도 알고 싶어 하는 등 내적 동기를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학과 프로그래밍 간의 연계성을 파악하게 되었으며, 수학에 대한 친밀감과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표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수학적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확산적 사고, 직관과 통찰, 메타인지, 과제집착력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문제들은,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발현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새로운 변화를 만들고 다양한 해결 과정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실제로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알고 있던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상징 기호, 프로그래밍 명령어 등을 자연스럽게 조직하고 형식화하여 프로그래밍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관점에서 유연하게 해결하려는 확산적 사고를 보여주었다. 또한 2인 1조로 모둠원들은 대화를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면서 반성적 사고와 함께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개념과 알고리즘, 절차 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개방형 문제,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문제 제시, 활발한 수학적 의사소통 등이 수학적 창의성 발현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컴퓨팅 사고의 구성 요소인 추상화, 자동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은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핵심 요소를 추출하는 활동과 수학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작은 내용으로 분해하는 활동을 통해 추상화 과정, 재귀적 사고, 비판적 사고를 경험하였고, 학습한 명령어를 활용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에서 수학 영재 학생들은 성취감과 도전 의식을 보여주었으며, 더 많은 명령어를 학습하여 더 발전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하는 의욕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사례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Python을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은 4차 혁명 시대의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융합 교육 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되고, 학습자들이 Python을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코드를 표현하고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지식과 사고력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의 계발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융합 및 프로그래밍 관련 후속 연구들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웹 게시물의 증거 능력 확보를 위한 화면캡쳐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강주영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는 누구나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으며, 웹 게시판이나 SNS 등에 자신의 의견 또는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하지만 그에 반해 연예인 또는 정치인 등 유명인사에 대한 비방이나 허위사실을 유포 하는 곳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허위사실이나 비방, 명예훼손 등에 대한 웹 게시물을 증거로 제출하기 위해 화면캡쳐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데 디지털 정보인 화면캡쳐 이미지는 위변조의 용이성, 진정성 등 증거능력 한계로 인해 법정에서 증거로 인정받기 어려움 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례를 착안하여 웹 게시물 화면캡쳐 이미지를 법정에서 디지털 증거로 인정받기 위해 위변조가 어려운 Proxy Browser를 제안하고 사용자(신고자)가 직접 자신의 화면을 있는 그대로 캡쳐하여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 웹 게시물 수집·인증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강주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머니의 양육 행동은 사고와 성장, 사회성을 비롯한 전인적인 발달을 하는 유아기에서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모의 양육 행동에서도 유아의 심리적 감정과 정서 표현을 억누르거나 무시하는 등의 부정적인 통제유형인 심리적 통제는 유아의 발달과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arber 1996; Barber, Olsen, & Shagle, 1994; 김충일 & 권윤정, 2018). 다세대가 어울려 하나됨을 중시하던 전통적인 가족의 모습이 강했던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개인이 태어나고 자라온 원가족의 건강성과 원가족에서 자라 새로운 배우자를 만나 꾸리는 가족인 생식가족 건강성을 각각으로 보고, 이 두 가지 유형을 합쳐 가족건강성이라 명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이라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불안정 애착, 원가족 건강성, 가족건강성에 관한 온·오프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애착, 심리적 통제, 원가족 건강성, 생식가족 건강성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통제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가족 생식건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영향을 미칠 때 원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식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영향을 미칠 때 생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통제와의 관계에서 원가족 건강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원가족 건강성이 높을수록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낮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원가족 건강성이 조절효과를 하는 새로운 경로를 밝혀냄으로서 불안정 애착의 수준과 심리적 통제가 높은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urther influences early childhood during holistic development, including thinking, growth and sociability. In particular, even in parental parenting behavior, psychological control, a type of negative control such as suppressing or ignoring the psychological feelings and emotional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young children (arber 1996; Barber, Olsen, & Shagle, 1994). Kim Jung Il & Kwon Yoon Jung, 2018).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there was a strong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that emphasized the unity of multiple generations. I would like to look at the reproductive family health, which is the family that encounters each other, and name these two types together as family health. Based on existing research in which insecure attachment is an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psychological contro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ecure attachment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is related to psychological control and family health. A sex-modulating effect was confirmed.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psychological control was performed on 160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n on-off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on insecure attachment, progenitor family health, and family health was administer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psychological control, progenitor family health, and reproductive family health,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appeared. Second,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on psychological control confirmed the regulatory effect of reproductive health in the original family. The regulating effect on the health of the original family appeared significantly.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gulating effect of reproductive family health on the influence of insecure attachment on psychological control, it was found that when insecure attachment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ffected psychological control was found not to act as a modulating effect on the health of Taken together,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health of the original family has a modul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that the higher the health of the original family, the more unfavorable it is. This suggests that secure attachment has a low influence on psychological control. This study clarified a new pathway in which the health of the original family exerts a regul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health. do.

      •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적 학교적응과의 관계 :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강주영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school adaptation as well as explore whether competitive interaction takes place between variables during the mediating process. In order to identify this, survey which consists of the 5 scales was conducted on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ju, Gyeonggi-do. Amongst the 4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345 copies of data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to make verification through path analysis. Following is the summarization of the major study results. First, when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were simultaneously applied as mediating variables,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displayed mediating effects but self-esteem did not present mediating effects. However, when each were individually applied as mediating variables, all displayed mediating effects. Therefore, it can be perceived that changes happened i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s competitive interaction took place between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which applied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school adjustment. The study result suggests a methodological direction for the enhancement of interpersonal adaptation with teacher and peers in 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ecure attachment should initially be formed between parents and the child in order to enhance interpersonal school adaptation,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ffective connectedness. Moreover, it is effective to heighten ego-resilience, which enables for the possession of flexibility and resilience during stressful situations.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crease self-efficacy, which stands as the conviction and confidence about one's abilit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scussion about further study direction were included.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적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또한 매개하는 과정에서 변인들간의 경쟁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기도 광주 지역에 있는 2개의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다섯 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400부의 설문지 중 345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적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모두 동시에 매개변인으로 투입하면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 하나씩 개별적 매개변인으로 투입하면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적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끼리의 경쟁적 상호작용이 일어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변화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 교사 및 또래들과의 대인관계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법적인 방향을 제시해 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인관계적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부모가 아동과의 안정 애착을 형성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융통성과 회복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자신감인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도 포함하였다.

      • 한국 뮤지컬 마니아의 문화 실천 연구 : 밀레니얼 세대적 특성과 온-오프라인에서의 관극 방식을 중심으로

        강주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is a study on ‘musical enthusiasts’ who actively enjoy musical culture in Korea, especially those who exhibit their own cultural practices and are thus distinct from the general audience. Who are these musical enthusiasts, and what makes them such? Artistry and popularity coexist within musicals, and the enthusiasts who enjoy them are also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as subjects displaying both characteristics. Their cultural practices are tied closely to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here referred to as ‘milennialness’), and they consume musical culture while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ther groups through their own set of rules and norms. Musical enthusiasts take an active interest in musical theater, continuously consuming various performances and actively promoting and introducing those that are evaluated positively. Thus, they act as cultural mediators. In addition, rather than staying in the realm of simple cultural consumption, they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participate in various processes, from selecting works, viewing and reviewing them, to sharing information, thus taking on the role of secondary producers. In particular, musicals of an experiential nature cannot be evaluated unless they are seen in person, so the reviews or critiques by those who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productions in question act as an important basis for choosing which musical to watch. For this reason, beyond watching and enjoying productions, enthusiasts also influence general audiences, creating their own viewing culture and playing the role of both consumer and agent of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at musical enthusiasts as subjects of the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in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past research on musical enthusiasts in which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are highlighted as one of the main development factors of the Korean musical industry as well as targets of musical market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aims to recognize them as agents of cultural practices who actively create their own subculture in the field of musical theater, and to interpret this significant part of the Korean musical theater culture phenomenon. To this end, the cultural practice of musical enthusiasts wa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1) cultural practices based on millennialness, 2) cultural practices revealed while watching performances, and 3) cultural practices observed while watching performances online. These cultural practice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basic behavior and identity of musical enthusiasts are consistent throughout. Based on this, the cultural practices of musical enthusias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sical enthusiasts enjoy musical culture by focusing on online activities, individual satisfaction,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and moral values based on their millennialness. As part of a generation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they make full use of online spaces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musicals and to communicate and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fellow audiences. In addition, they place value on their own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while consuming culture with a focus on ‘the present’ and ‘the self,’ they apply social and moral values ​​as an important criterion when selecting productions to watch. As much as possible, they make an effort to stay away from productions that cause social controversy or whose production staff or actors have been involved in any sort of criminal activity, and even if they happen to view such musicals, they may experience some psychological discomfort. Second, musical enthusiasts have their own unique and self-maintained viewing culture due to the nature of performances that take place face-to-face with the actors on stage. Unlike general popular culture, most of their cultural practi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theater genre, i.e., that performances in-person, one-offs, and actual. In other words, performances that take place in person with the actors on stage cannot be reproduced in the exact same way once the moment has passed. Third, musical enthusiasts play the role of cultural mediators who provide a wealth of information to other audiences through the production of secondary products to remember the one-off and thus unique performances. Like other typical fans of musicians or actors, they produce memory books, photos, postcards, fan fiction, and fan art to commemorate their favorite musical performances and actors. Based on the premise of being shared, these creations are thus a process of recording and sharing happy memories. However, unlike the other types secondary production,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writing fan fiction, as some enthusiasts consider this to be taboo. Fourth, during ‘ontact’ (‘untact,’ but online) performances, some musical enthusiasts have been able to establish a new kind of nowness, bonding with fellow audience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the live chat in lieu of the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traditional live performances. Based on the ‘audience group liveness’ acquired through this interaction, they attempt to restore the liveliness of in-person performances. There are two main ways in which enthusiasts watch online musicals: the ‘giving up’ method of focusing on the performance without any specific cultural practices, as one would during traditional in-person performances, and the ‘overcoming’ method of actively enjoying the performance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 audience members online. Most musicals enthusiasts observed focused on the performance itself as they would in person, but some enthusiasts were practicing a different kind of viewing culture by constituting this new type of audience group l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