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과 사회변동 연구

        복문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903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은 다양한 형식이 공존하고 지역별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단순히 고고학적 접근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고학 자료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기존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고고학 자료와 백제의 대외적 및 대내적 환경 등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그 과정에서 고고학 자료가 어떻게 변천하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백제무덤에 관련된 주요 용어와 함께 백제 한성기의 사회변동에 대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또 한반도 중서부와 서남부에 위치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공간적 범위는 산맥과 수계를 중심으로 한강 권역, 안성천 권역, 미호강 권역,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 영산강 권역 등 6개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형식분류는 그간 지적된 시기성의 불분명성을 보완하기 위해 주요 구성요소 17개의 속성을 검토하였고, 이 가운데 시기성, 독립성, 대표성, 내구성을 가진 최하단석 축석 형태(Ⅰ/Ⅱ), 배부름 기법의 적용여부(A/B), 평면 형태(a/b) 등 3개 속성을 조합하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을 7개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또 석실 형식의 발생순서배열을 적용하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형식적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편년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부장유물을 토기류와 철기류 그리고 위세품으로 대별하고 이 가운데 부장토기 조합양상을 권역별로 구분하며 토기류 기종별 상대순서를 결합하여 개별 석실의 상대순서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철기류와 위세품을 통해 개별 석실의 구체적인 역연대를 부여하는 한편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시기를 네 시기(Ⅰ∼Ⅳ기)로 구분하였다. 상기 형식분류와 편년수립을 통해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에서는 시기별, 권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면, Ⅰ기(4세기 중엽∼4세기 후엽) 동안에는 한강 권역에 한정하여 횡혈식석실이 축조되고, Ⅱ기(4세기 후엽∼5세기 초)에는 한강 권역부터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된다. Ⅲ기(5세기 초∼5세기 중엽)에는 앞선 시기보다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더 확장되어 기존 토착묘제가 강하게 잔존한 영산강 권역까지 다다르며 Ⅳ기(5세기 중엽∼475년)에는 앞선 Ⅲ기보다 석실유적이 축소되지만, 석실형식과 부장토기 조합양상 등에서 정형화가 이루어진다. 또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강 권역에서는 평면 형태에 따른 이원화된 축조 경향과 더불어 축조 공간의 확대가 관찰된다. 또 장방형 횡혈식석실에 한정하여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다. 안성천 권역은 한강 권역과 달리 평면 형태에서의 변화상은 관찰되지 않고 방형인 횡혈식석실에서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다. 미호강 권역 역시 안성천 권역과 같이 방형인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 축조되나, 점진적으로 한강 권역과 같이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주류를 이룬다.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은 방형인 횡혈식석실에 배부름 기법이 적용되며 다양한 형식의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나, 점진적으로 방형인 횡혈식석실로 형태적 정형화가 이루어진다.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도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주로 축조되다가 점차 내륙방향으로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 변화가 이루어지고 방형인 횡혈식석실의 축조로 전환된다. 영산강 권역은 가장 늦은 시점에 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축조되가가 이후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축조된다. 다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기원과 서울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 조영주체 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기원으로 지목되던 고구려, 군현, 중국의 횡혈식 묘제와 관련한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은 석촌동 4호분 내 석실을 근거로 고구려 적석총에 기원을 둘 수 있고 축조재료의 전환이 이루어진 군현지역에서 1차 간접영향, 배부름 기법의 적용 및 장제적 측면에서 중국 강남지역으로 부터 2차 간접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서울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 조영주체와 관련하여 그간 연구성과를 토대로 검토한 결과, 우절각·천장형태·바닥시설 등에서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은 한강 권역의 여타 석실과 차이점이 없고,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을 신라고분으로 비정한 주요 근거인 단각고배는 비혈연적 관계에 따른 재사용의 결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출현기에 해당하는 Ⅰ기에는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새로운 최상위 계층의 묘제로서 횡혈식석실이 도입되고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일부의 집단에 한정하여 우호적 역학관계 아래 횡혈식석실의 전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백제 중앙의 횡혈식석실 수용은 백제의 성장에 따른 고구려와 갈등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빈번한 접촉에 의한 대등 정치체 교호작용이 작동한 결과로 추정된다.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확산기에 해당하는 Ⅱ기에는 인적 및 물적 집산이 용이한 교통의 결절지를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어 지정학적 위치가 횡혈식석실의 전파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안성천 권역 가운데 오산천 일원과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에서 볼 수 있듯이 백제 중앙은 횡혈식석실의 전파에 있어서 지역 내 역학관계도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이 시기 동안 백제가 고구려와 지속적인 전쟁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횡혈식석실이 확산된 점을 고려할 때, 문헌기록과 달리 백제는 내부적으로 상당한 역량을 축적하고 있었으며 고구려와 갈등이 백제 중앙과 지방 간 우호적인 역학관계를 강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발전기에 해당하는 Ⅲ기에는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영산강 권역까지 확대되고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석실이 한강 권역과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을 중심으로 등장하는 등 석실 형식이 더욱 다양해진다. 이 가운데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한강 권역의 하남 감일동유적 등은 선행묘제나 생활유적이 불분명한 점에서 상대적으로 백제 중앙의 영향력이 강하게 적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의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횡혈식석실은 선행묘제가 분명한 점에서 백제 중앙과 우호적 역학관계에 있던 토착집단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Ⅲ기는 백제와 고구려 간 갈등관계가 소강상태에 접어든 시기로, 활발한 대외 교섭과 영산강 권역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되는 점에서 백제의 국력이 빠르게 회복되는 한편 백제 중앙과 지방 간 우호적 역학관계를 바탕으로 지방으로 횡혈식석실의 전파와 수용이 이루어지나 한강 권역을 중심으로 강화된 백제 중앙의 영향력도 관찰된다. 정착기에 해당하는 Ⅳ기에는 유적의 수가 감소되지만 석실 형식과 부장토기 조합양상 등에서 정형화가 이루어져 백제 중앙의 강화된 영향력을 상정할 수 있다. 이는 한강 권역에서 몽촌토성 기점 반경 30㎞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되며 영산강 권역을 제외한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 및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 등에서 이루어진 지역 내 역학관계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는 개로왕대 실시된 왕권의 강화와 밀접하게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편, 이러한 역학관계의 변화는 백제 중앙의 개입 아래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횡혈식석실의 변천과 역학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강 권역에서는 우호적 역학관계 아래 Ⅰ기부터 Ⅱ기까지 거점 확보 및 확대가 이루어지고, Ⅲ기에 이르러 1차 영역화가 이루어지며 Ⅳ기에 이르러 2차 영역화가 이루어져 점진적인 백제 중앙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안성천 권역은 Ⅱ기에 이르러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지만, 이미 수혈식석곽이 축조되던 집단을 중심으로 백제의 거점 확보과정에서 횡혈식석실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된다. 또 Ⅲ기에는 오산천 東岸 등으로 횡혈식석실의 확산이 이루어져 토착적 성격이 강한 오산천 東岸까지 백제의 영향력이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미호강 권역은 Ⅱ기부터 남한강유역과 연결된 교통로의 결절지를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며 거점 확보가 이루어진 후 Ⅲ기까지 유지되다가, Ⅳ기에 이르러 새롭게 목천분지를 경유한 교통로 확보과정에서 지역 내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은 Ⅱ기에 이르러 거점 확보가 이루어지고 Ⅲ기에 이르러 다수의 토착집단에 의해 횡혈식석실이 수용되어 거점 확대와 더불어 위세품 부장양상 등에서 우호적인 역학관계 아래 지역 내 1차적인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Ⅳ기에 이르러 해당 권역은 정형화된 석실이 한정된 유적에 집중되는 점에서, 이 시기 동안 지역 내 2차적인 세력 재편이 이루어졌으며, 위세품 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서 백제 중앙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은 Ⅱ기부터 서해안과 인접한 지역을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어 거점 확보가 이루어고 Ⅲ기까지 유지된다. 하지만 위세품의 부장과 석실 분포의 변화 등에서 Ⅳ기에 이르러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도 백제 중앙의 영향력 아래 지역 내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 권역은 Ⅲ기에 이르러 영산강 권역 내 토착집단 가운데 하나인 나주 복암리에 방형의 횡혈식석실이 전파되며 거점 확보가 이루어지고, Ⅳ기에 이르러 또 다른 토착집단인 영암 내동리일원에 장방형의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며 거점 확대가 관찰된다. 다만 백제 중앙과 물리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전파가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백제 중앙의 개입에 따른 지역 내 세력 재편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고고학 자료인 횡혈식석실의 변천을 통해 백제 사회변동을 살펴보았다. 최근 역사학계에서 제기된 古尒王代 이후 阿莘王代까지 연맹왕국(연맹국가), 腆支王 이후 집권국가로 발전하고, 蓋鹵王代 왕권강화를 시도하였다는 견해가 고고학 자료의 변천과 잘 부합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simply by an archaeological approach because various forms coexist and show different patterns by reg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he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 of the Baekje were exchanged and how the archaeological data changed in the process by utiliz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istorical academia as well as the archaeological data. Prior to the study, the main terms related to Baekje tombs and the terms of social change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spatial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located in the midwest and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ix region, including the Hangang region, Anseongcheon region, Mihogang region,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and Yeongsangang region, centering on mountain ranges and water systems. Nex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uncertainty of the timeliness reveal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17 attributes frequently used i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Among them,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as divided into seven types by combining three attributes: the lowest end stone form (I/II), the application of the Baebureum technique (A/B), and the planar shape (a/b). In addition, by applying the occurrence seriation of the stone chamber type, the typological ch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of the Hanseong period was estimated. And the chronology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of Baekje was considered.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lassified the burial artifacts into pottery, ironware, and prestige goods, divided the burial pottery combination patterns by region, and examined the relative order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by region according to the burial pottery combination patterns. In addition, specific historical dates of individual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given through ironware and prestige goods, and the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hases(I∼IV pha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and each region 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ere considered. The s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are as follows; During the I phase (the middl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only in the Hangang region, and during the II phase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The scope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expanded from the Hangang region to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In the Ⅲ phase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middle 5th century), the rang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extended more than the previous phases, reaching the Yeongsangang region where traditional local burial practices were strongly prevalent. In the Ⅳ phase (the middle 5th century to 475) the rema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re reduced compared to the preceding III phase, but the standardization is made in the typ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the combination of the burial potter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re as follow; In the Hangang region,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space is observed along with the tendency of dua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lanar shape, In addition,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only to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Unlike he Hangang region, the Anseongcheon region does not observe any change in tthe planar shape, but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in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The Mihogang region is also built around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like the Anseongcheon region, but gradually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like the Hangang region is mainstream. In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to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various types of corridor stone chamber are built, but the morphological standardization is gradually made into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mainly constructed, and gradually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changed in the inland direction, and it is converted into the construction of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Yeongsan region, a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built, and then a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built. Next, this study explored the orig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and the issue of the construction agent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Songpa District of Seoul. As result by analyzed the orig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is originated from the Goguryeo's stone-piled tomb on the basis of the stone chamber in Seokchon-dong No. 4 and the Gunhyeon region where the convers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is made, was the first indirect influence and It was judg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Baebureum technique and the funeral aspect were influenced by the second indirect influence from the Gangnam area in China. Furthermore, regarding the constructors of the tombs in the Songpa District of Seoul, based on existing research, inferred that these tombs, given their similar corner angles, ceiling forms, and flooring structures to other tombs in the the Hangang region, do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that the short-mounted cups, previously considered key evidence for Silla-style tombs, are likely results of reuse due to non-blood relations. And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was considered. It is judged that the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introduced as a new top-class tomb by Baekje central power in the I phas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e phase, and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arried out under the favorable mutual relationship limited to some geopolitically important groups. In addition, the acceptanc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center of Baekje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equal politics through frequent contact in the process of intensifying conflict with the Goguryeo due to the growth of Baekje. It is presumed that the geopolitical location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because it was built around the nodule of traffic which is easy to collect human and material in the II phase corresponding to the diffusion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In addition, as can be seen on the Osan stream area in the Anseongcheon region and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Baekje central area is presumed to have considered the dynamics in the area in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aekje continued to wage war with the Goguryeo during this period, the Baekje had accumulated considerable capacity internally, unlike the documentary records, and the conflict with the Goguryeo strengthene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central and local areas. In the III phase, which corresponds to the expansion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the rang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expanded to the Yeongsangang region, an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ith the Baebureum technique appears around the Hangang region and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Among them, it is presu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enter was strongly applied to the Hanam Gamil-dong remains of the Hangang region where the Baebureum technique was applied.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to which the Baebureum technique of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was applied was built by the indigenous group which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Baekje central in that the preceding tombs were clear. In addition, in the Ⅲ phase, the conflict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as in a lull, and Baekje's national power was rapidly restored in terms of active foreign negotiation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to the Yeongsangang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arried out in the provinces based on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central, but the influence of the the Baekje central strengthened around the Hangang region was also observed. In the Ⅳ phase, which corresponds to the fixed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the number of sites is reduced, but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strengthened influence of the Baekje center by being stereotyped in the typ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the combination of burial pottery. This is seen in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from the Hangang region to the 30km radius of MongchonTosung,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forces in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and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excluding Yeongsangang region. This is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hip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Gaero, while the reorganization of power within the region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the Baekje Central. Finally, the dynamic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and the change of the Baekje society during the Hanseon period of the Baekje in relation to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examined. In the Hangang region, the base is secured and expanded from the Ⅰ phase to the Ⅱ phase under the friendly mutual relationship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central is gradually strengthened by the first territorialization and in the III phase and the second territorialization in the IV phase. In the Anseongcheon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the Ⅱ phas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base of Baekje centered on the group where the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 was already built. In addition, in the III phase, the spread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made by the Osan stream east, and it seems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central was extended to the Osan stream east, which has a strong indigenous character. In the Mihogang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around the nodule of the traffic route connected to the Namhan River basin from the Ⅱ phase. After securing the base, it was maintained until the III phase. In the Ⅳ phase, It is judged that the power reorganization took place. In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the base was secured in the Ⅱ phase, By the III phase, it is estimat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onstructed by a large number of indigenous groups, and the primary reorganization of the power in the region was carried out under favorable mutual relations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the base and the appearance of the prestige goods. In addition, the scop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concentrated in the Ⅳ phase, and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second reorganization of the power in the region.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around the area adjacent to the west coast from the II phase, and the base was secured and maintained until the III phase.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power in the area was reorgan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entral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in the Ⅳ phase due to the change of the aspects of prestige good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Yeongsangang region, in the III phase, a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propagated to Naju Bokam-ri, one of the indigenous groups in the Yeongsangang region, and a base was secured. By the Ⅳ phase, a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Yeongam Naedong-ri, another indigenous group. However, it is presumed that it has not reached the reorganization of the forces in the region because it is located physically far from the center of Baekje and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relatively late. In addition, the changes of Baekje society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considered. The view that the Baekje stayed the kingdom of the Federation from the King Koi to the King Asin, and entered the centralized state from King Geonj, and attempted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during the King Gaero was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archaeological data.

      •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강선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903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 내 10개 지점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된 수질 변수는 전기전도도 (Conductivity),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총인 (Total phosphorus), 총질소 (Total nitrogen) 및 총부유물 (Total suspended solids)의 7개 항목으로서 계절별, 연별, 조사지점별 농도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수계 내에서의 이화학적 수질측정값은 계절 강우에 따라 수질 측정값의 변동 폭이 심하며, 대부분의 수치 농도변이는 7-8월에 집중되는 하절기 몬순 강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장마기에 이온희석의 지표로 사용되는 전기전도도와 총인, 총질소와 같은 영양염류들의 경우 강우량과 역 상관관계 (|r|>0.32, p<0.01, n=119)를 보였으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경우에는 강우분포와 통계학적 유의성 (p>0.05, n=120)을 보이지 않았다. 총인, 총질소, 전기전도도는 대부분 장마중인 7-8월에 최소값을 보였는데, 이는 강우에 의해 오염물질이 희석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총부유물의 유입은 하절기 몬순 동안에 최대치를 보여 이온 감소와는 대조적인 특성을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계절적 변화 패턴은 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유사한(r=0.592, p<0.01) 양상을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총질소의 변화패턴 또한 총인과 유사한(r=0.529, p<0.01) 양상을 보였다. 용존산소량의 계절별 변화에 따르면, 수온이 낮은 겨울에 최대값을 보이며 온도가 높은 여름에 최소값을 보여 수온과의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점별 변화 패턴 분석에 따르면, 전기전도도를 제외한 총인, 총질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총부유물은 상류 및 하류역 보다 중류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 반면, 전기전도도의 경우에는 하류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총인, 총질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수질값은 지점 4(광주 2)에서 급격히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광주 도심으로부터 유출되는 가정하수 및 인접한 공단에서 배출하는 폐수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영산강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이런 도심지역의 오염부하 저감을 통한 효율적 수질관리가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longterm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for 10 sampling sites of the Yeongsan-River watershed using water quality dataset during 1995-200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y, based on multi-parameters of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DO), total phosphorus (TP), total nitrogen (TN) and total suspended solids (TSS), largely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s, seasons and years. Largest seasonal variabilities in most parameters occurred during the two months of July to August and these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large spate of summmer monsoon rain. Conductivity, used as a key indicator for a ionic dilution during rainy season, and nutrients of TN and TP had an inverse function of precipitation (absolute r values>0.32, p<0.01, n=119), whereas BOD and COD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p>0.05, n=119) with rainfall. Minimum values in conductivity, TN, and TP were observed during the summer monsoon, indicating an ionic and nutrient dilution of river water by the rainwater. In contrast, major inputs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ummer monsoon. BOD values varied with seasons and the values was closely associated (r=0.592, p<0.01) with COD, while variations of TN were had high correlations (r=0.529, p<0.01) with TP. Seasonal fluctuations of DO showed that maximum values were in the cold winter season and minimum values were in the summer seasons, indicating an inverse 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The spatial trend analyses of TP, TN, BOD, COD and TSS, except for conductivity, showed that the values were greater in the mid-river reach than in the headwater and down-river reaches. Conductivity was greater in the down-river sites than any other sites. Overall data of BOD, COD, and nutrients (TN, TP) showed that water quality was worst in the Site 4, compared to those of others sites. This was due to continuous effluents from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ithin the urban area of Gwangju city. Based on the overall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in the urban area for better water quality.

      • 중국 송나라 시대의 사조 음악 연구 : 강기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71

        Kang,Ki was a famous litterateur and Sajo musician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of China. His 17 Sajo works are the only collection of Sajo works of Song Dynasty with music score that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It is regarded as “a rare treasure in the history of music”and an extremely important and precious cultural heritage in the music Treasury of China and even the world. Kang,Ki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in Chinese academic circles.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Kang, Ki’s Sajo works, combined with the analysis of examples, starting from Kang, Ki’s life, times and cultural background, and in the context of music theory that modern people can understand, the author mak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words, tu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tunes, and the aesthetic features embodied in the lyrics and tunes of the 17 Sajo works, Through exploring the creative skills of Kang, Ki’s Sajo works, we hope to better understand the creative style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Sajo music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시각 표현에 관한 연구 : 실험성이 강한 타이포그래퍼들의 조형언어를 중심으로

        모란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71

        오늘날과 같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인 문자는,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적 기능 이상으로 시각적 표현과 조형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로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좀더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달 매체인 문자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실험이라는 의미는 시각적 매개체를 표현하는 새로운 가능성이며, 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또한 실험성이 강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를 추구하려면 전통적으로 내려온 규범이나 관습 등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하며, 그것이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접근이나 시도를 추구함에 있어서 관습이나 규범의 틀을 뛰어넘는 창의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시각표현을 전제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실험성이 강한 타이포그래퍼인 프랑스의 로베르 마쌩(Robert Massin), 독일의 볼프강 바인가르트(Wolfgang Weingart), 미국의 에이프릴 그레이만(April Greiman), 영국의 네빌 브로디(Neville Brody), 미국의 데이비드 카슨(David Carson), 한국의 안상수(Ahn, Sang-Su)와 원유홍(Won, You-Hong)등의 조형언어를 비교, 분석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디자인 철학, 문자의 접근방식, 작품의 영감, 디자인 사조를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실험의 의미를 숙지하고, 더 나아가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1세기의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타이포그래퍼는 적극적이고 넓은 안목을 갖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타이포그래피에 과도한 “멋 부리기” 보다는 작품의 의도나 표현에 대한 인식, 정보의 전달이 애매 모호해 지지 않도록 좀더 신중한 판단을 해야만 한다. 또한 새로운 시각표현의 자유로운 창조 활동을 위한 무한한 시각적 표현방법으로서 문자 정보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타이포그래피의 진정한 실험을 위해 여러 가지 타이포그래피 요소들과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나 선입견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며 그것을 신선한 관찰력과 접목시킴으로써 진취적이며 도전적인 방향으로 그 능력을 키워야만 하겠다. 앞으로의 실험적 타이포그래피는 기존의 원리들이 충분히 이해된 가운데 변화하는 시대감각에 맞는 실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조형언어로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증폭시켜나가야 하겠다. Today, The character as tools for communication in the flooding of the information must be more than linguistic functions and has another function, such as visual expression and formative language. And we can access lots of information easily, conveniently and transfer it more quickly, as being growth of the computers. The meaning of the experiments in Experimental Typography is new possibility to present visual mediation and a kind of too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dditionally we are supposed to keep traditional customs sufficiently to pursue experimental new Typograph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to overcome limitation of traditional customs. This case will be having experimental typography's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design philosophy, access method of character, inspiration, and trends and presenting creative possibilities based on Robert Massin, Wolfgang Weingart, April Greiman, Neville Brody, David Carson, Ahn Sang-Su, Won You-Hong. To fulfill the needs for the 21st century we should concentrate on getting objective views and careful judgment not to transfer ambiguous information. We should take responsibility to make various possibilities about character information as visual expression and throw prejudice away, and raise progressive and challengeable possibilities by merging fresh observation. Consequently, we must attempt to new approach on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typography and increase continuing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formative language.

      • (A) profile analysis of Raman scattered 6825 and the accretion disk model in the symbiotic stars V1016 Cyg and HM Sge

        강선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공생별은 일반적으로 넓은 궤도 반경을 갖는 거성과 백색왜성의 쌍성계로 알려져 있다. 이 쌍성계에서 거성은 느린 항성풍의 형태로 질량 손실을 겪으며, 이 항성풍의 일부분은 백색왜성에서 방출하는 강한 UV선에 의해 이온화 된다. V1016 Cyg와 HM Sge는 미라형 변광성과 고온의 백색왜성으로 구성된 D형 공생별이다. 이 두 별은 이중 마루가 나타나는 상당히 강한 라만 산란 O VI 6825Å이 보인다. 공생별의 부착원반 존재 여부는 이제까지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우리는 2005년 11월 7일부터 9일까지 보현산 1.8m 망원경에 장착된 BOES를 이용하여 공생별을 관측하였으며, V1016 Cyg와 HM Sge에 대하여 각각 7000초와 3600초의 노출을 주었다. 우리는 V1016 Cyg와 HM Sge에서 나타나는 라만 산란 O VI 6825Å의 부착 원반 모형에 기반한 선윤곽 해석을 제시한다. 우리의 모형은 미라형 변광성 주변에 존재하는 산란 지역과 백색 왜성 주변에 형성된 기하학적으로 얇은 케플러 원반에서 O VI 선광자가 생성된다고 가정한다. 많은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에서도 알려진 바와 같이, 두 공생별의 라만 산란선 6825에서 붉은 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푸른 쪽 부분 보다 강하다. V1016 Cyg의 경우 극대값이 6823.5Å과 6830.8Å의 두 부분에서 나타난다. 이 두 마루 사이의 O VI 1032Å 방출원의 속도차는 48km/s이다. HM Sge의 마루는 6823.3Å과 3829.4Å에 위치하여, O VI의 두 마루 지역의 속도차는 41km/s이다. 우리 모형을 규정하는 물리 변수들은 부착 원반 외곽부의 속도 vo, 거성 항성풍의 종단 속도 v∞, 두 별 사이에 놓인 O VI 공명 산란선 지역의 시선 속도 성분 vω 이다. 우리는 V1016 Cyg와 HM Sge의 라만 산란선이 우리 부착원반 모형을 통하여 훌륭하게 맞출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 때에 모형 변수들은 각각 V1016 Cyg에서 vo=30km/s, v∞=11km/s, vω=-10km/s이고 HM Sge에서 vo=26km/s, v∞=10km/s vω=-7km/s이다. 우리의 연구로부터 이들 두 공생별은 거성의 질량 손실로 나타난 느린 항성풍의 일부가 백색왜성의 중력에 포획되어 백색왜성 주변에 부착원반을 형성한다는 이론을 강하게 뒷받침하는 관측적 증거를 확보하였다. Symbiotic stars are generally known to be wide binary systems consisting of a hot white dwarf and a giant star. The giant component may lose mass in the form of a slow stellar wind, a significant fraction of which can be photoionized by the strong UV radiation from the hot white dwarf component. V1016 Cyg and HM Sge are classified as D-type symbiotic star containing a Mira type giant as cool component. These two symbiotic stars are known to exhibit a fairly strong Raman scattered O VI 6825Å with a characteristic double peak profile. It has been quite controversial whether symbiotic stars may have an accretion disk around the compact source. We observed V1016 Cyg and HM Sge on the nights of 2005 November 7 through 9 with the 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equipped on the 1.8 m telescope at Mt. Bohyun. The exposure times are 7000s and 3600s for V1016 Cyg and HM Sge, respectively. We present our profile analysis of Raman scattered O VI 6825 assuming that O VI line photons are generated from a thin Keplerian disk with a scattering region between the white dwarf and Mira giant. In both systems, the red part is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blue part, which is noted by many previous researchers. In V1016 Cyg, the local maxima are found at 6823.5°A and 6830.8Å. The separation of these two peaks corresponds to 48 km/s in the velocity space of O V I 1032Å emitters. The peaks for HM Sge are located at 6823.3Å and 6829.4Å for which the separation in velocity space of O VI is 41 km/s. Our model is described by the velocity parameters including vO, v∞, and vω, which represent the velocity of the outer disk rim, the terminal velocity of the giant wind and the velocity component of the resonance O VI region, respectively. We find that the Raman scattered features of the two symbiotic stars are excellently fitted with best fitting parameters given by vo = 30 km/s, v∞ = 11 km/s, vw = -10 km/s for V1016 Cyg and vo = 26 km/s, v∞ = 10 km/s and vw = -7 km/s for HM Sge. Our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idea that these two symbiotic stars possess an accretion disk around the white dwarf that is formed through gravitational capture of some fraction of the giant stellar wind as a result of mass loss.

      • Application of Zwitterionic Polymers to Bio-Interfaces

        강선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71

        양쪽성 고분자(zwitterionic polymer)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갖는 다른 이온성, 비이온성 고분자와는 다르게 독특한 성격을 나타낸다. 양쪽성 고분자는 분자 내에 양전하와 음전하를 모두 가지고 있는 분자로, IUPAC에서는 이를 ampholytic 고분자의 일종으로 고분자 내 염 (inner salts)을 형성하는 분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들은 음전하/ 양전하 그룹이 있거나, 이온화 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ampholytic 고분자와는 다르게, 분자 본연이 완전히 균형된 전하를 가지고 있어 전체적인 전하가 0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하전된 그룹으로 인해 큰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전하로 인해 물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친수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양쪽성 고분자는 이러한 분자적 특징들 때문에 여러 방면으로 응용가능성을 갖고 있는데, 대표적인 응용분야로 양쪽성 고분자가 표면에 도입되었을 경우, 친수성 표면으로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 개질에서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양쪽성 고분자는 분자내의 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용액 상에서 특이한 분자 거동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가 온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응답성 물질로 응용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나는 본 학위논문에서 양쪽성 고분자의 생체 계면에 응용한 연구들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양쪽성 고분자의 친수성으로 인한 비흡착성 표면을 만들 때 특별한 이온결합력을 도입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연구를 제시한다. 두 번째로, 몸 안에 삽입되는 보형물의 섬유화나 염증반응을 막기 위해, 양쪽성 고분자를 공유결합으로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 때 고분자의 도입 정도에 따른 섬유화 과정을 고찰하고, 다양한 자극으로 양쪽성 고분자를 코팅하였다. 세 번째 연구는, 앞선 보형물과 다른, 화학적으로 안정한 소재에서 염증반응을 줄이기 위해 양쪽성 고분자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양쪽성 고분자의 온도 응답성을 이미징 분야에 적용한 시도를 다룬다. 다양한 생체재료가 신체 기능을 보완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급격하게 수요와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체재료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 예를 들어 혈전증, 생물막 (biofilm)형성, 섬유화 등은 응용에의 제한을 두게 된다. 이러한 세포, 박테리아 등의 집합은 재료 표면에서 단백질과 세포가 흡착하고, 이것이 매개가 되어 연속적인 반응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생체분자들의 표면에의 부착, 축적을 억제하는 전략이 제시되었다. 비흡착성 표면을 만들기 위해 하이드록실 그룹을 기반으로 한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시작으로, PEG (polyethylene glycol)를 거쳐, 가장 최근에는 양쪽성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다양한 양쪽성 물질 중에 최초로 생체물질의 점착 등의 오염(biofouling)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인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MPC) 분자는 합성의 용이성과 비특이적 점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응용 가능성을 높여주었고, 생체막을 모방하였다는 장점과 함께 뛰어난 생체적합성을 보여왔다. 이런 효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생체 재료에 적용되어, 많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임상시험과 더불어 FDA에 사용을 승인 받음으로써 중요성과 효용성을 입증 받았다. 생체적합하고 친수성이 뛰어난 MPC를 신체에서 비특이적 점착으로 문제가 일어나는 곳에 적용하고자, 외부에 노출되어 끊임없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구강 구조를 고려하였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식물, 먼지 등으로 일어나는 충치 발생을 막기 위해 양쪽성 고분자인 MPC를 도입하고자, 치아 표면과 상호작용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인산염기와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새로운 공중합체는 치아 모델에 잘 유지되며, 단백질과 충치 원인균 등의 점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신체에 이식되는 생체재료의 경우, 보다 강한 공유결합을 이용하여 MPC를 코팅하고자 하였다. 실리콘 보형물에서 UV를 통해 표면에서 고분자를 형성시키는 경우, 표면에 코팅된 고분자의 양에 따라 섬유화 과정이 어떤 분자 매커니즘으로 일어나는지 규명하였고, 이에 따라 섬유성 캡슐 형성에 고분자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와 해부학적으로 유사한 돼지 모델을 통해 고분자 코팅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앞선 연구에 이어, UV를 통한 표면 개질에서 일어나는, 불투명하거나 구조가 복잡하여 빛이 닿지 않는 표면에서 개시반응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열을 통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열 개시제를 이용하여 MPC를 코팅한 결과, 보다 두꺼운 코팅층 형성과 섬유화 반응 억제를 동물모델에서 확인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이식물, 혹은 대량 생산에 이점을 갖는 열 코팅이 UV와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리콘 소재 이외에 이식물로 많이 사용되는 ePTFE, 흔히 Gore-Tex로 알고 있는 고분자는 뛰어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micro 크기의 구멍으로 인해 감염과 염증이 부작용으로 발생한다. 이에 표면을 생체적합하게 변화시키고자, C-F 사이의 결합을 먼저 환원시키고 고분자를 도입하는 방식을 통해, 이식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단백질과 세포의 점착을 막으며, 염증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양쪽성 고분자가 갖는 특성인 온도응답성을 이용해, 생물 표본을 하이드로젤에 가둬, 젤의 팽창을 통해 해상도를 개선시키는 ‘Expansion microscopy’ 기술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기존 기술이 일방향적 팽창에 초첨을 맞춘 것에 비해, 양쪽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하이드로젤은 온도에 따라 팽창률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고, 원하는 부분에서 온도 변화로 젤을 팽창시켜 증가한 해상도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실험과 결과들을 통해 나는 본 학위논문이 양쪽성 물질의 생체재료로써 혹은 자극 감응성 물질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보다 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기 위한 밑받침이 되기를 바란다. A zwitterionic polymer has a unique characteristic unlike other ionic and nonionic polymers. Zwitterionic polymers are molecules that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in the molecule. Unlike ampholytic polymers that have a negative/positive charge group or an ionizable moiety, they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 total charge is zero because the molecular has a fully balanced charge. In addition, zwitterionic polymer has a large dipole moment due to the charged group, and it has a characteristic of excellent hydrophilicity derived from electrostatic interaction with water. Zwitterionic polymers have applicability in many ways due to these molecular characteristics. 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field, when a zwitterionic polymer is introduced to a surface, it can be changed to a hydrophilic surface, and thus has an advantage in surface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zwitterionic polymer exhibits a unique molecular behavior in solution due to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in the molecule. Since these changes can be controlled by temperature, there is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temperature-responsive material. Therefore, in this thesis, I present studies applied to the bio-interface of zwitterionic polymers. First, I present a study using a copolymer incorporating a special ionic bonding when making a non-adhesive surface due to the hydrophilicity of the zwitterionic polymers. Second, to prevent the fibrosis or inflammatory reaction of implants inserted into the body, a zwitterionic polymer was introduced with a covalent bond. And the process of fibrous capsule formation according to the grafting degree of the polymer was considered, and the zwitterionic polymer was grafted with various stimuli. The third study suggests introducing a zwitterionic polymer to reduce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a chemically stable material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mplant. Finally, I show an attempt to apply the temperature responsiveness of zwitterionic polymers to the imaging field. Various biomaterials are used to supplement or enhance body function. However, common problems in these biomaterials, such as thrombosis, biofilm formation, and fibrosis, impose restrictions on application. It is known that such a cluster of cells and bacteria, is started with the adsorption of protein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In order to fundamentally block this, a strategy was proposed to suppress the adhesion and accumulation of biomolecules on the surface. Research into the use of zwitterionic materials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to create non-adhesive surfaces.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MPC) molecule effectively inhibit the non-specific adhesion, and has shown excellent biocompatibility. Based on these effects,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biomaterials and reduce many side effects. Recently, it has been proved in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with approved of FDA. In order to apply the biocompatible and super-hydrophilic MPC to the place where the problem occurs due to non-specific adhesion in the body, the oral structur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considered.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ooth decay caused by food, dust, etc. flowing from the outside, zwitterionic MPC were copolymerized with phosphate group monomer that can strengthen interaction with the tooth surface. The new copolymer was well maintained in the dental model, and was able to effectively suppress adhesion of proteins and caries-causing bacteria. In the case of biomaterials implanted in the body, an attempt was made to graft MPC with a covalent bond. With grafting a polymer on the surface through UV in a silicone implant, it was determined what molecular mechanism the fibrosis occu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olymer on the surface, and thus the effect of the polymer on the formation of the fibrous capsule was confirmed. Following the previous studies, the method through heat was sought to solve the problem of initiation reactions on surfaces that do not reach light in case of opaque or complex structures, which occur through UV. As a result of using a thermal initiator, formation of a thicker coating layer and suppression of the fibrosis reaction in animal models were confirmed. It suggested that the thermal coating, which has an advantage in the case of a complicated structure implant or in mass production, can be applied complementarily to UV. In addition to silicone materials, ePTFE, which commonly known as Gore-Tex have excell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but infection and inflammation occur as a side effect because of micro-sized pores. Thus, by reducing the bond between C-F first and introducing a MPC polym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implant are not changed, and the surface become biocompatible. Finally, by using the temperature response proper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zwitterionic polymer, it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the “Expansion microscopy” technology that traps biological specimens in a hydrogel and improves resolution through expansion of the gel.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focused on one-directional expansion, developed hydrogels can freely control the expansion rate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overall information was quickly obtained in the unexpanded state, and the gel was expand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at the desired part so that it could be observed with increased resolution. Through the above experiments and results, I hope that this thes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zwitterionic polymers as biomaterials or stimuli-sensitive materials, and further serves as a basis for use in a wider field.

      • 우리나라 국가지질공원의 방문객센터의 현황과 개선방안

        강선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71

        The goal of the geoparks is to conserve geological heritage sites, to promote educational tourism (geotourism), and to promomot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promote geotour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with tourists such as educational signboards, guided tour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visitor centers. Especially, a visitor center should provide tourists with additional geological knowledge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geological outcrops (geosites). It is also a role of visitor center that provides general information on its geopark. 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visitor centers operated by the National Geoparks in Korea are carried out. The role of a visitor center is divided into five functions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tour information, local development functions, and others. An evaluation standard is set up for each func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visitor centers in 10 national geoparks is evalu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visitor centers in national geopark only include routine and basic functions but are lacking in interactive direct communication techniques. In addition, en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are not operated for educational tourism. Most tour information is available but the information on partnership is not provided enough Virtually there are few visitor centers which include any facilitie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s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of visitor centers in national geoparks in Kroea to promote the basic functions of UNESCO Global Geoparks. 지질공원의 목표는 지질유산의 보전과 교육적인 관광(지질관광)과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이다. 효과적인 지질관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안내설명판, 해설안내, 방문객센터를 통해 관광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 중에서 특히 방문객센터는 지질명소 내 현장에서 얻을 수 없는 지질학적 지식을 추가적으로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질공원의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도 제공하는 시설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국가지질공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방문객센터를 조사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방문객센터를 기본기능인 전시 기능, 교육 기능, 관광정보 제공 기능, 지역특산물과 기념품 판매 기능, 그리고 기타 기능과 같이 총 5 가지 항목으로 나누었다. 이를 이용하여 각 지질공원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만들어 국내 10개의 국가지질공원 내 방문객센터의 운영 현황을 평가·분석하였다. 방문객센터가 국내 국가지질공원의 인증을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이며,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 기능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연구 결과 국내 지질공원 내에서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방문객센터는 기본적인 전시기능을 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시기법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교육활동기능 특히,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관광정보제공기능은 대부분 수행하고 있으나 지질공원과 파트너십을 맺은 업체의 정보를 얻기 어려웠으며, 판매기능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방문객센터의 기능의 문제점에 대해 파악하고. 이에 따라 방문객센터와 탐방안내소의 조성 배치 계획에 대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으로 국내 여러 국가지질공원 탐방객센터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방문객센터의 운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시설에서의 노인학대: 노인학대 목격실태 보고 및 신고의무자 처벌에 대한 시설종사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무료 노인생활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강선아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 학대 목격실태 보고와 신고의무자 처벌에 대한 종사자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충청지역에 위치한 무료양로시설과 무료요양시설, 무료전문요양시설 종사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얻은 자료를 빈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복지법 개정사항인 신고의무제도와 긴급 신고전화 인지가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법 개정에 따른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의 부재로 판단된다. 둘째, 노인 학대를 목격한 종사자가 전체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시설에서의 노인학대 발생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최초목격 시 대처수준은가해자와 피해자를 중재하거나,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학대 . , 목격 시 신고하겠다고 응답한 종사자들이 80%로 신고의지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신고의무 미 이행자를 법적으로 처벌해야하고, 법적처벌이 노인학대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종사자가 약 70%로 신고의무미 이행자 처벌을 사회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신고의무자 처벌 시 적정한 처벌수위에 대하여는 비교적 엄격한 기준을적용하고 있었으며 재정학대의 경우 중죄(징역)수준의 처벌이 적당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신체학대와 성 학대, 방임은 경범죄(보호관찰, 벌금)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신고의무정착을 위한 우선과제로 시설종사자의 급여와 근무여건개선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학대예방과 신고를 위한 정확한 지침 교육이 다음 순위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설에서의 발생하는 노인학대의 구체적인 실태 파악이 급선무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노인 학대예방을 위하여 신고의무 위반과 관련된 법적 처벌규정의 신설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노인 학대 신고를 꺼려하는 사회분위기 쇄신을 위한 관련기관 및 단체의 적극적인 홍보노력이 필요하며, 시설종사자들의 급여수준 및 근무여건의 개선으로 노인과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여 학대발생 후 개입으로 인한 법적 처벌보다는 학대 발생 전예방 프로그램 및 대책을 세워야 하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into eyewitness' report of the actual state of abuse of the elderly and the attitude of staffs who work for the institutions toward punishment inflicted on those who are remiss in there duty to report.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140 staffs who work for fre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free nursing home and free special nursing home in chung nam province, requesting them to answer the questions. I analyzed the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it shows the following facts. First, only about half of these staffs recognized the system of occupational obligatory report and urgent report by telephone which are part of the amended Law on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it is supposed that the reason for such a low level of recognition is because of lack of strengthened publicity for and instruction on the amended law. Second, 30% of the entire staffs have witnessed abuse of the elderly and it tells us that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abuse of the elderly is very high. Regarding the way in which the first witnesses dealt with the abuse cases, the data show that some first witnesses tried to arbitrate between the abuser and the victim while other first witnesses just looked on without reporting to the authorities because they considered the cases not serious. Third, 80%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ir strong will to report to the authorities when they witness abuse of the elderly. Fourth, about 70%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it appropriate to punish those who are remiss in their duty to report, and believe that such legal punishment will be conducive to the prevention of the abuse of the elderly. They recognized as social challenge the matter of punishing the staffs who are negligent of their duty to report. Fifth, as regards the proper degrees with which to punish the staffs who are remiss in their duty to report, the respondents supported strict rules: they thought those who commit financial abuse deserve punishment(penal servitude) relevant to serious crime, and that those who commit physical abuse, sexual abuse, and the crime of noninterference should be inflicted punishment(probation,fine) befitting minor crime. Sixth, they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system of compulsory report to take root is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the workers, and that the next important thing is to provide correct instructions on the prevention of abuse and the need for report.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st urgent necessit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abuse of the elderly taking place in the institutions, and suggests that in order to prevent abuse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provisions concerning the punishment for negligence of obligatory repor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authorities and organizations concerned to step up publicity activities on changing the social atmosphere of hesitating to report abuse of the elderly, and it is advisable to improve harmonious interaction between the staffs and the elderly by improving the conditions of the workers rather than taking following measures such as legal punishment after the occurrence of ab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