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옥수수 F1 교잡종의 유전자형 판별 및 작물학적형질 평가

        강민정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otypes of sweet corn F1 hybrids and evaluate their agronomic traits. For genotyping of 50 commercial F1 sweet corn hybrids, a public SSR marker was selected for sugary1 gene and PAV marker for sugary enhancer gene was developed from the B73 reference sequence. Genotype of shrunken2 was determined phenotypically. Field trials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same hybrids from USA, Japan and South Korea.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1. The SSR marker, bnlg 1265 was selected to identify su1 genotype. All varieties in sugary enhanced sweet corn (SE) and synergistic sweet corn (SY) group were homozygous at the su1 locus. The su1 genotype in super sweet corn (SH2) group consisted of su1 homozygous, su1 heterozygous and Su1 homozygous. Augmented super sweet corn (SHA) group had two genotypes at su1 locus, su1 homozygous and su1 heterozygous. 2. The se genotype was identified using PAV marker designed for this study. All cultivars in SE group were found se homozygous. SY and SHA group had three genotypes to se locus, se homozygous,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The se genotype in SH2 group turned out to be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3. Varieties in SH2 and SHA group all exhibited homozygous sh2 phenotype. For SE and SY group, not only F1 seeds but F2 seed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genotype at sh2 locus. All varieties in SE group did not have sh2 mutant allele from the fact that no sh2 type kernels were segregated in F2 seeds. In SY group, sh2 type kernels were shown up with su1 type kernels. Eleven hybrids in SY group followed the expected segregating ratio of 3:1(su1:sh2) in F2 seeds while the other 5 hybrids did not. 4. A total of 11 genotypes was found from 50 sweet corn hybrids. The genotype (su1/su1 se/se +/+) of all varieties in SE group corresponded to inferred genotype from the common name, sugary enhanced sweet corn. The genotype of su1 and sh2 in SY group matched to expected genotype. In addition, the se genotype was different among varieties in SY group. The genotype of SH2 group was expected to be sh2 homozygous and wild type homozygous to the other two loci. Only two hybrids, however, remained in the same SH2 group while the other 5 hybrids were regrouped into SHA group. SHA group was composed of 6 different genotypes with the base genotype of sh2 homozygosity. At su1 locus, SHA group was either homozygous or heterozygous. The se locus had all possible genotypes. 5.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flowering traits from the combined analyses of variance. Among the palatability traits measured, sweetness and creaminess score tended to go along with expected feature of each group, e.g., SH2 group is high in sweetness but low in creaminess while SY group is high in sweetness and creaminess.

      • 지역 정체성 형성요인을 통한 환경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강민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사회에서 도시공간은 급속한 산업화 과정으로 인해 획일화된 도시경관 속에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 중 색채는 형태와 비교하였을 때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사례를 통해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감천문화마을을 통해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 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서 환경색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환경색채가 특징적인 감천문화마을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는데, 연구방법은 정체성 형성요인 분석과 색채 분석으로 나누어진다. 색채 분석은 건축물 외벽, 옥외광고물, 가로시설물, 바닥포장 4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N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R계열, YR계열, PB계열의 색상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천문화마을은 내츄럴한, 우아한, 은은한, 점잖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함에 있어 시각적 개선방안을 통해 감천문화마을 이미지에 대한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환경색채를 통한 도시 정체성을 형성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urban space is losing its identity in the urban landscape due to its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mong the elements that form the landscape, color is becoming a really important tool in the formation of the city's identity, in an economic and efficient way compared to the for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international cases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color as a practical means to establish the aesthetic improvement and identity of the city, thereby strengthening the city's competitiveness through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 Gamcheon Culture Vill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environmental color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to analysis of factors of identity formation and color analysis. The color analysis was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he outdoor advertising, the street facilities and the floor pavement. As a result,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N series appeared, and the colors of the R, YR and PB series were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Gamcheon Culture Village has a natural, elegant, friendly and decent imag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complementary point to the imag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through visual improvement plan to 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to form an urban identity through the study of environmental color.

      • 음악교과에서 미술교과와의 융합을 통한 음악감상 수업지도방안 연구 :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중심으로

        강민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by integra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lso, linking other curriculum areas. Therefore, we developed a teaching plan by connecting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with the art curriculum area. Furthermore we also compared students' thoughts that were bulit before the class and after class with questionnair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is class and the positive acceptance about the integrated class. In addition,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evaluation pape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tegrated lesson and studying clas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through the satisfaction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59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S' middle school, and focused on the music appreciation, especially on Mussorgsky's 《Pictures at an Exhibition》. While applying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2015 revised curricul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lesson by understand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hile listening to each music and interpreting each meaning of pi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that this research wants to convey by utilizing Mousovsky's 《Pictures at an Exhibition》. Thu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Social Science, Ver. 19.0.) to investigate the questionnaires. As a result, generally,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there was a postive reaction in the students' preference for music,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per music appreciation class, the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the achievement and content of the class compared to what they thought before the class. Moreover, we could find out what students felt about the class that applied the teaching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by collecting the objective opinions of the students. 본 논문의 목적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통합교육과정을 접목시켜 타 교과영역을 연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음악 감상 수업을 미술교과 영역과 연계하여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고, 본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통합수업에 대한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태도 등을 입증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수업하기 전과 수업한 후에 학생들의 생각을 비교하였다. 또한 평가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취도를 파악하였고, 만족도 조사지를 통하여 통합수업에 대한 만족도, 본 연구 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수업의 연구대상은 제주도 관내에 위치한 S중학교 1학년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악감상 악곡으로 무소르그스키의《전람회의 그림》을 중심으로 하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도입하여 《전람회의 그림》이 작곡되어진 배경을 초심으로 하였고, 각 그림들의 의미와 각각의 음악들을 감상하면서 음악적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통합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미술교과 영역과 연계하여 본 연구에서 전달하고자하는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들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수업하기 전에 생각하던 것에 비해 수업한 후에 음악에 대한 선호도, 본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수업에 대한 만족도, 수업내용 성취도 등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객관적인 의견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지도안을 그대로 적용한 수업에 대해 느낀 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 MMP-2, VEGF 및 HIF-1α 의 유전자 다형성이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의 대장암 발생과 HIF-1α 1772C/T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관계

        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장암은 단순히 한 가지 과정의 이상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적, 생화학적 그리고 환경적인 변화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단일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보편적인 유전자 이상으로, 특정 염기 서열 하나의 변화가 대장암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하기는 제한적이지만 특정 종양에 대해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높은 위험군을 찾아 선별 검사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matrix metalloproteinases-2 (MMP-2) -1306C/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936C/T 그리고 hypoxia inducible factor-1α (HIF-1α) 1772C/T 의 유전자 다형성이 대장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각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적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에 내원하여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50명 (46% women, mean age 68 ± 11 years)과 환자군의 성별과 연령을 짝지어 무작위로 뽑은 5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조직과 대조군의 전혈에서 각각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제한효소 절편 길이 다형현상(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방법으로 MMP-2, VEGF 그리고 HIF-1α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전자 다형성의 발현에 따른 대장암의 위험도를 분석하였고, 각 유전자형에 따른 실험군의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세가지 유전자 중에서, HIF-1α 1772C/T 의 CT 와 TT 유전자형은 CC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대장암 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OR 3.63, 95% CI 1.08-12.18, P = 0.03).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의 경우CT혹은 TT 유전자형에서 대장암 발생의 위험도는 더욱 증가하였다(OR 13.60, 95% CI 1.63-113.24, P = 0.01) 대장암군 내에서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종양의 발생 부위, 조직학적 분화도, 종양의 크기, 표현형 및 병기 등 임상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HIF-1α 1772C/T 유전자 다형성은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Polymorphism is a naturally occurring DNA sequence variation and functional polymorphisms could contribute to the differences of the susceptibility and the severity of the cancers among individuals by regulating the gene expression or the function of the coded prot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for colorectal cancer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2) -1306C/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936C/T and hypoxia inducible factor-1α (HIF-1α) 1772C/T. Methods: A total of 50 colorectal cancer subjects (46% women, mean age 68 ± 11 years) were enroll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8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Clinicopathological data were reviewed. Healthy controls without evidence of cancer history or family cancer predispositions were frequency-matched to the cases on sex and age (±5 years). DNA samples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MMP-2, VEGF and HIF-1α SNP. Genotyping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and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risk estimate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otypes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Dukes’stage, phenotype, location, differentiation and size) among colorectal cancer patien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olorectal cancer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HIF-1α 1772C/T polymorphism (OR 3.63, 95% CI 1.08~12.18, P = 0.03 for CT and TT genotype relative to CC genotype). In addition, when stratified by the age, the association remained in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ld (OR 13.60, 95% CI 1.63~113.24, P = 0.01).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genotypes of the MMP-2, VEGF and HIF-1α SNP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of colorectal cancer.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HIF-1α 1772C/T SNP and risk of developing colorectal cancer especially older than 60 years old.

      •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그램관여도를 조절변수로

        강민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맞추어 기업들은 트렌드를 반영하는 독특하고도 개성이 넘치는 브랜드를 내세우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동기부여를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요즘에는 많은 기업들이 대중매체에 자사의 브랜드를 노출시키는 PPL광고를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트렌드와 시장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에 PPL광고로 노출된 외식브랜드개성과 소비자의 실제적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프로그램관여도의 조절적인 역할에 따라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비자행동 측면으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자는 대중매체에 노출된 외식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대하여 프로그램관여도가 중요한 조절적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재료로 드라마 속 PPL광고로 노출된 외식브랜드 전체를 선정하였고, 조사 표본으로는 드라마 속에서 외식브랜드의 PPL광고를 접한 경험이 있으며, 드라마에서의 PPL광고와 외식브랜드에 대한 회상도가 높은 20대 외식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에 대한 요인 4가지가 추출되었으며, 각각 흥분(Excitement), 강인(Ruggedness), 성실(Sincerity), 세련(Sophistication)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4가지 요인과 제품구매의도 간의 다중회귀분석결과, 4가지의 요인 중 ‘흥분(Excitement)'과 ’성실(Sincerity)' 2가지의 요인이 제품구매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1-1인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의 흥분(Excitement)일치성이 높을 경우에서만, 프로그램관여도는 낮을 때 보다 높을수록 제품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조절적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은 관여도가 높을수록 제품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보고자하는 논문들은 많이 찾아볼 수 없었다. 특히 프로그램관여도를 조절변수로 본 연구는 여태 국내에서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 논문의 큰 차별성을 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개성은 소비자가 자아를 표현하기 위하여 고려해야할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드라마 속에 노출된 외식브랜드개성과 자아이미지가 일치성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프로그램관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외식브랜드들은 단순 PPL광고를 하는 것에만 의의를 두는 것이 아니라 세심한 분석들을 통하여 시청자의 개인적 관여도가 높은 드라마에 자사의 표적 제품을 노출시켜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지닌다. 주제어: 브랜드개성, 자아이미지일치성, 제품구매의도, 프로그램관여도

      • 여성관리자의 승진과 퇴직 : 경력사건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강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관리자의 경력사건 즉 승진과 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이며, 경력단계에 따라 그 결정요인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밝힘으로써 여성관리자의 성공적인 경력개발과 관리자급에서의 여성 비율 제고를 위한 실증적 논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의 경력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조직적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의 변인들을 설정하여 승진과 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그 중 주요 관심변수들을 중심으로 경력단계에 따라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여성관리자패널 1, 3차(2007, 2010) 자료이며, 분석된 여성관리자는 모두 2003명이다. 이들의 3년간의 경력사건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짓 분석을 주된 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개인적 차원의 변수 중 대표적인 인적자본변수인 교육수준은 경력단계에 따라 여성관리자의 승진에 다른 영향을 미쳤는데, 중간관리자급일수록 교육수준이 학력에 미치는 영향은 적어져, 경력단계의 초기에는 인적자본이 승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요인들이 더 중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차원의 변수 중 조직 내 네트워크의 종류 및 참여도와 멘토의 성별은 여성관리자의 경력사건에 중요한 결정요인이며, 경력단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쳤다. 즉 중간관리자급일수록 업무상 공적 네트워크보다 사적 네트워크를 주로 활용할수록 승진 확률이 높아졌고, 업무 후 네트워크 참여도가 높을수록 역시 승진 확률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들이 주로 형성하는 정서적이고 폐쇄적인 네트워크가 조직 내 성과에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며,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는 여성관리자일수록 승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남성 멘토가 있는 중간관리자급일수록 승진 확률이 높아졌는데, 남성 상급자와의 적극적인 멘토링이 정보의 획득이나 성과에 있어서 더 유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효과는 직급이 높을수록 더 커졌다. 셋째, 조직적 차원의 변수 중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와 관련된 요인인 출산휴가제도의 활용도는 여성관리자의 승진 가능성을 높이고 퇴직 가능성을 낮추었으나, 육아휴직제도의 활용도는 여성관리자의 승진 가능성을 오히려 낮추었다. 이는 알려진 바대로 육아휴직제도가 여성고용유지라는 제도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관리자급 여성들이 경력을 단절하지 않고 승진을 통해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이루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및 멘토를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남성 중심의 조직에서는 여성에 게 있어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조직 내 네트워크나 멘토의 활용을 여성관리자 개인에게 맡기기보다는 공식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성화하여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인력을 활용하고 양성하기 위한 조직의 노력은 조직문화의 개선이 함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제도는 있지만 활용은 어려운 유명무실한 제도가 될 수 있다. 셋째. 일?가정 양립의 문제는 특히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중요한 이슈이다. 이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여성이 가사일을 책임지는 사회 전반에 걸친 문화와 기업 내 조직문화, 관련 제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가족친화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승진과 근속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육아휴직제도의 경우 반대의 결과로 나타나, ‘여성고용의 연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 중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이 인식하는 중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과 학생들의 학습유형,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체육교사 수업지도유형과 학생들의 학습유형, 수업만족도의 차이 둘째,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학습유형,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학생들의 학습유형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넷째,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과 학생들의 학습유형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480명 중에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된 3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450명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을 알아보는 지도자 행동유형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유형 검사지와 수업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1.0 Version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통계기법은 t-test와 일원변량 분석(one 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과 학년)에 따른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민주적 행동형, 교수·지시형, 긍정적 보상형, 사회적지지행동형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 학생들이 교수와 지시형,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 사회적 지지행동형이 2·3학년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습유형에서는 성별에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에서는 참여형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만족도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업만족도가 높으며 2·3학년보다 1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은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의 민주적 행동형과 사회적 지지행동형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독립형, 협동형, 참여형, 회피형 학습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사의 교수·지시형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가운데 교수행동 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의 하위요인 중 협동형과 경쟁형이 교수행동 만족도에 의존형, 경쟁형, 참여형이 체육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형이 전체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과 학생들의 학습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의 교수와 지시형, 민주적 행동형의 수업지도유형과 학생들의 의존형, 참여형의 학습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체육교사는 학생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찰과 연구를 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체육수업 운영을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체육교사는 수업지도유형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수업지도유형을 만들어 갈 때 학생의 다양한 학습유형을 인식하고 적용하여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 동기유발을 통해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노력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체육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on the influence of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on their class according to the guidance type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I examined this study from four ang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it. The first point is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t the sex distinction and a grade. The second on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The next point of view is the influence of students' learning style to the satisfaction. The last aspec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on their clas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en and women in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The 450 questionnaires are used for this study. I have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he first questionnaire is for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other one i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and for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I analyzed the data from survey in t-test ,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we shown to influence that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tudents' learning style to the satisfaction. The study shows that boy students have a higher inclination for democratic behavior type, the tutoring and commanding type ,positive reward type and socal support behavior type than girls students. We can als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graders and the second, third graders. The first graders have a higher inclination for the tutoring and commanding type, democratic behavior type, positive reward type and socal support behavior type than the other graders.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students on the learning style.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a remarkable contrast between the graders. When it comes to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class, boy students and the firsts graders have a higher satisfaction than girls students and the other graders. Secondly, the study shows that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an effect o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on their class. As we iook into this concretely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socal support behavior type was shown to influence. The tutoring and commanding type is the most apparent style that we can see a strong influence on students' satisfaction. Third, students' learning style has an effect on satisfaction on their class. The students who have a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inclination are likely to have satisficant in tutor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 have a dependent, competitive and participant inclination are likely to have satisficant in physical environment. The students who have a competitive inclination are satisfied with every subordinate elements of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At the conclusion,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satisfaction on their class. The tutoring and commanding type is more closely connected with satisfaction on students' class than democratic behavior type . The students who is likely to be dependent and participant have an effect on their class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s' class satisfaction has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is study shows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ry to have a thorough grasp of students' learning style and interests so that they create an active and spontaneous atmosphere for students. At the same time the teachers have to keep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ir students. With teachers' continuous effort and study in the guidanc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hey need to set a very solid foundation to build an efficient physical educ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