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이야기체 설교방법에 관한 연구

        강경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설교의 전성기는 이제 지나갔는가?"라는 미국 워싱턴의 설교자대학에서 웨델(Theodore O. Wedel)이 수년전 설교의 위기를 논하면서 발표한 글의 제목이다. 설교의 위기를 맞는 이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청중들을 설교라는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야기체 설교이다. 설교는 교회의 예식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설교는 그리스도교의 발전과 전파에도 절대적 영향력을 끼쳐왔다.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야기는 구약성서에서 신약성서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복음 전달의 수단이었다. 더불어 설교갱신을 요구되는 현상황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이야기체 설교의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Ⅱ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를 위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유형,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과정, 커뮤니케이션의 원리와 역할, 커뮤니케이션과 설교와의 관계, 그리고 공중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았다. 커뮤니케이션이란 언어·몸짓이나 화상 등의 물질적 기호를 매개수단으로 하는 정신적·심리적인 전달 교류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자기완결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도구적인 커뮤니케이션, 퍼스널커뮤니케이션과 매스커뮤니케이션이다.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는 송신자, 데시지, 채널, 수신자, 그리고 효과이다. 이런 구성요소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지 전달단계, 접촉단계, 반응단계, 이해단계, 수용단계, 내면화단계, 그리고 행동단계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원리에는 수신자 중심의 원리, 반복의 원리, 관련성의 원리, 적절한 정보량의 원리, 슬리퍼 효과의 원리, 선택적 인지의 원리, 선정의의 원리, 그리고 구성의 원리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설교자가 메시지를 잘 준비하여 준비한 메시지를 잘 전달해야 한다. 설교할 때 설교자나 청중 그 어느 쪽이라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청취태도가 결여되어 있다면 효과적인 전달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설교자의 뜻이 명확하게 전달되고 청중들의 주의가 설교에 집중되었을 때 비로소 효과적인 설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중커뮤니케이션은 그리스도교의 설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공중커뮤니케이션의 정의는 한 사람의 전달자가 대중이 아닌,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다수의 수용자에게 설득을 목적으로 메시지를 전랄하는 행위 또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공중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공중연설의 목적은 정보전달의 목적, 설득의 목적, 오락의 목적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공중연설의 주제는 TV에서나 지역단체, 학교 등 연설이 행해지는 상황과 환경에 관계없이 다양하며 제한이 없으나, 주제선정시 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공중연설의 유형은 연설의 목적에 따라 크게 정보적 연설과 설득적 연설로 나뉘며, 전달요령에 따라 즉흥 연설, 무원고 연설, 암기식 연설, 원고 연설 등으로 구분하였다. 커뮤니케이션과 설교와의 관계에서 설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의사소통과정의 신학적 차원과 인간적 차원 모두를 설명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원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에 관한 특정의 이론적 이해를 근거로 하여 그 과정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를 활용함으로써 설교자는 설교에 대한 신학적 입장들을 좀더 포괄적 입장에서 잘 이해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 전통적 설교이론에서 새로운 설교이론으로의 요청을 다루었다. 전통적 설교이론은 흔히 연역법적 논문 형식의 3가지 요점과 유머로 이루어진 설교가 전통적 설교이론을 대표하는 설교 형식이다. 이 이론에서 설교의 목적은 설교자의 마음과 머리에 있는 바를 청중의 머리와 마음으로 가져가는 것으로 일방향적임을 의미한다. 이 설교이론의 설교 목적이나 내용은 언어에 대한 이해와 분리할 수 없다. 본문형식의 특징은 설교의 내용이나 전하고자 하는 진리를 한 문장이나 혹은 하나의 중심 아이디어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과 이야기체와 귀납법을 전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설교란 그리스도교적 믿음을 전하고 되풀이해서 가르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님의 말씀 신학의 설교이론은 말씀의 신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설교이론으로 설교의 케리그마 이론이라고 한다. 케리그마의 전달과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사건이 바로 설교의 목적이다. 케리그마 설교이론에 있어서 설교자와 청중 사이에 놓여 있는 틈은 점점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어떤 학자들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교 후나 전이나 혹은 설교 도중에 설교자와 청중이 대화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설교의 내용은 본질적인 복음과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행위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설교에서 능동적으로 역사하여 설교를 역동적 사건으로 만들고 있다. 이 이론은 말씀의 역사를 통한 설교에서의 하나님의 현현에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한다. 변형적 설교이론에 의하면 설교는 예배자에게 경험, 사건, 만남, 혹은 해프닝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설교가 사건이 되는데 있어서 케리그마 설교의 이론과는 다른 역할론을 펼친다. 설교자의 책임을 더 강조하며 조우의 초점이 인간적인 측면으로 이동된다. 설교의 목표는 예배자의 가치나 세계관 혹은 실재를 변화시키는 설교적 사건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 설교이론에서 말씀과 세계는 서로 분리할 수 없으며 성서로부터 추출한 어떤 신학적 지식으로부터 특정한 성서 본문의 의미에 대한 해석을 한다. 변형적 설교학의 공통적인 점은 언어, 특별히 설교언어와 삶 사이의 연결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귀납적인 설교는 청중을 위해 설교자가 본문의 메시지를 얻게 된 경험을 재창조한다. 그것은 설교의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그것과 함께 유회하고, 씨름하고, 명료화하도록 한 설교자의 경험을 재추적한다. 설교자 경험의 시각과 음성을 언어로 포착함에 의해 설교자가 들은 것을 청중이 들을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귀납적 설교는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청중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려는 시도로부터 나온 하나의 방법론이다. 새로운 설교이론인 이야기체 설교는 구성의 연속적인 요소를 따르는 설교 형식이다. 이야기체 설교 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불안정과 해결을 향한 중간의 전환과 해결이라고 할 수 있다. 로우리는 해결을 경험이나 사건으로서의 설교를 작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원리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역전의 원리를 강조한다. 그것은 사태를 거꾸로 뒤집는 것이다. 그는 이런 행위에서 복음은 급진적인 비연속성과 역전으로 경험된다는 말이다. Ⅳ장에서 이야기 신학은 미국 신학계에서 등장한 이야기 신학은 새로운 설교학운동의 발전과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4세기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야기는 신학에서 배제되어 왔다. 그 이유는 초기 교회가 이단과의 논쟁을 거치면서 교리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교회를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야기 신학의 태동 배경은 계몽주의의 영향, 해석학의 영향, 객관적 탐구, 그리고 공동체적 탐구이다. 이야기와 신학과의 관계는 달리 구분될 수 있다. 신학은 논리적이며 논쟁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을 가진 형태이고 이야기는 경험과 줄거리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신학에 이야기를 사용하는 것은 신학을 이해하는데 풍부한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이야기와 성서와의 관계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규범인 성서에는 많은 이야기가 있다. 이처럼 성서의 이야기는 이스라엘인들의 신앙을 통해서 후손들에게 전달되었다. 이야기와 계시와의 관계에서 근본적인 문제는 인간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대해 말할 수 있으려면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계시는 결국 인간의 신앙으로서만 받아들여지고 인식할 수밖에 없으니 이런 객관과 주관, 보편과 특수의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수 있으며 이때에 계시란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야기는 계시의 사건의 증언되는 가장 중요한 문학적 형식중 하나이다. 계시의 의미는 이야기 신학의 신학으로의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Ⅴ장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정의는 특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사건이다. 그 사건은 불안정 상태(또는 충돌)에서 계속적인 갈등(혼란)이 지나고 극적 반전으로 그리고 대단원의 끝으로 이어가는 이동이다. 이야기체 설교의 가설들은 개인적 경험이 의미의 토대라는 것이다. 이 전제는 개인간의 의사소통이란 경험의 공유라는 토대 위에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 철학적 전제들은 진리의 상대성, 커뮤니케이션의 주관성, 그리고 경험의 지고성이다. 이야기체 설교의 특징은 사람은 논리보다 감정에 의해 삶을 이끌어간다. 설교자는 청중과 의사소통을 위해 이야기한다. 간접적인 표현으로 설교를 전달한다. 설교자가 결론을 내리지 않고 개방적이다. 설교의 목적은 설교에 청중을 참여시키고 심취하게 한다. 성서의 본문의 특별한 문학형식과 그 본문을 오늘날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암시를 지니는 내용으로 취급해야 한다. 이야기체 설교의 방법에서 이야기는 산문이나 운문에서 사실이거나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특징은 공동체를 형성한다. 가슴에 말한다. 시대를 초월한다. 청중을 사건 속으로 초청한다. 시대적 요청이다. 치유 능력이 있다. 행동하도록 이끄는 힘이 있다. 성서는 스토리를 가진다. 현대의 그리스도교인들은 복음을 듣고 싶어한다. 이야기의 구성 요소에는 개념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가 있다. 개념적 요소는 사건, 등장인물, 배경, 줄거리이다. 기술적 요소에는 관점, 아이러니와 상징, 구조 형태, 한 본문을 다른 본문 안에 인용하는 본문의 상호 관련성, 이야기의 독특한 문체인 반복, 대조, 말놀이, 중심 낱말, 어구, 문장, 주제, 교차대구, 인용 등의 수사학적 장치들이 있다. 성서의 이야기 해석방법은 일반적 성서 해석방법과 이야기의 성서 해석방법이 있다. 일반적 성서 해석방법에서 모든 설교의 기본은 성서의 본문을 해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설교자들이 설교작성에서 소홀하기 쉬운 것이 본문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개관식 해석방법으로 이야기를 해석하는 방법은 먼저 누가, 언제, 어디서라는 배경을 살피는 것이다. 핸드릭스의 해석방법은 구약성서의 이야기의 해석방법이다. 먼저 구성에 대한 연구이고, 이야기 속에 어떤 움직임 또는 흐름은 실제적 움직임일 수도 있고 영적인 흐름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 중에 어떤 식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이다. 스테인은 비유해석을 위한 네 가지 해석의 원리를 제안했다. 비유의 중요한 한가지 요점을 찾아라. 비유가 말해진 삶의 자리를 찾아라. 복음서 기자가 비유를 어떻게 해석했는가를 찾아라. 하나님께서 비유를 통하여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계신가를 찾아 보라. 이야기체 설교의 형태는 없으나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이야기체 설교는 정해진 형태를 탈피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형태로 말해야 한다고 권하기도 한다. 로우리가 소개한 네 형태는 본문 이야기를 그대로 따르기, 지연시키기, 중단시키기, 그리고 교체시키기이다. 이야기체 설교 구성 단계에 대하여 로우리의 방법과 로빈슨의 방법을 살피보았다. 로우리는 이야기체 설교 구성을 위한 기본적인 5단계를 제시했다. 1단계: 웁스! 평형을 뒤집어라! 2단계: 우! 모순을 분석하라! 3단계: 아하! 해결의 실마리를 드러내라! 4단계: 와! 복음을 경험하라! 5단계: 예! 결과를 기대하라! 로빈슨은 이야기체 설교의 구성을 위한 4단계를 제시했다. 1단계: 쟁점을 발견하라. 2단계: 쟁점을 탐구하라. 3단계: 쟁점을 재구성하라. 4단계: 쟁점을 해결하라. 로빈슨의 방법을 그 쟁점을 발견하거나 혹은 상상함, 쟁점을 탐구하거나 혹은 돋보이게 함, 쟁점을 재구성함, 그리고 쟁점을 해결함이다. Ⅵ장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실제는 이야기체 설교의 준비지침과 이야기체 설교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이야기체 설교의 준비지침은 모든 중요하지 않은 것에 주의하라. 행간을 읽어라. 만나는 모든 것을 파악하라. 당신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자료를 도입하라. 행동에서 동기로 옮겨가라. 사실보다 그 이전의 역동성으로 나아가라. 감각을 총동원하라. 늘 해오던 동일화 작업을 전환하라. 능동태 어법을 사용하라. 1인칭이나 2인칭 단수 형태로 이야기를 몰고 가라. 주관적인 것에서 객관적인 것으로, 특별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옮겨가라. 단계를 정하라. 이야기체 설교의 실례로써 로우리의 설교문, 월리스의 설교문, 그리고 강경인의 설교문을 들었다.

      • 고교생 헤어스타일에 대한 개선방안연구

        姜敬順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country has experienced a very comprehensive social change in the modern society. This social change has brought an sudden obstacle in the old way of thinking. In the past, Our society valued the mental part highly. Owing to the rapid speed of industrialization, we had a big trouble between in moral value and material value. Also we had lost the harmony in contacting with the different culture. In this situation, Our adolescents have adopted the new culture easily. In doing so, they have the characterestic to move their deed easily. However, our students want to express their challenging attitude not enduring their routined uniform, restricted hair style, and the different way of deed. In contrary, adults do not try to understand their culture. Also they make their children obey unwillingnessly. They say their children should be keep their rule under the controlled restriction Nowadays, adults might think they understand their children naturally and accept their culture. In this reason, after studying the development psychology of the adolescents, I want to approach the research about the freedom of hair style in the opinion of their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Also, considering the fash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likeness, I want to design the new hair style that high school students really want to have. Lastly, I want to recommend the newly designed hair style approprate to the students most. My research has a great emphasis on the proper hair style to the students without losing their identity. Also, adults have to share with their children and try to understand their culture. They have to ease their incontents and make them study and do their deeds right. Try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ew hair style, We have to settle down the healthy teenagers culture. In the future, We have to concern about the new hair style continuously hoping our students grow up as a citizen of the 21st century.

      • 민족정체성, 리더십 유형, 다문화접촉이 군(軍) 장교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군이 급속히 다문화군으로 변모해 감에 따라 다문화수용성 문제는 군이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군이 그간 다문화군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해왔던 다문화병사의 수용과 관리차원의 각종 제도 및 정책을 확인함과 아울러 장교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로 민족정체성은 주관적 소속의식과 객관적 특성, 리더십 유형은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 관계지향형 리더십 유형, 변화지향형 리더십 유형, 다문화접촉은 군관련접촉과 일반접촉을 선정했고, 종속변수로 다문화수용성,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상사 지지와 동료 지지를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육군 위관 장교(중‧소위)와 영관 장교(중‧소령) 그리고 지역 향토예비군 지휘관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군장교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으며, 이후 상사 지지와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족정체성의 하위변수인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소속의식은 모두 종속변수인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유형에서는 하위변수인 관계지향형 리더십 유형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과 변화지향형 리더십 유형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접촉의 하위변수인 일반접촉은 종속변수인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군관련접촉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소속의식,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 군관련접촉에서 확인되었다. 상사 지지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소속의식에서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교들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관장교와 예비군 지휘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컸으며, 교육 진행 간에도 신분별 다문화수용성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투병과 장교들이 비전투병과장교에 비해 다문화수용성이 미약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반면, 다문화장병 지휘 및 관리경험이 있는 장교가 다문화장병 지휘경험이 없는 장교보다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다문화군 추진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 셋째, 다문화군 지휘에 가장 적절한 리더십 유형은 관계지향적 리더십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장교들의 관계지향적 리더십 확보를 위해서 신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군접촉 보다 일반접촉이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군접촉에 대한 다문화수용성 향상대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일반접촉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수용성은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가 상사 지지의 조절효과보다 더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병들의 다문화활동과 교육 등은 지휘관에 의해서 주입식으로 진행하기보다는 학교기관 등에서 동료관계 차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발아조건이 다양한 발아현미의 항산화 및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현미, 찹쌀 현미, 흑미, 찹쌀 흑미의 발아 조건에 대해 연구 하였다. 먼저 다양한 침지수 발아에서는 모든 발아 현미들이 증류수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4일부터 증류수에서 자란 싹들의 줄기가 가늘어 지기 시작하였고 수돗물과 알칼리수에서 발아 된 것은 증류수에서 자란 것에 비하여 길이는 짧았으나 통통하게 생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발아 길이가 0.5 cm 자라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0℃에서는 발아 후 1.3일 정도였으며 25℃에서는 4일, 20℃에서는 평균 10일 정도가 걸림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쌀의 종류에 따른 발아는 찹쌀 흑미가 모든 조건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찹쌀 흑미 > 흑미 >찹쌀 현미 > 현미 순으로 자랐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30℃ 항온에서 가장 잘 자랐으나 물갈이를 너무 자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 발아 조건에 관한 결과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침지로도 충분한 발아가 가능하며 상온 25℃에서 4일 정도면 사용하기에 적절한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발아 현미들의 항산화 소거능을 보면 30℃ 수돗물에 침지한 찹쌀 흑미가 12시간 시료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 전반에 걸쳐 큰 변화는 없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찹쌀 흑미가 현미보다 약간 떨어진 것은 찹쌀 흑미의 주 항산화 요인이라고 알려진 안토시안 색소가 물갈이로 인하여 거의 소실되어 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발아 현미의 경우 다른 베리류에 비해 항 산화능이 높지 않으나 매일의 식사로 섭취가 가능하여 쉽게 섭취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발아 현미의 Amylase 효소 활성에서 현미에서 처음에 낮게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높아져 흑미와 큰 차이가 없었다. 찹쌀 흑미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높게 나타났으며 흑미의 경우 발아 전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가 진행 된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찹쌀 흑미가 전반적으로 amylase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항온 30℃ 발아 후 12시간 시료에서 모든 발아 현미가 높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찹쌀 흑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 12 시간 전 후에는 찹쌀 현미 > 찹쌀 흑미 > 흑미 > 현미 순으로 당이 측정 되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환원당 함량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가정에서 쉽게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유아를 위한 이유식과 청소년들, 군부대, 등 단체 급식에 발아 현미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높은 발아 현미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 모색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 승찬대사 『信心銘』 硏究

        姜鯨求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교는 교학적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불교는 특히 그러하여 言語道斷, 心行處滅을 그 교리의 특징으로 삼기까지 한다. 관념화된 언어 대신 구체적 행위를 보여주었던 부처와 迦葉에게서 유래된 禪은 達摩에 의해 중국에 전해졌다. 그 후 達摩의 禪은 2조 慧可, 3조 僧璨에 전수되었다. 『신심명』은 禪의 궁극적 경지를 중도불이법문으로 강조한 글로서, 깨달음은 어렵지 않지만 옳고 그름을 가려서는 얻을 수 없으므로 차별과 분별을 일시에 놓아 버려야 하며,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진 곳에 깨달음의 세계가 있다는 僧璨의 禪思想을 집약하여 담고 있다. 본고는 『신심명』의 판본, 그에 대한 다양한 해설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 나아가 기타 신심명류 경전과의 비교를 통해 『신심명』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이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이에 『신심명』의 문장은 『景德傳燈錄』을 기준 으로 하고, 『五燈全書』 외 23개 저작에 기록된 판본을 찾아보고 그 상호간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 국내에 출판된 신심명에 대한 국내 고승 및 학자들의 해설서에 대한 교작업을 통해 심화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20여종을 넘는 해설서 중, 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번역해설서 6권을 선정하여 각 구절별로 역 및 해설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을 상호비교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신심명』에 대한 심화된 이해에 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한 부대사의 『심왕명』 , 우두법융선사의 『심명』 , 석망명스님의 『식심명』 등 신심명류 경전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여타 문장들을 함께 살펴보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신심명』의 객관적 위치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 지출환 Extract가 깨어있는 흰쥐의 위 수축력에 미치는 영향

        강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found out whether Jichul-hwan(JCH) extract have an effect on gastric contractility in conscious rats by using force transducer implanted in the body of stomach. Methods : The force transducer(model: F-081S, Starmedical, JAPAN) was implanted to the exterior wall of the stomach body in rats. The gastric contractility was measured 30 minute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JCH (110.1mg/kg). And,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rated with normal saline instead of JCH to compare the effect of JCH. The gastric contractility of control group(Normal Saline:NS) was also measured 30 minute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NS. Results : The ratio of gastric contractility between before and after medication by JCH was 1.707±0.731, and with NS was 0.701±0.541. The gastric motility increased by J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S. Conclusions : JCH extract increases gastric contractility in conscious rats. We could expect that this drug would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or post-surgical gastropar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