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에 대한 언론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를 중심으로

        陳璟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Analysis of Media Frames on the Leadership of Politician Park Geun-hye The insight of Tuchman by telling us that “News is a window on the world, and we see the world through the frame of the window” is unexceptionally applied to the aspect how a political leadership is revealed. As to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18th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whatever the true nature it is, the aspect of the leadership revealed by the press will be the practical leadership, which is perceived by the majority of peopl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is revealed to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media, how the aspect of the leadership is, with what frame the press views on the leadership of Park Geun-hye, and what differences do exist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press in the leadership of Park Geun-hye that is presented to the public. This study takes a way of approach by inductively analyzing the 1, 761 number of news articles related to Park Geun-hye released by three newspapers with different ideological inclinations, <The Cho-sun Il bo> <The Seoul Shinmun> <The Hankyoreh >, which encompasses about a year and 9 month period from December 19, 2011, when the politician Park Geun-hye took a role of the head of Hannarah Party(the Grand National Party, the current Saenuri Party’s former self) Emergency Committee, to September 30, 2013, when she is taking a role of the president. This study uses the six elements of the president leadership by Greenstein, i.e., ‘public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apacity,’ ‘political skill,’ ‘policy vision,’ ‘cognitive sty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analyzing frame of the press frame. According to the study, with respect to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the elements of ‘organization capacity’ and ‘public communication’ negatively stand out whereas the elements of ‘political skill,’ ‘policy vision,’ and ‘cognitive style’ relatively less stand out. Also, the el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as the leadership that receives a favorable review but stands out at the least. That is, the current existing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which is projected to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mostly has the negative features in the elements of ‘organization capacity’ and ‘public communication.’ This study has also found the apparent existing differences in showing the Park Geun-hye leadership on a frame by frame,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newspapers analyzed. Namely, it is confirmed that the press media reveals the evident patrician on the tone of the articles. This says that regardless where and what kind of leadership the politician Park Geun-hye demonstrates each press media applies its own positive or negative frames according to its ideological inclination. In a word, the current existing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can be revealed either in a positive way or in a negative way, according to the patrician press and tendency of the press. This study is evaluated to have meanings in that it took an approach in studying the politician’s leadership in a perspectiv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releases, instead of the previous frames such as legal-institutional approach or personal-psychological approach, and that it could confirm the fact that each press media presents its patrician by utilizing different frames according to its own ideological inclination, even in a specific politician’s leadership as well as the pending issue of the social conflicts.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에 대한 언론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를 중심으로 ‘뉴스는 세상을 향한 창이며, 우리는 그 창틀을 통해 세상을 보게 된다’는 터크만(Tuchman)의 통찰은 정치 리더십의 발현에 있어서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18대 대통령 박근혜의 정치 리더십 역시 또한 그 실체가 무엇이든 언론을 통해 발현되는 양태가 곧 국민 대중이 인식하는 실제적(實際的) 리더십이 된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이 언론 매체를 통해 시민 공중에게 어떻게 발현되는지, 그 양태는 어떠하며, 언론은 어떤 프레임으로 박근혜 리더십을 조망하는지,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국민 대중에게 제시되는 박근혜 리더십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연구는 정치인 박근혜가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2011년 12월 19일부터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2013년 9월 30일까지 약 1년 9개월 간 이념적 성향을 달리하는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 3개 신문이 보도한 박근혜 관련 기사 1,716건을 귀납적 방식으로 분석하는 접근방식을 취했다. 그린슈타인(Greenstein)의 대통령 리더십 6개 요소, 즉 ‘대중과의 의사소통’(public communication), ‘조직‧인사 능력’(organizational capacity), ‘정치력’(political skill), ‘통찰력’(policy vision), ‘인지력’(cognitive style),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을 언론 프레임의 분석 틀로 삼은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은 ‘조직‧인사 능력’과 ‘대중과의 의사소통’이 부정적으로 부각된 반면 ‘정치력’ ‘통찰력’ ‘인지력’은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고 있으며, ‘감성지능’은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도 가장 부각되지 않은 리더십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언론을 통해 국민 대중에게 투영된 정치인 박근혜의 현재적(顯在的) 리더십은 ‘조직‧인사 능력’과 ‘대중과의 의사소통’의 부정성(否定性)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각 분석 대상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박근혜 리더십이 각 프레임 별로 명확한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언론 매체가 자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기사의 논조에 있어서 뚜렷한 정파성을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는 정치인 박근혜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관계없이 각 언론 매체들은 자신들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긍정 또는 부정의 프레임을 적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한마디로 언론 매체의 정파성, 경향성에 따라 정치인 박근혜의 현재적(顯在的) 리더십은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발현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인 리더십 연구에 있어서 기존 법적‧제도적 접근(legal-institutional approach)이나 개인적‧심리적 접근(personal-psychological approach)의 틀에서 벗어나 언론 보도를 통한 국민과의 상호 작용이라는 맥락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 그리고 사회 갈등 현안에 있어서 뿐 아니라 특정 정치인의 리더십에 있어서도 각 언론 매체가 자신의 이념 성향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대입하며 정파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된다.

      • 산업용 6축 로봇의 마찰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진경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마찰은 기계 시스템에서 두 인터페이스의 접촉으로 인해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이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공정에서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마찰에 대한 보상을 Feedforward로 보상하는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SMC)를 이용하여 산업용 6축 로봇의 마찰을 보상하는 제어기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마찰 모델 중 로봇 시스템에서 흔히 사용되는 마찰 모델인 Amstrong 모델이 사용되며 정현파 입력에 대한 출력 결과를 비교하여 CTM, Feedforward, SMC와 비교된다. 비교는 제어 동작, 궤적 추적 성능, 제어기의 강건성에 중점을 두어 비교하며 실험 결과 Feedforward가 추가된 SMC가 기존의 SMC나 FF, CTM에 비해 로봇의 마찰 보상에 효율적이며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 Biomass 유래 Building Block을 원료로 사용한 Polyester Polyol 중합 및 Polyurethane 탄성체 물성에 대한 연구

        진경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압출 및 사출가공에 이용되는 재료인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탄성체를 중합하고 그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polyester polyol은 벤젠을 출발물질로 하는 adipic acid 와 phthalic acid 및 각종 glycol을 병용하여 제조되어 진다. 최근에는 biomass유래의 building block이 개발되어 각종 polyol에 응용되기 시작 하였다. 대표적인 building block으로서 azela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와 같은 dicarboxyylic acid류, 1,3-propanediol, isosorbide와 같은 디올류가 대표적인 예이다. 본 연구에서는 azelaic acid, 1,3-propanediol, isosorbide 등을 원료로 하여 polyester polyol을 축중합하고 이어서 TPU를 합성하였다. Isocyanate는 MDI(diphenylmethane disocyanate), IPDI(isophorone diisocyanate), H12MDI(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등을 사용하였고 chain extender는 1,4-butanediol과 isosorbide를 사용하였다. Azelaic acid와 1,3-propanediol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polyester polyol이 가장 낮은 점도를 가져 제조시에 취급하기가 용이하였고 이것으로 제조된 TPU는 내마모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것을 알수 있었다. Aromatic diisocyanate를 사용한 TPU가 cyclic diisocyanate 보다 높은 물성을 나타내었고, 1,4-butanediol를 chain extender 로 사용한 TPU 가 isosorbide를 사용한 TPU 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zelaic acid와 isosorbide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polyester polyol은 점도가 높고 취급하기가 어려워 이것으로 제조된 TPU는 취약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research,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which could be applied in extrusion and injection process had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some researches have paid more attention with the polyols which synthesized by biomass materials, such as azela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 which are called dicarboyylic acid; and diols like 1,3-propanediol, isosorbide. The polyester polyols were synthesized by azelaic acid, 1,3-propanediol and isosorbide. Then used three kinds of isocyanates (MDI, IPDI and H₁₂MDI) and 2 kinds of chain extenders (1,4-butanediol and isosorbide) to synthesize the bio based TPU. And the polyester polyol which made by azelaic acid and 1,3-propanediol is easy to synthesize. and it showed the low viscosity. The TPU synthesized by this polyester polyol showed great abrasion resistance in this work. The TPU which used aromatic diisocyanate show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TPU used cyclic diisocyanate, 1,4-butanediol also provide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isosorbide when used as chain extender. However, the polyester polyol which was synthesized by azelaic acid and isosorbide showed the high viscosity, it is hard to take measures, and the TPU used this polyester polyol showed the worst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work.

      • 벤츄리가 없는 충격기류식 여과집진장치에서 여과속도 변화에 따른 압력손실 예측

        진경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study, pressure drop was measured in the pulse jet bag filter without venturi on which 16 numbers of filter bags (Ø140 × 850 ℓ) are installed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filtration velocity, inlet dust concentration,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using coke dust from steel mill. The obtained 180 pressure drop test data were used to predict pressure drop with multiple regression model so that pressure drop data can be used for effective operation condition and as basic data for economical design. The predic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filtration velocity was increased by 1%, pressure drop was increased by 2% which indicated that filtration velocity among operation condition was attributed on the pressure drop the most. Pressure was dropped by 1.45% when pulse pressure was increased by 1% which also confirmed that pulse pressure was the major factor affecting on the pressure drop next to filtration velocity. Meanwhile, pressure drops were found increased by 0.46% and 0.37%, respectively when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pulse interval were increased by 1% implying that the effects of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pulse interval were less as compared with those changes of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pressure. Therefore, the larger effect on the pressure drop the pulse jet bag filter was found in the order of filtration velocity(Vf), pulse pressure(Pp), inlet dust concentration(Ci), pulse interval(Pi). Also, the prediction result of filtration velocity, inlet dust concentration,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which showed the largest effect on the pressure drop indicated that stable operation can be executed with filtration velocity less than 1.5 m/min and inlet dust concentration less than 3.3 g/m3. However, it was regarded that pulse pressure and pulse interval need to be adjusted when inlet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3.3 g/m3. When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pressure were examined, operation was possible regardless of changes in pulse pressure if filtration velocity was at 1.5 m/min. If filtration velocity was increased to 2 m/mi. operation would be possible only when pulse pressure was set at higher than 5.5 kg/cm2. Also, the prediction result of pressure drop with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interval showed that operation with pulse interval less than 50 sec. should be carried out under filtration velocity at 1.5 m/min. While, pulse interval should be set at lower than 12 sec. if filtration velocity was set at 2 m/min. Under the conditions of filtration velocity lower than 1 m/min and high pulse pressure higher than 7 kg/cm2, though pressure drop would be less, in this case, economic feasibility would be low due to increased in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st since scale of dust collection equipment becomes larger and life of filtration bag becomes shortened due to high pulse pressure.

      • 소아 고관절의 일과성 활액막염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이용

        진경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1839

        Transient synovitis of hip is self-limiting disease and its cause is not certain. Previously, its diagnosis depend on positive physical findings and bulgins shadow of distended hip joint capsule in plain x-ray. Aspiration was performed frequently as confirmative diagnostic procedure and as decompressive means. Recently, ultrasonography was introduced in diagnostic study of hip joint pathology, especially in children's hip. Authors performed ultrasonography in 49 cases of suspicious transient synovitis of hip on clinical examination from Aug. 1989 to Dec. 1990. Authors performed ultrasonography serially with interval of several days until complete disappearance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uthors' criteria of abnormal effusion was more than 1.5mm difference of distance between femoral head and joint capsule, 71%(35 cases) were positive and mean difference was 2.2mm. 2. Distance between femoral head and joint capsule was decreased from 7.1mm (initial) to 4.1mm(last) in positive group(mean=3mm). 3. In positive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normal side and affected side became similar on 10 days(mean) after symptom onset. 4. In needed 11 days(mean) in sono positive group and 6.8 days(mean) in sono negative group for complete disappearance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 學校長의 指導性과 生活樣式類型에 관한 硏究

        진경호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life style among primary school principals in the area of P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One major approach to leadership examines the phenomenon in terms of behavior of effective leaders. Two sets of behavior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effective leadership. The first, task-oriented leadership, refers to a leader's behavior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ork-related needs rather than the personal needs of the members of the group. The principal sets clear expectations for the teachers and high academic standards. The second leadership may be termed as social-emotional leadership in that it stresses the person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members of the group to meet the maintenance needs of a group. In this study two sets of leadership behavior were associated with three sets of life style which consisted of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in order to find how they related to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leadership among principals. The life style approach is usually utiliz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particularly in marketing field. Introducing this approach to this field it can be helpful to find a new dimension of leadership behavior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h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ask-oriented principals' life style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got the job done" was conservative and cautious in their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2. The cautiousness in life style was highly related to principals'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level : that is, more educated and less experienced principals were tended to be more cautious in their life style. 3. The task-oriented principals related to more cautious life style showed a leader's behavior in endeavoring to establish well-defined patterns of organization and to set high academic standards. 4. The social-emotional oriented principals' life style appeared to be friendly and sociable in their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5. The sociable principals were perceived that they stressed the person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teachers' group through open channels of communication and a lot of allocation of counselling time with teachers.

      • 국내 건설업체의 건설프로세스 개선전략 수립에 관한 개념적 연구

        진경호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1839

        국내 건설산업은 80년대 후반부터 발생한 부실공사로 인한 사고로 인하여 건설사업에 있어서도 품질적 요인이 중요한 가치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건설사업의 규모가 커지고, 건설사업 관련주체들이 다양해지면서 수요자의 요구사항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지금까지 일반적인 건설업체에서 수행하였던 관행적인 업무와 프로세스로는 더 이상의 장점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환경의 변화에 따라 선진외국에서는 많은 건설산업 관련 연구자들이 다른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던 개념 및 지식들, 즉, Productivity, Concurrent Engineering 그리고 Lean Construction 등의 개념을 건설산업에 적용하여 건설산업의 지식화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흐름들 중 가장 최신의 흐름으로 제기되고 있는 BPR 개념을 건설산업에 적용하여 건설사업의 품질을 강화하고,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서, 국내 건설업체의 특성에 맞게 BPR을 적용할 수 있는 개념적인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건설업체가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전개의 출발점으로 BPR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건설산업의 특성 및 BPR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제조업에서 일반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Hammer의 BPR모델과 건설산업에서 Fowler의 BPR모델 및 Mohamed의 CPR 모델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먼저, 장단점 파악결과를 토대로 일반화된 CPR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CPR의 목표를 발주자의 가치 증진과 만족으로 설정하고, 세부적인 목표로는 최종 산출물의 가치 강화, 프로세스 최적화, 프로세스 관련 기능에 대한 범위와 이에 따른 책임 강화, 정보의 재사용성 강화 및 e-Construction 기반 구축에 두었다. 또한, CPR의 출발점을 핵심참조모델(Core Reference Model)로 설정하였으며, 변화의 수준(Level of Change)은 점진적인 적용 및 변화를 채택한다. 또한, 이러한 CPR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발주자의 요구사항 반영 구조개선, 정보기술의 도입, 합리적인 업무범위 정의, 비부가가치 기능의 최소화, 조직 변화가 병행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단지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한 업무개선의 기본적인 골격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제시된 모델과 개선전략은 건설기업이 급격한 주변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할 것이라 판단된다. The Korea construction industry has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quality because of several collapses of the construction products in the 1990s. Also, With increasing construction scale and needs of diverse individuals related to construction area, traditional business and proces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activity have no more the benefits. Owing to the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everal initiatives are now under way to enhance its performance. Concepts, successfully implemented in other industries, such as productivity, concurrent engineering, and lean construction are applied by researcher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ual basis for appling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suitable for domestic real conditio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and reduce time and co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first step of the approach is to investigate the theories of BPR and needs of adopting BPR in construction industry. From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s,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Hammer's BPR model appli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fowler's BPR and Mohamed's CPR mode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result,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principles for establishment and execution CPR(Construction Process Re-engineering) model. And, the basic objectives of CPR model established in this paper is to improve value of final product, optimize process, strengthen responsibility for function related to process and reuse of information and build up the foundation of e-Construction. Besides, in the study, the CPR model originates the core reference model. Moreover, the strategies for appling concepts of CPR are presented as follows ; structural reform reflected client's requirements,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IT), reasonable definition of business scope, minimum of non added value and so on. This study only proposes the basic frame to improve business process for any construction enterprise. But, model and strategi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on industry to cope with effectively abrupt environmental changes.

      • 다수기 PSA를 위한 초기사건 빈도수 분석

        진경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는 부지 내 두 기 이상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면적이 작고 새로운 원전 건설 부지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모든 부지 내에 2기 이상의 다수기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해 아직까지 리스크 평가를 위한 확률론적안전성평가는 단일호기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현재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정량적보건목표 역시 단일 원전의 리스크 평가 결과에 기반을 두어 다수기 영향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단일 호기에 대한 정량적보건목표의 성능 목표인 노심손상빈도, 대량조기방출빈도는 부지 전체의 리스크 평가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기존 연구에서 부지 노심손상빈도가 제안되었으며 빈도수를 각 단일 호기의 노심손상빈도가 아닌 최소 한 호기 이상에서 노심손상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부지 노심손상빈도로써 단일호기 운전연수가 아닌 다수기 혹은 부지 운전연수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다수기 관점에서의 부지 노심손상빈도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초기사건을 다수기 관점으로 종합적으로 재분석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필요성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는 호기 간의 공유설비로 인한 종속성, 외부사건으로 인한 동시 영향, 사고 빈도 및 부지 운전연수를 정의하는데 있어 확률적 부정합성 등, 기존의 단일호기 PSA에서는 부각되지 않았던 다양한 기술적 현안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기 PSA를 지원하기 위하여 초기사건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 현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후쿠시마 사고 이후 대두된 대표적인 다수기 영향 초기사건인 소외전원상실사고에 대해 다수기 초기사건 빈도수를 분석하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소외전원상실사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발전소정전사고의 경우 공유설비인 대체교류디젤발전기가 사고 경위에 포함되어 있어 이를 반영한 발전소정전사고의 빈도수를 다수기 사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