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피오스 분말을 첨가한 죽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영양기능성 평가

        김상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study, various foods were developed using apios powder and applied to porridge,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To develop porridge to which apios was added, a range of 0, 2, 4, 6, and 8% was set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Apios powder contains 2.05% moisture contents, 3.25% crude ash, 8.62% crude protein, 1.32% crude lipid, 84.76% carbohydrate, 15.12(g/100g) calcium, 74.07(mg/100g) calcium, 11.46 total polyphenol, 1.24 DPPH. This is the experimental result of Proximate composition of apios powder of porridge with 0% of apios powder, porridge with 4% and 8% of apios powder. Moisture contents were analyzed as 87.52 for PA0, 87.43 for PA4, and 87.03% for PA8. Crude ash PA0 was analyzed to be 0.20%, PA4 to 0.16%, and PA8 to 0.20%. Crude protein was analyzed as 1.06% for PA0, 1.05% for PA4 and 1.07% for PA8. Crude lipid was analyzed as 0.36% for PA0, 0.33% for PA4, and 0.90% for PA8. Carbohydrate was analyzed as 10.86% for PA0, 11.03% for PA4 and 11.41% for PA8. Total dietary fiber was analyzed as 0.09(g/300g) for PA0, 5.16(g/300g) for PA4 and 5.91(g/300g) for PA8. Calcium was analyzed as 8.31(mg/300g) for PA0, 9.33(mg/300g) for PA4, and 11.37(mg/300g) for PA8. The result of porridge with apios added. Moisture contents were analyzed as 87.52 for PA0, 87.43 for PA4, and 87.03% for PA8. Crude ash PA0 was analyzed to be 0.20%, PA4 to 0.16%, and PA8 to 0.20%. Crude protein was analyzed as 1.06% for PA0, 1.05% for PA4 and 1.07% for PA8. Crude lipid was analyzed as 0.36% for PA0, 0.33% for PA4, and 0.90% for PA8. Carbohydrate was analyzed as 10.86% for PA0, 11.03% for PA4 and 11.41% for PA8. Total dietary fiber was analyzed as 0.03% for PA0, 1.72% for PA4 and 1.97% for PA8. Calcium was analyzed as 2.77% for PA0, 3.11% for PA4, and 3.79% for PA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nsory evaluation resulted in better for porridge with apios powder than those of porridge without added apios powder. This resul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porridge with added nutrition.

      • 이러닝 콘텐츠의 해외진출 증진방안 연구

        김상경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사회전반에 걸쳐 세계화의 시대는 이미 시작되었다. 현대 경제의 특징 중 하나는 지식기반 사업의 강세라는 것이다. 지식기반 사업의 하나인 이러닝 산업도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IT강국을 배경으로 이러닝 선도국가로서 부상한 우리나라의 기술력, 경험과 노하우, 성과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지난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러닝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을 새로운 기치로 내걸고, 기에 따른 핵심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개략적으로 제시하면서, 이러닝 세계화 발전방안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앞으로 상당할 정도로 치열한 국제적 경쟁구도 속에서 e-러닝 세계화는 보다 빠른 물살을 타리라고 예측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이러닝의 세계시장 진출은 미비하다. 해외시장 진출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질적인 대책방안 없이 추진한 결과인 것이다. 이제 국내 이러닝의 세계 진출 활성화를 위하여 실질적인 증진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닝 세계화라는 이슈는 세계적인 최근 동향 및 추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가운데 방향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성패가 결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이러닝 선진국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알아보고,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의 문제점인 ‘콘텐츠의 한계’와 ‘전문인력의 부족’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를 탐구 하였다. 위의 세가지 문제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나온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제휴이다. 전략적 제휴는 기업의 일부 사업 또는 기능별 활동부문에서 경쟁기업과의 일시적인 협력관계이며, 전략적으로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둘 이상의 기업 및 사업단위에서의 파트너 관계이다. 콘텐츠 부족을 겪고 있는 서비스 기업이 콘텐츠를 보유 하고 있는 기업과의 제휴로 빠른 기술혁신을 요구하는 세계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특화된 교육기관과, ‘산학협력’ 형태의 전문인력 양성이다. 현재 국내 고등교육 이상의 기관이나 기업에서 이러닝 인력을 전문으로 양성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이며,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인력 양성에 힘쓰지 않고 있는 만큼 이는 세계적인 인력 양성을 위하여 필요한 부문이다. 셋째, 브랜딩과정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과정이다. 국내 기업의 일부는 기업명이 한글의 특성상 세계에서 읽혀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아직까지 세계시장에서 브랜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브랜드 네이밍 전개와 한 눈에 기억될 수 있는 비주얼로 기업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하여 보다 확실한 기업이미지를 지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 세가지 증진방안은 실질적으로 실용가능하며 이러닝 서비스 기업과 피교육 기업의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으로 생각된다. 특히 해외진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아직 해외진출의 초기단계라 할 수 있는 국내 이러닝은 앞으로 보다 전문화된 분야별로 핵심적 역량을 집결시킬 수 있는 사업과 실철과제를 발굴해서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추진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Globalization has already begun throughout every field of socie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economy is prosperity of knowledge-based industry, which belongs to knowledge-based industry, has prospered remarkably, too. As Korea emerged as a leading country of E-learning industry with a predominant position in IT industry, global interests in Korean technology, experiences and know-how, and accomplishments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mphasized the neccessity of formulating a developmental plan of E-learning globalization in 2006, presenting the new vision of 'E-learning global leader' and outli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systems to fulfil it. It is expected for E-learning globalization to spread more rapidly among stiff competition. Still, Korean international expansion of E-learning remains inadequate, since we tried to expand without being aware of fundamental problems involved in international expansion and preparing proper prevention measures. Our success of E-learning globalization relies on how we set directions knowing recent international change and tendency of the industry precisely. This reserch aim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E-learning development of developed countries and to examine three problems with Koreand international expansion: limited contents, lack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 and brand image. The conclusion from my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is strateginc partnership, which is temporary relationship of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corporations or departments which compete with each other in parts of business to achieve a strategically important goal. An enterprise having difficulty with lack of contents can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by establishi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a company with adequate contents. Second, it is to develop specialized human resource through the ways of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Since there is few institutes where E-learning experts are educated i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and few enterprises are trying to develop the specialists, educating E-learning experts is necessary. Third, it is branding and establishing brand identity. Korean compaies, having the brand names which cannot be easily read by foreigners and occupy a weak position in global market, have to establish a firm image by letting people know the brand name more actively and creating more effective visual design. Those three solutions are practical and effective ways to satisfy E-learning companies and people who use E-learning. In addition, they can be helpful to lay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expans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ur E-learning business, which is in the beginning level of international expansion now, is required to focus on the areas whrere core competence can be applied, to find achievable tasks, and to push ahead with them.

      • 도제 장신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브로우치 및 펜단트를 중심으로

        김상경 淑明女子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1839

        패션의 산업화가 이루어져 장신구는 패션에 부합되는 소품으로 많은 다양한 발전을 하게 되었다. 장신구는 공예가들의 개성있는 작업을 통하여 독창적인 미를 추구함으로써 공예의 한 장르를 형성하고 있다. 모든 공예 예술이 그렇듯이 장신구 공예 역시 장신구로서의 기능과 형태속에 예술성이 살아 숨쉬어야 한다는 점에 비추어, 근래의 장신구는 종전의 것과는 다른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즉, 색상이나 형태면에 있어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과 인식을 통해 추상적인 조형미로 미적 효과를 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제 장신구가 소품이지만 작가의 사상과 독창성을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점토의 순수성을 통해 장신구와 인체의 하모니를 중시하면서 조형성을 갖춘 하나의 예술품으로서 장신구를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점토의 독특한 질감 표현으로 자연의 이미지를 기하학적인 형태를 통한 추상화 작업으로, 새로운 디자인 창조에 중점을 두어 조형성을 갖춘 예술성이 강조된 공예품으로서의 효용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작품 제작에 있어 소지는 유약의 발색이 좋은 밀양 백토를 사용하였으며, 시작품이기에 손으로 빚어만들기(pinching), 코일링(coiling), 점토판 성형(slab building)기법을 동원하였고 또한, 일반대중의 미적 감각과 개성있는 자기 표현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양산화가 가능하도록 이의 방법으로 주입 성형 방법과 석고틀에 의한 부분적인 가압성형 그리고 구름과 새는 압축성형으로 따로 만들어 부분적 접합을 하는 식으로 성형하여, 다양한 색상의 저화도 유약으로 화려한 이미지 표현과 동시에 인공보석 역할의 발색 효과를 나타내어 조형성을 표현하였다. Owing to the industrialization of fashion, the ornaments have developed as accessory to fashion in diverse ways. Thus, the ornament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genre of indust rial arts,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efforts by those artists who have endeavoured to pursue a unique beauty through individualistic works. As every industrial art does, the ornament art should be enlivened by function / form and sense of art combined. However, the recent development of ornament art has been wide of the mark. That is, it has only pursued an aesthetic effect through new conception of design for color and form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expressing the ornaments as an artwork with formative beauty, emphasizing the harmony between ornament and human body through purity of clay: this attempt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eramic ornaments can harbor artists' thoughts and creativity despite their small sizes. To this end, it was attempted to make abstract the natural images as much as the geometric forms by expressing the unique touch cf clay and thereby express the utility of the artwork as well as its artistic beauty by creating new designs. As for the material. the Milyang white clay was used considering its excellence in glaze colorings, while such techniques as pinching, coiling and slab building were applied.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mass-produ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eople who are thirsty for any aesthetic sense or unique self-expression, such techniques as injection moulding and partial pressing moulding by means of plaster frame were also applied. Besides. for the forms of cloud and birds. the pressing moulded forms were partially glued to be complete. Finally, for diverse colorings, low-temperature glazes were used. As a consequence, colorful and gem-like illumination could be rendered.

      • 제주지역 노인들의 영양위험 관련 요인 연구

        김상경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the nutritional risk of the elderly peop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25 elderly people(93 males, 132 females) in Jeju Island with anthropometry and dietary survey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average ages of the respondents were 71.9±5.1 years old and 75.4±6.8 years old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2. The smoking and drinking rates of the male respondents were 24.7% and 52.7% respectively and these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respondents showing 4.6% and 10.6% respectively. 3. Among the respondents, 80.0% had diseases. The most frequent ones were hypertension(39.6%) and arthritis(24.0%). Based on the SRH(Self-Rated Health), 25.8% of the mal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not healthy'. Meanwhile, 45.5% of the femal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not healthy' and these figures showe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health recognition between male and female respondents. The K-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Korean version)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ble to act by themselves. However, according to the K-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orean version), 37.3%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help and especially the male respondents showed higher rate. Both the male and the female respondents generally showed high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but, on the other hand, 11.1%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risk of dementia and 17.8% of them were categorized as having the risk of hypochondria. The femal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rate of the risk of dementia and hypochondria than those of the male respondents. 4. Among the respondents, 61.3% of them had desirable range with the BMI between 20 and 25 but 10.7% of the respondents showed low body weight with less than 20 of BMI. 5. Among the total of 16 questions of NRI(Nutrition Risk Index), the majority(46.7%) of the respondents had less than 4 NRI. The most prevalent NRI for the elderly people were taking medicines(72.0%) and impaired food-taking due to dental problems(61.8%). 6. According to a survey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he most frequently taken foods were vegetables(3.9 times per day), rice(3 times per day), Kimchis(2.9 times per day), beans(2.9 times per day), and beverages(2.8 times per day), orderly, with fishes and seashells(1.1 times per day), fruits(1.0 times per day), and meats(0.7 times per day).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variables, living habits, anthropometric indicators,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desirable eating habit, meal balance score, nutritional risk index, and food frequen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emale, the older, the old without spouse, low socioeconomic level, low body weight, the unhealthy old people, the old with the risk of dementia , and the old with the risk of hypochondria showed high nutritional risk index and low food frequency. When we plan nutritional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we thin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screening the elderly with high nutritional risk.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 중 65세 이상의 노인 총 225명(남자 93명, 여자 132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의 영양상태에 관여하는 위험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노인 71.9±5.1세, 여자노인 75.4±6.8세이었으며 남자노인이 여자노인에 비해 교육수준 및 배우자와의 동거비율이 높은 반면 여자노인은 독거노인의 비율이 36.4%나 되었고 전체노인 중 57.3%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노인의 흡연율은 24.7%, 음주율은 52.7%로 여자노인의 흡연율 4.6%, 음주율 10.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30.7%의 노인들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하였으며 수면시간은 8시간 이상이 48.4%로 가장 많았다. 3. 전체노인 중 80.0%가 질병을 가지고 있었고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병으로는 고혈압(39.6%)과 관절염(24.0%)이었으며 노인의 주관적 건강자가평가의 결과 남자노인의 25.8%가 ‘건강하지 못하다’라고 한 반면 여자노인은 45.5%로 남녀간의 건강상태를 인지하는 정도에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일상생활 활동능력은 대부분 도움없이 혼자서 할 수 있다고 한 반면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능력은 37.3%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특히 남자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인지기능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나 11.1%의 노인들이 치매증상을 보였고 17.8%가 우울증 범주에 속하였으며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치매증상 및 우울증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과 체중을 보면 남자노인은 162.5±5.6㎝, 62.0±8.4㎏, 여자노인은 148.3±5.5㎝, 51.5±8.4㎏이었으며 체지방율은 남자노인 27.3±5.8%, 여자노인 34.1±7.9%이었다. 전체 노인의 수축기혈압은 137.1±24.3㎜Hg이고 이완기혈압은 81.1±13.0㎜Hg이었으며 남자노인 6.5%, 여자노인 13.6%가 BMI 20이하의 저체중군이었다. 여자노인의 경우 56.8%가 0.85 이상의 높은 WHR을 나타내 복부비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하루에 세 끼니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전체노인 중 54.2%가 식사시간이 규칙적이며 식사량은 67.6%가 일정하다고 하였다. 식사속도는 40.9%가 천천히 먹는다고 하였고 54.2%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며 과식은 84.4%의 노인들이 ‘거의 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기름기 많은 고기 및 가공식품의 섭취와 외식빈도는 매우 적어 바람직한 반면 고콜레스테롤 섭취와 달고 짠 음식의 섭취빈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기초식품군의 섭취빈도를 보면 곡류 및 과일류의 섭취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육ㆍ어류 및 난류와 기름을 넣어 조리한 음식의 섭취빈도는 매우 낮았다. 6. 총 16개의 영양위험지표 중 4개미만의 영양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46.7%이며 6개 이상의 영양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21.3%이었다. 조사대상 노인들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영양위험요인은 약물복용(72.0%)과 치아문제로 인한 음식섭취 지장(61.8%)이었다. 7.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들이 자주 섭취하는 음식을 조사한 결과 채소류가 일일 3.9회로 가장 많았고, 밥류 3회, 김치류 2.9회, 콩류 2.9회, 음료류 2.8회로 이들 식품들은 하루 세끼 상용하는 식품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밖에 생선 및 어패류는 1.1회, 과일류는 1.0회, 육류는 0.7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조사대상자들의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생활습관,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상태 및 신체계측치에 따른 바람직한 식습관 점수, 식사균형도 점수, 영양위험지표점수와 식품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여자이고 고연령이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배우자가 없거나 혼자 사는 노인들이 영양위험요인이 높고 또한 저체중이며 질병이 있고 노인 스스로가 ‘건강하지 못하다’라고 인지하는 노인 및 인지기능상태가 나쁘고 주요우울증 증상을 보이는 노인들이 영양위험요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노인들이 불균형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노인들의 영양상태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생활습관,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상태, 신체계측 등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노인 영양사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노인, 고연령자, 경제자립도가 없고, 배우자가 없거나 혼자 사는 노인, 질병이 있고 치매 및 우울증상을 보이는 노인, 저체중이며 영양위험지표가 높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를 위한 정책이나 영양개선 방안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초등학교 교과서에 취급된 식물의 분류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

        김상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839

        1. 1997년판 초등학교 교과서 총 131권에서 취급된 240개 식물명을 6문 9강 4아강 46목 35아목 84과 189속 191종 39변종 2품종 1아종 1아변종 등 모두 234종류로 분류하였다. 2. 혼용하여 사용되는 귤과 밀감, 도토리나무와 참나무, 바나나와 파초, 산삼과 인삼 등은 동일종이다. 3. 분류된 식물 총 234종류를 문별로 비교한 결과 가장 많이 취급된 식물군은 피자식물문(Angiospermae)로 모두 215종류(91.88%)이었고 그 다음이 나자식물문(Gymnospermae)으로 10종류(4.27%), 균식물문(Fungi)이 3종류(1.29%), 선태식물문(Bryophyta)이 3종류(1.28%), 양치식물문(Pteridophyta)이 2종류(0.85%), 녹조식물문(Chlorophyta)이 1종류(0.43%)로 나타났다. 4. 취급빈도가 높은 종은 감나무, 귤, 배추, 벼, 사과 등 60종류 였으며 이중 벼는 129회, 사과는 166회나 되는 출현빈도가 아주 높은 식물종으로 나타났다. 5. 인지도가 높은 식물은 4학년에서 감자외 99종류(41.67%), 5학년에서 사과외 106종류(44.58%), 6학년에서 사철나무외 120종류(50.42%)로 나타난 반면 인지도가 낮은 식물은 4학년은 139(57.92%)종류, 5학년은 130(54.17%)종류, 5학년에서 112(47.92%)종류로 나타났다. 학년이 높을수록 식물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취급빈도와 인지도와의 상관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 학생들은 학습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식물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학습원에 식재되어 있는 대부분의 식물명을 모르고 있었다. 8. 교과서에서 취급빈도가 높은 식물을 중심으로 학습원을 구성하고 현장학습을 통한 식물의 관찰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 I classified the plants by the Engler's system recorded in 131 kinds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of Korea and according to the 4, 5, 6 class surveyed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plants in textbooks and in learning garden of m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plant categories - 6 divisions, 8 classes, 4 subspecies, 46 orders, 35 suborders, 84 families, 189 genera, 191 species, 39 varieties, 2 forma, 1 subspecies 1 subvarieties - were examined. Among these, there were 215 kinds of Angiospermae which were the most, and 10 kinds of Gymnospermae, 3 kinds of Fungi, 3 kinds of Bryophyta, 2 kinds of Pteridophyta, and 1 kind of Chlorophyta, which was minor species in division. 2. It is the same species that the name of plants called differently, namely Gyulnamu or Milgamnamu, Dotorinamu or Chamnamu, Banana or Pacho, Sansam or Insam. 3. According to the number of occurrence recorded in textbook, 60 kinds of plants such as persimmon(Dyospiros kaki var. domestica), orange(Citrus unshiu), Korean cabbage(Brassim campestris var. pekinensis), unhulled rice(Oryza sativa) etc. were recorded very high frequency. Of these, many recording species were rice and apple. 4. Plants which pupil had high recognition were 100 kinds(41.67%) including potato(Solanum tuberosum), 107(44.58%) including apple(Malus asiatica), 121(50.42%) including spindle tree(Euonymus japonicus), in 4, 5, 6 class respectively. Otherwise low recognition were 139(57.92%), 130(54.17%), 112 kinds(47.92%) in 4, 5, 6 class respectively. Therefore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plants name was high by increasing of class grade.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recorded in textbooks was low. 6. Many pupils are concerned about learning garden but really they don't know about plant name. Therefore plants recorded frequently in textbooks must be cultured in learning garden and demonstrated to pupil for observation.

      • 문서 분류시 결과 상충 판단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金相卿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이러한 필요 없는 정보는 정보공해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필요 없는 정보를 걸러내기 위해서는 정보를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 빈도에 의한 문서 분류 알고리즘과 TFIDF에 의한 문서 분류 알고리즘을 경쟁적으로 사용하여 문서를 분류하고자 한다. 그리고 두 문서 분류 알고리즘의 문서 분류 결과가 서로 달라 결과 상충이 발생할 경우, 결과 상충 판단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종 결과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좀 더 높은 정확도의 문서 분류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 지식과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문서를 분류하였다. 문서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분류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개념 지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 수집기와 인덱서를 사용하여 개념 지식을 구축하였다. 우선, 웹 문서 수집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포탈 사이트의 웹 디렉토리에서 웹 문서를 수집하였다. 또, 전송 받은 웹 문서에서 제목, 하이퍼링크, 본문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형태로 저장하였다. 인덱서에서는 색인어 추출기를 사용하여 웹 문서가 가지고 있는 색인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인어에 단어 빈도와 TFID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념 지식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문서 분류기에서는 분류할 문서를 입력받고, 개념 지식과 문서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서를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포탈 사이트의 웹 디렉토리를 통하여 특정 세 분야의 개념 지식을 쌓은 후, 신문 기사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Useless information are pollution to the people who live in the flood of the information. Information must be classified to avoid such pollution and get the necessary information. Data mining is used to analyse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extract new information from it by using a computer. Data mining is an algorithm used to extract general rules or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that is implicit or unknown, but may be useful in the future. Data mining was directly applied to the DB in the early days. However, it is now also applied web documents and general documents, which are called Web mining and Text mining, respectively. This paper suggests a system that consists of a web document collector, an indexer and a document classifier. It classifies documents using conceptual knowledge and statistical algorithms. A web document collector collects web documents from the web directories of an internet portal site. It extracts titles, hyperlinks and contents from web documents and stores them in the form of a DB and file. An indexer extracts the keywords from web documents using a keyword extractor using a lexical analyser and constructs conceptual knowledge by applying a simple keyword frequency method and the TFIDF algorithm to the extracted keywords. A document classifier classifies the documents by applying the conceptual knowledge and the document classification algorithm on the documents to be classified. This paper constructs the conceptual knowledge by navigating through web directories. Then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constructed to classify the newspaper articles is evaluated.

      • 한국어 CBT 말하기 평가의 개선 방안 : CBT와 인터뷰시험의 수험자 담화 비교를 중심으로

        김상경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 for current Korean CBT Speaking assessment, aims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existing CBT by applying interaction the biggest advantage of interview test. Although speaking assessment is introduced to language ability test following the argument that learner's language ability shall be directly assessed, the majority of assessments is done by using computer due to practical issues such as cost and lack of experts in assessment.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utterance aspects of testees of CBT and interview test in order to find improvement measure for the weak points of one-way system that current CBT System has. This study is significant firstly because it compared CBT and interview test with actual data of testees which previous studies had done by analyzing questionnaire; secondly, it could examine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CBT and interview test very in detail by comparing actual testees' data; thirdly, it tri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 by applying interaction of interview test to the existing CBT Model. However, it is the limit of this study that it was unable to develop the CB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due to the cost and other practical matters. In addition, this study was unable to take broader view on the improvement measure of Korean CBT Speaking assessment due to lack of data in volume as well as researcher's expert knowledge. This study, however, is meaningful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overcome the weak points of CBT with interaction of interview test based on the data of actual testees, and it is hopefully desir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upon developing Korean CBT Speaking assessment pattern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future studies connected with automatic scoring system by securing more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본 연구는 현행 한국어 CBT 말하기 평가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기존 CBT의 약점을 인터뷰시험의 가장 큰 장점인 상호작용성을 적용하여 보완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은 직접평가로 이루어져야한다는 논의에 따라 말하기 평가를 언어 능력 시험에 도입하고는 있지만 비용 및 전문 평가자들의 부족 등 실용도 문제로 인하여 컴퓨터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이 대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CBT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일방향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CBT와 인터뷰시험 수험자들의 발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첫째, 선행 연구자들이 설문 분석에서 그친 CBT와 인터뷰시험의 비교를 실제적인 수험자들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했다는 점과 둘째, 실제적인 수험자들의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CBT와 인터뷰시험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 셋째, 기존 CBT의 모형에 인터뷰시험의 상호작용성을 도입하여 그 개선점을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 등의 문제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책을 적용한 새로운 CBT 방식으로는 수험자들의 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의 양이나 연구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한국어 CBT 말하기 평가의 개선책을 좀 더 거시적인 안목으로 바라보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실제적인 수험자들의 자료를 통하여 CBT의 단점을 인터뷰시험의 상호작용성으로 극복하고자 한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 앞으로 보다 발전된 컴퓨터의 기술 확보 등으로 자동채점시스템과 연계된 후속 연구들의 진행과 더불어 한국어 CBT 말하기 평가 유형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유용되기를 바란다.

      • 협동조합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연결망 분석 : 사회연결망 영향요인 및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상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아파트 공동체의 부재와 임대주택의 주거불안정 문제에 주목한 사회혁신기업 ‘더함’은 국토교통부에 새로운 주거모델인 ‘협동조합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하 위스테이)’을 제안했다. 위스테이는 리츠(REITs)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민간임대주택으로 기존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보다 민간사업자의 출자비율이 더 높으며 입주가 끝나고 나면 입주자 주택협동조합에게 민간출자지분 전체를 양도해야 한다. 입주자 주택협동조합은 위스테이의 운영·관리 주체로 입주 전부터 주택협동조합의 설립동의자 모집, 조합 설립, 조합원 교육, 이사회 및 각종 집행소위원회를 구성하여 단지 내 여러 공동체가 형성되어 왔다. 본 연구는 아파트의 새로운 운영·관리 체계로 주목을 받고 있는 위스테이를 대상으로 거주자들의 사회연결망 영향요인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민들의 사회연결망을 조사하여 위스테이 내 이웃들은 서로 어떤 구조로 교류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사회연결망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연결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스테이의 특징은 무엇이며, 사회연결망이 어떤 효과를 일으키는지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 분석 결과, 직접 교류하는 이웃의 수를 기반으로 도출한 연결중심성은 상위 10명 중 9명이 운영·관리자와 직접참여자로 단지 내 참여수준이 높은 주민들의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웃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근접중심성은 연결망 외곽에 있는 소모임을 가지는 주민들이 높은 값을 가졌으며 그 외 중심에 있는 주민들은 비슷한 수치의 근접중심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위스테이에 거주하는 어느 주민이든 단지 내 정보들을 쉽게 전달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재자 역할을 찾는 매개중심성의 경우 관리사무소와 조합사무국, 각종 집행소위원회 등 위스테이 내 주요 조직에 속해 있는 주민들의 매개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세중심성 경우 위세중심성이 높은 상위권 주민 대부분 은 자신의 연결중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교류하고 있는 주민들 또한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LS-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사회연결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민참여수준과 사회·경제적 환경 만족도가 높고 설립동의자일수록 사회연결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연결망은 공동체의식과 정주의식, 장소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사회연결망의 간접효과도 나타났는데, 참여수준과 설립동의자가 사회연결망을 매개로 공동체의식과 정주의식, 장소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경제적 환경 만족도는 사회연결망을 매개로 공동체의식과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위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초기 공동체 조성 지원과 기획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획자들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 이들이 이웃들의 교류를 위해 기획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초기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운영·관리자와 직접참여자가 필요하다. 초기 기획자들이 기획한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관리자가 양성되면 이들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과 내부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면서 일반 주민들 간 교류의 장을 더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환경에서 직접참여자가 운영·관리자로 성장해 갈 수 있음을 위스테이별내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최초의 협동조합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위스테이별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웃과의 관계를 사회연결망을 통해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주거모델의 효과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향후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방안 도출에 있어 본 연구결과가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ocial developer group “Deoham” noted the absence of an apartment community and instability of rental housing and proposed a new housing model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s new model, named WE STAY, pertains to cooperative type public support private rental housing. In particular, WE STAY includes private rental housing operated based on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The investment ratio of private businesses is higher than that of existing public support private rental housing, and after moving in, the complete private investment share is transferred to the tenant housing cooperative. The tenant housing coop is the main body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WE STAY. Moreover, several communities are formed in the complex by recruiting consenters for establishing the housing co-operative, educating members, and organizing the board of directors and various executive subcommittees before even moving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dents' social networks for WE STAY,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ovel apart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e social network of residents and interactions of neighbors within WE STAY are examined. Furthermore, the mechanisms of WE STAY and the effects of the social networks are discusse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result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re discussed. The degree centrality is derived based on the number of neighbors with whom direct exchanges are made: 9 out of the top 10 are operators/managers and direct participants. The closeness centrality is higher for a smaller distance between neighbors. A higher closeness centrality is observed for residents with a small group on the outskirts of the network. Other residents in the center exhibit lower values of closeness centrality. In other words, any resident living in WE STAY can easily receive information within the complex. The betweenness centrality indicates the role of the mediator. The betweenness centrality of residents belonging to major organizations in WE STAY, such as management offices, union secretariats, and various executive subcommittees, is high. Moreover, most of the high-ranking residents with high eigenvector centrality have a high degree centrality, and the residents with whom they interact have a high centrality as well.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networks are analyzed using the partial-least-squares structural equation,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nonphysical environment are high. A larger number of people consenting to the establishment corresponds to a more positive (+) effect on the social network, and social networks positively affect the community spirit, sedentary spirit and place attachment. Indirect effects of social networks are also observed: Higher levels of participation and more people consenting to the establishment have a positive (+) effect on place attachment, the sense of community and settlement through social networks. Satisfaction with the non-physical environmen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settlement through the social network.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arly community development support and planning are required to revitalize apartment communities. In particular, early communities must be formed through education to nurture planners, and programs must be designed to promote exchanges between neighbors. In addition, operators/managers and direct participants are needed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The operators and managers trained through programs organized by early planners must plan and manage community facilities and internal programs in the complex to diversify exchanges among residents. As observed in the case of WE STAY Byeollae, in such environments, a direct participant can grow into an operator/manag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s the effect of a novel housing model by visualiz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of residents of WE STAY Byeollae, Korea's first cooperative type public support private rental housing, through a social network based investigation. The results can provide reference for identifying measures to revitalize apartment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